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플라톤의 「동굴의 비유」와 陽明의 龍場悟道 : 선험 현상학적 해석

        임헌규 중국학연구회 2010 중국학연구 Vol.- No.51

        This paper’s aim is to articulate an ideas and methodology of Wang Yang-Ming’s Enlightenment in contrast with Idea of western classical Philosophy based upon Plato’s Smile of Cave. The ideas and methodology of classical philosophy is manifested : 1) philosophical thinking begins with criticism of everybody’s everyday-consciousness, 2) philosophical thinking(attitude) requirement radical attitude-transformation of everyday-consciousness, 3) philosophical thinking is necessary to get absolute knowledge of the ultimate, 4) genuine philosopher enlightenments the people with absolute knowledge of the ultimate. Confucius and Mencius’ Confucianism as idea of self-realization was succeed and reestablished by Wang Yang-Ming. Wang Yang-Ming’s Enlightenment in Lungchang is typical of an ideas and methodology of Confucian Philosophy. Wang Yang-Ming’s Enlightenment in Lungchang begins with radical criticism of Chu Hsi’s Epistemology. He turns to the internal mind from external principle(attitude-transformation). and Wang Yang-Ming achivements absolute Enlightenment of the ultimate. finally, He enlightenments the people with absolute Enlightenment. Wang Yang-Ming’s Enlightenment & self-realization are similar to modern phenomenology in a way of which they both speak about the substance and the function of mind. We try to interpretate Wang Yang-Ming’s Enlightenment & self-realization by the methodology of a transcendental phenomenology.

      • 儒家中的自我和他人

        林憲圭 강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인문과학논집 Vol.21 No.-

        이 글은 고령(화)시대 노년 문제에 대한 우리의 관점전환의 모색을 목표로 하면서, 근현대 개인주의 및 기술 산업사회의 경쟁 논리에 의한 인간관에 대한 하나의 대안(보완)으로 유가의 인간 관계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여기서 우리는 유교의 인관관계론을 ‘仁’개념에 토대를 두고 孔子(爲己, 恕) 및 曾子의 언명(忠恕), 그리고『孟子』및『大學』등에 산재한 기술을 재구성적으로 해석하였다. 공자는 “군자는 자기(己)에게서 구하다”고 하면서 자기정립의 학문 이념을 제시하였는데, 이러한 공자의 ‘爲己之學’을 증자는 ‘忠’개념으로 풀이하였다. 그리고 ‘忠’은 신체의 주관자인 마음을 “치우치거나 기울지 않고(不偏不倚), 지나치거나 모자람이 없는(無過不及) 표준 상태에 두어” 자신의 본성(仁)을 온전히 실현하는 것이다. 나아가 ‘爲己之學’(忠)을 맹자는 ‘求放心之學’, 곧 “仁義(大體)로서 자아를 정립하여 大人이 되는 학문”이라고 규정하며 계승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大人之學에서의 자기정립은『大學』에서 제1강령인 ‘明明德’, 그리고 八條目 가운데 “格物, 致知, 誠意, 正心, 修身”으로 나타난다. 그런데 유가에서 타자관계는 우선 ‘恕’(推己及人)의 원리로 제시되었다. 恕는 “자기를 정립하고자 하면 남을 정립시켜 주고, 자기가 통달하고자 하면 남을 통달시켜 주면서 仁을 실천하는 방법” 혹은 “자기가 원하지 않는 것을 남에게 베풀지 말아야 한다.”는 등으로 공식화되었다. 그리고 이는『大學』에서 우선 ‘치국-‘평천하’의 가장 중요한 방법인 ‘絜矩之道’로 구체화되어 나타났다. 그런데 이는 칸트적인 정언명법의 제1원리인 ‘보편성의 원리’, 제2원리인 ‘공평성의 원리’ 또한 함축한다고 해석되어 왔다. 그리고 여기서 우리는 恕의 원리를 적극적으로 해석하면 칸트 정언명법의 제3의 원리, 즉 ‘보편적 자기 입법의 원리’ 및 ‘목적의 왕국’의 이념까지 함축할 가능성이 있다고 제언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유가의 忠恕의 원리는 ‘보편적(우주적) 가족애’라고 하는 맥락에서 노인을 나의 부모처럼 대우하고, 노인들이 원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베푸는 정책을 시행하라는 것을 함축한다고 전망하였다. 为转变老龄化时代对待老年问题的观点, 并且对以近现代个人主义与技术产业社会的竞争理论为基础的人生观作以补充, 本文提出了儒家的人际关系论. 在此, 我们以"仁"为基础, 把孔子的"爲己,恕"和曾子的"忠恕", 还有『孟子』和『大學』上的理论相结合并重新解释了儒家的人际关系论.孔子说"君子求诸己", 提出了自我完善的学问理念. 曾子把孔子的这种"为己之学"解释为"忠", 所谓"忠"即自身的主体-"心"要"不偏不倚,无过不及",才能完全实现自身的本性-仁. 而孟子己成了这一学问,并把"为己之学(忠)"解释为"求放心之学", 即"大人之学". 这种自我完善即体现在《大学》的第一纲领-明明德和八条目中的“格物, 致知, 誠意, 正心, 修身”上。儒家在论及他人的关系时, 提出了‘恕'(推己及人)的理论. 所谓"恕",即“通过已欲立而立人,已欲达而达人”,从而达到"仁"的实现,或者也可以解释为“己所不欲,勿施于人"。这种"恕"具体体现在《大学》中的“治国-平天下”的最重要方法-絜矩之道’之上。此外, 这种"恕"还可以用康德定言命令的第一公式"普遍性公式"和第二公式"质料性公式"来解释. 并且从积极的意义上来讲, 这种"恕"可能还蕴含着康德定言命令的第三公式, 即"自律性公式".儒家的这种"忠恕"思想中还蕴含着"老吾老以及人之老"的政策.

      • KCI등재

        『논어』에서 공자의 ‘禮’개념 정립에 관한 일고찰 - 『시』 ․ 『서』와 연관하여

        임헌규 (사)율곡학회 2019 율곡학연구 Vol.40 No.-

        『논어』에서 공자는 최초로 性개념을 제기함과 동시에 仁개념을 인간의 보편 덕으로 확고하게 정립함으로써 인본ㆍ인도ㆍ인문주의적 유교를 창도했다. 이글은 공자의 예 개념 또한 그 이전의 『시』ㆍ『서』의 용례와 비교했을 때, 인문주의적으로 새롭게 재정립되었다는 사실을 증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여기서는 우선 『시』와 『서』에 나타난 禮자의 용례를 전부 조사하고, 그 의미를 제시했다. 그런 다음 『시』ㆍ『서』에 나타난 예 개념의 용례를 『논어』에서 공자가 정립한 예 개념의 빈도수ㆍ주체ㆍ대상ㆍ근본ㆍ내용ㆍ형식ㆍ여타 개념(敬, 德, 仁, 恭愼勇直 등)과 비교하여 기술하고, 공자가 정립한 예 개념을 다룬 맥락과 그 특징을 살폈다. 이러한 비교와 기술을 통해 1)『시』ㆍ『서』에서 예는 대부분 제사ㆍ예제 등과 연관하여 즉자적으로 기술되었지만, 『논어』에서 공자는 반성적ㆍ비평적 토론을 통해 예 개념의 본뜻을 성찰하였으며, 2)단순히 몇 가지 개념(義, 德, 天命, 天道, 欽)과 함께 서술되던 차원을 넘어서, 다른 덕목들(仁 4회, 文 3회, 樂 7회, 君子 5회, 敬 3회 등)과 종합적인 연관 속에서 상대적으로 폭넓게 논의되었으며, 3)초월적 존재의 명령으로 그 자체로 준수되어야 할 타율적ㆍ맹목적인 계율의 차원을 넘어서, 점차 인간(군자)이 자기완성을 목적으로 자율적으로 실천하는 덕목으로서 여타 덕목들을 일관ㆍ인도ㆍ규제ㆍ문식하는 기능으로 정립되었으며, 4) 또한 예의 본말ㆍ질문ㆍ선후ㆍ변화가능성ㆍ현실성ㆍ예제의 근거(人情) 등에 대한 다양한 토의와 성찰이 나타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s discusses Confucius's theory of Li(禮) in Confucian analects in contrast with the Poetry and the Books of Documentary. The most critical question in the Poetry and the Books of Documentary was what is Li in a moral concepts. Li in these Classics is a central concept as a standard of a nobleman's behaviors and formal process. Confucius transformed Li as a concept of a nobleman's behaviors and formal process into Te(德) of inner Mind. Confucius said, "If a man be without the virtues proper to humanity, what has he to do with the rites of propriety? If a man be without the virtues proper to humanity, what has he to do with music?" Confucius think Humanity(仁) and Li(禮) as central moral Virtue essentially tied together. Confucius established Gentleman as new ideal of moral human beings, and Humanity and Li as central moral notions. Humanity is the fundamental-complex notion of moral Virtue, Li is a secondary notion of practice moral Virtues as a standard of Gentleman's behaviors and formal process. Confucius said, "In festive ceremonies, it is better to be sparing than extravagant. In the ceremonies of mourning, it is better that there be deep sorrow than a minute attention to observances." Li was reestablished a standard of all behaviors and formal processes as one of main moral virtue.

      • KCI등재후보

        儒家 仁개념의 변환구조 : 孔子, 孟子, 朱子를 중심으로

        임헌규 범한철학회 2004 汎韓哲學 Vol.34 No.3

        儒家는 그 어느 학파보다도 이상적인 인간을 양성하기 위해서 무엇을 가르치고, 배우며, 나아가 인간은 어떻게 판단, 처신, 행동하여야 이상적인 인간이 되는지에 관심을 기울여 왔다. 이 문제에 관건이 되는 것이 바로 仁개념이다. 즉 유가는 인간의 본성은 仁이며, 따라서 仁의 체득과 실천이 당위적인 인간의 존재근거라고 주장한다. 그런데 공자 이전에 仁은 다양한 개별적인 덕목들 중의 하나였다. 그런데 공자는 仁을 보편적 덕이자 모든 덕목들의 종합적인 완성으로 제시하였다. 나아가 그는 仁의 실천방법으로 주로 소극적으로 진술하였지만, 忠恕, 즉 자기정립과 타자정립을 통한 仁을 실천을 강조하였으며, 仁은 우리 마음과 사랑이라고 하는 감정관 연관된다는 점을 분명히 하였다. 맹자의 목적은 공자학설의 정초였다. 그래서 그는 “孺子入井“의 비유를 통해 인간에 순선한 감정인 “惻隱之心“이 무조건적이며 자발적으로 피어난다는 사실을 통해 仁이 인간 본성임을 증명하였다. 나아가 맹자 이후 분분한 논의만 있어 仁에 대한 명확한 名義가 정립되지 않았을 대 주자는 易經과 程子의 논의를 기초로 하여, 仁이 天地之心에서 유래하는 것으로 마음의 덕이자 사랑의 이치라는 것을 분명히 밝혔다. 요컨대 본 본문에서 필자는 유가의 仁개념은 공자에 의해 보편적 덕으로 정립되었며, 맹자에 의해 四端에 기초를 두고 인간의 본성으로 확인되었으며, 아나가 이 仁은 주자에 의해 형이상학적으로 정초되어 유가 仁개념은 완성되었다고 하는 점을 밝혔다. 나아가 공자는 仁의 실천에 주안점을 두었으며, 맹자는 四端이라고 하는 심리적 사실에 초점을 두고 인간본성으로서 仁의 존재를 증명하였으며, 주자는 형이상학적 궁극존재인 천지의 마음에서 유래한 마음의 덕으로서 仁의 존재에 초점을 두면서 그것을 사랑이라고 하는 감정을 피어나게 하는 근거로 정립하였다고 하는 점을 밝혔다.

      • KCI등재

        공자의 정치이념 : 다산 정약용의 ‘정명’ 해석

        임헌규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9 동방학 Vol.0 No.40

        The most critical question in classical political philosophy both in the east and the west, was what are truly a human virtues and a good life? Human virtue and Good life, and good State are thus essentially tied together. Confucius believed in reality of the human virtues. Confucius's political philosophy is based upon theory of the human virtues. Confucius defined politics as a realization of justice. He's philosophy of politics is based upon rectification of names. Confucius expressed rectification of names' as following definition :"Let the ruler be a ruler, the minister be a minister, the parents be a parents, and the son/daughters be a son/daughters"(12:11) Confucius' s definition of Rectification of Names) has immensely influenced on confucian political philosophy, and reinterpreted by many scholars. Dasan proposed that we have to approach to Confucius' s definition of rectification of Names on perspectives of ethics. Rectification of names defined by politics of benevolence(仁政). The politics of benevolence means the rule of virtue. 이 논문은 『논어』에 나타난 공자의 정치이념(특히 정명론)을 인륜적인 관점에서 고ㆍ신주와 대비되게 주석한 다산 정약용 해석의 특징과 의의를 논의하는 것이다. 공자는 정치란 ‘바르게 하는 것이다’고 규정함으로써 정치의 작용과 목표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그는 정치를 담당한다면 먼저 ‘정명’에서 시작하겠다고 말했다. 나아가 그는 제경공의 ‘정치란 무엇인가’에 대한 물음에 “군군신신부부자자(君君臣臣父父子子)” 라는 여덟 글자로 제시한 바 있다. 이에 대해 과거에도 여러 주석(正文字, 名實相符, 正名分)이 있었고, 현대 또한 다양한 관점에 의한 여러 해석들이 있어왔다. 이 논문은 이에 대한 과거의 여러 주석과 현대적 해석들을 비판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그것이 지닌 의의와 한계를 살펴보았다. 나아가 공자의 정치에 대한 정의, 정명론 그리고 정치 목표에 대한 언명이 지닌 정치철학적 맥락과 근원적인 문제 상황을 살펴보면서, 다산 정약용의 인륜적 관점에 의한 주석과 해석이 지닌 특징과 의의를 탐구하였다. 결론으로 공자의 정치이념 및 정명론에 대한 다산 정약용의 인륜적 주석은 유가의 정통 정치철학의 이념(五倫과 正德)에 부합하는 탁월한 해석이라는 점을 증시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儒家의 가족—사회윤리에 대한 일고찰 -‘孝悌’를 중심으로-

        임헌규 범한철학회 2009 汎韓哲學 Vol.52 No.1

        This study is based upon the premise that the family constitutes the cental element of those societies that have been profoundly influenced by the confucian, and later Neo-Confucian mandate. Confucian human mind and it's nature is comprised of the benevolence, the righteousness, the propriety and the wisdom. Confucian's Human relationship is none other than the conscientiousness(忠) and the altruism(恕). Yuyak said, "Filial piety(孝) and Fraternal submission(弟), are they not the root of all benevolent action?" Confucius said, "A youth, when at home, should be filial, and, abroad, respectful to his elders. … after the performance of these things, he should employ them in polite studies." Mencius said, "The richest Fruit of benevolence is the service of one's parents. The richest Fruit of righteousness is the obeying one's parents. The richest Fruit of wisdom is the knowing those two things, and not departing from them. The richest Fruit of propriety is the ordering and adorning those two things." The course of Yao and Shun was simply that of Filial piety and Fraternal duty. Filial affection for parents is the working of benevolence. Respectful to his elders is the working of righteousness. 유가에서 孝悌윤리는 親親의 근원적 연속성(孝)과 從兄의 연대성(弟)으로서 모든 인간관계를 총망라하는 도덕 원리이다. 공자는 『書經』을 인용하면서 효제를 실천하는 것이 곧 政事를 펴는 것이며, 나아가 효제를 잘 실천한 연후에 글을 배우라고 권고했다. 그의 제자 有若은 “孝悌는 仁을 실천하는 근본이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맹자는 良知—良能으로서의 효제는 仁義의 실질로서 국가(事君: 忠), 천하(仁民), 그리고 만물(愛物)로 확장되는 보편적인 윤리(達之天下)이며, 堯舜의 道 역시 효제에 지나지 않는다고 말하였다. 그리고 『효경』에서는 “효는 만행의 근본이며, 모든 가르침의 근원이다.”고 규정하면서 “그 한계는 修身에서부터 출발하여 넓게는 平天下에 이르기까지 무한하다”고 말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선진 유학의 효제개념은 신유학자들의 ‘理一分殊論’에 의해 재해석되어 ‘萬物一體’ 및 ‘與天地能參’의 실천론으로 정초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유가의 효제 윤리와 연관하여, 한편으로 유가의 근본은 가족 윤리인 孝悌에 있으며, 나아가 “유가는 모든 질서를 ‘가족주의적 효제윤리’에로 환원”하며, 따라서 “가족과 국가사회의 이질성을 간과하고 있다”는 비판이 있었다.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유가는 ‘天合—親恩—親親—孝悌의 본능적 사랑으로 질서를 유지하는 가족’과 ‘義合—公義—尊賢—忠恕의 이성적 사랑으로 유지되는 국가질서’의 異質性을 분명하게 인식하고 있었다는 주장이 있다. 이에 대해 이 글은 효제의 윤리 또한 仁義禮智의 원리에 따라야 한다는 점에서 유학의 근본은 ‘仁義禮智’에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가족과 사회국가의 동질성과 이질성, 연속성과 단절성의 논쟁에서는 중도적인 입장을 취하였다. 즉 우리는 仁한 사람은 가족—사회—국가—천하—만물을 일체로 간주한다는 점에서, 나아가 仁의 실질로서 孝의 윤리 또한 가족—사회—국가—천하로 확장될 수 있는 보편성을 지닌다는 점에서 연속성과 동질성을 지닐 수 있다고 해석한다. 그러나 이러한 仁의 실현은 구체적인 역사적—장소적 상황에서 正名과 中庸의 원리, 마땅함(宜)의 義의 원리, 그리고 ‘親親之殺’와 ‘尊賢之等’에서 나오는 禮의 차등원리에 따라야 하기 때문에, 가족—사회—국가—천하는 이질성과 단절성을 동시에 지닌다고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