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기술·가정교과의 교수적 수정이 경도지적장애학생의 수업참여도 및 학습목표달성도에 미치는 영향

        임해주 한국행동분석학회 2017 행동분석․지원연구 Vol.4 No.2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instructional adaptation to the ‘Technology-household subject’ and to investigate its effects on the class participating behavior and academic achievement of three students who are with mild mental retardation and the first year students of junior high school attending an inclusive class. The effects of instructional adaptation in Technology-household subject on class particip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measured by the multiple-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 First, a class participation behavior was increased in all students, and a out-of-seat behavior was decreased in all students. The application of instructional adaptation turned out to have positive impacts on increasing the class participation behavior rate and decreasing the out-of-seat behavior rate of the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Second, academic achievement was increased in all students.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the futur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경도지적장애학생을 대상으로 기술․가정교과의 교수적 수정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수업참여도와 학습목표달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D시 중학교에 재학 중인 경도 지적장애 학생으로 통합교육 환경에 배치된 학생 3명이었으며, 연구 방법은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교수적 수정의 적용이 경도지적장애학생의 수업참여행동을 증가시켰다. 둘째, 대상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교수적 수정의 적용이 경도지적장애학생의 수업일탈행동을 감소시켰다. 셋째, 대상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교수적 수정의 적용이 경도지적장애학생의 학습목표달성도를 향상시켰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동향에 대한 논의와 후속연구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 KCI등재

        스마트 폰 앱을 활용한 중재가 ASD 학생의 수업참여행동과 소리지르기행동에 미치는 영향

        임해주,김정민,전병운 한국특수교육학회 2013 특수교육학연구 Vol.48 No.3

        본 연구는 스마트폰 앱을 활용한 문제행동 중재가 자폐 스펙트럼 장애 (Autism Spectrum Disorder; ASD)학생의 수업참여행동과 소리지르기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실험 연구는 일반 중학교에 재학 중인 ASD 학생 3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연구방법은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기초선, 중재, 유지기의 실험결과를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연구 대상학생의 수업참여행동은 중재기에 점차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소리지르기행동은 중재기에 뚜렷한 감소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지기간에도 두 가지 종속변인에 대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스마트 폰을 활용한 앱이 ASD 학생의 수업참여행동 증가와 소리지르기행동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 연구는 국내에서 아직 활용도가 적은 스마트폰 앱을 활용한 문제행동 중재가 일반학교 중학교 ASD 학생의 수업참여행동과 문제행동 감소에 효과적임을 밝히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mart learning’ including smart-phone application etc. to decrease a problem behavior (i.e., yelling or shouting) and to increase on-task behavior of three students with ASD.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16-year-old 2 boys and 1 girl enrolled a special education class at general middle school diagnosed with ASD. For establish the appropriate intervention,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related the topic. Research method was implemented with baseline - intervention - maintenance as a multiple baseline across subjects as single-subject design. According to the result, smart learning intervention was effective to two dependent behaviors (on-task and yelling). Moreover, maintenance condition was retaining low occurrences of the yelling behavior and high occurrences of the on-task behavior. In conclusion, this study indicated that smart learning was effective to both target behaviors generally. Implication and suggestion were described in the discussion part.

      • KCI등재

        장애아동 가족지원 프로그램 연구 동향

        임해주,서효정,방성휘,전병운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2 재활복지 Vol.16 No.4

        이 연구는 2002 년부터 2011 년까지 국내에서 이루어진 장애아동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장애아동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실행에 대한 연구의 방향과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분석 대상으로 선정된 논문은 총 28 편이었으며, 이를 연구 대상, 연구 방법, 독립변인, 종속변인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 대상의 참여자는 어머니, 장애영역은 발달장애, 학교급은 유아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 방법은 집단연구가 가장 많았고, 평가도구는 비표준화 검사도구 중 국외검사도구를 번역하여 사용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중재 회기는 6~10 회기, 중재장소는 학교 및 개별 치료실에서 이루어진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인은 부모를 대상으로 정보적 지원과 정서적 지원이 제공된 경우가 많았고, 설명 및 강의의 방법이 많이 사용되었다 . 종속변인은 부모의 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을 위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동향에 대한 논의와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reviewed studies that examined family support program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Korea. Based upon the criteria identified in this study, a total of 28 articles were included in this literature review. Once selected, each study was analyzed based upon following variables: (a) study participants, (b) study method, (c) key beneficiaries, contents, and types of family support programs, and (d) outcomes of family support programs.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study participants,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preschoolers were main participants. Second, in terms of study method, the quasi-experimental study was the dominant research method. The most frequently used measurements were nonstandardized measurements that were translated into Korean. Also, the most commonly used intervention sessions were six to ten sessions and a number of studies were taken place in schools and individual clinics. Third, the primary beneficiaries of family support programs were parents; these parents were mainly provided either informational or emotional supports. The most frequently used ways to offer family support programs were conferences and classes. Lastly, the main outcomes of family support programs included reduced parents' levels of stress and improved parenting efficacy.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the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학습장애 학생과 비장애 학생의 통합교육 경험

        임해주,서효정 한국통합교육학회 2016 통합교육연구 Vol.11 No.2

        이 연구는 학습장애 학생과 비장애 학생의 통합교육에 대한 경험을 알아보기 위하여 일반학교에 배치된 학습장애 학생 5명과 이들과 함께 생활하는 비장애 학생 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내용의 분석 결과, ‘학교생활의 행복을 좌우하는 친구 관계’, ‘통합학급에서의 생활’, ‘특수학급의 의미’, ‘장애학생이 학교에서 살아가는 방법’의 4개의 대범주가 도출되었다. 장애학생은 학교생활에서 비장애 학생과의 친구관계를 갈망하고 있었으나 친구관계 형성이 어려운 현실에 스트레스와 상처를 받고 있었으며, 비장애 학생은 장애학생과 표면적으로 잘 지내고 있었으나 동등한 친구 관계를 형성하여 우정을 나누기보다는 같은 학급 친구로서 친절하게 대해주는 정도에 그치고 있었다. 장애학생은 통합학급에서 이해하기 어려운 수업내용과 방식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나, 비장애 학생은 장애학생이 수업시간에 수업도 잘 듣고 대체적으로 학급생활을 잘 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장애학생은 특수학급에서 생활하면서 마음의 안정을 얻고 자신감이 생기기도 하지만 특수교육대상학생이라는 라벨링과 편견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장애학생은 특수교육대상학생이기 때문에 겪어야 하는 어려움에 자신만의 대처방법을 적용하여 학교 생활을 하고 있었다. 결과에 따른 제안으로는 장애학생과 비장애 학생 모두에게 의미 있는 통합교육을 위하여 일반교육의 재구조화와 더불어 장애학생과 비장애 학생이 진정한 교우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교육적, 정서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장애학생들의 일반교육과정 접근을 향상시키고 통합교육을 성공적으로 이루기 위해 교수적 수정을 제공할 뿐 만 아니라 또래 비장애 학생들의 인식 및 태도 개선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students who were educated in inclusive education environments. Five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their five peers without disabilities who studied in the same general education classroom participated in the in-depth semi-structured interviews. Each interview took about 40 to 50 minutes to complete.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that followed the best practices conducting qualitative studies (e.g., ensuring the credibility, member checking, peer debriefing, etc.) were categorized into 4 groups: (a)the friendship that determines students’ happy school lives, (b)experiences in the general education classroom, (c)the meanings of resource rooms, and (d)way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enjoy their school lives. Based on these study findings,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provided to improve inclusive education practices and relevant education outcomes: (a)implementing school-wide inclusive practices and efforts to re-conceptualize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b)providing emotional support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c)assist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build and/or expand the social network and providing appropriate supports, (d)increasing access to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by providing instructional supports, and (e)improving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on their peers with disabilities. Detailed results and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중증 정신지체학생의 수업 방해 행동에 미치는 영향

        임해주,김정민,백은희,전혜영 한국특수교육학회 2013 특수교육학연구 Vol.4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dividual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positive behavior support (PBS) intervention to reduce the challenging behaviors. In this study, one target middle school student, 19-year-old, participated performed multiple behavioral problems. Through functional behavioral assessment (reviewing all the related documents), three target behavioral problems were identified; out-of-seat, lying down, out-of-classroom behaviors. Single subject design, multiple baseline across behaviors was implemented to apply PBS interven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as that, the PBS intervention for the individual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as effective across three target behaviors(out-of-seat, lying down, out-of-classroom). Even though, short-term maintenance data collected, the target student was retaining low occurrence of the target behavioral problems. Implication included the guidelines for future research using PBS and limitation. 이 연구는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중증 정신지체학생의 수업 방해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기능적 행동평가와 중재(배경사건, 선행사건, 후속결과) 및 대체기술지도의 다차원적인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를 독립변인으로 하여 하였으며, 자리이탈 행동, 바닥에 눕는 행동, 교실이탈 행동의 세 가지 수업 방해 행동을 종속변인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은 정신지체 특수학교 중학부에 재학 중인 중증 정신지체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행동 간 중다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다. 중재 결과, 긍정적 행동지원은 중증 정신지체학생의 자리이탈 행동, 바닥에 눕는 행동, 교실이탈 행동 감소에 효과적임이 나타났다.

      • KCI등재

        중학교 통합교육을 위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에 관한 질적 연구

        임해주 ( Hae Ju Lim ),전병운 ( Byung Un Jeon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4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5 No.3

        이 연구는 중학교 통합교육 상황에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에 대한 경험을 알아보고 향후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바람직한 협력방안의 방향을 탐색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통합교육 상황에서 근무하고 있는 일반교사 4명과 특수교사 4명이 연구에참여하여 반 구조화된 개방형 면담에 응하였다. 면담 내용의 분석 결과, ‘협력이 쉽지 않은 학교 현실’, ‘협력에 대한 경험’, ‘이상적인 협력의 모습’ 등 3개의 대범주가 나타났으며, ‘협력에 대한 학교의 모습’, ‘협력이 쉽지 않은 이유’, ‘협력을 하고 있는 분야’, ‘협력을 도와주는 요소’,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 등 5개의 중범주가 나타났고, 24개의 소범주가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서로에 대한 폭 넓은 이해를 위하여 서로의 생각과 경험을 공유하는 기회가 필요하다. 둘째, 특수교육대상학생을 담당하는 일반교사에게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제도가 필요하다. 셋째, 교사 양성을 위한 대학 교육과정과 현직교사연수 과정에 통합교육 관련 지식보다는 교사 간 협력에 대한 실제적이고 실천적인 내용으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 넷째, 원활한 교사 간 협력을 위하여 교사양성제도 및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역할과 책무성에 대한 구체적인 법적ㆍ제도적 장치 마련이 시급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d the experience of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bout collaboration in middle school inclusive classroom, and explore the preferred collaboration in the future. Four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four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at the general middle school were interviewed. From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interview transcripts, 3 upper categories; ‘difficult collaboration in school reality’, ‘experience of collaboration’, ‘ideal state of collaboration’, 5 middle categories; ‘school reality about collaboration’, ‘reason of collaboration difficulties’, ‘Areas of collaboration’, ‘supportive elements for collaboration’, ‘promising perspective’, 24 subcategories have emerged. The discussion of the outcome based on the results of qualitative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need to be able to have an opportunity to share their thoughts and experiences for the mutual understanding. Second, there needs to be the system to give incentives for teachers who teach the students with special needs. Third, The contents of university courses and teacher training need to be organized with real and practical inclusive education information as well as the inclusive education theory and knowledge. Fourth, There need to be legal and institutional safeguard for a role and responsibility of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order to collaborate better.

      • KCI등재

        특수학급 교사의 교직 경험과 역할 적응 유형

        임해주 ( Hae Ju Lim ),전병운 ( Byung Un Jeon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6 교육인류학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특수학급 교사의 교직 경험과 역할 적응 유형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특수학급에서 근무하고 있는 특수학급 교사 2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면담 내용의 확인을 위하여 관찰 및 문서 자료 수집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근거이론 방법을 사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특수학급 교사들의 교직 경험과 역할 적응 유형을 알아보았다. 특수학급 교사의 교직 경험은 ‘특수학급교사로 살아가기’에 관한 이야기로 나타났으며, 역할 적응 유형은 ‘적극적 대처형’, ‘현실적 대처형’, ‘현실 안주형’, ‘무기력형’의 네 가지 유형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and the typ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teach students in resource rooms. The study participants included 20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teach students in resource rooms. The data was collected using multiple methods. Specifically, the researcher transcribed each interview, observed participants, and wrote observation journals, as well as collected copies of relevant documents. The interviews were the primary sources of data to be analyzed, while the observation journals and collected copies of documents were used to verify the interview data. Applying the analysis method suggested by Strauss and Corbin (1998; 2015),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as a result of the experience of teaching, a narrative for ``living as special education teachers`` was derived. Seco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categorized into the following four types: (a) teachers who actively deal with situations or problems, (b) teachers who realistically deal with situations or problems, (c) teachers who have complacent attitudes on dealing with problems, and (d) teachers who are slow in dealing with problems.

      • KCI등재

        특수교사 교직문화에 대한 연구 동향

        임해주 ( Hae Ju Lim ),전병운 ( Byung Un Jeon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4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5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사의 교직문화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향후 특수교사의 교직문화 연구의 방향을 탐색해보는 데에 있다. 선정기준에 따라 선정된 분석 대상 논문은 총 76편이었으며, 이는 1995년부터 2013년까지 23개의 교육관련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들이었다. 선정된 분석대상논문을 연구 주제와 연구 방법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주제는 교사의 인식 및 신념 연구가 대다수를 차지하였고, 교직 활동 수행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게 이루어졌다. 연구 주제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교사의 인식 및 신념에는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자아 효능감이 가장 많았으며, 교직 활동 수행에는 구성원간의 인간관계가 가장 많았다. 둘째, 연구 방법 중 연구 대상은 특수학교 교사, 특수학급 교사, 일반유치원 특수교사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 방법 중 연구유형은 조사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질적 연구, 척도개발/타당화 연구, 문헌연구, 실험연구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연구 분석에 대한 논의와 후속연구에 대하여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rends and to explor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in teaching profession culture 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Korea. Selected research papers were 76. A total of 76 research published between 1995 and 2013 across 23 different education journals. The selected papers were analyzed in terms of research topics, research methods, research participants. The results of review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research topic, ‘teacher’s awareness and belief’ were the dominant research topic than ‘activity performance of teaching profession’. In terms of ‘teacher’s awareness and belief’,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were the dominant research topic. In terms of ‘activity performance of teaching profession’, ‘relationship between members’ were the dominant research topic. Second, in terms of research participants in research meth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work at special school and general school were the dominant study participants. In terms of research method, the quasi-experimental study was the dominant research method. And emerged in order of qualitative research, scale development/validation of research, literature research, experimental research.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directions or implication for further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자폐성 장애(ASD) 학생을 위한 스마트러닝의 국내,외 연구 동향 분석: 단일대상연구를 중심으로

        임해주 ( Hae Ju Lim ),전병운 ( Byung Un Jeon ),김정민 ( Joung Min Kim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3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9 No.3

        본 연구는 ASD 학령기 학생을 위한 스마트러닝 연구의 동향과 효과성을 분석하여 향후 우리나라의 ASD 학생을 위한 스마트러닝 방향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2013년 6월까지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된 선행연구(Peer-reviewed articles) 중 선정기준에 적합한 23편의 전문 학술지논문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하여 연구대상, 연구 방법, 독립변인, 종속변인, 메타분석에 의한 효과분석의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메타분석에 의한 효과분석은 PND, Cohen’s d, r, MD3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효과검증을 통해 얻어진 결과에 따르면, 선정된 학술지 논문의 연구 대상은 대부분 학령기에 있는 중·고등과정의 남학생 ASD 학생이 주를 이루었고, 대부분 학교환경에서 연구가 실행되었으며, 중재충실도는 비교적 충실히 이루어졌으나, 사회적 타당도가 이루어진 연구는 드물었다. 6가지의 종속변인에 따라 중재의 효과성 검증에서는 모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인 효과크기는 PND(89.73), cohen’s d(1.30), r(.55)으로 중재기, 유지기, 일반화기 모두 높은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종속변인별 PND와 MD3 효과검증 도구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결과를 종합해 보면, 스마트러닝 중재가 자폐성 장애 학생들의 종속변인에 효과적이라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연구동향에 대한 논의와 우리나라의 자폐성 장애학생을 위한 스마트러닝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xisting literature of single subject design published until June, 2013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smart learning intervention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cohen`s d, r, PND, M3 was used to the significance differences by dependents variables. With selection of criteria, total of 23 experimental studies was selected. According to the result. the target students were mostly school-age boys in middle and high school and study conducted in school settings. Overall effect size was calculated as follows; PND(89.73), cohen`s d(1.30), r(.55). In addition,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t between the two effect size methods PND and MD3. In the result, smart learning interventions were effective in 6 different dependent variables for students with ASD, On the basis of these result, trends of research regarding the related topic in Korea and discussion and suggestions were concluded for furture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