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등 교사의 수학 및 수학 교수-학습에 대한 신념의 변화

        임해경,추신해,김정은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0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14 No.1

        초등교사의 수학과 수학 교수-학습에 대한 신념을 알아보고자 세 가지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고I 연구문제의 해답을 찾기 위한 방법으로 선택형과 서술형 문항을 개발하여 설문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그 외에 면담과 관찰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로서 각각의 문항에 대한 통계처리 자료를 일목요연하게 표로 나타내었고, 문항 별로 특이한 점에 대하여 논의를 하였다. 연구 결과 중 특이한 점은「생활과 수학」과목을 수강한 후 수학에 대한 신념의 변화가 현저하게 나타남을 볼 수 있었다.

      • KCI등재

        북한교사의 역할과 권한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임해경,채소린,한마음,박순용 한국교육사회학회 2019 교육사회학연구 Vol.29 No.1

        With the anticipation of facing problems that may follow the post-reunification integration process in the education sect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teachers in North Korea(NK). For this purpose, we looked into the education culture in NK through document research and interviews with North Korean escapees who have had teaching experiences formerly in NK. We especially focused on how teachers in NK interact with students and their parents, and what kind of role they assign to themselves in the process of working in their schools. The study results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the normative role assigned to the teacher in the North Korean system are those of intellectual and revolutionary activist who faithfully accomplish the given tasks. The NK teachers prioritized the process of adapting the students to the collective system over maximizing individual potential through education. Second, in the context of everyday school experience, the study participants underscored their responsibilities and sense of calling as professional revolutionaries. However, they had to compromise with the realities of NK’s unstable economic situation, and in the process reconsider their status as teachers. Third, we looked into the influences and authority of the NK teachers by analyzing their dynamics with the students. In NK, the class was managed through a process known as ‘responsible homeroom teacher system’where the student-teacher ties remained very close for many years. Such a system engendered a structural environment where teacher authority became very strong. Ultimately, teacher rights and authority were buttressed by operational power over the politics of controlling the student body in everyday life. In the end, this study explores the normative teacher role in NK and how teachers interpret, accommodate, and change such a normative structure in their daily activities as teachers. The meaning of this research can be derived from the fact that the study goes beyond simple, functional understanding of school education in NK, and attempted an in-depth exploration of real experiences in the lives of teachers in NK. 이 연구에서는 통일대비 교육통합 문제의 예견을 위한 이해차원에서 북한 교육의 주 행위자인 교사의 인식과 경험을 탐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북한교육관련 문헌연구 및 북한에서 교직경험이 있는 탈북자와의 면담을 통해 북한의 교육체제와 교육일상을 교차시켜 북한사회의 교육문화를 살펴보았다. 특히 북한에서 교사들이 학교에 배정되어 교직에 종사하는 일련의 과정 속에서 교육의 또 다른 주체인 학생 및 학부모와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학교와 사회에서 스스로에게 어떤 역할을 부여하는지에 주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북한 사회에서 공식적으로 규정한 교사의 역할은 혁명가이자 지식인으로서 주어진 임무를 수행하는 것이다. 북한교사의 교육적 활동의 우선순위는 학습을 통해 개인의 역량을 극대화시키는 것보다 집단적 체제순응의 과정에 무게를 둔다는 것을 반영하고 있었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의 일상적인 교직경험 속에서 직업적 혁명가로서의 책임감과 소명의식이 발현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북한의 불안정한 경제사정 속에서 북한교사의 역할은 현실과 타협하면서 재구조화되는 과정에 있었다. 셋째, 북한교사의 권한과 영향력을 학생들과의 관계맺음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북한에서는 교사의 ‘담임책임제’를 기조로 학급운영을 하고 있기 때문에 교사와 학생이 장기간에 걸쳐 지속적인 밀착형 관계를 유지해야 했고 이에 따라 구조적으로 교사의 권위가 강하게 유지될 수 있었다. 궁극적으로 교권은 학생들에 대한 장악과 통제를 일상화하는 정치성으로 귀결되는 실무적 권한의 행사를 통해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북한체제의 규범적인 교사상과 역할을 알아보고 실제 북한에서 교사생활을 했던 연구 참여자들이 규범적인 틀을 어떻게 해석, 수용, 변용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는 북한의 학교교육을 단순히 기능적 차원으로 이해하는 수준을 넘어서 북한 교사의 실제적 경험과 삶에 대해 탐색했다는데서 연구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테셀레이션 교수 학습 자료 개발 및 활용 방안

        임해경,박은영 한국수학교육학회 2002 수학교육논문집 Vol.13 No.2

        고학년으로 갈수록 지필 환경에만 머무르는 현실 속에서 생활 및 예술 작품 등에서 수학적 원리와 개념을 발견하도록 하는 테셀레이션 수업은 학생들의 흥미와 호기심을 유발하고 수학의 아름다움을 느끼게 하는 것 이상으로 기하학적 사고의 기초를 학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4학년까지 적용되고 있는 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테셀레이션에 대한 이해 및 교수 학습자료가 체계적으로 정비되어 있지 못한 현실적인 문제의 해결 방안으로서 테셀레이션을 활용한 수학 학습의 내용을 분석하여 교사들에게는 테셀레이션의 이해 및 교수 학습 자료로서, 학생들에게는 수학의 기하적 개념들을 쉽고 재미있게 학습할 수 있는 학습도구로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테셀레이션을 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테셀레이션 교수 학습 자료를 개발하였고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내용을 설정하였다. 가. 테셀레이션의 정의와 예 그리고 종류를 알아보고 테셀레이션 속의 수학적 개념을 활용방법과 함께 제시한다. 나. 제7차 초등 수학 교육과정 중 도형 영역과 규칙성과 함수 영역을 중심으로 테셀레이션을 적용할 수 있는 내용영역을 분석하고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테셀레이션 자료를 제시한다. 다. 제작된 테셀레이션 교수 학습 자료의 효과적 활용을 위한 활용 방안을 탐색한다. 라. 제작된 테셀레이션 교수 학습 자료의 활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적용 실험을 하고 이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하여 학습의 효과를 밝힌다. 제작된 테셀레이션 교수 학습 자료의 적용 실험을 위하여 광주대성초등학교 6학년 한 반을 선정하였고 약 4주에 걸쳐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테셀레이션 교수 학습 자료를 투입하여 4번의 활동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업 후 작성된 학습지와 소감문 및 연구자에 의해 관찰된 수업내용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제7차 초등 수학 교육과정 중 도형 영역과 규칙성과 함수 영역을 중심으로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테셀레이션 자료를 제시한 결과 지필적 환경에서 제한적이었던 탐구하고 조작해보는 활동을 할 수 있는 역동적인 수학 실험실 환경이 제공됨으로써 도구적 이해가 아닌 관계적 이해를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학적 개념을 암기하는 것에서 벗어나 자연스런 조작을 통해 학생들이 개념을 이해하고 탐구하는 과정 속에서 학생들은 수학을 공부한다기 보다는 수학 속에서 재미있게 놀이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수업에 참여하였고 배우는 즐거움을 알고 자신감을 가지며 더 나아가 창의적인 생각을 하도록 하는 기회를 줄 수 있었다. 둘째, 테셀레이션은 우리 생활 속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는 것으로 수학이 단순히 책에서만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분야 즉 디자인, 생활 속에서의 벽지문양과 포장지, 예술작품 등에 활용되고 있음을 체험함으로써 수학이 실생활에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음을 알게 하였다. 역으로 생활 속에서의 테셀레이션을 통해 수학적 개념을 찾는 과정을 통해 수학이 아름다우면서도 실용적이라는 생각을 심어줄 수 있었다. 셋째, 테셀매니아, GSP, 캐브리, 거북기하 등 평소 수업에서는 활용도가 적은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함으로써 컴퓨터 소프트웨어 자체에서 오는 호기심뿐만이 아니라 직접 조작하여 테셀레이션 작품과 개념을 익히고 새로운 작품과 학습을 해 내는 과정을 통해 자신감과 성취감 등에 있어 큰 변화가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컴퓨터 기능이 미숙한 학생의 경우 처음에는 당황해 하고 어려워하는 부분도 있었으나 조작할 시간적 여유를 주고 교사와 우수한 학생들이 도우미로서 역할을 잘해내어 나중에는 큰 어려움 없이 마칠 수 있었다. 테셀레이션이라는 용어가 아직은 생소한 현장에서 교수 학습 자료가 부족하고 그에 따른 이해도 부족한 현실 속에서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테셀레이션 교수 학습 자료가 교수 학습 현장에 투입되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조사한 것을 목적으로 한 본 연구의 결과로서 테셀레이션이라는 주제는 도형 영역과 규칙성과 함수 영역에서 평면 도형의 각과 모양 등의 성질을 탐구하게 하고, 대칭 변환의 개념을 효율적으로 학습하게 할 수 있고, 반복되는 모양에서 규칙성을 발견하고 부분과 전체를 파악하여 패턴을 인지할 수 있게 하며 제작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여러 가지 수학적 개념과 수학적 창의성, 수학적인 아름다움을 느끼게 할 수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테셀레이션은 수학적 개념은 물론 수학과 미술, 수학과 일상 생활과의 연결성을 논의하고 확인하는 데 흥미로운 주제가 될 수 있다.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도입되고 있는 테셀레이션을 활용하여 지도하기 위한 교수 학습 자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고 앞으로는 테셀레이션과 관련된 내용이 직접적으로 교육과정 내에서 다루어지고, 또한 테셀레이션을 적용한 수업이 학생들의 기하하적 사고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한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으로 본다.

      • 초등 수학 수업에서 수학 영재 판별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임해경 光州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0 初等敎育硏究 Vol.24 No.2

        Recently many identifying instruments for math gifted children have been developed and studied in Korea. Current system for gifted in Korea, however, permit only those who gain high score in exam to enter schools for gifted, so many children who have giftedness can't have an opportunity to take part in the gifted educational system. To solve the problem, in this paper, we develop identifying instruments for math gifted children in school class room. We first extract identifying factors for math gifted by analysing the mathematics curriculum and then develop identifying instruments for math gifted children. Next we apply the identifying instrument to all the children in the first-session classes and choose six gifted children among the class who gain the highest scores. Similarly the developed instrument was applied to selected 6 children in second-session and three gifted children were chosen finally. Lastly a test is given to finally selected children using the problems made by G gifted education center and scores of the test reach the standard scores identifying the gifted. Finally if the developed instrument was put in every grade, we can expect to minimize the difficulty of identifying math gifted in school class room using our identifying instruments for gifted children. [Key word] identifying for math gifted children, developing identifying instrument for math gifted children

      • 수업자료와 수학적 사고 : 컴퓨터 자료를 중심으로

        임해경 光州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2 初等敎育硏究 Vol.26 No.2

        We analyzed and discussed the thirteen teaching materials to find a way how to use the computer programs desirably in the elementary mathematics. As a result, We discussed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thinking skills of several mathematicians throughout advanced research analysis. We also discussed the requirement of proper teaching materials. From the analysis of the computer programs that are used in the elementary school class, We drew several conclusions keeping in mind when we produce or select the teaching materials.

      • 초등학교 수학 영재를 위한 교재 개발 : 도형영역 중심으로

        임해경 光州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02 初等敎育硏究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eaching materials to be used for mathematically-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experiences that the research has taught mathematically-talented elementary students at Gwa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ince 2000, the present study is intended to show mathematical contents and instructional methods that provide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think and explore various topics with a variety of learning materials. A number of instructional materials including mathematical programs (e.g., GSP, Poly, Wingeom, & Tesselmania) were used to help students explore six topics in geometry. As a kind of exploring software, programs used here for mathematics education will play a role as a laboratory in which students explore and discover mathematical concepts by themselves. For instance, both Ploy and Wingeom can be used for observing and measuring solid figures as well as for splitting them into plane figures. On the other hand, with Tesselmania students can draw various kinds of shapes, tile them on a plane without duplication, and observe transformation of figures, such as translation, rotation, and reflection.

      • KCI등재

        초등학교 수학교육에 있어서 컴퓨터의 활용을 위한 연구

        임해경,강순자 한국수학교육학회 1999 初等 數學敎育 Vol.3 No.1

        The development of computer software accelerates the change of teaching-learning method in primary school mathematics. In this paper, we discuss how to apply the software GSP to teach mathematics in primary school and suggest some examples for the creative and active learning. Moreover, we give the efficient teaching method for the primary school mathematics.

      • KCI등재

        삼각형의 합동조건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와 개선 방안

        임해경 대한수학교육학회 2014 학교수학 Vol.16 No.2

        We recognized that most teachers are having insufficient understanding or misunderstanding about congruent conditions of triangles.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eachers’s understanding about congruent conditions of triangles and to find the causes of teachers’s misunderstanding. Most teachers have been misunderstanding that triangle determining- conditions are only 3 ways(SSS, SAS, ASA). And they have wrong confidence that 2 sides and a non included angle(ASS) is not always able to make one triangle. This study found that these teachers’s misconception was from the textbook using now. As the result of this study, we suggested 7 improvement ways about planning of curriculum, writing of textbook and teacher training course. 본 논문은 많은 교사들이 삼각형의 합동 조건에 대하여 불충분하거나 그릇된 이해를 하고 있다는 사실을 감지하고, 그 실태와 원인을 분석하고 대책을 모색하였다. 실태 조사 결과 대다수의 교사들은 삼각형의 합동조건은 세 가지 뿐이며, 두 변과 끼이지 않은 각이 주어졌을 때에는 반드시 삼각형이 하나로 결정되지 않는다는 잘못된 확신을 갖고 있었다. 분석 결과 그 원인은 주로 교과서가 제공하고 있었다. 연구 결과로서 교육과정의 기획과 교과서의 지필, 교사양성에 있어서 수정 보완 방안 일곱 가지를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