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데이터 폐기 지침 마련을 위한 기초 연구

        임태훈,서직수,김선영,Lim, Tae-Hoon,Seo, Jik-Soo,Kim, Sun-Young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과학기술정보센터 2010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Vol.41 No.4

        본 연구는 정보시스템의 운영 효율성과 관리 비용 절감을 도모하고자 불필요한 데이터를 폐기할 수 있는 기준과 근거를 탐색해 보았다. 국내외 법령 및 정책을 문헌조사하여 데이터 폐기 지침에 응용할 수 있는 내용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데이터 폐기를 위한 기초안을 마련하였다. 공공기관과 지자체 실무자를 대상으로 데이터 폐기 현황에 대한 면담조사와 데이터 폐기 지침 초안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관련 이슈사항에 대해 의견을 수렴하였다. 그 결과, 데이터 폐기의 대상 유형과 절차, 폐기 방법 등을 포함한 지침을 마련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로 마련된 데이터 폐기 지침을 시범 적용해 본 결과, 폐기 대상의 선정, 폐기 절차별 역할 담당자의 선정, 폐기 요청과 심의 등에 누락되거나 보완해야 할 사항은 나타나지 않아 지침이 실효성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basis and criterion for the data deletion guideline to make the information systems effective and reduce the cost of system management. To make a frame of the guideline, we researched the laws and policies of USA, UK and Australia and the domestic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with the deletion of records. From this paper research, we prepared the draft guideline and gathered the opinion about it. Through this research and survey, we produced out the guideline including the criteria, the process and the way of data deletion. Adopting the guideline to a sample organization, we couldn't find any problem in deleting the unused data.

      • KCI등재

        재발성 다발연골염에 동반된 전방축농 포도막염 1예

        임태훈,한정일,Tae Hoon Lim,Jung Il Han 대한안과학회 2009 대한안과학회지 Vol.50 No.3

        Purpose: Relapsing polychondritis is an uncommon systemic autoimmune disorder which is characterized by recurrent and often progressive inflammatory episodes involving multiple organ systems, including the ophthalmic, otorhinolaryngeal, respiratory, musculoskeletal, renal, cardiovascular, and dermatologic systems. The most common ocular manifestations are episcleritis and scleritis. Uveitis, especially the nongranulomatous type, has been reported in 3% to 22% of relapsing polychondritis cases. We report uncommon hypopyon uveitis as an ophthalmic finding associated with relapsing polychondritis. Case summary: A 56-year-old woman with known relapsing polychondritis presented with ocular pain and redness in the right eye which had developed two months before and was managed for scleritis. However, she developed blurred vision, and hypopyon and vitreous opacity was found. The patient presented to our clinic and we diagnosed her with hypopyon uveitis associated with relapsing polychondritis. The patient was started on systemic steroid therapy consisting of 1% prednisolone acetate, 0.5% moxifloxacin, and 0.5% tobramycin in the right eye. Hypopyon disappeared 8 days following the initiation of treatment, and all symptoms had resolved after 14 days.

      • KCI등재

        참여정부 전자정부 사업의 전자거버넌스 수준

        임태훈 ( Tae Hoon Lim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9 社會科學論集 Vol.40 No.2

        This study researched how far the Korean e-governance is from the e-government. The purpose of e-government is not only to process the public works efficiently but also to communicate with people electronically. In this study, it is considered how much the function of the communication realized in Korean e-government project. For this, the e-governance functions differentiated from the e-government were derived, and categorized as the three stages-one-way information, two-way transaction, participatory collaboration. Then, the Korean e-government project were examined where it is in these three stages. As a result of this study, almost the Korean e-government projects remained in the stage of the one-way information. It is hard to say the Korean e-government becomes e-governance.

      • KCI등재

        ‘살처분’이 말해주는 것들 - 기억·계급·문학의 역할 -

        임태훈 ( Lim Taehun ) 영주어문학회 2021 영주어문 Vol.49 No.-

        이 연구는 ‘살처분’을 소재로 한 여섯 편의 소설을 대상으로 한다. 구제역 대유행과 방역 매몰 조치가 전개된 2010년 말에서 2012년 사이를 배경으로, 살처분의 시장경제 논리를 기억과 계급의 상관관계와 함께 고찰한다. 쓰레기 처리 제도의 변화와 소비 대중의 기억 문화, 이를 기록한 문학의 의미를 밝히려는 연작 연구의 연속임을 밝힌다. 직매립 패러다임은 쓰레기 처리 제도와 살처분의 공통점이다. 둘 다 시장경제의 원활한 작동과 순환 속도를 유지하는 데 이바지한다. 소비 대중조차 가속을 위한 수단의 하나다. 최신 트렌드를 좇으며 소비에 몰두할 수 있는 대중의 심신은 어떤 사회적 장치에 연동된 결과일까? 살처분 매립지는 계급 표상의 여러 층위가 맞물린 집단적 기억/망각 장치다. 경제 논리를 앞세워 살아 있는 가축을 지하에 파묻고 빨리 잊어버릴 수 있는 계급은 어디에 어떻게 위치할까? 그 일을 군사적 방역의 아수라장에서 실제 수행해야 하는 이들은 잊어버리고 사는 일이 쉬울까? 강영숙의 「문래에서」(2011), 김숨의 「구덩이」(2011), 이상권의 「젖」(2012)과 「삼겹살」(2013)은 살처분 현장의 참상을 고발한 소설이다. 살처분 시대의 트라우마를 극복할 주체의 구성과 기록 문학의 가능성을 함께 살펴보려 한다. 「문래에서」와 「삼겹살」은 나쁜 기억을 회피하지 않고 꿋꿋하게 대면하려는 주인공의 용기로 마무리된다. 자기 계급의 굴레이자, 망각할 수 없는 것의 체험으로부터 자신과 사랑하는 이들의 삶을 구하려는 출발점이 모색된다. 「젖」은 경제 논리와 국가정책에 따라 학살 가능한 생명인 가축을 존중받아 마땅한 생명으로 성찰하는 소설이다. 살처분의 명분이 되는 경제 논리는 살처분 현장에서 멀리 떨어진 서울의 일상에서 도 폭력적으로 작동한다. 윤대녕의 「구제역들」(2011)과 「검역」(2011)은, 자기 몸과 마음의 소유를 시장질서에 빼앗긴 채, 전형화된 행동 유형(소비)과 정동에 길든 사람들의 비참을 관찰한 소설이다. 전염병과 온갖 재앙으로부터 가장 철저히 보호되는 것은 사람이기보다는 경제 체제다. 지금의 자본주의는 전염병보다 더 많은 생명을 죽인다. 이 위협으로부터 생명 일반을 지킬 사회는 아직 도래하지 않았다. 재난에 익숙해지지 않는 문학은 계급과 자본의 논리를 넘어 생명이 존중되는 사회를 찾는 이들의 마중물이 될 수 있다. This study targets six short novels based on ‘stamping out’. Against the backdrop of the foot-and-mouth disease pandemic and quarantine burial measures between late 2010 and 2012, the market economy logic of the killing is examined along with the correlation between memory and class. It is revealed that it is a series of studies to reveal the changes in the garbage disposal system, the memory culture of the consumer public, and the meaning of literature that recorded it. The direct reclamation paradigm has in common with the garbage disposal system and stamping out. Both contribute to the smooth operation and circulation of the market economy. Even the consumer public is one of the means to accelerate. What social device is the result of the public’s mind and body that can immerse themselves in consumption while following the latest trends? The slaying landfill is a collective memory/forgetting device in which several layers of class representation are interlocked. Where and how are classes where live livestock can be buried underground and quickly forgotten with economic logic? Would it be easy for those who actually have to perform the task in the midst of military quarantine to forget and live? Kang Young-sook’s In Munrae (2011), Kim Soom’s Pits (2011), Lee Sang-kwon’s Milk (2012) and Pork Belly (2013) are novels that accused the tragedy of the Stamping out site. The composition of the subject to overcome the trauma of the killing era and the possibility of recording literature will be examined together. In Munrae and Samgyeopsal end with the courage of the protagonist to face each other firmly without avoiding bad memories. A starting point is sought to save the lives of oneself and loved ones from the experience of being a flexor of one’s own class and the unforgettable. Milk is a novel that reflects on livestock, a life that can be slaughtered according to economic logic and national policy, as a life that deserves respect. The economic logic, which is the justification for killing, works violently even in the daily lives of Seoul, far from the killing site. Yoon Dae-nyeong’s Foot-and-mouth Disease (2011) and Quarantine (2011) are novels that observe the typical behavioral types (consumption) and the participation of people who have grown up in Jeongdong, losing their body and mind possession to market order. It is the economic system rather than the people that is most thoroughly protected from infectious diseases and all kinds of disasters. Capitalism today kills more lives than infectious diseases. A society that will protect the general life from this threat has yet to arrive. Literature that does not get used to disasters can be a priming water for those who seek a society where life is respected beyond the logic of class and capital.

      • KCI등재

        1960년대 남한 사회에서 ‘전파’와 ‘라디오’의 표현 범위 - 월간 <전파과학>과 대남 방송 청취 체험의 대조를 중심으로 -

        임태훈 ( Lim Taehun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인문학연구 Vol.- No.63

        1959년 5월에 창간되어 1960년대 내내 소년들의 열렬한 지지를 받았던 월간 『전파과학』은, 1960년대 남한 사회에서 ‘전파’와 ‘라디오’에 대한 상상력이 특정한 코드로 권장되는 동시에 억압된 대표적인 사례다. 『전파과학』은 회로도와 전자 기술 이론, 각종 부품 정보를 담은 지극히 실용적인 잡지였다. 동시에 1960년대 남한의 냉전 독재 사회가 요구하는 ‘전파’와 ‘라디오’에 대한 표현 범위를 엄격히 준수한 매체였다. 『전파과학』의 독자들은 이 잡지를 통해 라디오와 전파에 관한 정보만이 아니라, 통치 권력으로부터 허락된 사유와 상상의 범주를 학습했다. 이 연구는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전파과학』이 창간 이후 독자의 인기를 끌면서, 이 잡지만의 독특한 문화를 형성해가는 과정을 1959년부터 1969년까지 게재된 특징적인 기사들을 중심으로 추적할 것이다. 특히 이 잡지의 주요 필진으로 참여한 한국 아마추어 무선연맹의 멤버들과 타깃 독자층 사이의 계급 격차를 눈여겨보려 한다. 『전파과학』을 비판적으로 상대화하기 위해서 ‘붉은 소음’의 문제를 직접적으로 다룬 최인훈의 장편 소설 『회색인』 (1963)과 ‘북괴 라디오’, ‘대남 방송’, ‘전파 월경’ 문제를 기록한 보도 자료를 함께 살펴본다. 이를 통해 『전파과학』이 1960년대 내내 회피했던 소재와 주제야말로 역설적으로 이 잡지의 특징과 위상을 적나라하게 드러내는 지점임을 말하고자 한다. The monthly < Radio Science >, which was first published in May 1959 and received enthusiastic support from boys throughout the 1960s, recommended the imagination of ‘radio’ as a specific code in Korean society in the 1960s. < Radio Science > was an extremely practical magazine that published circuit diagrams, electronic technology theory, and information on various parts. At the same time, in the 1960s, it was a medium that strictly adhered to the range of expression for ‘radio’ required by the Cold War dictatorship in South Korea. Through this magazine, the readers of < Radio Science > learned not only information about radio, but also the behavior rules and imagination allowed by the governing power. This study consists of two main parts. Since the first issue of < Radio Science >, we will trace the process of forming a unique culture to this magazine,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 articles published from 1959 to 1969, which have gained popularity among readers. In particular, we will focus on the class gap between the members of the Korean Amateur Radio League, who participated as the main authors of the magazine, and the target readership. Choi In-hoon's feature-length novels < Gray People > (1963), which directly dealt with the problem of "red noise" in order to critically relativize < Radio Science >. Through this, let us prove that the materials and themes that < Radio Science > has avoided throughout the 1960s are the points that paradoxically express the characteristics and phases of the magazine.

      • KCI등재

        소음화 지향과 ‘목소리’의 고현학

        임태훈(Lim, Tae Hun) 구보학회 2008 구보학보 Vol.3 No.-

        박태원이 소설에서 가장 예민하게 다뤘던 ‘소리’는 사람들의 ‘목소리’였다. 그가 발견할 수 있었던 것은, 어떤 장소·상황·인물들의 관계성에 교차하는 ‘소리’의 상태-즉, ‘음경(音景)’이었다. 그는 이 ‘소리’를 어떻게 표기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과 함께, ‘음경’의 의미에 대한 탐구도 병행했다. 그리고 고현학은 물질적 환경과 풍속에 대한 탐구와 더불어 ‘음경’을 이해하는 한 인식틀이 될 수 있었다. 특히 이 방법은 어휘의 뉘앙스에 내재한 사회적 의미망을 분간해내는 일에 유용했다. 달라지는 사회적 환경, 새로운 상품, 재편되는 인간관계, 달라지는 풍속 등에 따라 ‘말’은 변화한다. 사람의 ‘목소리’는 그 변화상을 감지할 수 있는 ‘음경’이다. 그리고 소설은 이 ‘음경’을 사유하는 데 가장 유용한 예술이다. ‘소리 그 자체’를 만들어낼 순 없지만, ‘소리의 흐름’에 얽힌 관계를 드러내는 일에 소설의 가능성은 탁월하기 때문이다. 박태원의 고현학을 ‘목소리의 고현학’이라 부르려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Tae Won Park treated people’s ‘Voice’ the most keenly as ‘Sound’. He could discover a condition of ‘Sound’ crossing each other in relationship of places, situations and characters―Namely, ‘Soundscape’. He considered carefully how he would express ‘Voices’ and studied on the meaning of ‘Soundscape’. After that, modernology could become a frame of recognition understanding about ‘Soundscape’ with studies on physical environment and customs. Specially, the method was of use in distinguishing social semantic network built in a nuance of vocabularies. ‘Language’ is changed according to changed social environment, new goods, reorganized personal relations and changed customs. People’ ‘Voices’ are ‘Soundscape’ to perceive the changes. And novels are the most useful art in thinking about the ‘Soundscape’. For, the possibility of novels is enough to expose relations intertwined in ‘A flow of sound’ though it cannot create ‘Voice itself’. It is the reason why Tae Won Park’s modernology is named ‘Modernology of Voice’.

      • KCI등재

        화이트 컬러의 연구 추이 및 기회 분석 산업디자인 및 제조업 관점에서

        임태훈 ( Lim Tai Hun ),황성걸 ( Hwang Sung Gul )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6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5 No.-

        감성의 중요성이 점점 더 확대되고 있는 포스트모더니즘 후기시대에 컬러는 매우 중요한 디자인 요소 가 되었다. 핵심적인 요소만을 강조하는 간결한 조형이 디자인의 큰 흐름을 형성하면서 화이트 컬러는 이러한 조형을 가장 잘 완성시킬 수 있는 컬러로써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현상은 디자인되는 거의 모든 분 야에서도 동일하게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확대 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제품을 생산하는 제조업기반의 기업에서는 완성도 높은 화이트 컬러의 개발과 더불어 급변하는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에 적합한 감성에 대한 연구방향을 설정하는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에는 많은 인원, 높은 비용과 긴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연 구 초기에 올바른 방향 설정이 중요하다. 이러한 방향 설정에 중요한 이정표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오랜 기간 진행되어 왔던 연구들의 추이 분석이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현재의 연구 이슈와 향후 연구과제의 큰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980년부터 2015년까지 디자인, 예술을 중심으로 5가 지 분야의 석, 박사 논문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온, 오 프라인을 통해 269개의 논문이 수집하였다. 각각의 특성에 따라 3차례에 걸쳐 범주화 하였고, 이후 화이트 컬러의 전반적 연구 추이 변화와 디자인, 예술 분야의 변화 그리고 디자인과 연계된 분야의 연구 추이 변화를 집중 분석하였다. 지난 35년 동안의 연구추이를 개괄적으로 보면, 공 학 분야(89%)에서 압도적으로 화이트 컬러가 연구되 었는데, 빛과 연관된 LED, OLED 분야의 연구가 가 장 많이 진행되었다. 199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집중 적으로 진행되었으며, 2010년대에 들어와서는 다소 축 소되고 있는 추세이다. 디자인, 예술분야(5%)에서도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 었지만, 연구의 양적인면에서는 상대적으로 다소 미미 한 수준이었다. 하지만 연구의 질적인 부분에서는 의 미 있는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1980년대와 1990년대에 는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다가 2000년대에 들어 서 급격히 확대되었고, 2010년 이후부터 전반적으로 축소경향을 띄고있다. 주로 의상디자인 분야에서 역 사적인 특수성과, 현재 디자인적 특성과의 관계에 대 한 연구가 이루어 졌다. 이와 대조적으로 디자인과 연계되어 있는 분야에서 의 연구는 2010년대에도 인문학, 공학 등의 다양한 분 야에서 지속적으로 확대되었고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 다. 이것은 화이트 컬러가 단순한 색채 혹은 표현으로 써의 연구보다는 연계 분야에서 다른 관점으로 연구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다만, 다른 여러 학문의 경계를 넘어서는 연구가 전무하고, 연구자의 전문 영역 안에 서만 진행되고 있다는 점이 현재 연구의 한계점이라 판단된다. 따라서 추후 진행될 화이트 컬러의 연구는 단순 색채의 한정된 영역에서 벗어나 실질적 연관관 계가 높은 인문학, 사회학, 공학 등의 다양한 분야의 관점이 능동적으로 융합된 연구가 기회영역이라고 사 료된다. 이를 통해 화이트 컬러의 본질적 가치가 한층 더 명료해지고, 소비자의 경험의 질이 향상되는 긍정 적 영향을 기대한다 Color is an integral part of the post-modern industrial design. White plays an important role since the desire for simplicity leads to present and future trend of design. The use of White into industrial design is expected to grow considerably as it has been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like household appliances, automobiles, clothing, and interior design. Hence,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distinctive White color is tremendously important for the product marketing. However, it could cost ridiculous amount of money and time, so it is essential to set a rigid initial research direction. The empirical analysis of long term trend researches would help setting the rigid initial research direction. By analyzing the long term trend researches, we can find current issues and set the research direction. In this study, I selected five areas of design and art based on the published master’s thesis and doctoral dissertations from 1980 to 2015. All 269 collected papers are categorized 3 times based on each attribute, then focused on analyzing overall trend research on White, primarily the trend in design, art, and related areas. In a study of trends over the last 35 years in general, White has been studied extensively in engineering (89%), most research was conducted in LED and OLED associated with the light. These studies were intensive from the 1990s to the 2000s, but slowing down in 2010s. There have been various researches in design and art as well, even though they are not many in number of studies, they made significant progress. There were not many studies in the 1980s and 1990s, and rapidly increased in the 2000s, then slowing down a bit since 2010. The studies are mainly in fashion design area, researching on the historical relations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In contrast, in 2010s, the research of White in industrial design has been continuously expanding into liberal arts, engineering, and other areas, which means that it has been studied in various aspects of White. However, the studies are not integrated throughout the different areas; they are specialized on each areas of their study. Therefore, the research on White is now required to be integrated throughout the areas, like liberal arts, sociology, engineering, and etc.

      • KCI등재

        납 활자 인쇄소의 퇴출과 문학적 기록

        임태훈(Lim, Tae Hun) 동악어문학회 2019 동악어문학 Vol.77 No.-

        납 활자 인쇄 기술의 퇴출은 지난 백 년 동안의 인쇄 출판 시장에서 가장 큰 사건이었다. 한국 문학은 이 시기의 되돌릴 수 없는 변화를 어떻게 기억하고 있을까? 그 최후의 장면을 기록한 소설로 김하기의 「노역장 이야기」(1990)와 최일남의 『만년필과 파피루스』(1996)가 있다. 이 작품에선 납 활자 인쇄 기술의 정상적 생산 과정이 아니라, 그 일이 실패하거나 고장 나는 순간이 역사화 된다. 이 기술에 연동된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영역들도 다른 삶의 가능성을 드러내 보인다. 사라진 문선공들의 마지막 나날은 우리 시대의 노동과 맞닿아 있다. 매체와 기술환경 변화에 떠밀려 도태된 대표적인 직업이라는 일반적 인식과 달리, 오늘날 우리가 처한 노동 현실이 비정상이라는 것을 드러내는 기준점이 문선공과 그들의 일터인 납 활자 인쇄소이다. 어떻게 이곳은 일세기 넘도록 산업 생태계의 변화에서 살아남을 수 있었을까? 문선공을 기억하고 의미를 발견한 문학을 찾아 역사적 맥락을 살펴봤다. Regression of printing technique for lead type was the biggest event on the printing publication market. How does Korean literature remember this irreversible period? The book called 「The Story of the Workers’ Hall (노역장 이야기)」 (1990) by Kim Haki (김하기) and 『Fountain pen and Papirus (만년필과 파피루스)』 (1996) by Choi Il Nam explained the situation. This work does not describe the normal production process of printing technique for lead type but describes moments when the printing technique breaks down or fails. The areas of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interlocked with this technique also reveal other possibilities of life. The last day of now-defunct type picker is in line with labor of our time. Unlike the current general recognition that a type picker is a typical job fallen behind by changes in the media and technology environment, the standard point that reveals that the reality of labor of the situation that we face is abnormal is a type picker and lead type printing house. How could this place survive changes in the industrial ecology for over a century? I examined the historical context with the literature that remembers a type picker and the meanings.

      • KCI등재

        웃는 만담 레코드와 해프닝의 미디어 - 신불출의 <익살마진 대머리>(1933)에 관하여 -

        임태훈 ( Lim Tae-hun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인문학연구 Vol.0 No.59

        이 연구는 <익살마진 대머리>를 둘러싼 ‘웃음’의 사회적, 시대적 맥락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신불출의 흥행술, 당대 미디어 환경과 수용자의 집단적 감성, 검열과 시장의 원리가 교호하는 식민지 문화 정치의 상황을 함께 살펴봤다. <익살마진 대머리>를 에로ㆍ그로ㆍ넌센스가 각광을 받던 당대 유행에 비등(沸騰)시킨 것은 식민지 조선의 대중이었다. 하지만 통치 권력의 입장에선 순치(馴致)된 웃음의 코드에 불과했다. 대중 역시 전근대적 연희 양식을 닮은 만담이 낯 설지 않았다. 신불출만이 아니라 여타의 만담 스타들에 의해 <익살마진 대머리>의 레퍼토리는 반복적으로 답습됐다. 이것들이 1930년대 웃는 만담 레코드의 계보를 이뤘다. <익살마진 대머리>는 내용상 특별난 의미가 없고 클래식처럼 집중적이고 진중한 청취를 요구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역설적으로 청자의 어떤 상황에도 뒤엉킬 수 있는 ‘소리’로 재구성된다. 치안 방해와 풍속 괴란 검열을 걱정할 필요도 없고, 쇼윈도의 배경음악으로 쓰일 수 없을 만큼 심각하거나 지루하지도 않았다. 게다가 웃음의 촉발은 이런 걸 듣고 있는 ‘어떤 상황들’을 청자가 인식함으로써 다르게 생겨날 수 있었다. <익살마진 대머리>는 ‘해프닝의 미디어’였던 것이다. The study seeks to understand the social and contemporary context of laughter surrounding < Funny Baldness >(1933). To this end, we took a look at the context of Sin Bool Chool(申不出)’s box office, the collective sensibility of the public and the colonial culture politics where censorship and market principles are codified. It was the public of the colonial Joseon that set < Funny Baldness > on fire at the time when Ero-Gro-Nonsense were in the limelight. But it was not threatening the ruling forces at all. The public was also not unfamiliar with Mandam(漫談) that resemble the style of the previous generation of entertainment. The repertoire of < Funny Baldness > was repeated not only by Sin Bool Chool but also by other Mandam stars. < Funny Baldness > doesn't mean anything in content, nor does it require intensive and serious listening like classical music. Paradoxically, it is reconstructed as a sound that can be confused by any situation in the listener. There is no need to worry about censorship of the disturbance of public security and public morals, nor is it serious or boring enough to be used as a background music for show windows. In addition, the trigger of laughter could have been caused by the audience's perception of ‘Any situation’ hearing this. < Funny Baldness > was the ‘Media of Happe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