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朝鮮의 對日 敎化 樣相과 그 基底

        임채명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07 東洋學 Vol.42 No.-

        Chosun suffered Japanese pirate raiders’ pillage in its former term so all the necessary diplomatic steps were deadly needed. But Japanese pirate raiders were uncontrolled by makbu, so negotiation often ended in failure. Under such circumstances as these, Chosun regarded Japan as a faithless minor country. This kind of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were shown in poetry and prose of that time. But in the poetry and prose, there were no aspect of cultural exchange but supremacy over Japanese pirate raiders. It was regrettable that Japanese pirate raiders hindered the cultural exchange between the two.20 The more Japanese pirate raiders plundered Chosun the more necessities were needed to enlighten them. But there was no way to enlighten them so the literary men of that times tried giving poetry and prose to Korean news agencies and let them hand over it to the Japanese royal news agency. The object of enlightenment was supposed to be the Japanese pirate raiders but they were unsubstantial so Japanese king became the focus of enlightenment project. At this point, there were inevitable limitation of enlightenment. This thesis is mainly focused on Chosun’s enlightening aspects of Japan and its basis which were shown in the poetry and prose of the former term of Chosun. Because most of the researches about the cultural exchange between the two countries had an inclination to something concrete. An aspects of enlightenment included Kija and highlighting a peaceful reign by developed civilization. At that time, Chosun enjoyed political stability and a high level of culture so the Confucian ideas mercy, upbringing became the motive of enlightenment. A sense of superiority based on high culture and Confucianism’s priority over Buddhism became the emblem of enlightenment:two nations were the one. The term ‘enlightenment’ is conceptional so it had ideality to calm down the East Sea by enlightenment. There were perfect virtue and circle in its basis.21 Perfect virtue had a tendency to grow all creation like sunlight by moral excellence over military force. According to the universal recognition, Japan is the direction of perfect virtue, it became the theoretical founda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turning-point to reform Japan. Circle is the principles of all things in the universe and it was hoped to be adopted in the cultural exchange between Chosun and Japan. Its practical meaning in cultural exchange was faithfulness but its real function was to help enlightenment work properly. It is meaningless to divide perfect virtue with circle. Perfect virtue is the core basis to develop Japanese humanity on the other hand circle is the supplementary basis to support perfect virtue. 조선전기는 왜구의 잦은 침탈로 인해 일본과의 외교적 해결이 절실히 요구되던 때였다. 그러나 막부의 왜구 통제력 부족으로 교섭이 번번이 무위로 돌아갔다. 그와 같은 상황이 지속되자 명쾌한 대책을 마련하지 못한 조선은 信義를 잃은 일본에 대하여 夷狄으로 대하거나 小國으로 여기는 입장을 취하였다. 이러한 당시의 대일 관계는 문인들에 의해 시문으로 구현되었다. 하지만 시문을 살펴보면, 현안인 왜구를 근절하는 데에만 집중한 나머지 조일 간의 다양한 교류의 면모는 찾을 수 없고 왜구 금압이라는 한 측면에만 경사되어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이것은 왜구 문제가 조일 간의 정상적인 문화 교류를 저해하였다는 점에서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고 문학사에서도 아쉬움으로 남는 부분이다. 왜구의 창궐이 심할수록 교화의 당위성은 제고되었으나 직접 왜구를 대면하여 교화할 길이 없었던 당대 문인들은 일본국왕사나 통신사에게 주는 시문으로나마 교화의 뜻을 일본에 전하고자 하였다. 그 대상이 왜구여야 함에도 실체가 모호하였기에 일본국왕을 상대로 전개될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었다. 본고에서는 조일 양국의 교류에 대한 연구가 유형적인 것에 편향되었다는 반성에서, 조선전기 시문에 나타난 대일 교화의 양상과 그 기저를 밝히는 데 중점을 두었다. 교화의 양상으로는 먼저 조선이 교화의 주체로 나서고자 箕子와 찬란한 문물로써 태평시대임을 부각시키려 한 것을 들 수 있다. 그것은 조선의 정치가 안정되고 문화가 난숙하였던 기반 위에서 나왔으며 그 동인은 ‘恕’와 ‘位育’이라는 유가의 치도였다. 우수한 문물로 인한 문화적 우월감과 유가의 불가에 대한 우위는 ‘兩國一家’라는 교화의 기치로 이어진다. 교화라는 말이 관념적이라서 양국일가에 장애가 되는 험난한 동해를 교화로 고요히 하려는 관념성을 띠었고, 더 나아가 교화를 ‘雲雨’나 ‘雨露’로써 비유하여 표현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교화의 양상을 보인 기저에는 ‘仁’과 ‘圓’이 있었다. 교화의 기저 가운데 ‘仁’은 무력보다는 덕을 높이고 따스한 햇볕과 같이 만물을 비추어 소생시키는 지향을 지녔다. 우주론적 인식에 근거하면 일본은 ‘仁’의 방향이 되는데, 그 점은 실제 왜구가 벌인 만행과는 모순되지만 왜구를 금제할 이론적 근거이면서 동시에 그들의 ‘인’을 감발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圓’은 만물의 운행 원리로, 조일 간의 교린에도 적용되기를 바랐다. ‘圓’의 실제적 의미는 교린에서의 信義를 뜻하였지만, 교화의 기저 가운데 하나로서 교화가 단절되지 않도록 도와주는 기능이었다. ‘仁’과 ‘圓’의 층위가 달라 구분이 무의미하기는 하지만 ‘仁’이 일본의 人性을 계발하는 교화의 핵심적 기저라면 ‘圓’은 그것을 보조하는 주변적 기저라고 할 수 있겠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密陽 嶺南樓 詩의 樣相 -주로 內容을 중심으로-

        임채명 우리한문학회 2009 漢文學報 Vol.20 No.-

        Miryang Yeong-Nam Pavilion was not a private pavilion but an official accommodation for the officials who traveled for official purpose. So among the remaining almost 300 poems, most of the writers were the present officials such as local governor and provincial governor. Therefore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wo facts; the thing that official writers tried to figure ou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oetry in official accommodations and that in private pavilion. From the analysis of the poetry, this study found out three main aspect; an atmosphere of beautiful scenery, affectionate remembrances of ups and downs, enhancement of culture. An atmosphere of beautiful scenery was originated from Yeong-Nam Pavilion’s natural scenery but emphasized through the comparison of other pavilions. Its scenery combined with mysterious view and became the right beauty and finally lead out momentary purification of spirit. Affectionate remembrances of ups and downs showed the rise and fall that Yeong-Nam pavilion had suffered for a long time. Boundless nature and limited Yeong-Nam pavilion, unlimited Yeong-Nam pavilion and limited life caused impressions. Enhancement of culture was about the scenery from Yeong-Nam pavilion and official’s swear about personifying king’s virtue and enlightenment of the common peopl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oetry in official accommodations and that in private pavilion were the followings; pavilions were more or less the space for aesthetic amusement, prosperity and decline and it also the room for appreciation of beautiful scenery, affectionate remembrances of ups and downs, enhancement of culture. But the degree was different. For aesthetic amusement, private pavilion was for frequent visit and long stay so it was more for hermit’s taste but on the other hand official pavilions were not the right place for the recluse’s taste because it was for short stay and the writer’s mental state had no easy and composed attitude. Miryang was an important traffic place so people visited it with a long interval and they come-and-go many times. Therefore official pavilions could show rise and fall more clearly than private pavilions because they were for some acquaintance and friends. About the enhancement of culture, the writers of poetry were different. The present local governor and provincial governors wrote poems in official pavilions but the retired governor and beguiling time governor wrote poems in private pavilions so the sincere loyalty and love of the people were different. From this reason, the poetry about Yeong-Nam pavilion was little different from those of private pavilion. About 10 accounts and poems in other official pavilions except Yeong-Nam pavilion were for the next study. 밀양의 영남루는 개인이 사적인 용도로 건립한 私樓와 달리 공무로 여행하는 관원의 객관으로 사용하려고 축조한 公樓다. 그렇다보니 현전하는 영남루 시 300여 수 가운데 밀양부사나 인근 고을의 수령, 관찰사 등 현직 관원의 작품이 다수를 차지한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영남루 시를 분석하여 그 작자들이 영남루를 글감으로 하여 무엇을 형상하려 하였는지, 또 공루에서 지은 시가 사루에서 지은 시에 비해 어떤 동이를 보이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내용을 분석하여 勝景의 雅趣, 盛衰의 情懷, 敎化의 宣揚이라는 세 가지 주요 양상을 찾아내었다. 勝景의 雅趣는 영남루의 자연 풍광과 인문환경에서 비롯하지만 다른 누정과의 우열 비교를 통해 강조되고 선계적 경계와 결합하여 이상적인 아름다움을 느끼게 됨으로써 정신의 순간적 정화를 이끌어냄을 확인하였다. 盛衰의 情懷는 영남루가 오랜 세월을 겪는 동안 흥망성쇠를 보여주어 무한한 자연에 대비된 유한의 영남루와 제 자리를 지키는 영남루에 견주어진 스쳐 지나가는 인생에서 감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敎化의 宣揚은 영남루에서 경물을 완상하는 한편으로 현직 관원으로서 임금의 덕을 체현하여 백성에게 교화를 펼치는 충군애민의 다짐으로 형상되었다. 공루인 영남루에서 지은 시와 사루에서 지어진 시와의 동이는 다음과 같았다. 누정을 심미적 유락과 영고성쇠의 공간으로 삼아 자연의 승경이 주는 미를 완상하고 영고성쇠의 정회를 느끼며 다른 한편으로 교화의 선양도 드러낸다는 점에서 공통적인 속성을 보였다. 하지만 정도에 차이가 있었다. 심미적 유락을 놓고 보면, 사루는 방문 빈도가 높고 머무는 기간이 길어 은일자적 취향을 보이는 데까지 나아가기도 하나 공루는 작자의 심리상태와 짧은 체류기간으로 인해 은일의 자유를 만끽하기 어려웠다. 또 밀양이 교통의 요지라서 영남루를 오랜 간격을 두고 다시 찾게 되고, 수많은 자들이 왕래함으로써 개인적인 인연에 의해 몇몇 지인들에게만 친근해진 사루보다 영고성쇠의 변화를 더욱 뚜렷이 보여주기도 하였다. 교화의 선양에 있어서도 시를 짓는 자가 임금의 명을 받아 백성들을 다스려야 하는 지방관이나 관찰사였기에 관직에서 물러나 수양을 하거나 파적삼아 누정에 오르는 자와는 근본적으로 충군애민에 유념하는 긴절함이 달랐다. 이런 이유로 영남루 시가 사루에서 창작된 시에 비해 내용의 정도에 있어 미세한 층차를 보였던 것이다. 영남루 시에 드러난 내용의 양상을 고찰하느라 십여 편의 기문을 다루지 못하고, 영남루 이외의 다른 공루에서 지어진 시와 비교하지 못한 것은 아쉬움으로 남는데 이는 차후의 과제로 남겨 둔다.

      • KCI등재

        『長門癸甲問槎』의 筆談을 통해 본 朝日 文士의 交流 -주로 程朱學과 古文辭學 議論을 중심으로-

        임채명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09 일본학연구 Vol.27 No.-

        Chosun’s dispatch of envoy were both friendly and competitive to Japanese literary men. These facts were clearly shown in『Jangmungyegapmunsa』which was written by Chosun and Japanese literary men through conversation by poetry writing on 11th(1763-4) dispatch of envoy while their coming and going. This conversation by poetry writing book dealt with phenomenon and literature of Jungjuhak and Gomunsahak so this work paid attention to the argument of Chosun and Japanese literary men and made progress. The point of an argument of Jungjuhak and Gomunsahak is as follows. Japanese literary men’s logic was definite but that of Chosun was extreme and careless in an argument of Jungjuhak and Gomunsahak so Jungjuhak was seemed to be oppressed by Gomunsahak. Chosun’s literery men didn’t answer clearly for Japanese literary men’s asking about Gomunsahak’s contrary part from the saint’s doctrine. So Chosun’s literary men were seemed to be defeated in logic. For the best value of governing a country and comfort of people, Japanese literary men didn’t care any religion if it’s practical and they denied the traditional viewpoint of dividing a civilized country and uncivilized country beyond the phenomenon and literature of Jungjuhak and Gomunsahak. On the other hand, Chosun’s literary men repeated the theory and self-centeredness and didn’t make any progress. Chosun’s literary men didn’t read all the Gomunsahak relating books and they read only part of them. They were poor in logic so they didn’t show concrete opinion about the similarity and the difference in the theory of Jungjuhak and Gomunsahak. A further study is needed about the conversation by poetry writing books focusing on an argument of Jungjuhak and Gomunsahak, other Gomunsahak relating works. 日本で出会った朝日文士は友好的でありながらも競争的であった. 11次(1763-4年) 使行の往路と帰路の時に長門州の赤間関で成った朝日文士の筆談唱酬を輯録した『長門癸甲問槎』にもそんな面貌が鮮明にあらわれる. この筆談唱酬集が程朱学と古文辞学という思想と文学を筆談の主な主題に扱っていて朝日文士の議論に注目して論議を進行した. 程朱学と古文辞学の議論を整理すると次の通りだ. 程朱学と古文辞学の議論で日本文士の論理が適実したことに対して朝鮮文士は極端的でも軽率な行動を示して程朱学が古文辞学に押される形勢を演出したし, 古文辞学が聖人の道を外れる部分を明確に提示してくれと叫んだ日本文士の要求に朝鮮文士がたりた答弁を出す得なかったから論理的な敗北を感じさせた. 程朱学と古文辞学という思想と文学を越えて‘国治民安’という最高の価値に対して日本文士が先に華夷観を否定して実用性があればどんな宗教にもかまわずの見解を示した後に, 朝鮮文士は原論的で自己中心的な意見を表明することからもっと進むことができなかった. 朝鮮文士が古文辞学に関した著述を全部読めなくて一部だけ読んで論理が困窮すれたし, そのために程朱学と古文辞学の同異を示すことができない限界があった. こんな問題を解決するため, 程朱学と古文辞学の談論を中心とするそのほかの筆談唱酬集と古文辞学に関する著述の研究を絶えず継続して同異を捜し出すつもりだ.

      • KCI등재

        『長門癸甲問槎』의 筆談을 통해 본 朝日 文士의 交流 -주로 程朱學과 古文辭學 議論을 중심으로-

        林采明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09 일본학연구 Vol.27 No.-

        Chosun’s dispatch of envoy were both friendly and competitive to Japanese literary men. These facts were clearly shown in『Jangmungyegapmunsa』which was written by Chosun and Japanese literary men through conversation by poetry writing on 11th(1763-4) dispatch of envoy while their coming and going. This conversation by poetry writing book dealt with phenomenon and literature of Jungjuhak and Gomunsahak so this work paid attention to the argument of Chosun and Japanese literary men and made progress. The point of an argument of Jungjuhak and Gomunsahak is as follows. Japanese literary men’s logic was definite but that of Chosun was extreme and careless in an argument of Jungjuhak and Gomunsahak so Jungjuhak was seemed to be oppressed by Gomunsahak. Chosun’s literery men didn’t answer clearly for Japanese literary men’s asking about Gomunsahak’s contrary part from the saint’s doctrine. So Chosun’s literary men were seemed to be defeated in logic. For the best value of governing a country and comfort of people, Japanese literary men didn’t care any religion if it’s practical and they denied the traditional viewpoint of dividing a civilized country and uncivilized country beyond the phenomenon and literature of Jungjuhak and Gomunsahak. On the other hand, Chosun’s literary men repeated the theory and self-centeredness and didn’t make any progress. Chosun’s literary men didn’t read all the Gomunsahak relating books and they read only part of them. They were poor in logic so they didn’t show concrete opinion about the similarity and the difference in the theory of Jungjuhak and Gomunsahak. A further study is needed about the conversation by poetry writing books focusing on an argument of Jungjuhak and Gomunsahak, other Gomunsahak relating works.

      • KCI등재후보

        朝日 詩文에 나타난 通信使行團의 馬上才 公演에 대하여

        임채명 근역한문학회 2010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31 No.-

        This work is about dispatch of envoy’s horseback circus performance in Chosun and Japan’s prose and poetry. It investigates the reason why Japan ask horseback circus performance and what is the meaning of horseback circus performance. There were people who had a talent for great many things among dispatch of envoy but this work focused on horseback circus performance because of Japanese’s official request for the show and the marshal arts which showing Chosun’s military bravery. Above all, the ruler of Daema island requested officially for the performance to show off his power was still alive because his diplomacy to Chosun was doubted when he forged a diplomatic document. Horseback circus performance which held in Yayosu riverside and Yasutamon in Edo consisted in eight main events including standing, hand-standing, hanging upside-down on a horse, walking from side to side whiling driving a horse, lying horizontally on a running horseback, lying vertically on a running horse bottom, hiding oneself while hanging on stirrups, riding two horses. Each performance was little different in order and sword and spear show were added later. Horseback circus performance had two meanings. For Chosun, it was for showing Chosun’s cultural superiority to discourage Japan’s provocation and to report Chosun’s diplomatic sincerity. For Japan, the ruler of Daema island could prove his diplomatic ability and Kwanbak could imprint his ruling power over Japan’s feudal government. Finally it was for provoking Kwanbak and Japan’s feudal government’s spirit. Little is known about horseback circus performance so this study felt a sense of frustration therefore further relating material will needed for compensating this work. 이 논문은 朝日 詩文에 나타난 馬上才 관련 내용을 살펴 일본이 마상재를 청구한 까닭과 마상재의 공연 및 그 의미를 검토한 것이다. 通信使行團에 여러 재주를 갖춘 자들이 포함되어 있었으나 유난히 마상재에 주안한 것은 일본 측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었고 조선 군대의 용맹함을 선명히 보여주는 기예였기 때문이다. 우선, 일본의 마상재 요청은 대마도의 國書 改作이 폭로되어 對朝鮮 外交力을 의심받은 對馬島主가 자신의 건재함을 보이려고 제기한 것이었다. 江戶의 八代洲 강변과 安田門에서 열린 마상재는 말 위에 서기, 말 위에서 물구나무서기, 등자에 발목을 걸어 거꾸로 선 채 끌려가기, 말 잡고 좌우로 일곱 걸음 걷고 나서 말 타기, 말 위에 가로로 눕기, 말 엉덩이 위에 눕기, 말의 옆구리에 몸 숨기기, 두 마리 말 타기의 8종목을 주축으로 하여 매 회마다 순서를 조금 바꾸거나 후대로 오면서 칼과 창 쓰기를 추가하는 것으로 공연이 채워졌다. 마상재 공연이 조선에게는 교린에 걸맞게 조선의 무예를 대표하는 마상재로 문화적인 우수성을 일본에 보여주어 전쟁의 의지를 꺾게 하고 일본에 외교적인 誠意를 전하는 의미를 가졌고, 일본에게는 대마도주의 대조선 주선 능력을 검증받고 關白의 통치력을 막부 요인들에게 각인시키며 武를 받드는 관백과 막부 대신들의 정신을 격발시키는 의미를 지녔다. 조일에 마상재와 연관된 시문이 많지 않아 마상재 공연의 실상을 보다 깊이 있게 밝혀내지 못한 아쉬움이 있는데 관련 자료가 속속 나와 미진한 부분을 보완해 주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 KCI등재후보

        嶺南樓記의 變貌 樣相-주로 구성 방식을 중심으로-

        임채명 근역한문학회 2009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28 No.-

        This work studied the 13 pieces of record of Yeong-Nam Pavilion which was composed for 460 years(1389~1848) paying attention to an aspect of transformation. This aspect can be divided into three periods and each period had a certain aspects as follows. Thecharacters of the record of Yeong-Nam Pavilion in 14C were the mixture of description and discussion. It was an imitation of the method of composition about the record of Dang and Song. But its discussion had just an assortment of goods and did not create a sensation to the readers. These limitation was dealt successfully with next century which tried to secure independent literary style. The record of Yeong-Nam Pavilion in 15~16C showed intensification about the tendency of discussion clearly. Sung Confucianism culture was the world spirit so the main contents of poetry and prose were Sung Confucianism discussion, which made some changes of the record of Yeong-Nam Pavilion. Awakening about the fact that objective description could not satisfy writer’s personal expression, auxiliary discussion was reinforced. Instead of the objective description of object of the record, subjective discussion got settled. Especially the name of Yeong-Nam Pavilion was not good for Sung Confucianism discussion, so alternative plan wa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ing people who visited Yeong-Nam Pavilion, Miryang and Yeong-Nam Pavilion. Thus the tendency of discussion was intensified more than the overall records of 16C. The characters of the Record of Yeong-Nam Pavilion in 18~19C were the development of description-centeredness. In art real landscape laid stress on the description of actual view, in music a folk song was more popular than classical music and in literature the record of the facts considered more important. According to these practical science, discussion was weaken and the method of composition changed to descriptive way. Description of the necessity of repairing Yeong-Nam Pavilion and discernment considered more significant than discuss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Yeong-Nam Pavilion and Miryang, Yeong-Nam Pavilion and the repairmen of it. Development of description-centeredness included even the repair statement of Yeong-Nam Pavilion which was likely to be an official document showing the lack of literature. This was because former period focused excessively on discussionso the original value of the record of facts weakened and it turned to the direction of weakening discussion and strengthening description. 본고는 1389년~1848년까지 460년에 걸쳐 지어진 嶺南樓記 13편을, 그 구성 방식에 주목하여 변모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크게 세 시기로 나뉘어 변모되었는데 시기별 양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4C 영남루기의 특징은 敍事와 議論의 혼재였다. 서사와 의론이 조화된 唐宋 樓亭記의 구성을 흉내내었으나 자기화에 실패하여 서사와 의론의 구색만 갖추었을 뿐, 의론이 독자에게 반향을 불러일으키지 못하였다. 이러한 한계는 독자적 문체의 확보가 시도된 다음 세기에 이르러서야 극복되었다. 15~16C의 영남루기는 議論的 傾向의 强化를 뚜렷이 보였다. 성리학적 교양이 정신세계를 지배하던 시기라 시문의 내용도 성리학적 담론으로 도색되기 일쑤였기에 그에 따라 영남루기에도 변화가 일어났다. 객관적인 사실을 기록하는 서사만으로는 작자의 개성적인 표현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다는 각성으로 인해 서사의 보조 역할을 하던 의론이 강화되었던 것이다. 사실을 기록한다는 기의 취지에 걸맞은 객관적인 서사가 사라진 대신 작자의 주관적인 의론이 자리를 잡았다. 특히 영남루는 성리학적 담론이나 의론을 펼치기에 이름이 적합하지 않아 그 대안으로 영남루에 등림한 유력 인사를 중심으로 그와 밀양, 그리고 영남루와의 관계에 대한 의론에 집중하여 16C 누정기의 전반적 경향보다 더 의론화가 심하였다. 18~19C는 敍事性 위주의 전개가 영남루기의 특징이었다. 미술에서 實景의 묘사를 중시하는 眞景山水가 대두되고, 음악에서는 雅樂보다 민요 취향이 나타나며 문학에서 사실의 기록을 지향하는 등 실학적 기풍에 동조하여 의론이 약화됨으로써 구성 방식이 서사성 위주로 변하였다. 嶺南樓와 密陽, 嶺南樓와 重修者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 의론보다 영남루의 중수 필요성과 그 경위를 서사하는 사실의 기록에 더 무게가 실렸다. 서사 위주의 전개가 심화되어 심지어 영남루 중수의 내역서와 같이 자질구레한 사실을 기록하여 문학성이 결여된 公用文처럼 되기도 하였다. 영남루기가 서사 위주의 전개로 구성 방식이 변한 것은 이전 시기가 지나치게 의론화됨으로써 사실의 기록을 중시한 기의 본래적 효용가치가 발휘되지 못하였기에 그에 대한 반동으로 의론을 약화시키고 서사를 강조하는 방향으로 선회하였기 때문이다.

      • KCI등재

        『問槎畸賞』의 性格에 대하여 : 주로 批評者의 視角을 중심으로

        임채명 洌上古典硏究會 2009 열상고전연구 Vol.29 No.-

        th dispatch of envoy(1711~2) was full of complications because of the political issue such as the change of diplomatic relations. In spite of that, vigorous cultural exchange made lots of books of conversation by writing. Among them, 『Munsakisang』was showed a certain tendency because Japanese literary men who were participated in conversation by writing formed a regular academic relations with Juksaengjorae. 『Munsakisang』 collected and checked by Sugye, Gosan and Juksaengjorae was adhere strictly to the viewpoint of denouncing Chosun’s literary men’s poetry and prose but on the other hand they partly put much value on Japanese literary men’s poetry and prose. As a scholar of ancient writing, Juksaengjorae tried to have well-balanced viewpoint. But this was likely an intentional consideration to avoid criticism of impartiality. After all, the key point of explication of 『Munsakisang』 depends on the trust of Juksaengjorae’s viewpoint. To sum up, it is a matter of applying fair judgement or personal estimation of Juksaengjorae. In some part, he tried to maintain objective viewpoint but in other part he showed a biased judgement by personal acquaintance. That was because Juksaengjorae had an intention of informing superiority of Japanese literary men over Chosun’s literary men and also he tried to win recognition of his ancient writing society Hwonwon in Japanese. According to the writing in Pyeono, Juksaengjorae’s viewpoint was somewhat objective but by his confidential domestic and foreign intention, his viewpoint as a critic was not to be trusted. This can be solved by more objective insight that analyzing and discriminating poetry and prose. 8차 사행(1711~2년)은 사행 목적과 전혀 관련 없는 빙례 개변이라는 정치적인 문제로 인해 우여곡절이 많았다. 그럼에도 왕성한 문화교류로 다종의 필담창수집이 간행되었고, 그 가운데 『問槎畸賞』은 필담창수에 참석한 일본 측 문사들이 荻生徂徠와 일정한 학연을 맺고 있어 하나의 경향성을 보여주었다. 須溪와 孤山, 徂徠에 의해 輯校되고 비평된 『問槎畸賞』은 조선 문사의 시문에 대해 貶下 위주의 시각을, 일본 문사의 시문에 대해서는 襃揚 위주의 시각을 견지하였다. 물론 전적으로 조선 문사의 시문을 폄하만 하고 일본 문사의 시문을 포양만 했던 것은 아니었다. 徂徠가 고문사학을 하는 사람으로서 균형 잡힌 시각을 취하려 애쓴 반면, 조선 문사 전체의 문재를 폄훼하고 일본 문사 전부의 문재를 포양하는 데서 불거지는 시각의 공정성 논란을 피하기 위한 의도적 배려일 수도 있었다. 결국 『問槎畸賞』의 성격을 해명하는 관건은 徂徠 시각의 신뢰 여하에 달려 있다. 시문의 감식 능력을 갖춘 최고의 비평 시각으로 공정한 잣대를 적용하였는지 아니면 사적인 감정이 개입되었는지 문제인데 객관적인 시각을 유지하려고 노력한 흔적이 보이는 한편, 개인적인 친분에 구애된 모습도 눈에 띄었다. 徂徠가 이러한 면모를 보인 이유는 아마도 대외적으로 조선 문사와의 문운을 건 자존심 대결에서 일본 문사의 우수성을 알리고, 대내적으로 자신의 社인 蘐園의 고문사학적 위상을 일본 전체로부터 공인받으려 한 것과 일정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片語에 나타난 문면의 의미로만 본다면 徂徠의 시각이 객관적이라 할 수 있으나 그의 내밀한 대내외적 의도를 되짚어 볼 때, 비평자로서의 시각에 일말의 회의를 품지 않을 수 없다. 이는 보다 더 객관적인 안목에서 시문 자체를 정치하게 분석하는 品藻 능력이 뒤따라야 해결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