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기유변탄성체 마찰댐퍼의 설계 및 1/4 차량 현가장치 모델에서의 반-능동 진동제어 적용 연구

        임진우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novel friction damper using magnetorheological elastomer (MR elastomer) is designed and control strategies are applied to reduce external vibration effect to quarter-car model. The MR elastomer is the material composed of a rubber-like base matrix with Carbonyl Iron (CI) particles.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MR elastomer such as Young’s modulus and friction coefficient can be changed with the varying magnetic field strength. With the benefits of property changing characteristics of MR elastomer, the magnitude of energy dissipation due to the shear deformation and surface friction of MR elastomer can be controlled. To adopt model based controller to the damper, mathematical models are introduced to identify the frictional behavior of the MR elastomer under different magnetic field. To construct suitable friction model, harmonic reciprocate friction force tester is designed for friction force measurement. I-LuGre friction model and Strain-stiffening model are used to identify the damping force of MRE which has stick/slip characteristic of friction. The I-LuGre model showed a precise correlation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and the strain-stiffening model is shown to have a simple structure for describing the frictional phenomenon. Parameters of the both models are determined as the function of magnetic field strength and utilized to enable semi-active vibration control. The designed friction damper is applied to experimental-scale quarter-car structure to validate its effectiveness. Moreover, in order to control the frictional damping force, solenoid coils were located. To investigate the performance of the damper, On/off, Skyhook and Sliding-mode controllers were used to control damping force based on the velocity of structural vibrations. The control input to the system is interpreted to current to coil in order to provide actual varying damping force to the system. The on/off controller is used while providing a fixed power input to the solenoid. Skyhook controller is used to provide damping force proportional to the speed of the structure. To use the Sliding-mode controller, the parameters of the model are expressed as a function of current. To investigate the performances of control method, velocity and displacement of the structure are observed and compared while adopting different vibration condition. By applying controllable MRE friction damper, the stability of the car body in quarter-car system is ensured while the external vibration is maintained. 본 연구에서는 자성 탄성체 (MR elastomer)를 이용한 새로운 마찰 댐퍼를 설계하고 quarter-car 모델에 대한 외부 진동 효과를 줄이기위한 제어 전략을 적용 하였다. MR elastomer는 Carbonyl Iron (CI) 입자를 갖는 고무와 같은 기본 매트릭스로 구성된 재료이다. Young’s modulus 및 마찰 계수와 같은 MR elastomer의 기계적 성질은 변화하는 자기장의 강도에 따라 변화 될 수 있다. MR elastomer의 특성 변화의 이점을 이용하여 MR elastomer의 전단 변형 및 표면 마찰로 인한 에너지 소산의 크기를 제어 할 수 있다. 설계된 마찰 댐퍼에 수학 모델 기반의 제어기를 적용하기 위해, 서로 다른 자기장 하에서 MR elastomer의 마찰 거동을 확인하기 위한 수학적 모델이 적용되었다. 적절한 마찰 모델을 구성하기 위해 마찰력 측정을 위해 harmonic 왕복 마찰력 시험기를 설계하였으며 실험이 진행되었다. I-LuGre 마찰 모델과 Strain-stiffening 모델은 마찰의 stick/slip 특성을 갖는 MR elastomer의 감쇠력을 모델에 적용하는 데 사용되었다. I-LuGre 모델은 실험 결과와 유사한 상관 관계를 보여 주었으며, Strain-stiffening 모델은 마찰 현상을 설명하기위한 간단한 구조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모델의 parameter 변수는 자기장 세기의 함수로 결정될 수 있으며, 반 능동 진동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데 사용되었다. 나아가, 설계된 마찰 댐퍼는 실험실 규모의 quarter-car 구조에 적용되어 그 유효성이 검증되었다. 댐퍼의 반-능동 진동제어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On / off, Skyhook 및 Sliding-mode 제어기가 실험시스템 반응 진동의 속도에 따라 감쇠력을 제어하는데 사용되었다. 시스템에 대한 제어 입력은 실제 변화하는 감쇠력을 시스템에 제공하기 위해 코일에 대한 전류입력으로 적용되었다. On/off 제어기는 솔레노이드에 고정 전원 입력을 제공하는 동안 사용되었다. Skyhook 컨트롤러는 층간 구조물의 속도 차에 비례하여 감쇠력을 제공하였다. 슬라이딩 모드 컨트롤러를 사용하기 위해서 모델의 parameter 변수가 전류의 함수로 표현되었다. 제어기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물의 가속도와 변위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여러 진동 조건에서 비교하였다. 실험 및 분석 결과, 반-능동 MR elastomer 마찰 댐퍼는 외부 진동이 부여되는 동안 quarter-car 시스템에서 차체의 안정성을 개선한 결과를 보였다.

      • 운전특성을 고려한 차량용 매입형 영구자석 동기전동기의 특성 및 손실 해석

        임진우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운전특성을 고려한 차량용 매입형 영구자석 동기전동기의 특성 및 손실 해석 Analysis of Characteristic and Loss considering Variable Operating Condition in Interior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for Electric Vehicles 전기공학과 임 진 우 지 도 교 수 한 성 진 본 논문에서는 운전특성을 고려한 차량용 매입형 영구자석 동기전동기의 특성 및 손실해석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시험용 전동기의 설계, 제작 및 실험을 통하여 정확성과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유한요소법을 적용한 차량 구동용 다층 매입형 영구자석 전동기의 제한조건을 고려한 설계 과정을 정리하였으며, 토크 맥동 및 영구자석의 와류손 저감을 위하여 회전자에 스텝스큐를 적용한 설계를 진행하였다. 2D FEA에서 고려할 수 없는 축방향 자속밀도의 변화를 3D FEA를 통하여 그 영향을 정립하였으며, 그 계수를 설계에 적용하였다. 또한, 스큐를 고려한 자속밀도를 분석하여 전류 크기별, 위상각별 제어정수를 추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된 차량용 매입형 영구자석 동기전동기의 설계, 제작 및 실험을 통하여 그 타당성을 검증하였으며 향후 차량 구동용 영구자석 전동기의 설계 및 해석에 많은 도움을 주리라 판단된다. 주요어 : 유한요소법(Finite Element Method), 토크 리플(Torque Ripple), 영구자석 스텝 스큐(Permanent Magnet Step Skew), 철손(Iron Loss), 영구자석 와류손(Permanent Magnet Eddy Current Loss)

      • 드론(Drone)을 활용한 도서지역 소화물 배송 스케줄링 문제 : 한국 도서지역 사례

        임진우 인하대학교 물류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물류 인프라의 비약적인 발전에도 불구하고 국내에는 본질적인 지리적 조건과 정부 및 물류회사의 투자 부족으로 인해 소규모 섬 또는 산간지역에서는 아직까지 정시배송이 어려운 지역이 존재한다. 한편, 무인기 관련 기술이 급격히 발전함에 따라 드론을 기반으로 한 택배서비스는 도서산간지역의 배송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좋은 대안으로 간주되어 왔다. 국내에는 배송이 제때 이루어지지 않는 많은 섬들이 존재하며 해당 지역에 드론을 도입하기 위한 시도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두 가지 수리적 모델을 제안하고 있으며 물품 배송 최대화 및 최소배송량의 최대화를 위한 드론 배송 스케줄링을 목적으로 한다. 제안된 모델은 기존의 드론 배송 스케줄링 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던 드론의 기술적인 수준을 반영하는 현실적인 제약사항을 고려하고 있다. 또한 국내 실제 지역을 상정하여 모델을 검증하였으며, 현행 배송시스템과의 배송지연정도를 비교하여 드론 기반의 배송 스케줄링 모델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포괄적 실험을 통해 드론 배송 스케줄링 모델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Even though the logistics infrastructure has been gradually strengthened, demand in small islands or mountainous regions might not be fulfilled in a timely manner due to the intrinsic geographical conditions and the lack of investment by the government or logistics firms. However,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drone-related technologies (i.e., a small unmanned aerial vehicle), drone-based parcel delivery has been considered as a good alternative for delivery to such areas. In the seas surrounding South Korea, there are many remote islands that have a similar delivery problem. Thus, drone-based delivery is under consider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d two mathematical models for drone scheduling, the maximization of the delivery amount and the maximization of minimum delivery amount to any islands. We then validate the models using the real case of South Korea. Additionally, we compared the delivery performance (i.e., the degree of late delivery) of the proposed scheduling approach to the current delivery practic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scheduling model is viable.

      • 옥수수 저항전분에 대한 산과 α-amylase의 작용

        임진우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제조 방법이 다른 RS 3 와 RS 4 저항전분 (RS, Resistant starch)의 산과 효소에 대한 가수분해 정도를 측정하여 구조적인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보통 옥수수 전분으로 저항전분을 제조하고 생전분과 함께 IN HCI (lintnerization)과 α-amylase (Bacillus species, Cat No. A-6380, Sigma Chemical Co., USA)를 처리하였다. 처리기간에 따른 가수분해율과 처리 후 남은 전분의 RS 수율을 분석하고, X-선 회절도와 SEM으로 형태의 변화를 관찰하였으며 팽윤력과 용해도를 측정하였다. RS 3 전분은 산과 α-amylase에 의해 초기 3일까지 가수분해가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그 이후에는 완만한 증가를 보여 가수분해 20일에는 산처리시 82.7%, α-amylase 처리시 74.2%를 나타내었다. RS 4 전분의 산에 의한 가수분해 양상은 계속적인 증가를 보였으나 속도가 다른 2단계로 진행되었고 10일까지 생전분과 비슷하였으며 20일에는 RS 4 전분이 50.3%, 생전분이 47.4%이었다. α-amylase 처리에 의해서는 RS 4 전분은 거의 분해가 일어나지 않았으나 생전분은 초기에 증가 속도가 크다가 7일 이후 완만하여 20일에는 40.8%를 보였다. 저항전분에 산과 α-amylase로 처리 후 남은 부분의 RS 수율은 RS 3 전분에서는 처리기일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였으나 RS 4 전분은 산처리시 17.2%에서 서서히 감소하였으며 α-amylase 처리 시에는 처리 6시간에 17.2%에서 25.5%로 증가하고 그 이후에는 거의 비슷하게 유지하였다. RS 3 전분은 단단한 덩어리 같은 모양을 보였고 RS 4 전분은 생전분과 같은 모양을 그대로 유지하였으며, 산이나 α-amylase 처리시에 RS 3 전분은 크기가 작아 졌지만 모양의 변화는 없었고, RS 4 전분 입자의 모양은 7일까지는 모두 변화되지 않았으며 20일에는 산처리시에는 작게 갈라지거나 일부가 손상된 모양을 보여 초기입자 모양과는 상이하였으나 α-amylase 처리 시에는 전분입자 표면이 일부 용출된 물질로 인해 매끄럽지 않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산과 α-amylase 처리 후 잔여 부분의 X선에 의한 결정형은 모두 처리 전과 같아 RS 3 전분은 B형, RS 4 전분은 생전분과 같이 A형을 보였고, 결정 강도는 모두 증가하였다. 100℃에서의 팽윤력은 RS 3 전분이 7일 처리했을 때 가장 높아 9.6 - 9.7이었고, RS 4 전분은 산처리에 의해 급격한 증가를 보였으나 α-amylase 처리에 의해서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It has been investigated to compared the granul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RS 3 starch and RS 4 starch using acid and α -amylase treatment. After RS 3 and RS 4 starch made from normal maize starch, all starch was hydrolyzed with 1N HCl (lintnerization) or α - amylase (Bacillus species, Cat No. A-6380, Sigma Chemical Co., USA) enzyme solution. It was determined degree of hydrolysis and RS level, solubility and swelling power of hydrolyzed starches, its shape and crystallinity investigat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x-ray diffractometry. Hydrolysis degree of RS 3 starch by acid or α -amylase treatment increased rapidly to 3 days, and increased slowly to 20days with 82.7%, 74.2%. Hydrolysis degree of RS 4 starch by acid treatment increased the linear patterns of two stages with acid treatment period incresing, RS 4 starch is not nearly hydrolyzed by α -amylase treatment, normal maize starch is showed early increased rapidly and slowly increased to 20day with 40.8%. RS level of RS 3 starch by acid or α -amylase treatment was increased with hydrolysis period incresing, it of RS 4 starch was decreased by acid, increased to 17.2% from 25.5% at 6hr by α -amylase. Using SEM, the degree of damage of polygoral normal maize starch and RS 4 starch, rod shape RS 3 starch granule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hydrolysis periods, and starch morphological changes is showed different by hydrolysis method.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acid and enzyme treated normal maize starch, RS 3 and RS 4 starch is not changed. As hydrolysis progressed, peak pattern is maintained but peak intensity increased and shaped. And relative crystallinity is showed to increase because amorphous region is hydrolyzed crystallinity by acid and enzyme treatment method is similar peak pattern, but is different peak intensity. At 100℃, swelling power of hydrolyzed RS 3 starch for Mays was higher and its of RS 4 starch increased by acid treatment, but is not changed by enzyme.

      • 겸재 정선의 작품을 통한 수묵화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임진우 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의 예술은 예로부터 중국 문화권의 영향을 받아 중화문화의 성격과 모습을 가지고 있었다. 그로 인해 우리 문화 고유의 것이 보여지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이는 조선 후기에 실학사상이 전파되면서 문학과 예술에서 우리 것을 찾고자 하는 노력이 일어나기 시작했다. 진경산수화도 이때 즈음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예전부터 유행한 중국화풍의 전통적 화풍이 급속도로 쇠퇴하기 시작했고, 중국으로부터 넘어온 남종화풍에서 우리의 것으로 발전시킨 진경산수화풍이 그 시대에 유행하게 되었으며, 남종화풍이 주도적이었던 조선 후기의 산수화는 더욱 발전하게 되었다. 진경산수화는 조선 후기의 실학사상의 발전으로 인하여 실학의 영향이 예술에까지 미치게 되면서 전통적인 중국화보의 모방에서 벗어나 우리의 산수와 실경에 관심을 갖게 되고, 우리문화의 고유한 주체성을 발휘하여 한국적 화풍으로 이루어 내었다. 최근에 우리나라의 진경산수화 또는 산수화의 발전이 주춤하기 시작했다. 진경산수화는 우리나라의 산수를 보다 아름답게 표현하는 예술인데 지금은 산수화를 전공하는 학생이 감소하고 산수화에 대한 관심이 서양화에 밀려 조금씩 멀어지는 현상이 생기게 되었다. 이로 인해 진경산수화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진경산수화의 거장으로 진경산수화를 가장 대표할 수 있는 인물인 겸재 정선은 우리나라에 실재하는 산수를 그의 독자적인 화풍으로 그려내었고, 그러한 겸재 선생의 노력이 진경산수라는 우리나라 고유의 화풍으로 확립되었다. 실재하는 산수를 다루는데 있어 겸재 자신의 독자적인 화풍으로 구성했다는 점과 한국 진경산수화의 독립적인 전통을 확립시켰다는 것은 우리나라 회화사에서 마땅히 주목받을 만한 일이다. 겸재의 작품을 간단하게 살펴보면, 작품이 실경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현실적이고, 살아있다는 생동감, 대상의 본질을 파악하고 특징만을 간결하고 단순하게 표현하는 소박성 등으로 특징지어 질 수 있다. 이러한 진경산수화의 전통은 19세기에 들어오면서 중국 문인화풍을 받아들이는 몇몇 작가들에 의해 쇠퇴하게 되지만,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강희언, 김석신, 김득신 등과 같은 작가들은 겸재의 화풍을 이어받아, 우리의 것을 찾는데 끊임없이 노력하며 오늘에 이르렀다. 따라서 오늘날 진경산수화와 그 의의를 따져보는 것은 매우 의미가 있는 일이다. 오늘날 미술계는 조선시대의 중국화풍이 당대 최고의 유행인 것처럼 오늘날 서양화풍이 주도적으로 자리 잡고 있는 실정이다. 이제는 우리의 것인 진경산수화를 더욱 연구하고 발전시켜 후대에도 우리 진경산수화가 보다 널리 알려지고 많은 사람들이 산수화의 맛과 멋을 알 수 있도록 본 논문에서는 진경산수화의 거장인 겸재 정선의 진경산수화에 대해 알아보고 보고 진경산수화를 현대적인 것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모색해 보기로 한다.

      • 멀티캐스트 IPSec을 위한 IPSec 탐지와 그룹키 관리 기법에 관한 연구

        임진우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술 네트워크에서 안전한 그룹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그룹 멤버들간의 보안이 보장되어야 한다. 그룹 멤버들은 IPSec과 그룹키를 사용하여 보안성을 확보함으로써 보안 요구 사항을 만족시킨다. 전술 네트워크의 특성상 IPSec의 운용과 그룹키 관리 기법은 그룹 멤버들의 참여 또는 탈퇴와 같은 동적인 전술 환경에 적합하게 설계되어야 한다. IPSec의 운용을 통해 그룹 멤버들의 변화를 탐지할 수 있어야 하고, 변화에 따라 적절하게 그룹키 관리를 함으로써 동적인 전술 환경에서 보안이 보장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위와 같은 두 가지 측면에서의 접근을 통해 동적인 전술 환경에 적합한 멀티캐스트 IPSec 기법을 설계한다. 이를 위해 먼저 IPSec 장치의 변화를 탐지할 수 있는 IDP (IPSec Discovery Protocol) 기술에 대해 기존 기술들을 살펴보고 개선점을 제안한다. 다음으로 그룹 멤버들의 변화에 따라 그룹키를 갱신하여 보안을 보장하는 그룹키 관리 기법에 대해 마찬가지로 기존 기술들을 살펴보고 개선점을 제안한다. 또한 이 두 가지 측면의 기술의 결합을 통한 동적 전술 네트워크 환경에 최적화된 멀티캐스트 IPSec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의 우수성을 입증하기 위해 네트워크 시나리오 모델에 따라 성능 평가를 수행하여 기존 방식과 제안 방식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제안한 방법은 기존 방식에 비해 나은 결과를 보여주었고, 특히 IPSce 장치의 탐지 지연 시간 측정에서 더욱 효율적이었다. To make group communications secure in tactical networks, it is the most important to maintain internal security among group members. Requirements for this network security can be fulfilled by applying the IPSec architecture related with group key management mechanism. Because of the peculiarity of tactical networks, the operation of IPSec and group key management mechanism must be designed to be suited for the dynamic tactical networks, such as joining or leaving of group members. That is, it has to be possible to detect the changes of group members by using IPSec mechanism and the group key management solution. By considering these two points, we design the efficient multicast IPSec mechanism for dynamic tactical networks. Our two-parted approach addresses both requirements : detecting IPSec devices and managing the group key. One of suggested key concepts is the IPsec discovery protocol (IDP). It discovers IPsec capable devices and configures them in an automated way. The other concept is multicast Internet key exchange protocol (MIKE). It negotiates and establishes a group key in a secure manner. By combining these two ideas,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n automatically secured network. To prove efficiency of the suggested technique, this paper shows the result of experiment that compares performances between suggested study and existing technique. At the conclusion, this paper shows that the suggested technique makes better result than existing technique for the test and especially it is more efficient at IPSec discovery latency.

      • 전공계열간 임금격차에 관한 연구 : 인문사회계열과 자연공학계열을 중심으로

        임진우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전공계열(major fields)`이 임금격차에 하나의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라는 가정하에, 전공계열 변수가 임금격차를 어느 정도 설명할 수 있는가를 2001년 한국노동패널자료 제 4차년도를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이 실증분석의 주요내용은 다음 두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추정될 임금방정식에 전공더미변수를 통제함으로써 전공분야간 임금 프리미엄을 조사한다. 즉 전체자료를 대상으로 임금방정식을 추정하여 전공별 임금 프리미엄을 조사하면, 어떤 전공분야가 준거집단(reference group)에 비해 상대적으로 임금을 더 또는 덜 받는가를 파악할 수 있다. 이에 실증분석에서 교육년수와 경력에 있어서 그 계수값이 인문사회계열에서 크게 나타났는데 이를 통하여 자연공학계열이 생산성 변수에 있어 인문사회계열보다 낮은 보상을 받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임금방정식을 추정한 후, Oaxaca의 임금격차 분해기법을 통해 전공분야에 따른 임금격차 중 ‘차이와 차별’의 요소에 차지하는 비율을 살펴 보았는데 그 결과는 인문사회계열과 자연공학계열간의 전반적인 임금의 격차가 생산성 차이에 의한 측면이 ‘차별적 요소’ 보다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차별적 요소도’ 분명히 존재하며 전공간 임금격차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모바일 P2P 응용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임진우 東國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Peer-to-Peer Application started to grow after the release of Napster in 1999. It is an easy way to communicate with others without using the client/server architecture, and mobile devices could exploit this approach and develop attractive application such as a chat application, instead of simply sending SMS message only. Project JXTA is an open source project that defines a set of open, generalized, P2P protocols, defined as XML messages, which allow any connected device on the network - from mobile phones and wireless PDAs, to PCs and servers - to communicate and collaboration in a P2P manner. Because of the explosion of the mobile devices, Project JXTA designed JXTA for J2ME, also known as JXME. As a early work of mobile P2P communication, this research aims to combine J2ME and JXTA to develop P2P application. During this research two novel applications have been developed to demonstrate that is is possible to make P2P application for mobile dev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