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모델 불확실성을 고려한 항공기 러그 구조물의 피로 수명 예측
임종빈 한국항공우주학회 2011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1 No.11
공학에서 입력 값에 의한 응답을 계산할 때, 입력과 응답의 상관관계를 표현 하는 다양한 모델들을 이용한다. 이러한 모델들은 일반적으로 실험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되며 같은 현상에 대해서도 다른 모델들이 존재한다. 같은 현상에 대해서 다양한 모델이 존재할 때, 어떤 모델을 선택하여 주어진 문제를 해결할 지는 경험이 있는 전문가의 선택에 의해서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 이 때 특정 모델을 선택함으로써 발생되는 불확실성을 모델 불확실성이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모델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항공기 러그 구조물의 피로수명을 예측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모델 불확실성으로써는 S-N 선도 모델을 설정하였으며, 불확실성에 의한 구조물의 피로 수명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계산된 피로 수명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피로수명에 대한 구조물의 확률론적 신뢰구간을 설정하였다. There are many models to express a relationship between input and output in engineering fields. In general, a model among models that represent a same phenomenon is selected by an expert to solve a engineering problem. When a model is selected there is model uncertainty because the selected model is not the best model but a better model. In this paper, the fatigue life of a aircraft lug is estimated considering model uncertainty. As a model uncertainty two S-N curve models are considered.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estimated fatigue life of the aircraft lug is calculated due to the model uncertainty. Consequently, the reliable bounds of estimated fatigue life are suggested for the aircraft lug.
냉동 저장에 따른 제빵용 밀가루 반죽의 물리적 특성 변화
임종빈,이승영,한정숙,유상호,이수용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13 산업 식품공학 Vol.17 No.3
본 연구에서는 냉동저장에 따른 제빵용 밀가루 반죽의물리적 특성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냉동생지를 제조 후2주간 -20oC에서 냉동 저장하면서 신장특성, 텍스처, 부피,색상 등의 품질 특성을 측정하고 이를 냉동저장을 하지 않은 대조구와 비교하였다. Extensograph를 활용하여 냉동저장한 밀가루 반죽은 신장도와 신장저항도가 증가하였으며 R/E도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냉동생지를 이용하여 빵을제조한 경우 빵의 부피는 감소하고, 이에 따라 경도는 증가하였고 대조구와 비교하여 어두운 표면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냉동 저장 반죽을 이용한 제품제조 시 냉동생지의 물리학적 특성을 파악하여 그 품질을 개선 및 보완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quality attributes of wheat-based frozen bread dough were investigated before and after baking from the physicochemical point of view. Mixolab results showed that the water absorption, stability time, and development time of wheat flour were 59.20%, 8.77 min, and 5.41 min, respectively. The frozen storage of bread dough at -20oC for 2 weeks raised its values of extensibility and resistance to extension, and led to less viscous properties during fermentation.After baking, the bread prepared with frozen dough exhibited a significantly lower loaf volume by 11.19% mainly due to reduced yeast activity and degraded gluten network. Frozen storage produced bread with harder texture which could be correlated with lower loaf volume. In the case of bread color, the crust of the bread prepared with frozen dough was darker compared to freshly-made dough bread. This study provides fundamental information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read dough during frozen storage.
임종빈,최남미,이서림 한국항공우주학회 2012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2 No.11
본 논문에서는 「제1차 우주개발진흥 기본계획(‘07~’11)」의 성과와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우리나라는 1차 기본계획 기간에 7개의 위성 개발을 추진하였으며, 나로호 발사를 수행하여 독자적 우주 발사체 개발의 기반을 다졌다. 다목적실용위성(1ㆍ2호)의 영상은 정밀지도 제작, 자원탐사, 재해감시 등 공익 목적에 활용 되었고, 천리안 발사로 기상ㆍ해양ㆍ통신 분야 위성서비스를 제공하였다. 또한, 우주기술 기초연구의 확대와 산업체의 핵심기술 역량확보, 그리고 우주개발 전문 인력 양성을 목적으로 우주기초ㆍ핵심기술개발사업을 2008년부터 추진해 오고 있다. 이러한 1차 기본계획 기간의 성과를 되돌아보고, 그 의미 및 시사점을 살펴봄으로써 현재 추진 중인 「제2차 우주개발진흥 기본계획」의 성공적인 완수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다룬 내용들은 국가 우주개발 계획 수립 시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outcomes and implications of the First Basic Space Development Plan(’07~’11). In this period, seven satellites have been developed and NARO, an expendable space launch vehicle, is developed and launched. Images of multi-purpose satellites (KOMPSAT 1, 2) are used in public service purposes such as production of accurate map, remote sensing, disaster observation etc. Chollian, geostationary orbit satellite, provides satellite service in weather, ocean, and communication sectors. In addition, the national program of Basic and Core Space Technologies Development is being forwarded since 2008 in order to extend the fundamental research in universities and to acquire the ability of core technologies in industry. The results of this paper should be applied and used for next national space development pla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