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민속문화에 갈무리된 성과 사랑의 갈래별 인식

        임재해(Lim Jae-Hae) 실천민속학회 2006 실천민속학연구 Vol.8 No.-

        Our folklore societies have discussed ‘sexuality’ or ‘gender’ in several times, but we don’t treated with an aspect of ‘love’. A healthy sexuality is existed with love, so we have to consider ‘sexuality’ and ‘love’ in our folkculture. A content of sexuality and love is widespread in folktale and folksong, mask dance drama, village ritual and so on, therefore we need to note each genres has different cognitions. In folktale, one concentrate with emotional expression of love. A disease of love folktale or ‘Sangsabaem(snake of love)’ folktale is mainly handing downed. In folksong, no disease of love or one-sided love, and be only existed pleasure of love actively. Especially in the rice field song, it’s very open mind with sex and love because male and female work together. In Talchoom(mask dance drama), one represent to a issue of sex and love dynamically as a satire theater. But emotion of love is disappeared, only sexual behavior is emphasized. Traditional folk have tried to overcome under conflict of social class by playing Talchoom that exposure sex and destroy sexual taboo. In a village ritual, a Gut of sexual behavior purposed abundance and bearing many young is notable. In case of ‘a Couple of village guardian deity’, do sexual behavior as compromise rite and do a Gut of sexual behavior clear up sexual lack for a virgin village goddess. A typical way of sexuality and love go through the process of step, that is, ‘love - marriage - sex - childbirth’. But many folkculture passing over this process beside folksong. A childbirth in folktale, a marriage in Talchoom, a love in belief is lacked. Only folksong has four condition. Folksong male and female sing together on working is the most healthy culture relatively. Therefore healthy culture is representing to more heathy sex and love well.

      • KCI등재

        산신설화의 전승양상과 산신숭배의 문화

        임재해(Lim Jae-Hae),박종성(토론자) 비교민속학회 2005 비교민속학 Vol.0 No.29

        Mountain god folktale is very important text that make a mountain god worship understand. The cognition and faith for mountain god become theoretical basis of a mountain god worship culture. In the various types of handing down oral folktale, mountain god stories are different from the paintings and lettered folktales of mountain god. Almost of mountain god folktales are mainly consist of a divine experience story of mountain god. We can distinguish mountain god folktales into several patterns. For example, to help any reason, to help historical figures, to help a dutiful son and daughter-in-law, to help a man who accumulated of virtuous deeds, to help faithful man, to help by means of prediction and so on. In the mountain god folktales, mountain god is depicted a omniscient and omnipotent being. On viewing the paintings of mountain god, we can find to confucianism centered a silver hair mountain god, but in the lettered folktales we can see the mountain goddess as like the holy mother of Sundo mountain. In oral folktales the characters of mountain god appear as various figures. For example, a woman in white, traditional waitress, a woodcutter, a leper, a farmer, a traveler, children, a salt seller and so on. The helping patterns of mountain god ate represented three ways. First, to select a propitious site for a grave, second, to give a wild ginseng, third, to make tiger solve problem A propitious site for a grave and a wild ginseng are located in mountain, and tiger also live in mountain. That is, mountain and various beings in mountain are very divine life to solve human problems. A divine power of mountain god is originated in a nature thing or animals and plants in mountain like this. Therefore we can find not only a life of nature, but also a tradition of ecological culture through mountain god folktales

      • KCI등재
      • KCI등재

        구술문화의 갈래 재발견과 축제성 재인식

        임재해(Lim Jae Hae) 한국문학회 2016 韓國文學論叢 Vol.73 No.-

        구술문화는 구어문화와 구비문학의 범주를 넘어서는 입소리 문화이다. 아기와 엄마 사이에 나누는 옹알이를 비롯하여 휘파람, 웃음과 울음, 감탄과 비명, 돋움소리, 추임새 등 입으로 표현하는 소리 문화 전반을 일컫는다. 그러나 축제성을 지닌 것은 상대적으로 한정된다. 축제성을 발견하기 어려운 휘파람과 비명, 울음은 제외하고, 가) 말에 미치지 못하는 옹알이, 나)말의 한계를 초월한 웃음, 다) 말의 의미를 압축한 감탄, 라) 말의 의미를 역동화한 돋움소리, 마) 공연의 기능을 강화하는 추임새, 바) 노래의 공유를 구조화한 민요, 사)말과 무관한 악기소리의 입장단 등을 주목할 수 있다. 옹알이는 아기와 부모 사이에 나누는 난장형 축제성을 지녔는데, 엄마와 아빠의 호칭을 터득하는 과정은 기존 축제에서 발견할 수 없는 전도형 축제성을 발휘하게 된다. 웃음은 인간해방의 대동적 축제성을 지녔으며, 감탄의 소리와 돋움소리는 집단적 신명풀이의 축제성을 지녔다. 추임새와 민요, 입장단 등도 집단적 신명을 강화하는 다양한 축제적 기능을 발휘한다. 옹알이와 웃음 등의 진정한 구술문화는 문자문화로 대신할 수 없을 뿐 아니라 문자문화의 전단계로 볼 수 없는 독자적 문화이다. 따라서 구술문화를 문자문화와 대립관계나 선후관계로 포착하게 되면 구술문화의 폭을 제대로 포착할 수 없고 그 본질적 의미와 기능도 해석할 수 없다. 그러므로 구술문화를 재발견하기 위해서는 휘파람에서 콧노래, 울음소리까지 입으로 표현하는 모든 소리문화를 적극적으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축제는 공동체 단위의 지역축제여서 수시로 개최 불가능하므로 일년에 한 차례만 가능한 세시풍속으로 존재한다. 그러한 축제마저 전승이 중단되었거나, 최근에 만들어진 이벤트가 고작이다. 그러나 구술문화의 축제성은 두 사람 이상이 모이면 언제든지 가능한 일상문화 속에서 실현된다. 인간해방의 사회를 만들어가려면 구술문화의 축제성처럼 축제의 일상화가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일상생활에서 누리는 진정한 축제문화로서 구술문화를 재인식할 필요가 있다. Oral culture is oral sound culture that beyond the category of spoken culture and oral literature. This includes overall sound culture that sounds via verbal way such as babbling between mother and baby, whistling, laugh and cry, admiration and scream, the sound of wild cheering and Rejoinder. However, that oral culture that contains festivity is relatively limited. Exception of whistling, scream and crying which are hardly identify, 1) babbling that is not reached to verbal language. 2) smile that is transcendent the limit of verbal language, 3) admiration that condense the meaning of verbal language 4) the sound of wild cheering that is being dynamic for the meaning of vernal language, 5) structured folk song that shares singing, 6)sounds of musical instrument for entrance which is not relative with verbal language can be focused. Babbling has a characteristic of communitas festivity in between parents and baby, the progress of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mother and father contains a charateristic of reversed festivity that cannot be found in existing festivity. Laughing contains united festivity of human liberation and sounds of admiration and the sound of wild cheering have festivity of collective explanation of spirit. Rejoinder, folk song and entrance song have various function of reinforcement for collective spiritual. The true oral culture such as Babbling and laughing cannot be replaced with written culture and it is independent culture that should not considered as prior stage of written culture. Therefore, if oral culture is considered as opposite or sequence of relations, it may narrow the understanding of oral culture and interrupt fundamental meaning and functions. Therefore, to rediscover oral culture, it is necessary to focus on every sound cultures including from whistling to crying that is expressed verbally. Since festivity which is local festivity for the community, it is impossible to be held occasionally. It is held once a year with possible seasonal customs. However, even these festivities stopped transmitting and only recent event is exist. However, festivity of oral culture can be held at any time with member of at least 2 people in normal possible culture. Daily festivity will be recommended like festivity of oral culture to build human liberated society. Thus, it is necessary to re understand oral culture as a true festival culture in normal life.

      • KCI등재

        탈춤 기원론의 쟁점과 상고시대 탈춤문화의 뿌리

        임재해(Lim Jae-Hae) 한국민속학회 2009 韓國民俗學 Vol.50 No.-

        이 논의는 크게 두 가닥으로 전개된다. 하나는 전래설의 한계를 비판하고, 둘은 탈춤의 기원과 역사를 굿문화 속에서 찾아 밝히는 것이다. 따라서 크게 전래설의 4 가지 문제점을 다루고, 굿문화 기원설을 3 가지 방법으로 밝힌다. 1) 전래설의 한계를 지적하기 위해 전래설이 마치 교류론과 기원론인 것처럼 여기는 문제를 비판한다. 전래설은 탈춤의 기원을 다른 지역으로 미루는 까닭에 결과적으로 기원을 밝히지 않는 것이며, 교류론은 선후와 우열을 전제로 한 기원론과 무관하게 두 문화의 양방향 소통을 대등하게 다루는 것이다. 그러므로 탈춤 전래설은 기원론이나 교류론이 아니며 일원발생설에 따른 자문화 폄하의 종속적 전파론에 해당된다. 2) 전래설을 입증하는 준거인 전파주의 이론을 제대로 알지 못한 문제를 비판한다. Graebner가 말하는 형태의 준거, 양적 준거, 계속의 준거 외에, 상징의 준거, 생태학적 준거 등을 두루 갖추어야 전파론을 펼 수 있다. 그저 비슷한 점만 들어서 전래설을 편 것이다. 탈춤 전래설은 전파론의 이론에 맞지 않아서 설득력이 없다. 3) 전래설을 입증할 수 있는 실증적인 자료의 제시가 뒤따라야 한다. 전래설을 펴면서도 영향을 주었다고 하는 몽골의 탈춤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몽골의 영향을 받았다고 하지만, 구체적으로 몽골의 어떤 탈춤이 본산대놀이에 영향을 준 것인지 보기를 들지 못한다. 몽골에는 탈과 탈문화가 아주 빈약해서 그럴 만한 자료조차 없기 때문이다. 4) 몽골 반인(泮人) 기원설은 성균관에 속해 있는 ‘반인’의 정체, 관련 자료의 재해석, 몽골탈과 탈춤의 내용, 탈 관련 몽골어 등을 고려할 때, 받아들일 근거가 부족하다. 그러나 전래설의 문제를 비판한다고 자생설이 입증되는 것은 아니다. 탈춤의 자생적 형성과정을 역사적으로 밝히고 공시적 자료 속에서 그 내용을 확인해야 한다. 고고학적 유물과 역사적 전승 자료, 탈춤의 연행현장 구조 등 세 가지 방법으로 굿문화 기원설을 밝힌다. 첫째, 탈은 구석기시대 한반도의 고고학적 발굴유물에서 발견된다. 신석기 시대 암각화의 탈 그림에서 농경문화를 배경으로 한 풍농굿의 탈춤이 있었다. 고조선 지역인 홍산문화에 옥과 뼈로 만든 탈 유물은 한층 구체적인 자료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홍산문화의 옥탈이나 뼈탈을 보면, 고조선 건국 이전시키부터 이미 구체적인 제의탈이 존재했으며, 제의와 관련하여 탈굿과 탈놀이, 탈춤이 연행되었을 것이다. 둘째, 황창탈춤과 어무상심, 처용탈춤 등은 신라 때부터 형성된 것으로서 오랫동안 세간과 궁중에서 전승되었다. 어무상심은 남산 신굿이며 처용탈춤도 병굿의 일환으로 벽사의 기능을 지닌다. 특히 처용탈춤은 신라 경주에서, 고려 개성, 조선 한양에 이르기까지 역사적 통시성과 지리적 분포를 볼 때 궁중탈춤의 역사성을 부인할 수 없다. 세간에는 고려시대부터 하회별신굿의 탈춤이 전승되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 탈춤의 형성은 굿문화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셋째, 탈춤은 굿문화의 일환으로 형성되고 전승된 사실이 연행현장에서 잘 드러난다. 탈춤 구조를 분석해 보면 ‘굿판 → 앞놀이 → 춤대목 → 극대목 → 춤대목 → 뒷놀이→ 굿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회탈춤이 별신굿의 일환으로 형성되었듯이, 모든 탈춤은 굿에서 시작하여 굿으로 끝이 난다. 그러므로 탈춤은 마을굿과 고을굿, 나라굿 등 공동체의 굿문화 속에서 형성되고 발전된 것으로 추론된다. This discussion of Korean mask dance is conducted in two directions: criticism of limitation of import hypothesis, and identification of the origin and history of mask dance in Gut(exorcism) culture. Thus, this discussion covers 4 issues on import hypothesis and identifies the hypothesis of Gut culture origin in 3 methods: 1) To indicate the limitation of import hypothesis, the discussion criticizes the problem of considering import hypothesis as exchange hypothesis or origin hypothesis. Import hypothesis, which attributes the origin of mask dance to other region, is a hypothesis which is reluctant to identify the origin, and exchange hypothesis is one that handles the bi-lateral communications of the two culture on equal footing apart from origin hypothesis that assumes priority and superiority of either one. Therefore, mask dance import hypothesis falls within the category of dependent diffusion hypothesis by the single source development hypothesis. 2) This discussion will criticizes the problem of not being able to properly catch diffusion theory, the ground to prove import hypothesis. Diffusion theory may stand only if symbolic ground and ecological ground etc are widely secured in addition to morphological ground, quantitative ground and continuation ground that Graebner mentions. Import hypothesis is advocated only on the support of similarities. Mask dance import hypothesis is not suitable based on the theory of diffusion, and thus does not make sense. 3) Proposition of positive data that can prove import hypothesis should follow. Though import hypothesis is maintained, there is no proposition of Mongolian mask dance which is said to have affected it. Although it is said to have been affected by Mongolia, no specific example is given which mask dance of Mongolia affected Bonsandae mask dance. That is because Mongolia has very few elements of mask and mask culture, and thus has barely any material for that. 4) Considering the identify of ‘Pan’ people, interpretation of relevant data, the contents of Mongolian mask and mask dance, and mask related Mongolian language etc, Mongolian Pan people origin theory has feeble ground to accept. Nevertheless, criticism of the problem of import hypothesis does not necessarily prove native origin hypothesis. Historical identification of native formation of mask dance and confirmation of the contents from the chronological data are necessary. The hypothesis of exorcism culture origin is clarified in three channels like archaeological remains, historical legend data and the structure of mask dance performing field etc. First off, masks are discovered in archaeological excavation remains of Korean peninsula of paleolithic age. The mask picture in the rock engraved figure of neolithic era included mask dance of invoking fruitful harvest with farming culture as background. The mask relic made of jade and bones from Hongsan culture, the area of ancient Gojoseon kingdom may be a further specific example. Thus jade mask or bone mask of Hongsan culture indicate specific existence of ritual mask already before establishment of ancient Gojoseon kingdom, and mask exorcism, mask play and mask dance might be performed with regard to rituals. Second, Hwangchang mask dance, Eomusangshim dance and Cheoyong mask dance etc, which were formed from Shilla dynasty, were performed for long time among common folks and in the palace. Both Eomusangshim dance which is Namsan shin exorcism, and Cheoyong mask dance are performed as exorcism to drive away diseases. In particular, Cheoyong mask dance cannot but indicate the historic tradition of palatial mask dance in view of its historic legacy from Gyeongju of Shilla dynasty to Gaeseong of Goryo dynasty and Hanyang of Joseon dynasty. Among common folks, the mask dance of Hahoe Byeolshin exorcism is handed down from Goryo dynasty. Therefore, our mask dance may be deemed originated from exorcism culture. Third, the fact that mask

      • KCI등재
      • KCI등재

        설화에서 공유된 자연생명의 생태학적 재해석과 재창작

        임재해 ( Lim Jae-hae ) 남도민속학회 2020 남도민속연구 Vol.41 No.-

        지구 가열화로 인류는 기후비상사태에 직면하고 있다. 인간의 일방적 자연정복이 빚어낸 생태학적 자연 재앙이다. 생태위기의 과학적 인식보다 설화의 생태학적 인식이 공감력과 함께 실천 기능이 더 크다. 따라서 설화의 생태학적 자연인식으로 생태위기를 극복하는 것이 인문학적 대안이다. 설화의 자연생명 인식은 우주의 생성에서부터 상호 소통에 이르기까지 여러 층위를 이루고 있다. 첫째 우주는 인간의 남녀처럼 음양 교섭으로 생성되고 천지만물을 낳는다. 둘째 자연생명은 인간처럼 살아 있으면서 인간생활에 불가사의한 위력을 미친다. 셋째 자연은 인격적 존재로서 인간과 대등하게 상호 교섭한다. 넷째 자연생명은 인간보다 도덕성이 더 우월하다. 다섯째 탁월한 인간은 자연과 서로 소통이 가능하다. 이처럼 설화적 세계에서 자연은 인간에게 여러 모로 영향을 미치고 서로 교섭하며 소통하는 인간 이상의 생명으로 인식된다. 설화에 나타난 생태학적 세계관을 실현하려면, 기존의 과학기술과 학술연구, 문예창작을 모두 혁신해야 한다. 과학계는 가)사람들이 자연생명과 소통할 수 있는 번역기를 발명해야 하고, 설화학계는 나)설화를 인간중심의 상투적 해석에서 벗어나 생태학적 시각으로 재해석하는 연구를 하며, 다)기존 설화를 생태주의에 입각하여 재창작하거나 후속편을 새로 창작해야 세계관의 전환이 가능하다. 그러한 실천으로 ‘은혜 갚은 까치’, ‘꾀 많은 토끼의 재판’, ‘토끼와 거북이 경주’ 등의 설화 재해석과 재창작을 시도했다. 생태위기를 극복하는 인문학적 대안을 위해 고정관념을 해체해야 한다. 기존 설화의 서사구조를 뒤집고 인간중심주의를 극복하는 생태학적 탈중심주의로 설화 재해석과 재창작 작업이 긴요하다. 설화학자도 작가처럼 재창작을 시도하고, 작가도 재창작으로 학자처럼 새로운 해석의 전망을 제시한다. 학자와 작가는 둘이면서 하나이고 하나이면서 둘이다. 생태학적 세계관은 분절적 관계에서 총체적 관계를 열어가는 것이다. Humanity is faced with a climate emergency that global warming has brought about. This is an ecological natural disaster caused by the human unilateral conquest of nature. The ecological perception found in folktales can elicit greater sympathy and action than the scientific awareness of the ecological crisis. Therefore, overcoming the ecological crisis with the natural perception of folktales can be a humanistic alternative to the climate crisis. The perception of natural life in folktales consists of several layers from the creation of the universe to mutual communication. First, the energies of yin and yang, like human men and women,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create the universe, from which all creatures are born. Second, natural life, living and breathing like humans, exerts mysterious power to human life. Third, nature, as a personal being, interacts with humans on an equal basis. Fourth, natural life is superior to humans in morality. Fifth, some outstanding humans can commune with nature. In this world of folktales, nature is recognized to have influence on human life and is perceived as a higher being than humans who interacts and communicates with each other. To put into action the ecological worldview shown in folktales, it is necessary to innovate all the existing scientific technologies, academic research, and literary creation practice. The scientific community needs to invent a translator that enables people to communicate with natural life, and the folktale researchers are required to conduct studies to reinterpret folktales from an ecological perspective, breaking away from the human-centered conventional interpretation. For a transition in the worldview, there is a need for the re-creation of the existing folktales or the creation of their sequels based on ecologism. As a practice of such approach, this study attempted to reinterpret and re-create Korean folktales such as “The Magpie Who Returned the Favor,” “The Trial of the Tricky Hare,” and “The Tortoise and the Hare.” To find a humanistic alternative to overcome the ecological crisis, approaches to dismantle stereotypes are required. In other words, it is crucial to reinterpret and re-create folktales in order to reverse the existing narrative structures and overcome human-centered values. Folktale researchers should recreate existing stories like writers, and writers should present new interpretations like scholars based on rewriting work. The scholar and the writer are two but one, and one but two. The ecological worldview is about forming a holistic relationship from a segmental relationship.

      • KCI등재

        마을의 잔치문화에 갈무리된 축제성과 인간해방의 길

        임재해 ( Jae Hae Lim ) 남도민속학회 2010 남도민속연구 Vol.21 No.-

        ‘축제’라는 이름으로 보면, 한국 축제는 지나치게 많아서 문제가 되지만 축제의 알맹이로 보면 진정한 축제가 없는 것이 더 큰 문제이다. 전통 축제가 단절된 자리에 상업적이고 정치적인 관변측 이벤트가 석권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축제라는 이름과 형식을 넘어서는 축제성의 확보가 긴요하다. 그러자면 서구 축제가 아니라 우리 축제의 전통 속에서 축제성을 발견하고 현실에 맞게 재창조하는 것이 과제이다. 그러한 보기가 마을축제로 이루어지는 잔치문화의 전통이다. 혼례든 상례든 손님들에게 대접하는 음식상에는 차별이 없다. 빈부, 상하, 노소 차별 없이 모두 대등한 상차림으로 축제적 향연을 즐긴다. 고관대작처럼 관복을 입었던 대례청의 신랑은 동상례 때 오랏줄에 묶인 범인처럼 거꾸로 매달리는 전도에 이른다. 이러한 난장은 회갑례에서 더 적극적으로 나타난다. 먹으로 자녀얼굴에 수염과 안경을 그리는 환칠을 해서 부모들과 맞먹는 신명풀이를 대등하게 하며 난장을 트는 축제가 벌어진다. 부모의 회갑을 기리는 잔치에서 오히려 부모자녀 관계를 뒤집어 버리는, 버르장머리 없는 짓을 하는 것이 회갑잔치에 나타난 축제성이다. 축제적 난장을 트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일정한 옷을 입거나 정해진 탈을 써서 자기 정체를 가림으로써 신분차별에서 해방된다. 상하차별을 조성하는 기득권을 배제하고 오직 누구나 타고난 기본권만 작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둘은 굿판에서 신성한 제의탈이나 특권화된 신분으로 가장하게 함으로써 세속적 질서를 극복하는 수법이다. 공동체가 섬기는 신의 이름으로 하는 공동체굿 앞에서는 세속적 권력이 잠적하게 된다. 이때 제의적 전도나 반란에 의해 축제적 난장이 조성되기 마련이다. 상례의 마을잔치에서 가장 축제적인 요소는 문상을 하면서 상주를 웃기는 가상주놀이와 출상전야의 빈상여놀이, 묘지에서 벌이는 산다위나 가래장구 지우기, 귀가길의 진사놀이 등이다. 한결같이 상주 또는 망자의 사위를 놀리는 놀이들이다. 그리고 상례과정에서 비정상적인 가족관계가 드러나서 정상관계로 발전하는데, 차별받던 가족이 대등한 가족관계를 회복하는 것도 축제답다. 영화 ‘축제’는 상례의 축제성을 다룬 작품이다. 난장을 이루는 마을굿은 물론 집안굿에서도 축제적 기능이 발휘된다. 가무오신 행위의 형식적 축제성뿐만 아니라, 굿을 하는 동안 숨겨져 있던 가족관계가 굿판에서 드러나고, 몰랐던 가족사의 허물이 불거지는 자리라는 점에서 축제성이 드러난다. 마을 굿에서는 사회구조의 모순이 불거진다. 평소에 덮어두었던 사회적 질병을 공공연히 드러내서 치유하는 것이 공동체굿이자 전통 축제의 기능이다. 사회적 질병을 폭로하여 풍자하고 구조적 모순을 해결하는 해방구를 이루는 것이 곧 굿의 변혁적 축제성이다. 기본권에 의해 기득권을 해체하는 인간해방의 굿이 곧 축제의 중요한 기능이다. 축제는 기본권의 권리와 주권에 의해 기득권의 특권과 권력을 무력화시키고 인간해방을 이루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축제라고 하는 문화양식보다 축제가 추구하는 인간해방의 가치가 더 소중하다. 그러므로 우리가 진정으로 추구해야 하는 것은 축제 자체가 아니라 축제가 추구하는 인간해방 세상을 이루는 것이다. 왜냐하면 그것이 축제의 바람직한 가치를 실현하는 길이기 때문이다. We have too many things under the name of ‘festival’ in Korea but we have little festivals in fact which have core substance of a festival. This is because commercial and political events overwhelm where the traditional festivals disappea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cure festiveness that outruns the name and formality of festival. Then, we need to detect festiveness in our traditional festivals, not from western festivals, and recreate it to correspond with the reality. One example of this is the tradition of party culture which leads to village festivals. There’s no differentiation on foods for guests either in wedding ceremonies or funeral rites. Without differentiation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high and low and young and old, people enjoy a feast with the same foods. A bridegroom in the traditional a wedding ceremony wearing an official uniform of high government officials is hung upside down in a wedding reception at the bride’s house just like a criminal. Indiscriminate fun (or ‘Nanjang’)like this is demonstrated more severely in the 60th birthday celebration. Guests draw a mustache, a beard and eyeglasses on the faces of children and make them play with their parents equally to make fun. Festiveness shown in the 60th birthday party is funny rude behavior which reverse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in a party to congratulate the 60th birthday of parents. There are two ways to make indiscriminate fun. One way is to wear certain costume and a mask. By hiding an identity, people are liberalized from discrimination on social standings. Eliminating vested rights which creates discrimination between high and low, everyone enjoys natural rights. Another way is to wear a sacred ritual mask or to disguise themselves as the privileged class in an exorcism (or ‘Gut’) so that they overcome worldly order. In a community exorcism performed by the name of god whom the community serve, worldly power disappears. Ritual overturn or revolt often create indiscriminate festival fun here. The most festive factors in a village party for funeral rites are ‘pseudo chief mourner play (or ‘Gasangju Nori’)’ by which people make the chief mourner laugh while making calls of condolence, ‘empty bier play (or ‘Binsangyeo Nori’)’ at the night before the date of carrying out coffin, ‘Sandawi’ or ‘Garaejanggu Jiwoogi’ played in a graveyard and ‘Jinsa Nori’ on the way back home. All of these are play to make fun of the chief mourner or son-in-law of the deceased. In the funeral ceremony, abnormal family relationship appears and then develops into normal relationship and a discriminated family members recover equal family relationship, which is worthy of festival. The movie, ‘Festival’ deals with festiveness of funeral ceremony. Not only village exorcism full of indiscriminate fun but also family exorcism play festive roles. Festiveness is shown, on top of formal festiveness of ‘Gamuoshin’ activity, in a sense that hidden family relationship is disclosed while an exorcism is performed and unknown faults of family history rises. In a village exorcism, contradictions of social structure rise. It is the role of a community exorcism, one of traditional festivals, that discloses and treats social diseases which has been overlooked in usual days. It is revolutionary festiveness of an exorcism to disclose and satirize social diseases and to become a liberalized place to resolve structural contradictions. An exorcism of human liberation to dissolve vested rights by natural rights is an important role of a festival. A festival can be thought to be what emasculates privileges and power of the establishment and liberates human beings through natural rights and sovereignty. Therefore value of human liberation that a festival pursues is more important than a cultural style of a festival. What we really have to pursue is to make the world of human liberation that a festival pursues, and not a festival itself. This is because it is the way to realize the desirable value of a festival.

      • KCI등재

        조선민속학회 창립의 산파 송석하와 한국 민속학의 길

        임재해(Lim, Jae-Hae) 한국민속학회 2013 韓國民俗學 Vol.57 No.-

        식민치하에서 창립된 조선민속학회는 민족 내부의 자주적 학문운동과 국제적 식민체제극복운동의 두 갈래 상황 속에서 인식되어야 그 의미가 제대로 포착된다. 조선민속학회는 국내 학문운동을 중심으로 보면, 모국어 회복 운동을 한 ‘조선어학회’ 활동과 같은 맥락에서 이루어진 민족문화 운동이고, 국제적 민족운동과 관련하여 보면, 식민지배를 받은 제3세계 국가 가운데 유일하게 민속학회를 결성한 선구적 학문운동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국내외민족운동의 맥락 속에서 주목해야 조선민속학회의 민족사적 의미와 세계사적 민족운동 의의가 제대로 드러난다. 조선민속학회의 성립과 활동 과정을 이해하려면 학회 창립의 산파 역할을 한 송석하의 활동을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송석하는 학회를 발의하고 주도하는 가운데 사재를 털어 학회지 『조선민속』을 간행했다. 학회지의 체제와 연간 4회 간행하려는 의욕은 요즘 학회와 견주어 보아도 탁월하다. 그럼에도 송석하는 일본학자들과 어울렸다는 것이 빌미가 되어 식민주의 공범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이러한 식민주의 시각에 따라, 학회지 『조선민속』 3호발행인이 송석하 대신 아끼바로 바뀐 데 관한 해석이 ‘일본화’와 ‘일제화’로 엇갈린다. 일본학계의 ‘일본화’ 주장에 대하여 전경수가 ‘일제화’로 맞서자, 남근우는 일제화를 비판하며 오히려 일본화에 동조했다. 그 근거는 조선어 사용 금지 시기와, 조선민속학회가 유명무실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조선어 사용 전면 금지 이전부터 일제화가 시작되었다는 사실과, 발행인 교체가 사승관계에 있는 일본인 두 사람에게는 매우 유의미하게 이용되었다는 사실을 근거로 일본화를 주장하는 식민주의 옹호 논리를 재비판했다. 그리고 송석하의 학회활동 중단 원인에 대한 전경수의 질병원인론과 인류학 선호론을 극복하며, 식민체제에 따른 민속탄압론에 이어서 인류학 통섭론을 제기했다. 문제는 한국민속학의 길이다. ‘송석하가 우리시대의 민속학자였다면 어떤 수준의 활동을 했을까?’ 반문할 필요가 있다. 일제치하의 민속학회와 송석하의 활동을 제대로 본받으려면 민속학자로서 민속지 작업과 학술저서 작업을 병행하고 인접학문을 통섭함으로써 자기 학문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이다. 그러자면 송석하의 학회창립, 사재출연, 학회지 발행, 민속조사, 논저집필, 인류학 통섭, 박물관 설립 등 그의 활동을 본받아 실천할 필요가 있다. Joseon Folklore Society which was founded during Japanese colonization of Korea can have its meaning clarified only if it is recognized in the two paths of situations, the independent study academic movement within the nation and the international movement to overcome colonialism. Joseon Folklore Society is an ethnic culture movement which was established in the contexts like ‘Joseon Language Society based on mother language restoration movement in the perspective of the aforementioned domestic academic movement and pioneer academic movement constitutes the only folklore society among the 3rd world country who received colonial rule in the aspect of international pioneer academic movement. As such, the ethnic history meaning and world ethnic movement meaning of Joseon Folklore Society may be identified properly only if domestic and overseas ethnic movements are taken note of. For understanding of the establishment and activity process of Joseon Folklore Society, the activities of Seok-Ha Song who played the role as the midwife of the establishment of the society cannot but be paid attention. Seok-Ha Song published 『Joseon Folklore』 the academic journal of the society by paying private money while initiating and leading the society. The system of the society’s journal and his passion to publish as many as 4 times a year are outstanding even in comparison with these day society. Nevertheless, he was also regarded as an accomplice of colonialism due to the excuse that he hung around with Japanese scholars. In such colonialism related view, the interpretation that the publisher of the 3rd edition of 『Joseon Folklore』 the society’s academic journal was divided into ‘Japanization’ and ‘Japanese imperialization’. As Gyeong-Su Jeon hits back as ‘Japanese imperialization’ about the Japanese academic circle’s claim as ‘Japanization’, Geun-Woo Nam rather criticized Japanese imperialization and synthesized with ‘Japanization’, and his ground to that was the coincidence of the period of prohibition of use of Joseon language and titularity of Joseon Folklore Society. However, he criticized again the logic of advocating colonialism which claims Japanization on the ground that Japanese imperialization began even before prohibition of use of Joseon language and replacement of publisher was very significantly utilized to the two Japanese persons who were teacher and pupil. And he proposed the theory of consilience of anthropology after ethnic suppression theory by colonial system by overcoming the Gyeong-Su Jeon’s preference of disease causation theory and preference theory for the Seok-Ha Song’s cause of pause of the society activities. The problem is the path of Korean folklore study. If Seok-Ha Song was a folklore scholar of these days, what level of activities would he do? It is worth questioning. Following the Folklore Society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and the activities of Seok-Ha Song properly would be to carry out the work of folklore journal and the work of academic writing simultaneously as folklore scholar and establish the identity of one’s own study by learning inter-disciplinary studies in integrated manner. To that end, it is necessary to take his activities as example and practice them by establishing the society of Seok-Ha Song, investing private fund, issuing academic journal, surveying folklore, writing papers, learning inter-disciplinary study of anthropology and establishing museum etc.

      • KCI등재

        세계화 시대 한국 민속학의 현실적 과제와 자각적 전망

        임재해(Lim, Jae-Hae) 비교민속학회 2013 비교민속학 Vol.0 No.50

        학문이 생명력을 지니려면 역사의식과 함께 현실인식을 갖추고 상아탑의 학문에서 시계탑, 감시탑, 조명탑의 학문으로 나아가야 한다. 외국학문 인용주의를 극복하고 자문화를 독창적으로 읽는 통찰력을 발휘함으로써 학문주권을 확립할 수 있어야, 세계화시대이자 문화의 세기에 부응하는 민속학을 개척할 수 있다. 세계화는 서구화가 아니라 세계 각국이 유기적 관계를 이루는 것이라는 현실인식 아래, 세계사의 흐름을 통시적으로 포착하고 문화의 세기를 포착해야 미래의 전망을 정확하게 제시하는 민속학이 가능하다. 통시적으로 보면 세계사는 두 갈래의 흐름 속에 있다. 영역 중심으로 지방화시대에서 국가화 시대, 세계화시대로 나아왔으며, 국제관계 중심으로 무력전쟁의 시대에서 무역경쟁의 시대, 문화교류의 시대로 나아왔다. 따라서 21세기를 세계화시대 또는 문화의 세기로 자리매김하는 것이다. 문화가 세계화되려면 자문화의 정체성을 확보해야 하는 것처럼, 학문이 세계화되려면 학국학으로서 정체성을 확립하고 질적으로 높은 수준의 학문적 독창성을 발휘해야 한다. 그것은 곧 문화주권과 학문주권을 확보하는 일이다. 문화주권은 자문화로서 정체성이 뚜렷한 민속문화가 확보해 주는 것이며, 학문주권은 자기사회의 민속현상을 귀납적으로 해석하고 일반화 가능한 민속학 논리를 개척할 때 확보되는 것이다. 민속학은 현장학과 전통학, 민중학의 특징을 살려 문화주권론을 펼침으로서 스스로 학문주권을 확립해야 세계화된다. 현장학으로서 민속학은 현재 세계화 수준의 한류문화를 자문화의 논리로 해명하고, 미래의 문화적 전망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한 전망은 비판적 현실인식에 서 출발한다. 현실은 생태위기 속에 놓여 있다. 이 위기는 세계화나 문화로 극복할 수 없으므로 생태주의로 나아가야 한다. 따라서 20세기의 경제주의와 21세기의 문화주의에서 22세기의 생태주의 체제를 표방하는 것이 민속학의 전망이다. 민속문화는 자연친화적인 생태문화로서 지속 가능한 미래의 대안문화로 제기되고 있으며, 문화되돌이 현상이 그러한 문화적 가치를 입증하고 있다. 그러므로 민속학은 현실 체제의 모순을 극복하고 대안문화를 제시하는 미래학문으로서 입지를 전망하지 않을 수 없다. 한국 민속학의 세계화는 한국학으로서 질적 수준을 확보하는 데서 출발한다. 해외학계와 횡적 교류가 아니라 한국 민속학으로서 독창성을 발휘하여 학문주권을 누리게 되면 세계화는 자연스레 이루어진다. 민속연구를 통해 문화주권 이론을 확대시킨 것이 학문주권론이다. 민속학이 문화주권을 의식하고 학문주권을 자각하며 한국학으로서 독자성을 추구할 때 한국 민속학은 세계화 수준을 밝게 전망할 수 있다. In order for a field of study to be revitalized, the applicable academic circle will need to be equipped with consciousness of the reality along with historical sense, and evolve the vision of the study from an image of ivory tower to that of monitor or enlightenment. Also the academic circle will need to establish the academic sovereignty by overcoming the extravagantly widespread practices of quoting overseas academic circles and demonstrating the insight to read the native culture uniquely in order to develop the folk study of this nation Korea that complies with the global era and culture century. To that end, the academic circle will need to capture the flow of the world history and culture and ultimately propose the future prospect precisely under the recognition of the reality that globalization is not westernization but the formation of organic relations among each country of the world. In diachronical perspective, the world history has progressed in two directions. In area perspective, it has evolved from localizing era to nationalizing era and globalizing era, and in international relations, it moved from an era of military war to an era of trading competition and an era of cultural exchange. Therefore, the 21st century is establishing itself as an era of globalization and cultural promotion. Just as globalization of cultural promotion requires acquisition of the nation’s own identity, globalization of the Korean folk study requires establishment of identity as a nation, and demonstration of the academic uniqueness with high quality, ultimately acquiring the cultural sovereignty and academic sovereignty. Cultural sovereignty is when folk culture is established with clear identity as the nation’s native culture, and academic sovereignty is when the academic circle excavates the logic of the folk study that can interpret and generalize the society’s own folk phenomena. The folk study can be globalized only when cultural sovereignty and thus academic sovereignty are exercis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field study, tradition study and populace study enhanced. The folk study as field study should be able to clarify the ‘Hanryu’ Korean wave culture of globalized level and also the cultural prospect of the future with the logic of the nation’s own culture. Such prospect begins from the critical recognition of the reality. Since the reality lies in ecological risks, and such risks put obstacle to globalization or cultural promotion, the folk study should pursue ecology. Therefore, the folk study is anticipated to pursue ecology in the 21st century when it pursued economy and culturalism in the 20th century. Folk culture is proposed as an eco-friendly sustainable form of future alternative culture, and cultural reversion phenomenon is proving such cultural value. Therefore, the Korean folk study is desired to cope with the contraditions of reality system and pursue future oriented study. The globalization of the Korean folk study begins from acquiring the qualitative standard as the study of Korea. Once this field of study accomplishes to relish the academic sovereignty by demonstrating the uniqueness as the study of Korea rather than through horizontal exchanges with overseas academic circles, then globalization will come naturally. The academic sovereignty of the Korean folk study is to extend the theories of cultural sovereignty through the folk study. The Korean folk study will be able to prospect brighter future for globalization when the academic circle gains consciousness of cultural sovereignty and academic sovereignty and pursue the uniqueness as the study of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