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 의과대학에서의 임상약리학 교육현황조사

        임영채 대한임상약리학회 2002 Translational and Clinical Pharmacology Vol.10 No.1

        Background : The discipline of clinical pharmacology has been trying to improve the efficacy and safety of drug therapy on a scientific basis, and also to attain rational prescription. Clinical pharmacology has also played the vital role in new drug development. It is clear that medical students should receive a sound education in clinical pharmacology during their undergraduate course so that they can easily understand current therapies as well as evaluate and assimilate new therapeutic advances in the future. The current status of clinical pharmacology education in Korean medical schools was therefore investigated. Method : A nation-wide survey on the current status of clinical pharmacology education were conducted in 41 Korean medical schools. Results : 38 (92.7%) schools responded to the questionaire on the current status of clinical pharmacology education. Only about one fourth (26.3%) of respondents were teaching clinical pharmacology as a separate discipline. In case of separate clinical pharmacology course, an average time of clinical pharmacology education was 13.5 hours and the education was done most frequently during the 4th-year grade of medical curriculum. The main subjects taught most frequently were clinical pharmacokinetics, therapeutic drug monitoring, drug use in elderly and children, drug use in kidney disease patients, etc. In case of 25 medical schools in which clinical pharmacology lecture is included as just one part of existing pharmacology course, the average time of clinical pharmacology lecture was only 6.4 hours. Fifteen schools among 28 schools (53.6%) which do not have an independent clinical pharmacology course expressed the future plan to have an independent clinical pharmacology course of average 16.9 hours. Conclusion : These data indicated that there are severe deficiency of clinical pharmacology teaching in Korean medical schools, and every effort is urgently required to encourage the education of clinical pharmacology in undergraduate medical curriculum in Korea.

      • KCI등재
      • 항암약물의 약물유전체학

        임영채 대한임상약리학회 2004 Translational and Clinical Pharmacology Vol.12 No.2

        Cancer chemotherapy shows nonspecificity, narrow therapeutic indices, severe toxicity, unpredictable efficacy, and heterogeneity in their therapeutic and toxic responses across patient populations. Pharmacogenomics endeavors to elucidate the effect of genetic inheritance on the individual variation of drug response and toxicity. Many genetic factors such as genetic polymorphism in drug metabolism enzymes, drug targets, drug transporters and etc. are much responsible for variable responses and tolerability of cancer chemotherapy. Pharmacogenomics has therefore great potential to improve cancer treatment outcomes by either reducing toxicity or increasing efficacy, with its ultimate goal of realizing individualized optimal cancer chemotherapy or tailored drug therapy based upon the genetic profiles of each individual in clinical filed. Clinically relevant pharmacogenomic examples of anti-cancer drugs in their metabolism, transporters and targets are discussed. Other topics briefly discussed also in this article include the role of pharmacogenomics in the development of new anti-cancer drugs, ethical issues raised in pharmacogenomic studies, and educational needs of pharmacogenomics-related knowledge in the undergraduate, postgraduate, and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courses.

      • KCI등재

        약물효과 평가에 대한 인식론적 고찰

        임영채 한국의철학회 2016 의철학연구 Vol.21 No.-

        약물요법은 각종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의 하나로서 현대의학의 주축이며, 전체 의료비의 지출에서도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종전 의학에 비해 괄목할만한 치료적 성과를 보여주고 있으나 약물요법은 그 과정에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현행 약물효과 평가에 어떠한 문제점이 있다면 약물투여에 따른 약물효과를 온전하게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거나 약물효과에 대한 그릇된 평가를 가져와서 약물요법의 실패를 초래할 수 있다. 현행 약물요법의 약효평가체계에서는 치료효과와 부작용 및 소요비용과 같은 객관적 지표가 치중되어 있는 반면에, 주관적 요소에 대한 고려가 미흡하다는 문제점이 발견되고 있다. 이밖에도 여러 문제점이 관찰되어 성찰 필요성이 제기됨에도 불구하고 반성적 접근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약물요법에서의 약물효과 및 약물효과 평가 과정에서 발견되는 문제점들에 대한 의철학적 성찰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하여 약물효과와 그 약효평가를 뒷받침하는 기존의 지식체계에 대한 인식론적 고찰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문제점들에 대한 개선 방안에 대해서도 살펴봄으로써 약물요법의 실질적인 진전에 조금이나마 기여하고자 하였다. 현재의 약물 이야기는 과학적인 의학에 편중되어 단조로운 경향을 나타내지만 보다 다양한 시각을 담아내는 다채로운 약물 이야기로 발전해나가는 데에도 본 글은 일조하고자 한다.

      • KCI등재

        다양한 담론을 수용하는 약리학을 사유하며

        임영채 한국의철학회 2022 의철학연구 Vol.33 No.-

        약리학은 인간 내부에서 생긴 질병을 인간 외부에서 개발한 물질인 약물을 사용하는 만큼, 이와 연관된 여러 세계가 관여하고 있으며, 다시 이들은 인간과 관계를 맺고 상호작용을 하고 있다. 인간 내부와 외부의 만남을 다룰 수밖에 없는 약리학은 다양한 세계들과 접촉하고 이들 경계들을 넘나들면서 다양한 차원의 약물 관련 담론들이 펼쳐지게 마련이다. 약리학에서 나타나는 여러 형태의 만남은 약물의 치료 효과나 약물 부작용 등에 있어서 매우 다양한 유형의 약물반응을 일으키고 있다. 우리에게 익숙하고 자명한 과학 중심의 현행 약리학은 이러한 약물반응의 다양성을 여전히 생물학적 신체를 중심으로 하는 생의학적 사유체계의 틀로만 바라보고 해결하려는 한계점이 있다. 약리학이 여러 세계와 접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약물과 개개인 신체 내의 반응으로만 바라보고 있어서 생의학 이외의 원인에 의한 약물반응의 다양성은 잘 다루지 못하고 있다. 다양한 담론을 수용하는 약리학은 기존의 시각과는 다르게 과학으로서 순수하게 분절된 약리학보다는 다른 분야들과 연결된 분야로서 폭넓은 지평을 지닐 것이다. 생의학적 사유체계와 같은 과학적 측면을 강조하는 약리학 이외에도 의료인문학적, 심리적, 사회적, 문화적, 의료경제적, 정치적, 환경적 측면들까지도 고려하는 약리학으로 확장 심화해 나갈 필요성이 있다. 이 글에서는 다양한 담론을 수용하는 약리학의 효용성을 논의하였고, 약리학에서 실제로 관찰할 수 있는 다양한 담론의 구체적 사례들을 살펴보았으며, 다양한 담론을 수용하는 약리학을 구현하는 데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대한임상약리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의 분석

        임영채,Lim, Young-Chai 대한임상약리학회 2012 臨床藥理學會誌 Vol.20 No.1

        Background: To grasp the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an analysis was done on the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Clinical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during recent 19 years. Methods: All the articles published from 1993 through 2011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number of articles and their language distribution were assessed. The articl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research types. Authors' affiliations and research fields of articles were also analyzed. Resul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Clinical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as a semi-annual journal published 353 articles (3,659 pages in total) since its first issue in May 1993. A total of 37 issues were published with the average of 10.1 articles per issue. Most articles were written in the Korean language (94.9%). In publication type of articles, 13.2% were review articles, 66.7% original articles, 18.0% symposium articles, and the rest other types. In affiliation analysis, most authors were from the academia (91.0%), next from the industry (5.8%), and thirdly from the authority (2.3%). The research field dealt with the highest (28.0%) was Pharmockinetics/Pharmacodynamics/Pharmacometrics (PPP), core of clinical pharmacology. Many articles in PPP field contained the randomized controlled prospective clinical trials, which are the highest level of evidence, indicating high quality of article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Clinical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reflects typically the specialized journal for clinical pharmacology. The internationalization efforts for our journal is also required.

      • KCI등재

        의료인문학의 실천적 모델로서의 위약효과

        임영채 전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0 건지인문학 Vol.0 No.29

        Although medicine has so far represented originally the complex characteristics which contains both scientific and artistic aspects, modern medicine has placed too much emphasis on the scientific medicine, i.e. biomedical model focusing mainly on the biological properties of diseases which are objective and measurable in order to treat diseases effectively. As a result, modern medicine attains outstanding success, but it deals with negligently and makes light of artistic aspects of medicine such as unique subjective experiences of individual patient, various circumstances of each individual, etc. This phenomenon leads to separate patients form diseases and disregards the context in which non-disease conditions occur. Modern medicine accordingly faces the serious crisis of dehumanization in the medical practice. Reflecting on the scientific medicine under these circumstances, medical humanities made an appearance to pursue more humane medicine on the basis of humanistic introspection. However, medical humanities demonstrates the realistic limitations of being unable to intervene in clinical situations where the direct process of disease treatment is unfolded. On the one hand, placebo effects are actually involved in the treatment of diseases in clinical field. Many characteristics of placebo effects also demonstrates the useful possibility of utilization for improving the various problems of modern medicine. This study therefore discussed detailed measures in which placebo effects as the practical model for medical humanities could be helpfully utilized.

      • Effects of Intracerebroventricular TFMPP on Rabbit Renal Function

        임영채,최종범,김경근,국영종,Lim, Young-Chai,Choi, Johng-Bom,Kim, Kyung-Keun,Kook, Young-Johng The Korean Society of Pharmacology 1992 대한약리학잡지 Vol.28 No.2

        신장기능조절에 있어서 중추 tryptamine계가 관련되어 있으며, $5-HT_1$수용체는 이뇨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반면에 $5-HT_2$ 및 $5-HT_3$수용체는 항이뇨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밝혀진 바 있다. 또한 $5-HT_1$수용체도 단일하지 않고 여러 subtype가 존재함이 알려져 있다. $5-HT_{1A}$수용체의 역할에 관해서는 신기능에 이뇨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시사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추 tryptamine성 신기능 조절에 있어서 $5-HT_{1B}$수용체의 역할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선택적 $5-HT_{1B}$ agonist인 TFMPP $8{\sim}750\;{\mu}g/kg$을 가토 측뇌실내로 투여하면 투여량에 비례하여 이뇨 및 Na과 K 배설의 증가를 초래하였으며, $250\;{\mu}g/kg$ 투여시에는 Na의 배설 분획이 5.44%까지 증가하였다. Na배설 촉진작용은 신혈류역학의 증가 보다도 훨씬 지속하여, 세뇨관에서의 Na재흡수 감소작용이 체액성 기전임을 시사하였다. TFMPP $250\;{\mu}g/kg$ icv투여시에 natriuresis와 함께 혈장내 atrial natriuretic peptide 농도가 약 6배 증가되었다. TFMPP $250\;{\mu}g/kg$을 정맥내로 투여하였을때는 뇌실내 투여시와는 상이하게 신기능에 별다른 유의한 변동을 초래하지 않았다. 이와같은 TFMPP의 diuresis 및 natriuresis는 각각 $5-HT_2$ 및 $5-HT_3$ 수용체의 선택적 antagonist인 ketanserin과 MDL 72222의 전처치에 의하여 차단되지 않았으며, methysergide에 의해서도 억제되지 않았다. 또한 $5-HT_{1A}$ antagonist로 알려진 NAN-190도 TFMPP의 작용을 차단하지 못하였으며 S(-)-propranolol도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 중추 $5-HT_{1B}$수용체는 신장기능에 이뇨 및 Na배설 촉진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고 이작용에 atrial natriuretic peptide가 관여함을 알 수 있었다. The central tryptaminergic system has been shown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regulation of renal function: $5-HT_1$ receptor mediate diuresis and natriuresis, whereas both $5-HT_2$ and $5-HT_3$ mediate antidiuresis and antinatriuresis. Recently, $5-HT_1$ receptors are further subdivided into many subtypes, and central $5-HT_{1A}$ subtype was shown to mediate diuretic and natriuretic effects.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delineate the role of $5-HT_{1B}$ subtype. Trifluoromethylphenylpiperazine (TFMPP), a selective $5-HT_{1B}$ agonist in doses ranging from 8 to $750\;{\mu}g/kg$ icv elicited diuresis, natriuresis and kaliuresis in dose-dependent fashion, with the fractional excretion of filtered Na reaching 5.44% with $250\;{\mu}g/kg$ icv. The natriuresis outlasted the transient increases in renal hemodynamics, suggesting humoral mediation in the decreased tubular Na reabsorption. Plasma concentration of atrial natriuretic peptide increased along with the natriuresis. Systemic blood pressure transiently increased. When given intravenously, no diuresis and natriuresis was elicited, indicating the central mechanism. The icv TFMPP effects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icv methysergide, a nonselective $5-HT_1$ blocker. Both ketanserin and MDL 72222, selective $5-HT_2$ and $5-HT_3$ antagonists, resp., did not abolish the TFMPP effects. Nor did NAN-190, $5-HT_{1A}$ blocker, affect the TFMPP effects. These observations suggest that central $5-HT_{1B}$ receptors may play a role in the central regulation of renal function by exerting diuretic and natriuretic influences, mainly through natriuretic factors.

      • KCI등재

        과학과 기예 사이의 교량으로서 위약효과- 의학시대별 위약과 위약효과에 대한 역사적 고찰

        임영채 한국의철학회 2017 의철학연구 Vol.24 No.-

        위약효과는 인류의 삶이 시작된 이래로 치유의 오랜 역사 속에서 항상 존재해 왔다. 각 시기별 의학의 시대적 상황에서 위약과 위약효과가 어떻게 이해되고 정의되었으며, 또한 어떻게 이용되고 실천되어 왔는가를 살펴보는 과정은 고스란히 의학의 역사를 반영하고 있다. 이글에서는 의학사의 흐름 속에서 변화해나가는 이들의 다양한 함의와 은유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의학에 대한 새로운 역사적 조망과 보다 완성도가 높은 의학을 실현해 가는데 일조하고자 한다. 의학의 역사를 살펴보면 특히 위약과 위약효과의 경우, 여러 대립적 요소들 사이의 활발한 변동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대표적으로 과학과 기예가 그러한 전형적 사례이다. 위약과 위약효과에 대한 역사적 변천사는 결국 의학 내에서 과학적인 측면과 기예적인 측면의 상호 역동적인 관계를 살펴보는 과정이다. 과학과 기예의 틀을 이용한 역사적 고찰 속에서 위약효과가 우리 인류에게 제공하는 여러 의미들을 논의하였다. 이러한 상충적 요소들 간에 위약효과가 어떠한 연결적인 교량 역할을 할 수 있는 가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 KCI등재

        의학의 지평을 확장시켜주는 위약효과

        임영채 한국의철학회 2018 의철학연구 Vol.26 No.-

        위약효과는 활성 성분이 없는 위약투여나 무해한 의료적 시술임에도 불구하고, 우리 몸에서 긍정적 효과의 치유가 일어나는 이상한 현상이다. 현대의학의 근간인 생의학은 위약효과의 생성 기전을 해명하지 못하고 있다. 생의학 기반의 현대의학이 질병 치료에 괄목할 만한 성과를 보여주었지만,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 글은 위약효과를 활용하여 현대의학의 문제점 개선에 기여하고자 먼저 위약효과의 위상을 현대의학의 두 축인 임상치료와 임상시험에서 간략히 살펴보았고, 이어서 생의학과 위약효과의 속성들을 각각 상세히 파악하였으며, 위약효과의 활용 가능성도 고찰하였다. 생의학과 상반적인 속성의 위약효과는 생의학 모델로는 설명이 불가능하다. 생의학은 생물학적인 몸을 대상화하여 질병의 특이적 표적을 겨냥하는 텍스트 중심적인 사유체계에 바탕을 둔 반면에, 위약효과에서는 생물학적 몸뿐만 아니라 ‘살아 있는 몸’을 중심으로 텍스트를 넘어 맥락의 영역까지도 다루고 있다. 기예-중심적, 질환-중심적, 경험적, 체화적, 수행적, 맥락적 측면들처럼 포괄적인 의학을 반영하는 위약효과의 특성들은 활용 잠재력이 지대하다. 위약효과의 연결적 속성들도 서로 상이한 영역들 간에 소통의 매개체 역할이 기대된다. 현대의학의 골칫거리로 치부되던 위약효과는 그간 우리에게 익숙해왔던 의학보다 더욱 지평이 확장된 새로운 의학의 세계로 여행을 허락해주는 여권 같은 존재일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