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배우자 사별 노인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의 변화와 그 예측요인

        임연옥,박재연,윤현숙 한국노인복지학회 2010 노인복지연구 Vol.0 No.50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ere to investigate elder’s perceived social support trajectory in widowhood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rajectory and their effect factors such as sex, education, number of children, region, and duration of widowhood. Four-wave panel data from Hallym Aging Panel Study were used for the Latent Growth Model Analysis. The sample consisted of 515 elders who were bereaved of their spouse in Chuncheon, 2003. As a result, the longitudinal change of social support was increased linear. The mean of intercepts was 17.967 and its individual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ean of slops was 0.804,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lso, sex affected only the intercept of social support, and education and number of children affected the intercept and the slop of social support.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special attention should paid to male elders in order to increase the their intercept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be careful not to jump the conclusion that elders who have higher education and more children may perceive more social support. Indeed, long term perspective should be needed in social support program development and evaluation for widowed elders. 본 연구는 종단연구 자료를 활용하여 배우자와 사별한 노인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의 변화 궤적을 밝히고, 사회적 지지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변인들을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2003년부터 2009년까지 네 번에 걸쳐 수집된 한림고령자패널 자료 중 1차 조사 시점인 2003년에 춘천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으로 배우자와 사별한 515명을 대상으로 이들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수준의 종단변화를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사별 노인들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선형으로 변화함을 확인하였다. 사회적 지지의 초기치 평균은 17.967점으로 개인들 간에 차이가 있었으며, 사회적 지지의 변화율 평균은 0.804이었으나 개인들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연령을 통제한 상태에서 성은 사회적 지지의 초기치에 영향을 미쳤으나 변화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학력과 자녀 수는 초기치와 변화율에 모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배우자와 사별한 노인의 사회적 지지를 높이기 위해서는 남성 노인의 사회적 지지의 초기치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자녀를 많이 두거나 학력이 높은 사람이 항상 사회적 지지를 더 많이 받는다고 단편적으로 결론을 내리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배우자 사별 노인을 대상으로 한 사회적 지지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과 평가에 있어서 장기적인 안목을 가지고 접근하여야 함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정년퇴직 남성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경험과 그 과정에 관한 연구

        임연옥,이석미,김미혜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09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Vol.6 No.-

        본 연구는 근거이론 방법을 활용하여 정년퇴직을 한 남성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경험과 그 과정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교사, 공무원, 회사원, 군인 등으로 정년퇴직한 남성 8명을 심층 인터뷰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남성 노인의 봉사활동 경험에 대해 157개 개념, 46개 하위범주, 17개 범주로 유목화하였다. 패러다임모형에서 '마음 붙일 곳을 찾고자' 하는 인과적 조건을 통해, '관성화된 생활'을 하는 중심현상이 나타났다. 이러한 중심현상의 맥락적 조건은 '개인적 여유', '개인적 소양', '주위 여건'이었으며, '관계 조절', '자기계발', '활동관리'로 구성되는 작용/상호작용 전락의 중재 조건은 '자원봉사센터의 관리', '가족과 타인의 시선'이었다. 그 결과로서 남성 노인들은 봉사활동을 '일상화'하고 있는데, 다양한 '보상'을 받고 자부심을 느끼고, 다른 사람들에게 봉사활동을 '권유'하며, 봉사활동에 대한 '비판적 의견을 제시'하고 '행동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년퇴직한 남성 노인의 봉사활동의 핵심범주는 '나다움을 유지하기 위한 버팀목'이었으며, 이는 봉사활동을 통해 정년퇴직 이전에 지니고 있던 자아상을 정년퇴직 후에도 계속 유지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과정을 분석한 결과 정년퇴직 전의 고민스러운 단계, 퇴직 후 무료한 생활 단계, 봉사활동 신청 후 기다림의 단계, 활동 배치 후 쑥스러운 단계, 활동 지속을 위해 노력하는 단계, 일상화된 단계의 6단계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정년퇴직 후 봉사활동에 참여하게 된 동기 및 봉사활동을 지속하도록 하는 영향 요인과 그 과정을 구체적으로 밝힘으로서 노년층에 진입하기 시작하는 베이비붐 세대의 봉사활동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ain the experience of retired men doing volunteer work and its process. This study uses the grounded theory method based on Strauss and Corbin.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8 men aged over 65, and who were retired from the full time job. With the data analysis, 157 concepts, 46 subcategories and 17 categories were generated in open coding. In axial coding, a paradigm model was proposed as follows: The causal condition was ‘Looking for something to concentrate his energy’ and the central phenomenon was ‘Living habitually’. The contextual conditions were ‘Capability,’ ‘Way to access’ and ‘Attainment’. The intervening conditions were ‘Volunteer center’s system,’ and ‘Social support’.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were ‘Interaction with social worker,’ ‘Self discipline,’ and ‘Schedule management’. The internal consequence was ‘Doing volunteer work easily’ through ‘Understanding volunteer work,’ ‘Receiving benefits,’ ‘Having a critical view point,’ and ‘Acting out’. The core category is ‘The supporting log to preserve self-concept continuing on middle age’. The experience process takes 6 stages: (l)Before retirement: worrying about and preparing, (2)A couple of month after retirement: wandering and stressful, (3)Applying to volunteer work: expecting but feeling anxious, (4)Arranging volunteer work: feeling shy and coming into conflict with other volunteer, (5)Making efforts to continue: managing relationship, doing self discipline, adjusting schedule, and (6)Doing volunteer work easily: being proud of oneself, in other hand worrying about life after quitting volunteer work. Through understanding the retired men’s volunteer work experience and its process, it provides the basis to develop the volunteer program for baby boomer who are expected to retire. Also, this research is to give suggestions about how to support the men volunteer elder and how to change the volunteer system.

      • 한국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 - 질적 메타분석의 적용 -

        임연옥 한림대학교 생사학연구소 2022 생사학연구 Vol.3 No.-

        This study attempted a qualitative meta-analysis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Koreans’ attitudes toward death and to interpret integrated. From January 11 to 24, 2022, through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RISS) site, 21 qualitative research paper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criteria. Each qualitative research subject was analyzed by applying Noblit & Hare (1988)’s 7 steps of qualitative meta-analysis. As a result, Koreans perceive death uncertainly, and feel psychologically painful due to the uncertain cognitive state. As they feel death as painful, they take action to die comfortable or to have an intention to act. In this study, it was revealed that Korean are pursuing a ‘comfortable death’ by interpreting Koreans’ attitudes on death integrated way in terms of cognition, affection, and behavior. Additionally, basic data were provided for establishing polices related to the Koreans’ comfortable death and seeking intervention for death preparation.

      • KCI등재

        대학생의 노인생애체험 프로그램 경험 과정

        임연옥,류삼희,석재은 한국노인복지학회 2011 노인복지연구 Vol.0 No.54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present the experience process of undergraduates’ Aging Simulation Game(ASG). Us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 based on Strauss and Corbin, reports of 63 students' ASG experience were analyzed. In open coding, 102 concepts, 27 subcategories, and 12 categories were generated. In axial coding, a paradigm model was proposed as the following: feelings before starting ASG, switching into elder's body, elderly-friendly environments as shock-absorbers, emotional responses, cognitive changes, and applications. Their experience process was to make our later lives less difficultly through adjusting psychological changes as well as applying interesting ideas which decrease the shocks of uncomfortable elder's body. The experiences were processed as the following: having doubts and curiosity before starting, feeling aging anxiety and compassion to the elders, changing in cognitive such as comprehension of elder's behaviors and reflection of their attitudes, and thinking of preparing their later lives and applying the ideas of elderly-friendly surroundings to the grandparents’ and other elders’ lives. This research aids the coordinators to facilitate the effects of ASG by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changes. 본 연구는 노인에 관한 교육의 일환으로 실시된 노인생애체험 프로그램에 참여한 63명 대학생들의 경험 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근거이론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102개 개념, 27개 하위 범주, 12개 범주를 도출하였고, 패러다임은 참여에 대한 반응, 노인의 몸, 완화 장치, 정서적 반응, 인지적 변화, 실천과 적용, 6개로 구성하였다. 대학생들의 노인생애체험 경험 과정은 ‘버거운 몸으로 말미암은 충격을 신기한 아이디어들로 완화하고 내면의 소용돌이를 다스려 덜 힘든 우리의 노후를 꾀함’이었다. 연구참여자들은 호기심과 의구심을 가지고 체험에 임하였으며, 체험복 착용으로 불편해진 몸으로 일상생활동작을 하고 고령 친화 환경을 이용하였다. 이 과정에서 연구참여자들은 두려움, 노화에 대한 불안과 노인에 대한 연민과 같은 정서적 반응, 과거 자신의 태도를 반성하고 노인에 대해 이해하는 인지적 변화, 그리고 자신의 노후를 준비할 뿐만 아니라 가족과 사회의 노년에 대해 관심을 갖고 덜 힘든 노후를 위해 깨달은 바를 적용하고 실천하는 행동의 변화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체험 프로그램 진행자들이 체험 참여자들의 변화 과정을 이해하도록 돕는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KCI등재

        친숙한 지역사회에서 존엄하게 늙어가는 것은 어떻게 가능할까?: 농촌과 도시 거주 노인 간Aging in Place 모델과 경로 비교 분석

        임연옥 한국노인복지학회 2016 노인복지연구 Vol.71 No.3

        Focusing on the ‘aging in place’ which impacts the quality of life in later life, the present study is designed through AIP model including personal factor, physical environment factor, and social environment factor through reviewing theoretical perspectives and previous researches. The aim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suitability of the AIP model based on the data from 1,000 older adults in Chuche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AIP model fitted well to elderly in rural area as well as those in the urban area. Among the paths from personal factors to AIP duration and AIP recognition, 4 paths in rural elderly group and 7 paths in urban elderly group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o we found that the paths for success of AIP were different between rural elderly group and urban elderly group. These results provided basic data and directions in constructing the support systems for AIP. 본 연구는 노인들이 그동안 살아온 주택과 지역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살아가는 Aging in Place가 노년기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에 주목하고, 노화와 환경에 관한 이론적 접근들과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개인 요인과 물리적 환경 요인 및 사회 환경 요인을 포함한Aging in Place 모형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도농복합도시인 춘천 거주 노인 1,000명을 대상으로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의 다집단 분석을 활용하여 연구모형의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농촌과 도시 지역에서 모두 AIP 모형이 적합함을 확인하였고, 개인 요인으로부터 AIP 기간과 AIP 인식에 이르는 여러 경로들 중 농촌 거주 노인집단에서는 네 개경로, 도시 거주 노인집단에서는 7개 경로가 유의미하여 농촌과 도시 간에 AIP 실현 경로가다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농촌과 중소도시에 거주하는 노인의 AIP를 실현하기 위한 지원 체계를 구축함에 있어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그 방향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항암화학요법 치료 노인 암환자가 우울에 이르는 스트레스 과정 : 영성, 낙관성, 가족 지지의 스트레스 중재요인을 중심으로

        임연옥,윤현숙,남일성,김여진,이현주,최경원 韓國老年學會 2014 한국노년학 Vol.34 No.4

        본 연구는 Pearlin(1981)의 스트레스 과정 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항암화학요법 치료를 한 노인 암환자가 경험하는 신체증상과 치료부작용 및 암걱정(스트레스 원)이 우울(스트레스 결과)을 유발시키는 과정에서 스트레스 중재요인인 영성, 낙관성, 가족 지지가 미치는 영향관계를 연구모형으로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55세 이상 암환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된 600명 자료 중 항암화학요법 시행 중이거나 치료 후 경과관찰 중인 노인 암환자 269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연구모형의 모형적합도도 양호하였으나 영성과 암 걱정에서 우울에 이르는 경로를 삭제한 경쟁모형이 간명하게 실제 자료에 더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중재요인인 영성은 우울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영성이 또 다른 중재요인인 낙관성과 가족의 지지를 이중매개로, 그리고 영성이 낙관성을 1차 매개로 하여 스트레스 원인 피로감과 수면장애를 각각 2차 매개로 하여 노인 암환자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 효과가 유의미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스트레스 중재요인 중 낙관성이 가족의 지지와 신체증상 및 치료부작용 등을 지각하는데 중요하며, 낙관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입에 있어서 영성 계발과 연계되어야 효율적임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항암화학요법 치료를 한 노인 암환자가 우울에 이르는 스트레스 과정을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노인 암환자의 우울 경감을 위한 실천적 제안을 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direct and mediated contributions of stress mediators(spirituality, optimism, and family supports) to stress sources(symptom, side effects and worry related with cancer) and depression among older cancer patients(stress outcome). Applying Pearlin(1981)'s 'Stress Process Model', the research model was proposed, and tested to the 269 older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Spirituality(stress mediator)was not found to contribute to depression directly. Spirituality was found to decrease to depression indirectly through the mediation of more optimism and more family support, the mediation of more optimism and less fatigue, and the mediation of more optimism and less sleep problems. The results showed the comprehensive framework of the older cancer patient's depression. Therefore, the results suggested the interdisciplinary intervention program based on the association spiritualty and optimism will effectively decrease depression in older cancer patients.

      • KCI등재

        노년기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이르는 과정: 사회적 지지, 삶에 대한 통제감, 우울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임연옥,윤현숙 한국노인복지학회 2017 노인복지연구 Vol.72 No.1

        Applying Pearlin(1981)’s ‘Stress Process Model’ and reviewing previous researches, our researchers proposed the research model including the paths of the elderly stress to the suicidal idea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uitability of the research model and to test the direct effect and the mediated effects of stress mediators (social support and mastery) and the first stress response (depression), based on the survey data from 2,034 elderly in Chunche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The research model fitted well to the elderly. Among the paths from the elderly’s stress to suicidal ideation, 3 path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physical pain increased to suicidal ideation directly. The poverty was found to increase to suicidal ideation indirectly through less financial support, and more depression. Moreover, the isolation was found to increase the suicidal ideation indirectly through less emotional support, less mastery and more depression. Therefore, the results contributed to suggest how to prevent on elder's suicide. 본 연구는 스트레스 과정 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노년기 스트레스인 빈곤, 신체적 통증과사회적 고립이 스트레스 중재요인인 사회적 지지와 삶에 대한 통제감, 그리고 1차 스트레스결과인 우울을 매개로 하여 자살생각을 유발하는 경로를 연구모형으로 설정하고, 춘천 거주노인 2,03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연구모형의 모형적합도가 양호함을 확인하였고, 신체적 통증이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 경로, 빈곤이 경제적 지지와 우울을 이중 매개하여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 경로, 사회적 고립이 정서적 지지, 삶에 대한 통제감, 우울을 삼중 매개하여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을 밝혀 노년기 스트레스의 유형에 따라 자살에 이르는 경로가 다름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노인 자살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적극적인 통증 관리와 함께 우울을 유발하는 빈곤과 사회적고립에 대한 사회복지적 개입이 자살 예방에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베이비 붐 세대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노부모 세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임연옥,박재연,윤현숙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1 비판사회정책 Vol.- No.3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predict life satisfaction of baby boom generation, comparing them to those of aged parents' generation. The data, collected from 159 persons in the baby boom generation and 122 persons in their aged parents generation respectively, were examined via the statistics software SPSS 13.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o the baby boom generation, subjective economic status, subjective health, residential district, existent spirituality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variables for life satisfaction. Secondly, to aged parents‘ generation, only subjective economic status was identified as significant variables for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of the baby boom generation, the government should guarantee their economic stability. In addition, professionals of baby boom generations should develop their spiritual growths. 국문초록최근 정년퇴직을 시작한 베이비 붐 세대는 그들의 노부모 세대와는 양적으로, 질적으로 다른 특성을 지닌다. 본 연구는 베이비 붐 세대의 삶에 대해 관심을 갖고, 그들의 삶에 대한 만족도와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함과 동시에 노부모 세대의 삶의 만족도 및 영향요인과 비교하여 봄으로써 노부모 세대와 구별되는 베이비붐 세대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베이비 붐 세대 159명과 노부모 세대 122명을 대상으로 삶의 만족 정도를 살펴본 후, 개인적 요인, 가족 요인, 가치관 요인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두 세대 모두 삶의 만족도가 100점 만점에 60점대에 머물러 높지 않았으며, 두 세대 간의 삶의 만족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에 대한 비교분석 결과 주관적 경제상태가 베이비 붐 세대와 노부모 세대에 영향을 주는 공통요인, 실존적 영성이 베이비 붐 세대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베이비붐 세대와 노부모 세대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에 해당하는 경제적 안정을 우선적으로 보장하여야 하며, 베이비붐 세대의 삶의 만족도를 보다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개인의 삶의 의미와 목적을 찾도록 돕는 영성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코로나19 이후 노인 정서 변화 유형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임연옥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22 Crisisonomy Vol.18 No.6

        This study was attempted to find the factors that affected the types of emotional change in the elderly after COVID-19. Using the panel data at two longitudinal points in 2018 and 2020 among ‘Chuncheon Elderly Living Condition Survey’, the types of emotional change were categorized into normal sustained, depression transition, depression sustained, and normal recovery type. The effect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lifestyle changes after COVID-19 on the types of emotional change were analyzed. As a result, when pain and quality of sleep worsened, or frequency of calls with children/friends/neighbors and meeting frequencies with siblings/friends decreased, probability of belonging to depression transition type increased compared to normal sustained type. In addition, when number of meals increased, or meeting frequencies with friends and frequency of calls with siblings increased, probability of belonging to normal recovery type increased compared to depression sustained type. Based on the results, the alternatives are proposed to prevent depression caused by the effects of COVID-19 and to restore the depressed emotions to the normal state. 본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노인의 정서 변화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시도되었다. ‘춘천노인생활실태조사’ 패널자료 중 종단 2개 시점인 2018년과 2020년 자료를 활용하여 코로나19 이후 정서 변화를 정상유지, 우울전환, 우울지속, 정상회복의 네 가지로 유형화하였고,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코로나19로 인한 생활 변화 요인이 정서 변화 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통증과 수면의 질의 악화, 자녀와 친구⋅이웃과의 비대면 소통 횟수의 감소, 형제자매와 친구와의 만남 횟수의 감소가 정상유지형에 비해 우울전환형에 속할 가능성을 높였다. 코로나19 이후 식사 횟수의 증가, 형제자매와의 전화 통화 횟수 증가와 친구와 만남의 횟수 증가가 우울지속형에 비해 정상회복형에 속할 가능성을 높임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코로나19로인한 노인 우울을 예방할 뿐만 아니라 정서를 정상으로 회복시키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