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적재산으로서 요리 창작물의 보호에 관한 연구

        임병웅 한국지식재산학회 2023 産業財産權 Vol.- No.75

        The current intellectual property law may offer partial protection for culinary creations, but it does not appear to provide sufficient protection for these creations. Despite operating within an environment characterized by low IP equilibria, the food service industry has developed and progressed through autonomous protection based on community norms, fostering creativity and innovation while maintaining its own order. However, given the recent expansion of the food service industry and advancements in science and technology, the autonomous protection driven by community norms has also started to reveal its limitations.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both the protection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intellectual property law, as well as the protection and limitations provided by community norms. Subsequently, it proposes potential avenues for improvement after analyzing the direction of protection. Specifically, to fulfill the values desired by chefs in the food service industry, such as protection, collaboration, sharing, and recognition, this paper suggests gradually expanding the protection of culinary creations through trade dress and design. Also, this expansion aims to clarify the extent of copyright protection for the literary expressions found in recipes or culinary books, even though not recipes themselves. In addition, while extending community norms to social norms for the recognition of chefs and response to new business areas, it was proposed to focus on source indication of recipe creators and standardization of recipe presentation rather than a sanction by norms.

      • KCI등재후보

        일반계 고등학생의 진로 및 직업에 대한 인식과 진로교육 개선방안

        임병웅 대한공업교육학회 2009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survey to identify how high school students think about career guidance and job and 2) to pursue effective career guidance.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 first, most students have thought about their career. They chose friends as a counselor for their future. Among respondents, 39.84% of them said they did not consult with teachers. They said academic record is a stumbling block in choosing career. Second, many students responded career guidance should start at ‘Junior High school’. 76.56% of respondents said they were lack of career guidance resources. With respect to career, an important subject was shown as the following order: social study, English, Korean, Science and Math. Third, students recognized the face that aptitude and ability should be the utmost important factors in choosing career. They chose mass media as a main source to gain information relative to career, which accounted for 52.34% and 20.31% for teachers. In the case of students who have rather ‘poor’home background, teachers were the main sources for career information, whose proportion was relatively high. Forth, parents were the most influential people who helped students choose which high school to go(40.69%). In terms of scope of higher education, 65.63% said they wanted to graduate university. Students who has good academic records and good home environment wanted to pursue Master’s or Doctor’s degrees. 70.31% of respondents said they attended a high school just because they wanted to have a desired job.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교육과 직업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 조사를 통해 효율적인 진로교육 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이다. 연구결과 첫째, 대부분의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에 대해 생각하고 있었다. 미래에 대한 대화상대로는 친구가 가장 선택했고, 학교 선생님과 상담을 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학생이 39.84%로 높게 나타났다. 진로 선택 시 장애가 되는 요인으로는 학업 성적을 가장 크게 보고 있었다. 둘째, 많은 학생들이 진로교육의 시작 시기는 '중학교'가 적절하다고 응답했고, 학교가 제공하는 진로교육 자료가 부족하다고 응답한 학생이 76.56%로 높게 나타났다. 학교에서 진로에 대해 많이 배우는 과목은 사회, 영어, 국어, 과학, 수학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들은 직업을 선택할 때에는 적성과 능력이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학생들이 직업에 대한 정보를 습득하는 주요 경로는 매스컴이 52.34%로 가장 높았고, 교사는 20.31%로 나타났다. '좋지 않은' 가정환경의 학생들의 경우 '교사로부터 직업에 대한 정보를 받는다'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넷째, 고등학교 진학에 가장 영향을 많이 준 사람으로는 부모님이 46.09%로 높게 나타났다. 진학하고 싶은 상급학교 수준으로는 대학교까지가 65.6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생활형편과 성적이 좋을수록 대학원이상의 진학을 희망하고 있었다. 일반계 고등학교에 진학하는 이유는 '희망하는 직업을 갖기 위해서'라고 응답한 학생이 70.31%로 가장 많았다.

      • KCI등재

        발명교육 프로그램 평가준거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임병웅,최완식 대한공업교육학회 2020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invention education by presenting basic evaluation criteria that can be used when designing and preparing invention education programs in various educational institutions that operate invention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age of the Invention Education Program was named '4P stage' as 4 stages of 'Planning, Preparation, Process, and Product'. Second, the areas of evaluation of the planning stage of the invention education program are 'goal setting, demand analysis' and curriculum design. The preparatory stage evaluation area is 'Developing an Invention Education Program, Securing Human Resources, Securing Physical Resources'. The evaluation area of the course level is 'program operation, program management, learner management'. The evaluation area of the calculation stage is 'education performance, achievement results, and education evaluation'. Invention education program evaluation criteria will play a role to enhance and manage the quality of invention education program. In addition, it is judged that this will be the basic data for developing evaluation criteria for the invention education program through the reconciliation process through reflux and the validation process of related experts at various invention education institutions. 이 연구의 목적은 발명교육을 운영하는 다양한 교육기관에서 발명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준비할 때 활용할 수 있는 기초적 평가준거를 제시하여 발명교육의 효과와 효율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이에 따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명교육 프로그램의 단계는 ‘계획(Planning), 준비(Preparation), 과정(Process), 산출(Product)’의 4단계로 ‘4P 단계’로 명명하였다. 둘째, 발명교육 프로그램의 계획 단계 평가 영역은 ‘목표 설정, 요구 분석’, 교육과정 설계’이다. 준비 단계 평가 영역은 ‘발명교육 프로그램 개발, 인적 자원 확보, 물적 자원 확보’이다. 과정 단계 평가 영역은 ‘프로그램 운영, 프로그램 관리, 학습자 관리’이다. 산출 단계 평가 영역은 ‘교육 실적, 성취 결과, 교육 평가’이다. 이상의 발명교육 프로그램 평가준거는 발명교육 프로그램의 질을 제고하고 관리할 수 있는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다양한 발명교육 기관에서의 환류와 관계 전문가들의 타당화 과정을 통한 조정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발명교육 프로그램의 평가준거를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 Report - 강한 특허의 창출 전략

        임병웅,Im, Byeong-Ung 한국발명진흥회 2012 發明特許 Vol.37 No.3

        강한 특허의 정의와 창출하기 위한 전략을 개략적으로 소개하고자 한다.

      • KCI등재

        권리범위확인심판에서 확인대상발명의 특정에 관한 소고

        임병웅,윤선희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9 지식재산연구 Vol.14 No.3

        To specify declaration target invention is very important in that it is a legality requirement of the claim for judgment and clarification of the object of judgment as a part of the purpose of the claim. Meantime, the patent scope declaration trial has a unique function in that it makes a contribution to prevention or early termination of the dispute between the parties by simply and quickly judging whether an embodiment is included in the scope of objective validity of a patent right, and thus it is necessary to induce the trial to play an active role in preventing the dispute between interested parties by activating the patent scope declaration trial, but the proportion of being dismissed without receiving the trial decision is considerably high due to the problem of specifying the declaration target invention. Therefore, in this article, we tried to investigate the methods and criteria of judgments in various aspects related to the specification of the declaration target invention, and to establish the theoretical method and to consider the measures to reduce the rate of rejection such as shifting the burden of proof. Specifically, our study was conducted in the way of discussing and critical reviewing cases in Korea. 확인대상발명이란 특허발명과 대비되는 발명으로서 특허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지 여부의 판단대상이 되는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말한다. 권리범위확인심판이 구체적으로 문제된 실시 형태에 대하여 특허권의 효력이 미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권리관계의 확정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권리범위확인심판에서 실시 형태를 가공한 확인대상발명은 단순히 특허발명의 권리범위를 확인하기 위한 잣대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실질적인 심판의대상이라고 할 것이다. 따라서 확인대상발명의 특정 문제는 심판청구의 적법요건이자 청구취지의 일부로서 심판의 대상을 명확히 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한편, 권리범위확인심판이 간이하고 신속하게 실시 형태가 특허권의 객관적인 효력범위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함으로써당사자 사이의 분쟁을 사전에 예방하거나 조속히 종결시키는 데에 이바지한다는 점에서 고유한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권리범위확인심판을 활성화시켜 이해 당사자의 분쟁을 방지하는 데 적극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하는데 확인대상발명의 특정의 문제로 인해 본안심결을 받지 못하고각하되는 비율이 상당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확인대상발명의 특정과 관련되어 여러 국면에서의 판단방법과 기준을 탐구하여 이론적으로 정립하고, 각하되는 비율을 줄이기 위해 입증책임의 전환 등의 방안을 고민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우리나라 판례를 중심으로 논의하고 비판적 고찰을 하는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 KCI등재

        요리의 공동체 규범에 의한 자율적 보호에 관한 연구

        임병웅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법학논총 Vol.39 No.3

        Autonomous protection by norms in the community of the food service industry helps explain how the food service industry thrives with this low-level intellectual property balance. Autonomous protection of community norms is to establish norms in a community and impose autonomous sanctions such as damaging members' reputations or expelling members from the community if they violate the norms. However, imitation cases of culinary creations have increased recently as the food service industry grows and 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 Such a tendency proves that community norms do not properly protect creative chefs and the food service industry. These limitations are likely to lead chefs and restaurant owners to demand supplementing community norms or to expand legal protection system to internalize the content of such community norms. Therefore, in this paper, after examining how culinary creations were protected and their limitations were examined by the current laws and community norms, improvement measures have been suggested. 외식업계에서 요리의 공동체에서 규범에 의한 자율적 보호는 낮은 수준의 지적재산 균형이 이루어진 외식산업이 어떻게 번창하는지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된다. 공동체 규범의 자율적 보호란 공동체에서 규범을 정하고 그 규범을 위반하면 구성원의 평판을 나쁘게 만들거나 구성원을 그 공동체에서 추방하는 등의 자율적인 제재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 외식산업이 성장하고 과학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요리의 모방사례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기존의 공동체 규범만으로는 창의적인 요리사, 외식업계를 적절하게 보호하지 못하는 증거가 되고 있다. 이러한 한계는 요리사와 레스토랑 소유주가 그러한 공동체 규범을 보완하거나 규범의 내용을 내재화한 지적재산법 보호 확대의 추진을 요구하도록 이끌 것으로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요리의 공동체 규범에 의한 보호의 내용과 그 한계를 살펴보고, 공동체 규범에 내재한 가치 고찰을 통한 방향성의 설정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교육대학교에서 실과 심화 전공과정을 이수한 초등교사의 기술적 사고성향에 대한 연구

        남승권,임병웅,김연세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3 實科敎育硏究 Vol.19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에서 실과교육을 지도하는 교사의 자질을 함양하기 위해 교육대학교에서 실과 심화 전공과정을 이수하고 초등학교에서 실과를 지도하고 있는 교사의 기술적 사고성향을 파악하는 데 있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술적 사고성향 검사 도구를 검사 도구로 선정하였고, 초등 실과 교사 150명, 중등 기술교사 150명, 초등 일반교과 교사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설문 조사 후 독립표본 t 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그리고 사후분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실과교사는 초등학교 일반교과 교사와 비교하여 모든 요인에서 높은 기술적 사고성향을 보였다. 그러나, 중등학교 기술교사와 비교하여 기술적 호기심 성향과 기술적 조작 성향 요인에서 낮은 기술적 사고성향을 보였다. 이를 통해 초등교사의 기술적 호기심 성향과 기술적 조작 성향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실과교사는 연령에 따라 기술적 분석 성향, 기술적 조작 성향, 기술적 호기심 성향, 기술적 계획 및 성찰 성향 요인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기술적 조작 성향은 20대 교사가 높았지만 기술적 조작 성향을 제외한 다른 요인은 50대 교사가 높았다. 이를 통해 젊은 교사들의 전반적인 기술적 사고성향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초등학교 실과교사는 성별에 따라 기술적 계획 및 성찰 성향을 제외한 모든 기술적 사고성향의 하위 요인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남교사들의 기술적 사고성향이 여교사들에 비해 높았다. 이를 통해 실과교사들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교사의 성별을 고려한 교육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technological thinking disposition of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that completed the practical arts intensify specialize course in education of University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elementary school practical arts teacher. To achieve the purpose technological thinking disposition measurement instrument was selected as a measurement instrument, and survey was conducted to 150 elementary school practical arts teacher, 150 middle school technological teacher, and 150 elementary school general subject teacher. After the survey data were analyzed by independent sample t-test, one way variance analysis, and post analysi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lementary school practical arts teacher's technological thinking dispositions were more higher than general subject teacher in all factors. But there were lower dispositions at technological curious disposition and technological manipulating disposition compare to secondary school technology teacher. Through this result we could know that more efforts are needed to enhance the elementary school practical arts teacher's technological curious disposition and technological manipulating disposition. Second, by the age of elementary school practical arts teac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echnological analyzing disposition, technological manipulating disposition, technological curious disposition, technological planning and reflecting disposition, and especially twenties teacher's disposition was the most highest in technological manipulating disposition but most of the fifties teacher's dispositions were the highest except technological manipulating disposition. Through this result we could know that there is a necessity of effort to enhance the young teacher's overall technological disposition. Third, by the gender of elementary school practical arts teac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all the factors except technological planning and reflecting disposition, and especially male teacher's technological thinking was more higher compare to female teachers. Through this result we could know that when we are develop the education program on the practical arts teacher there is a necessity of establishment of education plan that considering gender.

      • KCI등재

        기술·가정 교사자격증 통합표시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윤인경,노태천,임병웅,유인영 한국직업교육학회 2008 職業 敎育 硏究 Vol.27 No.4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larify the problems aroused from technology·home economics, the two integrated subjects which has been integrated even since the execution of the 7thnational curriculum in 2000, indication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certificate, and suggest the possible solutions. Conclusion and suggestions through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process of raising teachers, issuing the technology ·home economics certificate through inter-disciplinary program mainly takes place in departmen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n university. However, some of such universities without department of technology education executed inter-disciplinary program with courses in college of technology, allowing acquiring certificate only with 14 credits of technology. Second, while examining the teacher certificate system in foreign countries, it has been noted that subject that indicates secondary school teacher’s certificate, in this case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is found only in Korea. Even Japan, which has been running technology and homeeconomics for 40years, technology was taught by teachers with technology-certificate, and homeeconomics by teachers with homeeconomics-certificate. Thirdly, even in survey on qualification of technology· home economics indication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certificate, most of the teachers and professors claimed that there is no need to obtain indication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certificate via second major nor inter-disciplinary program. Thus, in order to promote the expert skills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life subject which underscores hands on experiments,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indication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certificate system should be abolished. 이 연구는 제 7차 교육과정의 시행과 함께 2000년부터 통합되었던 기술·가정 교사자격 표시과목의 문제점을 밝히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결과를 통한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양성과정에서 연계전공을 통한 ‘기술·가정’ 자격증의 발급은 주로 ‘가정교육과’에서 실시하고 있었다. 그러나 ‘기술교육과’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대학에서는 공과대학에 개설된 과목에 연계하여 기술영역의 14학점만을 이수하여 자격증을 취득하도록 하고 있었다. 둘째, 외국의 교사자격증 제도를 살펴본 결과 중등교원 자격증 표시 과목 ‘기술·가정’은 세계 어느 나라에서도 그 유례를 찾아 볼 수 없었으며 ‘기술·가정’교과를 40여년 전부터 설정하여 운영하고 있는 일본에서도 기술은 기술자격증 소지교사가 가정은 가정자격증 소지 교사가 가르치고 있었다. 셋째, ‘기술·가정’ 통합표시과목 자격에 관한 설문조사에서도 대부분의 교사와 교수들이 ‘기술·가정’통합표시과목 자격 취득을 위한 부전공 및 연계전공이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따라서, 실험, 실습을 강조하는 생활교과인 기술교과와 가정교과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기술·가정’ 통합표시과목 자격증 제도는 철폐되어야 한다.

      • KCI등재후보

        정보영재 학생의 좌ㆍ우뇌 활용 성향 연구

        남승권,최완식,임병웅 대한공업교육학회 2008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ome necessary baseline data to the information prodigy related research through the study on the brain left/right tendency of information prodigies. Subjects were 298 gifted students(59 information, 79 mathematics, 80 science, 40 invention, 40 social science) and 114 general students summing up 412 in the schools of Daejeon metropolitan area. 'Brain Tendency Test' developed by Torrance and modified by Ko in Korean was used as a tool to measure the prodigies' brain tendencies. Data analysis has been done with the χ2 test of frequency with the alpha = .05.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information gifted students have tendencies of utilizing right brain hemisphere at the most, both left/right brain(whole brain) utilization at the second, and left brain utilization at the last. 2) There was statistically no difference between information prodigies and general students in the left/right brain tendency. 3) There was statistically mild evidence to support the notion that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brain tendency between the group of information prodigies and the group of other area of the prodigies. The degree of inclination to utilize the whole brain hemisphere for the prodigies of the other area was the highest compare to other left/right brain utilization while the information prodigies tend to utilize the right brain hemisphere at the most. 4) The female information prodigies have tendencies of utilizing while brain area at the most, right brain utilization at the second, and left brain utilization at the last contrary to the brain utilization tendencies in the male information prodigies which are the same as the brain utilization tendencies of the information prodigies.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brain tendencies statistically between the two groups since the female subjects were too small. 이 연구의 목적은 정보영재 학생의 좌ㆍ우뇌 활용 성향을 연구하고 이를 통해 정보영재교육에 관련된 연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의 대상으로는 대전광역시교육청 영재학생 298명(정보 59명, 수학 79명, 과학 80명, 발명 40명, 인문 40명) 및 일반 학생 114명 등 총 412명을 선정하였으며, 검사 도구는 Torrance 등이 개발하고 고영희가 우리나라 실정에 맞도록 수정 보완한 '뇌 선호도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처리는 빈도분석 및 χ2-검증을 통해 실시하였으며, α = .05 수준에서 유의도를 검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영재 학생은 우뇌를 특히 많이 쓰는 성향이 있으며, 그 다음으로 통합뇌 및 좌뇌의 순으로 뇌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보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의 뇌 활용 성향을 비교하였을 때 두 집단 간에는 뇌 활용 성향에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우뇌 활용을 선호하는 정보영재 학생과는 달리 다른 분야 영재 학생은 통합뇌를 활용하는 성향이 가장 높았다. 통계적으로도 두 집단 간에 어느 정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보영재 학생 중 남학생은 정보영재 학생 집단 전체에서 보인바와 같이 우뇌를 특히 많이 사용하고, 통합뇌 및 좌뇌의 순으로 뇌를 활용하는 성향을 보인 반면, 여학생은 통합뇌, 우뇌 및 좌뇌의 순으로 뇌를 활용하는 성향을 보였다. 그러나 통계적으로는 여학생에 대한 샘플의 수가 적어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있다는 증거를 찾지는 못하였다.

      • KCI등재

        중․고등학생의 기술적 사고성향 구성요인에 대한 연구

        최완식,노태천,이소이,윤자룡,남승권,임병웅 한국기술교육학회 2010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0 No.2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classify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echnological thinking disposition to improve the technology education activity and laid the foundation related to thinking in technology education. The survey and literature research conducted to achieve this objective. In the literature research, the concepts of thinking and thinking disposition were evaluated and the factors composing thinking and thinking disposition were searched. As of the result, total of 156 thinking factors were concluded and 77 factors out of the 156 thinking factors were selected as the element composing technological thinking and 86 inquires were chosen after reviewing preliminary survey inquires. As for the survey, Delphi research and factor analysis were followed. Delphi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for four times. The number of members for Delphi investigation was 25 and the members gave an opinion on feasibility of inquires and selected 67 inquires for the survey. Factor analysis was employed two times. For the factor analysis, the survey was also conducted for two times after classifyi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4 provinces, Seoul & Kyungi, Chungcheong, Kyungsang, and Junra. 1,704 students were surveyed for the first factor analysis and 1,809 students for the second. In the first factor analysis, 6 initial factors were induced after applying maximum likelihood extraction method to induce the initial factors. The reliability of each factor showed from .779 to .897 which means it’s reliable. Based on the first factor analysis, 38 survey inquires were selected for the second factor analysis. In the second factor analysis, 6 initial factors were also induced. However, in the analysis, principal diagonal ingredient factor extraction method was employed to induce the initial factors. VARIMAX method was adopted to rotate the factors and with this method, the structure of factor matrix was revealed. Then, the initial factors were divided as technological curiosity disposition, technological analyze disposition, technological problem identifying and resolving disposition, technological creativity and expression disposition, technological operating disposition and technological planning and reflecting disposition. The reliability of each factor showed from .774 to .884 which means the factor is reliable.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교육 활동을 제고하고 기술교육에서의 사고와 관련된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중·고등학생의 기술적 사고성향을 구성하는 요인을 분류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 및 조사연구를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우선 문헌 연구에서는 사고 및 사고성향의 개념과 구성요소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156개의 사고를 구성하는 요소를 종합하였으며 이 중에서 기술적 사고성향을 구성한다고 판단되는 77개 요소를 도출하여 86개의 예비검사 문항을 제작하였다. 조사연구는 델파이 조사 및 요인분석으로 진행하였다. 델파이 조사는 4차례에 걸쳐 이루어졌는데 델파이 위원은 기술교육 또는 사고 분야의 전문가 25명으로 구성하였으며, 델파이 조사를 통해 86개의 예비 검사 문항 중 67개의 문항을 타당도를 갖춘 문항으로 선정하였다. 요인분석은 2차례 동안 이루어졌다. 요인분석을 위해 중·고등학생을 서울·경기, 충청, 경상, 전라의 4개 지역으로 군집 표집하여 설문조사 하였으며, 설문에 참여한 학생은 1차 1,704명, 2차 1,809명이었다. 1차 요인분석에서는 최우추정 요인 추출법으로 요인을 추출하였다. 추출결과 기술적 사고성향은 여섯 개의 요인으로 구성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각 요인별 신뢰도는 .779에서 .872사이의 값을 보여 신뢰로웠으며, 이러한 1차 요인분석을 통해 38개 검사문항을 선정하여 2차 요인분석에 적용하였다. 2차 요인분석에서는 주대각성분 요인추출법으로 요인을 추출하였다. 추출결과 1차와 마찬가지로 여섯 개의 요인이 기술적 사고성향을 구성함을 알 수 있었다. 요인의 회전을 위해 직각회전 방법 중 하나인 베리맥스를 적용하였다. 요인 회전 후 요인을 분류하였고 분류한 6개의 요인을 각각 기술적 호기심 성향, 기술적 분석 성향, 기술적 문제파악 및 해결성향, 기술적 창의 및 표현성향, 기술적 조작 성향, 기술적 계획 및 성찰 성향으로 명명하였다. 각 요인별 신뢰도는 .774에서 .884 사이의 값을 보여 6개 요인의 신뢰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