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Electro-oxidation reaction of kraft lignin with various types of anodes for the production of vanillin

        임민정,유인수,황경란,이승재,나병기 한국공업화학회 2019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9 No.0

        바닐린은 식품 산업에서 가장 인기 있는 향료이며, 향료뿐만 아니라 제약산업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지구상에서 가장 풍부한 유기 중합체 중 하나로서, 펄프 및 제지산업에 존재하는 크라프트 리그닌을 전기화학적 산화반응을 통해 바닐린 등의 고부가가치 화합물을 얻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전기산화반응을 위한 금속 전극의 종류에 따른 리그닌 산화의 영향과 바닐린 생성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전해질용액으로는 3M NaOH을 사용하였다. 양극의 전극으로 Ti, Sus, Ni, Cu, Carbon을 사용하였으며, 이때 전류밀도는 0.11mA/㎠으로 고정하여 전류세기를 설정하였다. 85 °C의 반응온도에서 2시간동안 반응을 진행하였다. 바닐린의 농도는 고속 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바닐린 이외에도 사이링알데하이드, 바닐린산, 시링산, 구아이아콜 등이 검출 되었으며, Ti 전극의 사용에서 바닐린 수율이 3.9%로 가장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빈곤에 대한 태도 관련 변인

        임민정,박수경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학논집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들의 빈곤에 대한 태도와 관련된 변인을 알아보고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수도권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281명이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Pearson 적률 상관 계수와 단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의 빈곤에 대한 태도는 개인적 변인 및 교직에 관련된 변인들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또한 교사의 빈곤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교직관과 빈곤가정의 유아를 가르친 경험, 경력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빈곤가정의 유아를 지원하는 교사교육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variables associated with early childhood teachers' attitudes towards poverty. Teachers and caregivers (n=281) working in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completed a questionnaire.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regression were used to analyze which variables affected teachers' attitudes toward poverty. The Results indicated positive relations between teachers' attitudes towards poverty and personal and professional variables. Among the variables, teachers' views on the teaching profession, educational experiences with poor children, and the amount of years spent teaching, were found to affect early childhood teachers' attitudes towards poverty.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discussed implications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in supporting young children living in poverty.

      • KCI등재후보

        Korean Mothers' Folk Theory about American Education

        임민정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2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ntended to uncover a folk theory grounded in the perspectives and experiences of Korean mothers on their children’s American education. The narratives of two Korean mothers were collected through three-phased phenomenological interviews. The findings revealed that Korean mother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education that resonated with their cultural belief in education leading to success. They viewed American education as a means to master the English language and thereby to optimize their children’s futures. While the mothers recognized the disadvantages inherent in their children’s minority status within the American educational system, their desire for English competency helped them seek out strategic involvement practices at home. Implications for minority parent involvement are discussed.

      • KCI등재

        유아기 자녀를 둔 다문화 가정 부모 관련 국외 연구 동향

        임민정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학논집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rends in early childhood research on culturally diverse parents among multicultural countries in order to offer basis for parental involvement from a multicultural perspective. Fifty-two peer-reviewed articl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by research topics, methods, and results. The analysis revealed that partnership building, issues in parent involvement, and program evaluation have been topics of active interest, and quantitative methods have gained slight priority over qualitative methods in the literature. Based on the analyzed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that can promote parental involvement in multicultural early childhood education.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다문화 가정 부모 관련 연구의 동향 분석을 통해 다문화 국가들의 부모참여 연구의 현황을 파악하고 향후 다문화 가정의 부모참여 연구와 연계 방향을 설정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52편의 국외 학술지 논문을 선정하고, 연구주제와 연구방법, 연구결과에 따른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연구주제를 분석한 결과 가정과 유아교육기관, 지역사회의 연계·협력을 살펴본 연구와 부모교육 및 프로그램의 실태와 평가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으며, 연구방법은 양적 연구가 질적 연구보다 우세하게 사용되었으나 비교적 고른 활용을 보였다. 이와 함께 자녀양육, 부모교육 및 프로그램, 연계·협력, 기타 주제별 주요 연구결과를 고찰하고, 연구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유아 다문화교육의 부모참여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구성주의 학습이론을 적용한 패션 테크니컬 디자인 교육 모형

        임민정 한국의상디자인학회 2019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Vol.21 No.1

        This study aimed to develop methods for technical design education that can be intimately connected to the industrial field. For this, technical design jobs performed in the fields of the domestic and foreign fashion industries and their required competences were examined, and educational methods based on constructivism were proposed. Korean fashion technical designers’ works were identified, and then the fashion technical designer’s responsibilities and qualification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global employment sites. On the basis of the collection and analysis, hands-on staff members and education experts were interviewed about required competences for the actual business and possible suitable methods for education. The results of research showed that in the case of the US, job systems and relevant duties for technical designers were clearly defined by clothing brands, whereas in Korea, businesses were systematized around vendors, not brands, and as a result the businesses of technical package composition and specification proposals were not performed properly. This study organized the contents of technical design education into fit development and specification, the composition of technical design packages, the evaluation and approval of samples, fit schedule management and fitting, block pattern setting and pattern correction, sewing specifications appropriate for styles and materials, grading, technical terms, and production management. As for the technical design education models, the cognitive apprenticeship model, resource-based learning, the problem-based and anchored model, and the problem-based and resource-based models were proposed.

      • KCI등재

        젠더 뉴트럴 패션 브랜드의 특성 및 패션 스타일 유형

        임민정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9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9 No.4

        이 연구는 패션 트렌드로 부각되고 있는 젠더 뉴트럴 패션의 표현 양상을 고찰하기 위해 젠더 뉴트럴 패션 브랜드들의 특성과 패션 스타일을 분석하였다. 수집된 젠더 뉴트럴 패션 브랜드 59개의 특성을 분석하였으 며, 젠더 뉴트럴 브랜드 온라인 사이트에서 판매하고 있는 2019 S/S의 패션 상품 이미지 735개를 분석하였다. 패션 스타일 분석은 패션 전공 전문가 집단의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젠더 뉴트럴 패션 브랜드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젠더 뉴트럴 브랜드는 개인의 정체성 강화를 목적으로 성별 전형성을 해체하고 있다. 둘 째, 의복으로서의 기능을 강조하고 실용적 합리적 소비 가치를 중시하고 패션의 상징성과 시각적 미를 배제 한 앤티패션을 지향함으로써 기존 질서에 대한 저항과 자기신체 긍정의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셋째, 친환 경 소재나 재활용 소재의 사용, 공정무역으로 환경과 사회의 윤리적 가치를 실천하고 있다. 넷째, 젠더 뉴트 럴 패션 상품 소비에 의한 소통과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젠더 뉴트럴 브랜드가 제시하고 있는 패션 스타일은 7가지로 분류되었다. 첫째, 오버롤즈와 점프슈트를 중심으로 서스펜더와 뉴스보이 캡의 악세사리를 특징으로 하는 컨트리 스타일, 둘째, 꽃무늬 프린트 또는 자수가 들어간 셔츠와 통이 넓은 팬츠 아이템과 매치하여 복고적이면서도 빈티지한 감성을 동시에 표현한 레트로 스타일, 셋째, 장식을 배제하고 무채색의 도회적이고 세련된 감각으로 표현하는 모던 시크 스타일, 넷째, 야외활동을 강조한 드레시한 원피 스 위에 아웃도어 바람막이를 착용한 비형식이고 캐주얼한 이미지를 표현하는 고프코어 스타일, 다섯째, 평 범한 일상복으로 도시적 이미지의 놈코어 스타일, 여섯째, 땅에 끌리는 긴 바지, 어깨가 과장된 재킷, 과장된 길이의 소매, 품과 길이가 과장된 점프슈트와 같이 신체 이미지의 변형을 표현하는 어글리 아방가르드 스타 일, 일곱째, 강한 색채, 흥미로운 패턴, 비대칭의 형태적 혁신을 제안하는 아티스틱 스트리트 스타일로 분류 되었다. 젠더 뉴트럴 패션은 성별의 전형성을 해체하고 개인의 개별 정체성을 표현하기 위한 새로운 패션 스타일을 제시하고 있으며 패션의 소비로써 같은 성향의 사람들과 소통하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으로 패션의 의미를 전환시키고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fashion styles of gender-neutral fashion brands to discuss the expression patterns of gender-neutral fashion emerging as a fashion trend. For the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fashion style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a group of experts who majored in fashion. The results of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gender-neutral fashion brand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gender-neutral brands deconstruct the prototypicality of fashion, aiming to improve individuals’ identities. Second, they deliver resistance to the existing order and positive image of one’s own body, aiming at anti-fashion excluding fashion symbolism and visual beauty by emphasizing the functions as clothes and attaching importance to the practical reasonable prototypicality value. Third, practicing ethical value of the environment and society, using eco-friendly materials and recycled materials, and ethical and fair production methods. Fourth, the characteristic of forming communication and network by the consumption of gender-neutral fashion products. Fashion styles proposed by gender-neutral brands were classified into seven styles as follows: First, a country style of suspender and youth boy cap, mainly with overalls and jumpsuits. Second, a retro-style expressing retro and vintage sensibility, simultaneously, matching shirt with floral print or embroidery with wide-legged pants. Third, a modern chic style expressed in an urban and sophisticated sense of achromatic color. Fourth, a gorpcore style expressing outdoor activity image of wearing a windbreaker over dressy one-piece dress. Fifth, a normcore style having a high contemporary fashion sensitivity and expressing urban image as an ordinary daily cloth. Sixth, an ugly avant-garde style expressing transformed images of the body shape. Seventh, an artistic street style proposing the expressions arousing strong colors, interesting patterns, asymmetrical and morphological innovation. Gender-neutral fashion proposes a new fashion style to deconstruct the typicality of gender and express the individuals’ identities and converts the meaning of fashion into communicating with people with the same propensity and forming a network as the prototypicality of fashion.

      • KCI등재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교육격차에 대한 인식: 계층과 모성 담론을 중심으로

        임민정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학논집 Vol.18 No.2

        This study explored mothers’ perspectives on gaps in their children’s early education by connecting them with class and mothering discours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with seven mothers of different socioeconomic status and were analyzed by class and the concept of rhizoanalysis. Findings revealed that the mothers’ perspectives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ducational gaps were folded into class, creating their different needs for private supplementary early education. Also, rhizomatic looking revealed the working of habitus in reproducing educational inequality and the meanings of competition, desires, alienation, and resistance embedded in mothers’ competition for their children’s educational success.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this study presented a critical discussion of how to improve gap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본 연구는 유아기 교육격차 현상이 함축하는 복합적인 의미를 살펴보기 위해 어머니들의 경험과 인식을 계층에 따라 살펴보고, 라이조분석을 통해 계층 및 모성 담론과 연결하여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거주하며 사회계층이 다른 어머니 7명을 선정하여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서 어머니들은 사회계층에 따라 유아교육과 교육격차 인식에서 의미차이를 드러내었고 유아 사교육에 대한 차별화된 요구를 나타내었다. 또한 라이조분석은 교육격차 현상에서 작용하는 아비투스와 불평등의 재생산을 드러내었고, 자녀교육 경쟁이 부여하는 어머니들의 경쟁과 욕망, 소외와 저항의 의미를 생성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논의를 진행하고 유아교육에서 조기 교육격차를 개선하고 형평성을 제고하는 방향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보육현장에서의 보육교사 전문성 담론

        임민정 한국유아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연구 Vol.40 No.1

        As the public demand for high-quality child care increases, political actions and efforts are being made to improve professionalism of child care teachers. Drawing on Gee’s theory, this study examined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child care teachers appeared in early childhood fields, and analyzed the mediated action between individuals and social-cultural factor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with child care teachers and mothers of young children, and their discourses on professionalism were investigated.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child care teachers appeared to be experts in providing affection and sensitive care, and to be constantly negotiated with mothers through collaborative interactions in everyday encounters. On the other hand, as the qualification of child care teachers became easier, there were structural limitations of professionalism. The ways child care teachers and mothers conceptualize professionalism reflected the world where child care work is perceived as a women's maternally labor, under the care and education dichotomy. The world reflected in performing professional identities was mediated by the professionalism discourse of teachers and mothers, as a value system premised on the approval of the professionalism. The study discussed the need for redefining professionalism in child care and suggested collaborative partnerships between families and child care workforce as co-rearers for young children. 최근 우리사회에서는 공보육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높아지면서 보육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개진되고 있다. 본 연구는 보육현장에서 구성되는 보육교사의 전문적 정체성을 전문성의 수행으로 바라보고, Gee의 이론을 적용하여 개인과 사회문화 간의 중재 작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보육교사 및 어머니와 면담을 수행하고 보육교사 전문성에 대한 담론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보육교사의 전문성 담론은 애정과 민감한 돌봄을 제공하는 전문가로 승인되어졌으며, 부모와 함께 노력하는 조력자로서 협상되었다. 반면, 보육교사 자격취득의 용이함으로 인해 전문성이 거부되는 구조적 제한을 나타내기도 했다. 전문성 수행의 과정에는 대리모성인으로 보육교사를 전제하는 모성, 이원화된 돌봄과 학습, 희생이 요구되는 여성노동으로 지시된 형상화된 세계가 반영되었다. 보육교사 전문성 수행에 반영된 형상화된 세계는 전문성 승인에 전제된 가치체계로서 보육교사와 어머니들의 판단기제로 중재되었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 전문성 담론에 대한 논의를 통해 공동양육자로서 가정과 보육기관 간 협력하는 상생의 보육연대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한국 어머니모임을 통한 재미 한인 부모들의 교육기관 참여

        임민정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1 유아교육학논집 Vol.15 No.3

        본 연구는 미국의 한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한국 어머니모임을 통한 한인 어머니들 사이의 모국인 연대가 부모들의 교육기관 참여에 도움을 주는 사회적 자본을 형성하는지 살펴보았다. 미국 동남부주 N 초등학교에 소속된 한국 어머니모임에 가입하여 활동하고 있는 9명의 한인 어머니들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2007년 가을부터 2008년 봄에 걸쳐 개별면담, 참여관찰, 포커스그룹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한인 어머니들의 대다수는 문화적 차이와 영어사용의 자신감 부족, 미국 교육제도에 대한 제한된 지식으로 인해 자녀의 교육활동에 참여하는데 어려움을 지니고 있었다. 한국 어머니모임은 한인 가정의 적극적 교육기관 참여를 돕기 위해 결성된 비공식 부모모임이었으며, 한인의 자긍심 향상과 학교 전체의 발전을 위해 협력하는 집단 연대 방식의 부모참여 활동을 전개하였다. 한국 어머니모임을 통해 얻어지는 호혜적 상호지원과 정보망의 공유는 유용한 형태의 사회적 자본으로서 한인 부모들의 제한된 사회연결망을 보완하고 교육기관 참여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들에 대처하는 지원 역할을 수행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thnic network of a Korean mothers' meeting in an American elementary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Korean immigrant parents as a group create social capital conducive to effective involvement in the school. Data were drawn from a critical ethnography study that included two rounds of interviews, participant observations, and a focus group.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Korean mothers' meeting generated beneficial social capital involving mutual support and information channels. As a coping strategy to improve minority disadvantage, the Korean mothers' meeting constituted an avenue for collective participation that promoted Korean pride and communal norms among the memb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