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임명환,박용재 한국경영과학회 2009 한국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9 No.5
RFID/USN은 정부차원에서 육성 및 발전시키고 있는 차세대 신성장동력 산업의 한 분야로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RFID/USN 유망서비스 분야의 발굴을 AHP방법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RFID/USN 산업의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산 ? 학 ? 연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RFID/USN 산업의 유망서비스 분야가 무엇인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된 결과는 AHP 방법을 통해 RFID/USN 서비스 분야의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또한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RFID/ USN 유망서비스 분야를 도출하고 산업발전 전략 및 정책수립에 필요한 시시점들을 도출하였다.
임명환,박용재,표철식,Rim, M.H.,Park, Y.J.,Pyo, C.S.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9 전자통신동향분석 Vol.24 No.2
세계 주요국들은 RFID/USN을 핵심 성장동력 산업으로서 인식하고 기술개발 및 표준화를 주도하기 위해 투자를 늘려가고 있다. 또한 국가차원에서 추진정책을 마련하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RFID/USN의 지속적인 발전 및 활성화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RFID/USN을 New IT혁신 전략의 인프라 산업으로서 국가 신성장동력으로 선정하였으며, 대규모의 민간수요 유발 및 확산을 통해 산업의 고도화를 도모하고 있다. 본 논문은 New IT 혁신 전략의 기반이 되는 RFID/USN의 개념을 소개하고, RFID/USN 관련 주요국들의 기술개발 현황과 표준화 동향들을 조사 분석하였으며, 국내외 시장동향과 주요국들의 정책동향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정부 차원의 RFID/USN의 발전 및 활성화를 위한 목표와 전략들을 소개하고, 고도화되는 IT 산업으로서 RFID/USN 활성화를 통한 기대효과와 New IT 혁신 전략으로서 정책방향을 설명하였다.
임명환,Rim, M.H.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9 전자통신동향분석 Vol.24 No.2
창조경제시대로 접어들면서 각국은 소프트웨어 지식산업에 눈을 돌리기 시작했으며, 대표적인 분야로 문화콘텐츠 산업을 주목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문화콘텐츠 5대 강국으로의 도약을 위해 콘텐츠 분야를 17개 신성장동력 산업 중의 하나로 포함시켜 산업육성 및 CT R&D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국내 문화콘텐츠 산업은 연평균 증가율 약 7.1%로 성장, 2012년 약 100조 원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되며, IT의 뒤를 이어 신시장 개척과 기존 산업의 고부가가치화를 실현하고 국민의 삶의 질 향상 등 사회복지 증진에도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함에 있어 OSMU등 문화 콘텐츠의 특성을 고려하고 가치사슬 주체별로 차별화하여 성과확산을 극대화시켜야 할 것이다. 또한 문화콘텐츠 비전을 됫받침하는 창조 협력 경쟁의 정책철학 및 추진체계인 "3CTP 전략'을 통해 산업 및 기술 경쟁력을 강화시켜야 할 것이다.
임명환,노일수 한국통신학회 2004 정보와 통신 Vol.21 No.5
최근 정부는 텔레매틱스 서비스 활성화 기본 계획을 확정ㆍ발표하였다. 이것은 국가 차원의 차세대 성장동력 추진정책에 따라 정보통신부의 9대 신성장동력의 주력 분야 중 하나로 선정된 텔레매틱스의 마스터플랜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러나 기본계획에서 제시된 9대 핵심사업 중 기술개발, 표준화, 인력양성, 산업 클러스터 구축 등 많은 사업이 성공적으로 수행되기 위해서는 국내 자체의 역량배양과 더불어 직ㆍ간접적으로 활발한 국제기술협력이 활동이 요구되고 있다.(중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