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翰苑』 注 所引 『括地志』의 百濟 佚文 硏究 : 7세기 동아시아의 문헌지식

        童嶺(Tong Ling),번역: 임동민(Lim, Dong-Min) 한국고대학회 2021 先史와 古代 Vol.- No.67

        수당사와 동아시아사의 연구는 새로운 방법론(이론)과 새로운 사료라는 두 갈래의 길에 주로 기반을 두고 있다. 본래 일본 福岡縣 築紫郡 男爵 西高辻信雄에게 소장되었고, 현재는 같은 현 太宰府市 太宰府天滿宮에 소장된 舊鈔本 殘卷 『翰苑』은 正文과 注釋 모두 풍부한 정보를 담고 있다. 唐代 四六文의 발전 맥락에 따라 보면, 『翰苑』의 正文은 騈體文學의 여러 많은 특징을 구비하고 있으며, 『翰苑』의 注釋文字(특히 고구려, 백제 등의 조목)는 당 왕조와 동아시아사 관계에 충분히 유용한 사료이다. 본문은 일본에 소장된 『翰苑』에 인용된 『括地志』 佚文 연구로서, 이 연구는 필자가 앞서 쓴 『高麗記』 佚文의 연구(일본 교토대학 인문연구소 『東方學報』2017년 12월 발표) 와 자매편이다. 산일된 텍스트의 관점에서 당 왕조와 고구려, 백제의 관계를 다시 새롭게 볼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본문은 ‘佚籍文獻’과 ‘唐代 동아시아사’라는 두 시각으로부터 착수하여, 먼저 宮內廳 書陵部와 『翰苑』에 인용된 두 종류의 『括地志』佚文에 주목하였다. 영국의 Joseph Needham은 『중국의 과학과 문명』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地理總志는 814년 李吉甫의 『元和郡縣圖志』이고, 이때는 이미 唐代 말기에 접근하였다.”라고 지적하였지만, 이것은 서적의 산일된 정황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정확하지 않다. 본문은 모두 6개 절로 나뉘는데, 주로 아래의 3개 방면으로 고찰하였다. 첫째, 『翰苑』 注 인용 『括地志』에 수록된 백제 등의 역사적 사실에 대한 11개 佚文의 문자 고증을 진행하여, 백제 역법과 도성 위치, 5방 5부 등 중요 사료를 정정하였는데, 이것은 특히 백제의 관제, 제사, 왕족, 지리, 병력, 산천 등과 상당히 중요한 관계가 있다. 둘째, 신라‧당과 백제의 전쟁에 관련된 지리, 풍속 정보가 담긴 『翰苑』 注 인용 『括地志』佚文을 분석하였다. 『括地志』佚文은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7세기 ‘삼국시대’ 최후의 백제 전쟁과 상당히 긴밀하게 얽혀 있다고 생각한다. 셋째, 唐代는 地志學이 충분히 발달한 시대였고, 계승의 관점에서 말하자면, 漢‧魏‧六朝 地志의 장점과 사료를 계승하였다. 唐代 地志 문헌의 ‘다면성’을 분석하고, 아울러 唐代 羈縻州 계통 등 다각도로 淸儒 輯本 『括地志』가 어째서 백제의 조목을 失載하였는지에 대한 하나의 학문적 추측을 시도하였다. The study of East Asian history is based on new methodologies and historical sources. The remaining ancient manuscript of Hanyuan(翰苑 舊鈔本 殘卷), which is currently in the collection of the Dazaifu Tenmangu(太宰府天滿宮) in Japan, is a valuable material that contains the original texts(正文) that show the characteristics of “pianwen(騈文)” in the Tang dynasty, and useful annotation(注釋) for the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ang dynasty and East Asian history. This article is a study on the Kuodizhi (括地志) quoted in Hanyuan (翰苑), and a companion edition of “A study on the scattered texts of Gaoliji (高麗記)”, written by the present writer. Focusing on the scattered tex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ang dynasty, Koguryŏ, and Paekche is re-examined. To be more specific, this article started from two perspectives: “the scattered texts(佚籍文獻)” and “East Asian History during the Tang dynasty”. This article is divided into six sections, and the following three aspects were mainly analyzed. First, by conducting a literal examination of the historical facts of Paekche recorded in the Kuodizhi quoted in the annotation of Hanyuan, important records such as the Paekche calendar, the location of the capital city, and “Opang(五方, five provinces) and ‘Opu’(五部, five districts) were corrected. These records are particularly important in relation to the administration, ancestral rites, royalty, geography, troops, mountains and streams of Paekche. Second, this article analyzed the scattered texts of Kuodizhi quoted in the annotation of Hanyuan that contains information on the war between Shilla, Tang, and Paekche. It is considered that the scattered texts are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the last Paekche War in the seventh century, Three Kingdoms period. Third, the Tang dynasty was an era in which topography(地志學) was significantly developed, and from the point of view of succession, the merits and historical records of the geography of Han(漢), Wei(魏), and Six Dynasties(六朝) were inherited. This article aims at analyzing the “multifaceted aspects” of literature on topography of Tang dynasty and attempting academic inference about the reason why Kuodizhi lost the Paekche records.

      • KCI등재

        백제의 왕호(王號)·후호(侯號)·태수호(太守號)와 장군호(將軍號) - 5세기 후반 백제의 지배질서와 동아시아 -

        井上直樹 ( Inoue Naoki ),임동민(번역) ( Dong-min Lim ) 백제학회 2018 백제학보 Vol.0 No.25

        중국 황제가 高句麗, 百濟, 倭의 군장이나 그 신료에게 除授한 將軍號 등의 官爵號를 토대로 그러한 여러 나라의 지배체제를 해명하려는 시도는 오래전부터 이루어졌다. 특히 백제나 왜에서는 군주 자신의 官爵뿐만 아니라, 신료에 대한 將軍號 除正 요구도 여러 번 이루어졌고, 장군호를 비롯하여 중국 황제에게 除授 받은 관작이 중시되었다. 이 중에, 백제에서는 개로왕대에 이르러 적극적으로 백제왕의 官爵號 除正 요구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그것은 宋에게 백제의 국제적 지위를 정식으로 인정받는 것을 통해, 대외적으로는 집요하게 송에 백제의 軍政權을 요구하는 왜에게 외교적 견제를 가하기 위함이었고, 대내적으로는 개로왕이 제수된 관작, 특히 장군호를 토대로 신료들을 왕권 아래에 위치시키기 위함이었다. 개로왕은 중국 왕조의 장군호에 의거하면서 신료를 서열화하고 있었다. 그 뒤, 백제는 고구려의 공격으로 인해 왕도 한성이 함락되고, 일시적으로 멸망의 위기를 맞았다. 곤란한 상황에서 즉위한 동성왕은 南齊에게 신료의 장군호 제정을 요구하는 동시에 그것과 연동된 백제 왕족, 귀족의 3품 장군에게는 백제 독자의 王號를, 4품 장군에게는 侯號를, 한인 관료의 3·4품 장군에게는 太守號를 신하들에게 수여하고 있었다. 5세기 후반의 백제에서는 백제 귀족이나 한인 관료들을 왕권 아래에 위치시키기 위해, 중국 장군호를 극히 중시하고 있었다. Attempts to account for the domination-system of various countries, such as Koguryo, Paekche, Wa, have been made for a long time, based on the ‘Changgunho’(將軍號, the name of General titles). Chinese emperor gave ‘Changgunho’ to kings or officials of Koguryo, Paekche, Wa. In particular, there had been numerous requests for the ‘Changgunho’ of officials in Paekche and Wa as well as the titles of kings in Paekche and Wa. The titles received from the Chinese emperor, including ‘Changgunho’, were valued in various countries. King Kaero of Paekche actively requested titles from China. In this way, Paekche was officially recognized by the Liu Song dynasty for its international status. The purpose of Paekche diplomacy was to apply diplomatic checks to Wa, which was persistently demanding the military administration of Paekche to China, and to control to officials, based on King Kaero’s the name of titles(Changgunho). King Kaero ranked his officials according to the Chinese dynasty’s ‘Changgunho’. Later, Paekche was temporarily in danger of collapse due to Koguryo's attack on the capital. King Tongsong, who took the throne under difficult circumstances, asked Southern Qi for the title of ‘Changgunho’, and gave the ‘Wangho(王號, king title)’ to Paekche royal family and nobles who were given the third rank ‘Changgunho’, and gave the ‘Huho(侯號, marquis title)’ to the fourth rank ‘Changgunho’, and gave the ‘T'aesuho(太守號, governor title)’ to Chinese officials in Paekche who were given the third or fourth rank ‘Changgunho’. In Paekche, in the late 5<sup>th</sup> century, ‘Changgunho’ was highly valued to place Paekche nobles and Chinese officials in Paekche under the King’s thr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