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생선수를 위한 온라인 스포츠윤리 교육프로그램 개발 기초연구

        임다연,도재우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5

        One of the qualifications required for athletes is sports ethics, which enables moral judSment in the face of ethical conflicts at sports sites. Sports ethics education proSrams are developed and operated alonS with awareness of the need for sports ethics. However, education for student athletes is hard to find. The need for sports ethics education for student athletes is increasinS not only because ethical problems continue to arise in school sports events, but also because moral0 education is more effective when learners are younS. However, student athletes have time and space constraints on their participation in sports ethics education due to their studies, traininS, and participation in competitions. In this respect, online education, which students can learn anytime, anywhere, can be an appropriate way to provide sports ethics education to student athlet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understandinS and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online sports ethics education proSrams for student athlete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student athletes leaders, sports ethics education instructors, and adult athletes to investiSate their experiences and view on student athletes' sports ethics education, and focus S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online education experts and sports ethics education experts to derive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online sports ethics education proSram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presents the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online sports ethics education proSrams for student athletes. We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hiShly accessible sports ethics education proSrams for student athletes. 스포츠선수들에게 요구되는 자질 중 하나는 뛰어난 경기 역량뿐만 아니라 스포츠현장에서 직면할 수 있는 윤리적갈등 상황에서 바람직한 판단을 가능하게 하는 스포츠윤리성이다. 스포츠윤리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함께 스포츠윤리교육프로그램이 개발, 운영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교육들 중에 학생선수를 위한 교육은 찾아보기 어렵다. 초중등스포츠 경기에서도 윤리적인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음은 물론이고 윤리적 판단능력 함양에 대한 교육은어릴 때 수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측면에서 학생선수를 위한 스포츠윤리 교육의 필요성은 증대하고 있다. 하지만학생선수는 학업과 훈련, 대회 참여 등으로 스포츠윤리 교육의 참여에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측면에서 언제나 어디서나 교육을 가능하게 하는 온라인 교육은 학생선수들에게 스포츠윤리 교육 제공을 위한 방법이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선수를 위한 온라인 스포츠윤리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것에 있다. 구체적으로 학생선수를 위한 스포츠윤리 교육 현황과 요구에 대한 인식과 온라인 스포츠윤리 교육프로그램의개발 방향을 탐색하였다. 학생선수 스포츠윤리 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조사를 위해 학생선수 지도자, 스포츠윤리교육 강사, 성인선수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고, 온라인 스포츠윤리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방향 도출을 위해온라인 교육 전문가와 스포츠윤리 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본 연구는 학생선수 대상 온라인 스포츠윤리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방향을 교육대상, 교육시간,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결과, 온라인 교육 형태, 교수-학습전략으로 구분하여 제시한다. 현재 학생선수를 위한 전문 스포츠윤리 교육이없는 상황에서 본 연구의 결과가 접근성 높은 스포츠윤리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우수등재

        스포츠 부정행위 근절과 처벌강화에 관한 비판적 고찰

        임다연 한국체육학회 2021 한국체육학회지 Vol.60 No.6

        이 연구의 목적은 징계와 처벌강화가 스포츠계 부정행위 근절을 위한 효과적이고 근본적인 방안이 될 수 있는지에 관해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부정행위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그 정의와 개념을 철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부정행위와 관련된 문헌과 선행연구들을 고찰함으로써 일반적인 부정행위와 스포츠 부정행위의 차이점을 개념적이고 규범적인 측면에서 분석하고, 이를 통해 스포츠 부정행위의 독특한 특성과 유형을 도출하였다. 끝으로 칸트와 벤담의 처벌이론에 대한 고찰을 토대로 예방적 측면과 도덕성 신장 측면에서 처벌의 효과성과 당위성을 검토함으로써 처벌강화와 부정행위 근절의 상관성을 논구하였다. 이 연구는 다음의 세 가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스포츠에서의 부정행위는 일반적인 부정행위와는 다른 개념적, 규범적 특성을 갖고 있기에 그것의 예방과 억제를 위한 접근방식도 달라야 한다. 둘째, 어떤 행위에 대한 처벌강화는 단기적으로 일시적 행동억제 효과는 가져올 수는 있으나 행위자의 도덕적 자율성 함양에 끼치는 영향은 미미하여 스포츠 부정행위 근절을 위한 근본적인 해결방안이 될 수 없으며, 하나의 잘못에 대해 이중, 삼중의 가중처벌 형태의 처벌강화는 그 당위성 또한 지지받기 어렵다. 셋째, 스포츠계의 부정행위는 처벌과 징계라는 제도적 장치만으로는 해결될 수 없으며, 구성원들의 윤리의식 제고를 위한 개인윤리 차원의 예방교육이 반드시 정책적으로 병행되어야 한다. 본고는 처벌이 지닌 효과성과 당위성, 그리고 그 한계를 분석함으로써 스포츠계 부정행위 근절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방안과 제도적 정책 마련의 이론적 토대와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e스포츠 공정성 확보를 위한 심판의 역할 탐색

        임다연,박성주 한국e스포츠학회 2021 e스포츠 연구: 한국e스포츠학회지 Vol.3 No.2

        본고는 e스포츠의 공정성 확보 방안으로 e스포츠 심판의 역할과 전문성 확립을 제안하였다. 그동안 e스포츠의 스포츠 로서의 성공과 보완을 위해 다양한 각도에서 학술적 논의들이 진행되었지만, e스포츠 심판에 대한 연구는 충분히 이 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심판의 조건과 역할을 토대로 e스포츠 심판 의 공정성 확보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활동 중인 e스포츠 선수, 지도자, 심판을 대상으로 e스포 츠 심판의 갖추어야 할 조건은 무엇이고, 그 역할과 전문성은 무엇인지에 대한 그들의 경험과 인식을 심층적으로 탐 색함으로써 e스포츠의 환경적 특성에 기반한 e스포츠 심판의 공정성 확보 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 다. e스포츠 심판에게 요구되는 필수 조건은 공정성, 전문성, 판단력으로 나타났으며, e스포츠 심판의 공정성 확보를 위해서는 e스포츠 전문 심판 양성프로그램 운영, 전문 심판 인력풀 확보, 심판윤리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심판 매뉴얼 및 평가시스템 마련의 네 가지 실천방안을 도출하였다. 우리나라는 자타가 인정하는 e스포츠 강국이다. 이제 는 e스포츠 선진국으로서 도약을 위해 노력해야 할 시점이다. 이를 위해 공정성 확보는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이며, 이 연구의 결과가 e스포츠 심판의 공정성 확보에 의미 있는 기여를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proposes on how to establish the role and expertise of eSports referees as a measurement to secure fairness in eSports. While academic discussions have been conducted from various perspectives regarding the success and supplementation of eSports as a sport, research on eSports referees has not been conducted sufficiently. By starting from the awareness of such problem, this study is to sought a plan to secure fairness of eSports based on the terms of circumstances and roles of referees by deeply exploring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the currently active eSports players, coaches, and referees in the field. As a result, a plan to secure fairness for eSports referees based on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eSports was deriv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he essential conditions required for e-sports referees were fairness, expertise, and judgment. In order to secure the fairness of eSports referees, the following four action plans were deduced; operating eSports professional training for referees; securing a pool of professional referees; developing and executing referee ethics education programs, and developing referee manuals and evaluation systems. The Republic of Korea is now an eSports powerhouse nation recognized by all. Right now is the time to strive for a step forward as an advanced eSports nation. For this, securing fairness is the most important task, and we can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ill make a meaningful contribution to securing fairness for eSports referees.

      • KCI우수등재

        스포츠 속 샤덴프로이데에 관한 윤리적 고찰

        임다연 한국체육학회 2023 한국체육학회지 Vol.62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일반적으로 부도덕한 감정으로 인식되고 있는 샤덴프로이데 정서는 승리를 추구하는 선수에게는 필연적으로 나타나는 자연적 감정이며 스포츠상황에서는 도덕적으로 용인될 수 있음을 논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Heider, Schopenhauer, Aristoteles 등 저명한 철학자들의 문헌 속에 나타난 샤덴프로이데의 정의를 살펴보고, 샤덴프로이데와 유사 감정인 시기심, 증오심, 질투에 대한 개념을 고찰함으로써 샤덴프로이데의 개념적 정의와 특징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샤덴프로이데의 규범적 성격을 고찰함으로써 도덕성과 관련하여 샤덴프로이데 정서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을 분석하였다. 끝으로 경쟁스포츠에 참여하는 선수들이 경험하는 샤덴프로이데 감정은 무엇이고. 어떤 방식으로 나타나며, 이러한 감정이 윤리적 행위로 수용될 수 있는지를 스포츠의 특수성, 경쟁의 본질, 스포츠선수의 정체성에 기초하여 고찰하였다. 이 연구는 스포츠상황에서 필연적으로 발현되는 샤덴프로이데 감정을 규범적 측면에서 고찰함으로써 스포츠 선수들이 겪게 되는 자연적 감정의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선수들의 비윤리적 행위를 예방하기 위한 방안 마련의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엘리트스포츠 영역의 법정의무교육 현황 및 개선방향: 스포츠지도자의 학습피로를 중심으로

        임다연,임효성 한국체육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2022 스포츠사이언스 Vol.40 No.3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compulsory education in the elite sports area and to derive improvement from it.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research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2 sports coache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thematic analysis method after transcription.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current compulsory education was classified into sport ethics education, sport human rights education, sexua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and anti-doping education. The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s to compulsory education recognized in the field in terms of content, time, and methodology were derived. In this study, the learning fatigue complained by learners was found to be a dominant problem in the current compulsory education. The various perceptions of trainees on compulsory education conducted annually by multiple organizations were identified through the study. This study will deliver the voices of the field gathered from learners to compulsory education and be used as valuable primary data for improving education.

      • KCI등재후보

        스포츠인권에 대한 엘리트지도자의 인식에 관한 연구

        임다연 한국스포츠인류학회 2023 스포츠인류학연구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lite sports leaders' perceptions of sports human rights.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nine leaders who are currently coaching elite sports players. In order to understand the leader's perception of sports human rights, it was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the leader's perception of sports human rights, the leader's perception of the concept of sports human rights, and the leader's perception of the necessity of sports human rights. Next, in order to understand the leader's perception of sports human rights sentiment, it was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sports human rights between athletes and leaders, perception of their human rights violations, and perception of their human rights protection. Finally, in order to understand the leader's perception of sports human rights behavior, it was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perception of his efforts to promote sports human rights and perception of changes in the sports environment to promote sports human right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intended to be used in institutional and policy suggestions for establishing human rights awareness of sports leaders, and will contribute to improving the sports field in a human rights-friendly manner. 본 연구의 목적은 엘리트 스포츠지도자의 스포츠인권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현재 엘리트 스포츠선수를 지도하고 있는 지도자 9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스포츠인권 인지에 대한 지도자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스포츠인권에 대한 지도자의 인식, 스포츠인권 개념에 대한 지도자의 인식, 스프츠인권 필요성에 대한 지도자의 인식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스포츠인권 정서에 대한 지도자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스포츠인권에 대한 선수와 지도자의 인식 차이, 자신의 인권침해 상황에 대한 인식, 자신의 인권보호 상황에 대한 인식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끝으로 스포츠인권 행동에 대한 지도자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스포츠인권 증진을 위한 자신의 노력에 대한 인식, 스포츠인권 증진을 위한 스포츠 환경변화에 대한 인식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스포츠지도자의 인권의식 확립을 위한 제도 및 정책 제언에 활용되고자 하며, 인권친화적인 스포츠 환경을 도모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

        스포츠에서 트래쉬토크는 도덕적으로 허용 가능한가?

        임다연 한국체육철학회 2023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31 No.3

        대표적인 스포츠철학자 Nicholas Dixon은 스포츠에서 트래쉬토크는 결코 허용되어서는 안 된다고 역설한 반면, Chuck Summers는 트래쉬토크가 선수들의 경기력과 관련 있다는 점에서 스포츠에서는 일종의 전략으로서 허용되어야 한다는 주장을 펼쳤다. 이 연구의 목적은 오늘날 스포츠에서 횡행하고 있는 트래쉬토크에 대한 윤리적 쟁점들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과연 스포츠에서 트래쉬토크는 허용될 수 있는 것인지 도덕적 측면에서 검토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관련 선행연구와 문헌을 검토함으로써 트래쉬토크의 개념과 종류를 정리하였다. 둘째, Dixon과 Summers의 논문을 비판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스포츠 속 트래쉬토크의 특성을 파악하고, 트래쉬토크에 대한 세 가지 대립하는 쟁점으로 심리적 압박감, 존중, 경기력을 도출하였다. 끝으로 목적과 수단의 의미를 분명히 한 칸트의 윤리학에 기초하여 트래쉬토크를 비판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스포츠에서의 트래쉬토크는 행위의 결과에 상관없이 행위 그 자체가 선이기 때문에 무조건적으로 그 수행이 요구되는 도덕적 명령에 어긋나는 행위임을 논증하였다. 스포츠가 일반 사회에서는 비난받는 종류의 언어폭력을 스포츠라는 이유로 허용한다면, 이는 스포츠를 통해 좋은 품성과 도덕적 가치를 함양할 수 있다는 주장과 배치되는 것이다. Leading sports philosopher Nicholas Dixon has argued that trash-talking should never be allowed in sports, while Chuck Summers has argued that trash-talking should be allowed as a strategy in sports because of its relevance to athletes’ perform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xamine the ethical issues surrounding trash-talking in sports today and to examine whether trash-talking is morally acceptable in sports. To do so, this study first summarizes the concept and types of trash-talk by reviewing the relevant research and literature. Secondly, by critically analyzing Dixon and Summers’ articles, this study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trash-talk in sports and the psychological pressure, respect, and performance as three competing issues for trash-talk. Finally, by critically examining trash-talking based on Kant’s ethics, which clarifies the meaning of ends and means, this study argues that trash-talking in sports violates a moral imperative that unconditionally requires its performance, because the act itself is good, regardless of the consequences of the act. If sports allowed the kind of verbal abuse, which is condemned in general society, just because it is a sport, it would contradict the claim that sports can foster a good character and moral values.

      • KCI우수등재

        스포츠윤리상담의 이론적 토대 연구

        임다연,성경주 한국체육학회 2024 한국체육학회지 Vol.63 No.1

        본 연구는 스포츠윤리 문제에 대한 효과적인 해결 방법이 될 수 있는 스포츠윤리상담의 가능성을 검토한다. 스포츠윤리상담을 스포츠 현장에서 스포츠인의 윤리의식 확립과 비윤리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으로 적용하고자 하며, 이에 필요한이론적인 토대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상담의 규범적 성격에 기초하여 스포츠윤리상담에 적용가능한 내용과 이론을 규명함으로써 스포츠윤리상담 정립을 위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본 연구결과, 스포츠윤리 상담에 적용 가능한 애착이론, 대상관계이론, 인지행동이론을 규명하였다. 스포츠윤리상담의 목표는 내담자의 비합리적 신념을 합리적 신념으로 바꾸어 수용할 수 있는 합리적 결과를 찾게 하는 것이다. 위 세 가지 내용과 이론을 바탕으로 상담시 가장 기본이 되는 소크라테스 문답법(Socratic Questioning)을 활용하여 내담자의 비합리적인 신념을 합리적 신념으로이끌어갈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상담기법과 이론을 규명함으로써 스포츠윤리상담 정립을 위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는데 의의가 있다. 나아가 향후 스포츠윤리상담의 구체적인 방법과 이론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y of sports ethics counseling as an effective solution to sports ethics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application of sports ethics counseling as a method for establishing ethical awareness and solving unethical problems of sports people in the sports field. To this end, this study provides a theoretical basis for the establishment of sports ethics counseling by identifying the contents and theories applicable to sports ethics counseling based on the normative nature of counseling. Based on the normative nature of counseling, this study identified attachment theory, object relations theory, and cognitive behavioral theory applicable to sports ethics counseling. The goal of sports ethics counseling is to help clients change their irrational beliefs into rational beliefs and find acceptable rational outcomes. Based on the above three contents and theories, Socratic Questioning, which is the most basic method in counseling, can be used to lead the client’s irrational beliefs to rational belief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providing a theoretical basis for the establishment of sports ethics counseling by identifying existing counseling techniques and theories. Furthermore,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s for developing specific methods and theories of sports ethics counseling in the future.

      • KCI우수등재

        스포츠선수의 인권의식과 영향 요인에 관한 고찰

        임다연 한국체육학회 2022 한국체육학회지 Vol.61 No.2

        이 연구는 스포츠인권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스포츠인권의식의 무엇이고, 또 이것을 어떻게 진단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선수가 인권을 의식한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를 명확하게 개념화하고, 스포츠선수들의 인권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을 밝혀내고, 이를 토대로 스포츠선수의 인권의식을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기존 스포츠인권교욱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스포츠선수의 인권의식을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인권판단력, 인권감수성, 인권행동의사의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된 것으로 개념화하고, 이를 토대로 2021년 기준 대한체육회에 등록된 선수 207명을 대상으로 스포츠선수의 인권의식 현황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선수는 인권감수성과 인권행동의사 수준은 높으나, 인권판단력은 낮은 유형의 인권의식을 갖고 있다. 둘째, 스포츠선수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인권과 관련된 지식과 인권의 정당성에 대한 판단력이 높았으며, 인권침해 상황에 처한 타인에 대한 공감하는 능력도 높게 조사되었다. 셋째, 운동부 분위기가 인권친화적일수록 선수들이 인권적 상황에서 적극적으로 행동하려는 의지는 높게 조사되었다. 넷째, 스포츠지도자의 코칭 방식은 스포츠선수의 인권의식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가 기존 스포츠인권교육이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측면에서 인권의식의 구성요소를 고르게 함양하는데 기여하고 있는지를 점검하는 기준을 제공함으로써 스포츠인권교육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실질적으로 인권적 태도와 실천력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내용 및 교수방법을 모색하는 데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우수등재

        스포츠윤리강사의 비대면교육경험과 인식: 디지털리터러시를 중심으로

        임다연,임효성 한국체육학회 2022 한국체육학회지 Vol.61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the sports ethics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lecturers, focusing on digital literacy, which has been converted from face-to-face to non-face-to-face since Covid-19. A total of seven lecturer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pen-ended questionnaires and in-depth interview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inductive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derived through the above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between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sports ethics education was found to be "interaction between lecturers and learners, time utilization of lecturer, an environment of online systems, and participation level of learners." Second, the difficulties in non-face-to-face sports ethics education were found to be "an unstable system, absence of emotional delivery, passive participation of learners, and communication with learners." Third, the digital literacy required in non-face-to-face sports ethics education was found to be "digital technology utilization capability, digital lecture plan development capability, and digital communication capability." Fourth, the sports ethics education lecturer emphasized digital literacy in a non-face-to-face environment, it can be expected only when it is equipped with "teaching-learning ability that can smoothly prepare and operate classes on digital platfor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