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학교 음악 교과서의 가창 수업 지도방안 연구 : 평시조 「동창이」와 여창가곡 우락 「바람은」을 중심으로

        임다솜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paper aims to draw up systematic and stepwise singing guidance plans based on Pyeongsijo「Dongchang-i」and Yeochang-gagok Urak「Baram-eun」included in the current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and prepare a teaching and learning guidance plan for 3rd hour class standardized for any one to know easily. To achieve this, first, as a result of identifying the present condition of Sijo and Gagok included in textbooks, it was found that in case of Sijo, Pyeongsijo「Dongchang-i」and in case of Gagok, Yeochang-gagok Urak「Baram-eun」were included the most. Second, stepwise singing guidance plans for musical pieces were provided in 3 stages. Stage 1 is‘exploring a song’, the stage that identifies background and type of musical piece, understanding of writing lyrics, playing style, and speed. Stage 2 is‘learning musical pieces’and consists of right posture and breathing for singing, vocalization and beat, learning scale, reading of Jeongganbo, and learning Sigimsae. Stage 3 is‘creative expression’and consists of expressing suitable for singing and creating writing lyrics. Expressing suitable for a song is to have them express the dynamics suitable for the rhythm of a musical piece and atmosphere of lyrics and sing a song utilizing Sigimsae, and creating writing lyrics is to have them create poems for Sijo and sing a song. Third, teaching and learning guidance plans for 3rd hour class were provided by applying such stepwise singing teaching methods. At 1st hour class (understanding of Sijo and Gagok), they were instructed to teach the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sijo and gagok with PPT data and do advance learning sufficiently for singing with right vocalism, scale of Sijo and Gagok, reading of Jeongganbo, and learning Sigimsae. At 2nd hour class (Pyeongsijo「Dongchang-i」), they were constructed to read lyrics to understand the content of Sijo and learn the rhythm of Sijo with Mureup-jangdan, practice Mal-but-im-sae and learn the rhythm of a song. They were also constructed to put finger Yulmyeong, recognize scale, learn Sigimsae, put this together, sing the beginning of「Dongchang-i」, and create the lyrics of Sijo poem. Like 2nd hour class, 3rd hour class (Yeochang-gagok Urak「Baram-eun」) consisted of understanding of lyrics of Urak「Baram-eun」, learning the rhythm of a song through Mureup-jangdan, practicing Mal-but-im-sae, and learning scale and Sigimsae, and taken all these together, they are constructed to sing the beginning of musical piece, compare it with Sijo and Gagok, and conclude this hour clas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helpful for guiding Sijo and Gagok systematically by utilizing the developed classes. It is also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make adolescents foster stable emotions in beautiful lyrics and melodies included in our traditional songs by making them understand Sijo and Gagok rightly.

      • Anode-free Battery 적용을 위한 Carbon Nanotube 필름 집전체 연구

        임다솜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리튬 배터리(Lithium metal batteries, LMBs)는 높은 중량 및 부피 에너지 밀도를 가지고 있어, 차세대 전기 에너지 저장 장치로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LMB에서 음극으로 사용되는 리튬 메탈과 양극의 용량비(N/P ratio)를 맞추기 위해서는 리튬 메탈의 두께가 100 μm 이하여야 하나 대면적의 얇은 리튬 메탈을 만드는 공정은 어렵고 위험하다. 리튬 메탈의 두께를 변화시키지 않고 높은 에너지 밀도를 구현할 수 있는 anode-free battery가 LMB의 대안으로서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이다. 또한 anode-free battery는 LMB와 달리 배터리가 조립된 후에도 자가방전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anode-free battery 구동 과정에서 리튬 메탈 전착시 mossy-like 형태의 증착과 Li dendrite 성장으로 인해 사이클 안정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구리 집전체의 표면 처리, 낮은 리튬 핵 형성 과전압(nucleation overpotential)을 갖는 물질을 사용하는 등의 다양한 선행연구들이 이루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carbon nanotube (CNT) film을 anode-free battery의 집전체로 사용하여 전기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CNT film은 비표면적이 크고 전기전도도가 우수한 3차원 구조를 가지는 다공성 물질이다. 이로 인해 국부적 전류밀도를 낮춰, Li+ flux를 균일하게 분포시켜 리튬 메탈의 증착을 용이하게 하였다. CNT film에 전착 된 리튬 메탈의 표면 형태는 mossy-like 형태로 전착 되지 않고 매끄럽게 전착 되었는데, 이는 낮은 리튬 메탈 핵 형성 활성화 에너지로 인해 리튬 메탈의 핵 형성 및 성장이 균일하게 일어났기 때문이다. 이러한 결과는 CNT film이 anode-free battery의 집전체로서 높은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Lithium metal batteries(LMBs) are of particular interest for next-generation electrical energy storage because of their high energy density on both volumetric and gravimetric bases. In order to match the capacity ratio between Li metal and cathode (N/P ratio), the thickness of Li metal must be 100 μm or less. However i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such thin Li metal in a large area, and the process is dangerous. Rather than handling the lithium metal, the anode-free battery, which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achieve high energy density, can be an alternative for LMB. Unlike LMBs, self-discharging does not occur in the anode-free battery after the battery is assembled. However, there is a problem of low cycle stability due to mossy-like deposition and dendrite growth during lithium metal electrodeposition in anode-free batterie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various prior studies such as surface treatment of Cu current collector and adopting of material with low lithium nucleation overpotential were conducted. In this work, carbon nanotube (CNT) film was used as current collector for anode-free battery and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were analyzed. The CNT film is a porous material having a 3D structure with a large specific surface area and excellent electrical conductivity. Due to this, the local current density can be lowered, and the Li+ flux can be evenly distributed to facilitate the deposition of lithium metal. The surface morphology of Li metal plated on the CNT film was smooth and not mossy because Li growth occurred uniformly due to the low Li nucleation activation energy. These results demonstrate the high potential of the CNT film as a current collector for an anode-free battery.

      • 화장품 제형에 따른 ascorbic acid의 활성도 비교 연구

        임다솜 건국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Ascorbic acid는 화장품의 소재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Ascorbic acid는 항산화, 콜라겐 생합성 촉진, 피부 미백효과 등 인체에 특별한 효과를 나타내며, 안티에이징 활성 성분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화장품 소재로써 ascorbic acid는 산화, 갈변, 변취와 같은 불안정한 문제가 있어 높은 함량을 적용하기에는 문제가 많아 적용이 까다롭고 그에 따른 안정성을 증명해야만 한다. 따라서 ascorbic acid가 함유된 화장품 제형 4가지를 만들고 ascorbic acid의 산화로 인한 활성도 저하와 그에 따른 성상의 변화를 방지 할 수 있는 효율적인 제형과 보관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실험을 통해 관찰하였다. 실험은 ascorbic acid 5%를 각각의 제형 무수타입의 점성이 있는 화장수, 수용성의 점성이 있는 화장수, O/W 타입의 에멀젼, W/O 타입의 에멀젼에 동일하게 첨가하였고, 보관온도를 달리하여(25℃, 50℃, 5℃, 일광노출) 각 조건 별로 8주간 관찰하여 기록하였다. 제조일로부터 8주 동안 각 제형의 성상, 점도, 유화 입자와 HPLC로 정량분석한 함량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네 가지 제형 모두 50℃에서 확연하게 변색이 일어났으며 O/W 타입의 에멀젼은 상분리가 일어나고, W/O 타입의 에멀젼은 기포가 발생하거나 부풀음 현상이 일어나 불안정한 성상을 보였다. 25℃에서는 약간의 색변화가 관찰되는 모습을 보였고 온도가 떨어질수록 성상의 변화가 적었다. 유화입자 또한 25℃보다 50℃에서 보관한 제형이 훨씬 불안정한 모습을 보였고 변화 시기도 더 빨랐다. 각 제형의 점도를 비교하였을 때 무수타입의 화장수를 제외한 나머지 제형은 8주 후의 점도가 초기 점도에 비해 15% 이상 감소하여 불안정한 모습을 보였다. HPLC를 이용해 ascorbic acid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25℃에서는 모든 제형이 8주 동안 80% 이상의 함량을 유지하여 ascorbic acid의 산화가 크게 일어나지 않았다고 관찰되었지만, 50℃에서는 무수타입 화장수 제형을 제외한 제형들이 큰 차이로 함량이 감소한 것을 보아 고온에서는 ascorbic acid의 산화가 더 빨리 일어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특히 가장 큰 함량 차이가 나타난 O/W 타입 에멀젼의 경우 ascorbic acid가 산화되면서 활성도가 떨어지고 그에 따라 상분리가 일어난 것으로 추측 할 수 있다. 무수타입 화장수의 경우 50℃를 포함한 전체 보관 온도에서 8주 동안 큰 변화 없이 90% 이상의 함량을 유지하였다. 각각의 제형에서 보관온도를 달리 하였을 때에는 모든 제형이 저온에서 가장 안정하였고 고온에서는 활성도가 크게 떨어지는 것을 보였으므로 낮은 온도에서 보관할수록 안정도를 오래 유지시킬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또 빛에 대한 노출보다 각 온도별로의 차이가 더 큰 것으로 관찰되어 빛의 유무보다는 온도에 더 민감하다고 예상 할 수 있다. 각각의 성상과 유화입자, 점도, 함량의 변화 시기에 대한 경향성이 일치하는 것으로 보아 ascorbic acid가 산화되면서 제형의 성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결과적으로 실온 보관 조건에서는 무수타입의 화장수가 가장 안정성이 뛰어나 ascorbic acid를 활용하기 적합한 제형으로 나타났고, 제형과 상관없이 저온에서 보관한다면 성상, 점도, 유화 입자 및 함량을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응용하여 미백과 항산화 기능이 우수한 ascorbic acid를 안정한 제형으로 적용하여 화장품 소재로써 활용 범위를 넓힐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Ascorbic acid exhibits special effects on the human body, including antioxidant effect, facilitation of collagen biosynthesis, and skin whitening effect, while it is also used as anti-aging active ingredient. However, as an ingredient for cosmetics, ascorbic acid presents problems of instability, such as oxidation, browning, and creaming deterioration. For this reason, applying high content of ascorbic acid could be difficult due to many problems and its stability must be verified. In the experiment, equal amount of 5% of ascorbic acid was added to different formulations (anhydrous viscosity liquid, aqueous viscosity liquid, O/W type emulsion, and W/O type emulsion). The storage temperatures were varied and the results from 8-week observations were recorded by each storage condition. The experiment compared the changes in appearance, viscosity, and emulsion particles, as well as changes in content quantitatively analyzed by HPLC, of each formulation over 8 week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discoloration at 50℃ in all four formulations. Phase separation occurred in the O/W type emulsion, while the W/O type emulsion appeared to be unstable with bubbling or swelling. Slight discoloration was observed at 25℃, and as the temperature decreased, changes in the appearance occurred to a lesser degree. The results of content measurement by HPLC showed that ≥ 80% of content was retained at 25℃ over 8 weeks, indicating little oxidation of ascorbic acid. At 50℃, all formulations, except the anhydrous viscosity liquid formul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mount of content reduced, indicating that oxidation of ascorbic acid occurred more quickly at higher temperatures. The anhydrous viscosity liquid retained ≥ 90% of content with little change at all storage temperatures, including 50℃, during the 8-week period. Moreover, based on the fact that greater differences were observed based on temperature than based on exposure to light, it is suspected that the formulations were more sensitive to temperature than light. Since the formulations showed similar tendencies in when changes in appearance, viscosity, emulsion particles, and content occurred, it is considered that oxidation of ascorbic acid had an impact on the appearance of formulations. Consequently, anhydrous skin lotion was found to be the formulation most suitable for using ascorbic acid since it was most stable when stored at room temperature. Moreover, it is considered that appearance, viscosity, emulsion particles, and content could be stably retained regardless of formulation type when stored at low temperatures. By using the findings in the study, ascorbic acid with excellent whitening and antioxidant functions could be applied in a stable formulation to broaden its application as an ingredient for cosmetics.

      • 초등미술교육에서 공간교육을 위한 공간의 개념과 교육 방향 연구

        임다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39

        초등미술교육에서 공간교육을 위한 공간교육 개념 및 방향 연구 임 다 솜 미술교육전공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OECD Education 2030: The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프로젝트에 서는 교육을 통해 '개인적, 사회적 웰빙'(Individual and collective well-being)을 궁극적인 목표로 이야기한다. 미래를 살아갈 초등학생들은 과 학 기술의 발전과 기후 변화, 펜데믹 등의 위기 상황에 의해 예측하기 어렵 게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 삶을 잘 살아갈 수 있기 위해 변하지 않는 가치이 자 함께 살아가는 존재인 인간을 이해해야 한다. 인간을 이해하는 다양한 관점이 있지만 인간의 삶은 인간이 존재하고 있 는 공간을 제외하고 설명할 수 없다. 공간은 그곳을 살아가는 인간과 상호 작용하며 공간에 인간의 삶이 묻어나고, 인간은 공간의 영향을 받아 변화해 간다. 학생들이 공간을 통해 자신과 타인을 이해하고, 자신의 공간을 구성하 고 가꾸며 살아가는 능력을 갖추어 성장할 수 있도록 공간교육은 반드시 필 요하다. 미술 교과는 자신을 둘러싼 세계와의 소통을 통해 서로의 관계를 이해하 고, 조형적인 문제 해결을 통해 자신과 공동체의 삶을 풍요롭게 발전시킨다 는 점에서 공간교육이 이루어지기에 적합한 교과이다. 본 연구는 미술 교과 에서 초등학생들에게 공간을 교육하기 위한 공간교육의 개념을 정의하고, 공간교육이 교사 개인의 역량과 노력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교과 서를 통해 학생들에게 자연스럽게 교육될 수 있도록 교과서 속 공간교육 방 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Ⅱ장에서 공간에 관한 문헌 연구를 통해 공간을 구분하고 인식 하는 절대적, 상대적, 관계적 공간 개념을 바탕으로 각 공간 개념을 주장한 철학, 과학의 대표 학자들의 이론을 살펴보았다. 또한 여러 학문에서 말하는 공간 개념을 확인하고, 공간교육 관련 선행 연구들을 통해 본 연구에서 활 용하는 공간교육의 개념을 정의하고, 공간교육의 큰 방향성을 찾았다. 더불 어 가상 공간의 활용을 통해 공간교육에서의 물리적 한계를 벗어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Ⅲ장에서는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학교 3·4·5·6 미술 교과서의 공간 관련 단원과 '공간'이라는 단어가 포함된 발문 분석을 통해 공간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한정된 교과서 속에서 굥간 교육을 내재하여 교육할 수 있는 단원을 파악하기 위해 공간교육 내용 요소 9가지를 선정하였다. 더불어 초등학교 1·2학년에서의 공간교육을 위해 통합 교과 지도서를 분석하여 초등학교 공간교육의 위계를 설정하였다. Ⅳ장에서 는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한 포커스그룹인터뷰(FGI)를 통해 미술 교과 및 타 교과 속 공간교육 장면들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교사들이 이야기하 는 공간교육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도록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새로운 미 술 교과서에서의 공간교육 방향과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교사들이 공간을 교육의 대상으로 여기고, 학생들이 공간 을 자신과 분리하여 새롭게 바라보고 인식하는 경험을 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 더불어 미술 교과를 통해 공간인식과 공간표현의 통합적인 공 간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공간을 미술의 대상으로 미적 체험과 표현과 감상을 할 수 있는 연구의 시작점이 되길 희망한다. ※핵심어: 공간교육, 공간인식, 공간 개념, 초등 미술 교육, 초등 미술 교과 서

      • 미국대학을 졸업한 조기유학 종결자들의 가족관계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임다솜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what kind of family relations experience that early study abroad terminators(ESAT) who graduated from U.S.A. universities experienced and how their experiences give meaning to their individually unique life. In order to examine ESATs’ life and their experiences occurred before leaving to early study abroad(ESA), during pursuing ESA, and after returning to Korea due to ESA termination,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of Clandinin and Connelly (2000) was applied. This method enables ESATs to retell and relive their experiences via meaningful meetings with a researcher. Three ESATs who left Korea as an adolescent for ESA and returned to Korea after termination for less than 5 year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The in-depth interview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December 2017 to March 2018, and the data was analyzed and written into research text according to the narrative inquiry procedure.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family relationship experiences of ESATs who graduated from U.S.A. universities. The first participant, Lee Gi Feum's story, depicted the story of Lee Gi Feum's life and family relationship experience before ESA period through ‘I wanted to do everything that my brother did' and ’My family who can not speak with affection' in <Story of family relationship experience before ESA>. In the <Story of family relationship experience during ESA>, Lee’s story was reconstructed into ‘Mom and dad wouldn’t understand the hardship here,’ ‘My brother of whom I didn’t even know the phone number,’ and ‘Things I wouldn’t have known if I have seen them everyday’ in order to illustrate the family relationship experience during the ESA. Finally, in <Story of family relationship experience after returning home>, ‘Even though I was able to study abroad,’ ‘My new family to whom I do not have to show my perfection only’, and ‘Would it have been different if had I lived in Korea?’ demonstrated the experience after returning home completing the education. The second participant, Kang Jun-hyung's story, portrayed the story of Kang Jun-hyeong's life and family relationship experience in the pre-ESA period through ‘The child who was always alone’ and ‘Education is the only inheritance’ in <Story of family relations experience before ESA>. In the <Story of Family Relations Experience during ESA>, ‘First time doing ESA, first time being a guardian’, ‘Good job! Ain’t other thing going on, right?’, and ‘My life divided by before and after army service period’ illustrated the family relationship experience after returning home. Finally, Kang’s <Story of family relationship experience after returning home> was composed of ‘From impious to proud son’ and ‘Now giving love to the hated one’ highlighted the experience after returning home by completing the education. Lastly, the story of the third participant, Bit Nari, represented <Story of family relations experience before ESA> through 'An easy-going child’ and ‘It’s my family anywhere; whether they are near or far away’ in order to capture the pre-ESA family relationship experience. In the <Story of Family Relations Experience during ESA>, ‘Regardless of what decisions I make, what mistakes I make’ and ‘It’s not awkward, we are a family after all’ depicted the family relationship experience after returning home. Finally, Bit’s <Story of family relationship experience after returning home> was reconstructed into ‘The un-narrowing sense of distance between I and my sister’ and ‘Embarking on another journey’ represented the experience after returning home by completion of the education. Based on the time sequence of <Story of family relations experience before ESA>, <Story of Family Relations Experience during ESA>, and <Story of family relationship experience after returning home>, the three stories were reconstructed and presented into the research text. The conclusion of the experience of family relationship as an ESAT who graduated from the U.S.A. university of the three research participants was derived as <Family, the common fate>, <Still my family, after all>, and <The scene of my family with one step backward>. The purpose of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that portrayed the ESATs’ life story and their family relationship experiences in-depth with the perspective of family system theory; it deviated from the success or failure perspective oriented analyzation process established by the previous studies. For future research, it is suggested to consider three aspects; select participants who graduated from non-U.S.A. universities, and have no previous abroad residency experience, and conduct the research by same sex participants. 본 연구는 미국대학을 졸업한 조기유학 종결자들이 어떤 가족관계를 경험하며, 그 경험이 참여자들의 삶에 어떠한 의미를 부여하는지를 통해 그들의 삶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조기유학을 떠나기 전부터 조기유학 과정 중, 그리고 미국에서 대학교를 졸업한 후 조기유학을 종결하여 한국으로 귀국하기까지, 자신들의 삶과 경험을 연구자와의 만남을 통해 다시 이야기함으로써 그 고유의 경험을 더 깊이 이해하기 위하여 Clandinin과 Connelly(2000)의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적용하여 연구하였다. 연구의 진행을 위해 학령기에 조기유학을 떠나 미국대학을 졸업하고 한국으로 귀국한 지 1년 이상, 5년 이하인 조기유학 종결자 3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7년 9월부터 2018년 3월이다. 심층면담을 통하여 연구 텍스트를 작성하였고 내러티브 탐구 절차를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다. 미국대학을 졸업한 조기유학 종결자들의 가족관계 경험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참여자 이기쁨의 이야기는, <조기유학 전 가족관계 이야기>에서 ‘오빠가 하는 건 다 하고 싶었다’, ‘다정한 말을 못하는 사람들’을 통해 조기유학 전 이기쁨의 가족관계 경험을 이야기를 구성하였다. <조기유학 중 가족관계 이야기>에서는 ‘엄마, 아빠가 여기서 힘든 걸 뭘 알겠어’와 ‘전화번호도 몰랐던 오빠’, ‘맨 날 봤으면 모를 일들’을 바탕으로 조기유학 중 경험했던 가족관계 이야기를 재구성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귀국 후 가족관계 이야기>에서는 ‘이렇게 유학까지 시켜줬는데’, ‘완벽한 모습만 보여주지 않아도 되는 나의 새로운 가족’, ‘내가 한국에 있었으면 달랐을까?’를 통해 조기유학 종결 후 돌아온 가족의 품에서 경험한 이야기를 구성하였다. 다음으로 두 번째 참여자 강준형의 이야기는, <조기유학 전 가족관계 이야기>에서 ‘늘 혼자였던 아이’, ‘남겨줄 재산은 교육 뿐’을 통해 조기유학 전 강준형의 삶과 가족관계 이야기를 그려냈다. <조기유학 중 가족관계 이야기>에서는 ‘처음 하는 유학, 처음 하는 보호자’, ‘잘 했다! 별일 없제?’, ‘군대 전과 군대 후로 나뉘는 내 인생’을 통해 조기유학 과정 중 경험했던 가족관계 이야기를 재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귀국 후 가족관계 이야기>에서는 ‘불효자에서 자랑스러운 아들로’, ‘이제는 미움 받는 존재에게 사랑을’을 통해 교육과정을 종결하고 귀국한 강준형의 삶 속의 가족관계 이야기를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참여자 빛나리의 이야기는, <조기유학 전 가족관계 이야기>에서 ‘무던한 아이’, ‘어쨌든 내 가족이니깐, 멀리 있건 가까이 있건’을 통해 조기유학 전 가족관계 이야기를 구성했다. <조기유학 중 가족관계 이야기>에서는 ‘내가 어떤 선택을 하든, 어떤 잘못을 하든’, ‘어색할리 없잖아요, 가족이니깐’을 통해 조기유학을 경험하는 과정 중 경험한 가족관계 이야기를 그려냈다. 마지막으로 <귀국 후 가족관계 이야기>에서는 ‘동생과 나의 좁혀지지 않는 거리’, ‘또 다시 떠나는 여행’을 통해 조기유학을 종결하고 귀국 후 경험한 가족관계 이야기를 재구성하였다. 세 연구 참여자가 살아온 이야기를 시간 의 흐름에 따라 <조기유학 전 가족관계 이야기>, <조기유학 중 가족관계 이야기>, <귀국 후 가족관계 이야기>라는 세 단계로 구분하여 재구성하고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미국대학을 졸업 한 조기유학 종결자로서의 가족관계 경험의 결론은 <공동 운명체, 가족>, <그래도, 내 편인 가족>, <한 발자국 뒤 가족의 모습>으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선행연구가 성공과 실패의 관점에서 조기유학 종결자와 그들의 가족의 관계경험을 분석했던 방식에서 벗어나 가족 체계론적 관점에서 조기유학 종결자들의 가족관계 경험을 심도 있게 제시하는 의의를 갖는다.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으로 미국대학 외 다양한 국가의 대학 졸업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연구 참여자를 성별로 구분한 연구가 필요하고, 해외거주 경험이 없는 대상자를 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 생태시대의 기독교 대안교육

        임다솜 한신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교육이란 무엇인가? 인류의 시작과 더불어 교육은 존재해왔다. 교육은 삶을 살아가기 위한 방법을 내용으로 하므로, 삶과 밀접한 관련을 지닌다. 다시 말해서 교육은 삶을 유지하기 위해 요구되는 것이며, 교육의 내용은 삶에 필요한 부분을 배우는 것으로써 먹고 사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다. 그러나 시대가 흐르고 사회가 점차 체계화되면서 교육의 내용은 사회를 유지하는 도구로 변화되었다. 이것은 교육이 제도화되어 오늘날과 같은 학교교육(제도교육)이 생겨난 것을 말한다. 학교교육은 근대산업사회의 태동과 함께 시작되었다. 산업사회에서는 숙련된 노동력을 요구하였고, 이 요구에 의해 제도화된 교육은 노동력을 길러내는 강력한 수단이 되었다. 이반 일리치, 『공생의 사회』, 분도출판사, 1978, p.8. 다시 말해서 학교교육은 사회로부터 필요로 하는 인력(노동력)을 기르기 위한 교육을 해온 것이다. 그 결과 학교교육은 사회가 원하는 교육시스템을 도입시킴으로써 인간을 사회제도에 적합한 인간으로 길들이는 교육을 해왔다는 것이 드러나게 되었다. 이로 인해 20세기 중반 학교교육제도에 대한 비판적 물음이 시작되었다. 또한 학교교육제도의 문제를 비롯해서 노동과 환경 문제가 등장하였고, 이로부터 교육의 본질에 대해 논의하기 시작하였다. 그리하여 교육과 사회의 관계, 교육의 이데올로기적 특징, 학교폐지론, 탈학교 논쟁이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이러한 논의의 내용은 근대화에 의한 제도교육 안에서 상실된 인간의 자율성, 자원의 고갈과 생태계 파괴, 핵전쟁의 위협 등에 대한 비판과 그것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한 학교교육제도에 대한 비판이었다. 이러한 학교교육제도를 극복하려는 대안교육운동이 시작되었다. 1970년대 사회운동으로 시작되어 다양한 탈학교학습모임들이 생겨났으며, 1990년대에 이르러 본격적으로 대안교육의 형태로 대안학교가 등장하였다. 대안학교는 학교교육인 제도교육을 벗어나 참된 교육을 실현하려는 운동으로 시작되었다. 이제 논자는 대안교육의 유형 중 기독교 신앙을 바탕으로 하는 대안교육을 제안하고자 한다. 앞서 말했듯이 기독교 대안교육이란 기독교 신앙을 바탕으로 하는 대안교육을 말한다. 기독교 신앙이란 기독교 진리의 빛에서 세계와 나를 바라보고 그 빛에 따라 살아가려는 고백 위에 서 있다. 또한 기독교교육은 성서에서 참된 세계로 표상되어 있는 하나님 나라 공동체를 지향하면서, 그것을 선취해서 오늘의 세계를 변화시키는데 그 목표가 있다. 바로 여기서 기독교 대안교육의 의미와 필요성이 드러난다. 기독교교육은 본질에 있어서 오늘의 사회 현실과 그 현실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학교교육의 모순을 극복해야 하는 위치에 서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기독교교육은 하나님 나라 공동체에 역행하고 있는 학교교육의 대안으로서 의미를 지닌다. 또한 기존의 학교교육제도를 통하여 전지구적 생태위기에 직면한 것에 대하여 인류가 처해 있는 전지구적 생태위기를 극복하는 것이 교육의 과제가 된다. 이러한 과제는 생태적 세계관과 이념을 바탕으로 생태교육을 추구해야 한다. 생태교육은 유기체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자연과 인간의 관계, 인간과 인간의 관계를 바라보며, 이러한 세계관이 하나님의 창조질서와 법칙에 상응한다는 전제 위에 서 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생태적 기독교교육이 요구된다. 이 논문은 기독교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인 하나님 나라 실현을 지향하면서 오늘의 학교교육제도의 문제들을 검토하고 그 대안으로서의 기독교교육을 모색하려고 한다. 이를 위해서 먼저 탈학교논쟁, 대안교육의 등장배경과 의미를 살펴보고, 대안교육의 유형 중 기독교 신앙을 바탕으로 하는 대안교육을 제안하고자 한다. 다음으로는 기존 사회의 기계적․인간중심적 세계관을 비롯한 인간의 욕망, 사회구조 등으로 인한 생태계 위기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기독교 대안교육이 생태교육 이어야 함을 밝히기 위해 생태교육의 이념과 필요성, 과제와 방향을 서술하여 앞으로의 생태시대가 요구하는 생태적 기독교 대안교육의 길을 제시할 것이다.

      • 문화 민주화, 문화 민주주의 시선으로 바라본 국내외 미술주간 정책 비교 연구

        임다솜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최근 국내에서 미술문화 일상화를 목표로 하는 행사인 미술주간을 분석한 것이다. 미술주간은 이전 문화향유 정책과는 달리 시민들에게 미술 분야만을 즐기도록 한 행사로, 2015년 시범운영 이후 현재까지 시행되고 있다. 미술주간의 목표는 최대한 많은 사람이 미술문화를 향유 하는 것이며, 이는 문화 민주화로 볼 수 있다. 문화 민주화 이후에, 시민이 문화생산자로서 예술 활동과정에 참여하는 문화 민주주의가 나왔다. 이는 최근 우리나라 문화정책에서 대두되는 여러 개념 중 하나다. 2014년 문화체육관광부에서 발행된 ‘지역문화진흥 기본계획 2020- 지역을 풍요롭게 문화를 다양하게 지역문화진흥-’에서 처음 문화 민주주의를 언급하였다. 이후 현 정부에서는 문화 민주주의 개념을 바탕으로 추진한 새 예술 정책인 ‘미술로 행복한 삶 - 미술진흥 중장기 계획(2018-2022)-’를 발표했다. 이 정책에는 미술주간이 속해 있었다. 그래서 이 연구는 해외 논문인 마타라소(Francois Matarasso) 와 찰스 랜드리(Charles Landry) (1999), 에브라드 이브(Evard Yves) (1997)와 랑스테드 존(Langsted Jorn) (1990)을 중심으로 미술주간의 핵심 개념들인 ‘문화 민주화’와 ‘문화 민주주의’ 대립 구도를 분석해보았다. ‘문화 민주화’는 최대한 많은 대중에게 고급문화를 전달하고자 하는 개념으로 대중을 문화 전달받는 수동적인 대상으로 바라보았다. 반면, ‘문화 민주주의’는 문화의 다양성을 추구하기 위해 모든 대중의 예술 활동 참여를 유도하는 정책으로, 대중들이 이러한 활동을 통해 새로운 문화를 형성할 수 있는 대상으로 보았다. 두 개념은 대중을 바라보는 시선의 차이를 볼 수 있다. 이러한 분석 틀을 활용하여 먼저 시행된 해외 미술주간 선진 사례들은 문화 민주화 관점에서 런던과 베를린 미술주간을, 문화 민주주의 시각에서는 홍콩과 싱가포르 미술주간을 분석했다. 결론적으로 국내 미술주간의 발전 방향을 살펴보기 위해 슬로건 및 오프닝, 아트투어, 미술주간 혜택, 연계 프로그램 4가지 범주를 통해 분석하였다. 2016년 국내 미술주간은 문화 민주화 성격이 강했으며, 2017년은 문화 민주화와 문화 민주주의가 혼합된 양상을 볼 수 있었다. 2018년에서는 문화 민주주의 방향성 프로그램들을 바탕으로 행사를 이끌어나가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참여관람객의 수에도 영향을 미쳐서, 매해 급증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문화 민주화에서 문화 민주주의 방향으로 변화하는 국내 미술주간의 흐름은 긍정적 방향이라 볼 수 있다. 이 연구는 국내 미술주간의 첫 연구 사례로 문화 민주화에서 문화 민주주의로 변화하는 동시대 미술문화정책을 탐구한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the recent Korean Art Week, an event aimed at making art culture rountine in Korea. The Art Week is an event that allows citizens to enjoy only the art field, unlike previous culture-enhancing policies, and has been in operation since its trial run in 2015. The goal of the Art Week is for as many people as possible to enjoy art culture, which can be seen as cultural democratization. After cultural democratization, a cultural democracy emerged in which citizens participated in the art process as cultural producers. This is one of the many concepts emerging in the nation’s recent cultural policy. Cultural democracy was first mentioned in 'Basic Plan for Regional Culture Promotion 2020 - Promotion of Regional Culture and Tourism'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in 2014. Since then, the current administration has announced its new art policy, ‘Happy Life with Art – Mid-anf Long-term Plan for the Promotion of Art(2018-2022)’, which it has promoted based on the concept of cultural and democracy. The policy included the Art Week. So, the study analyzed the structurd of the confrontation between ‘cultural democracy’ and ‘cultural democracy’ - key concepts of the Art Week – focusing on the overseas papers Francois Matarasso and Charles Landry (1999), Evard, Yves (1997), Langsted and Jorn (1990). The concept of ‘cultural democratization’ was to convey high culture to the public as much as possible and viewed the public as passive targets of receiving culture. On the other hand, ‘cultural democracy’ is a policy of encouraging all the the public to participate in art activities in order to pursue the Cultural Diversity, which the public saw as a target of forming a new culture through these activities. The two concepts can see the difference in the way the look at the public. Using this framework, advanced cases of overseas Art Week first ananlyzed for London and Berlin Art Week in terms of cultural democratization, and HongKong and Singapore Art Week in terms of cultural democracy. In conclusion, four categories of slogans and opening, art tour, art week benefit and linkage program were analyzed to look ar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Korea Art Week. The 2016 Korea Art Week was highl cultural and democratic, and 2017 saw a mix of cultural democratization and cultural democracy. In 2018, it is leading the event based on cultural, democratic directional programs. The changes also affected the number of participants, which resulted in a surge in the number of participants each year. Through this, the trend of domestic art stocks changing from cultural democratization to cultural and democratic direction can be seen as a positive direction. The study is the first of its kind by a local art artist and is meaningful in exploring contemporary art and culture policies that change from cultural democratizaion to cultural democracy.

      • Identification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chemical marker metabolites from Cynanchum genus plant

        임다솜 Konkuk University 2018 국내석사

        RANK : 248623

        The genus Cynanchum, belonging to Asclepiadaceae family contains approximately 200 species and is widely distributed in Asia. The root tissues of Cynanchum atratum, Cynanchum auriculatum, Cynanchum wilfordii, and Cynanchum wallichii have been used as folk medicine in various Asian countries. Among these four species, only C. atratum and C. wilfordii are used in Korea. It would be valuable to discover an effective chemical marker for identification of the species. In this study, metabolite profiles of various Cynanchum plants were compared from crude extracts. Among several secondary metabolites, seven acetophenones were selected as chemical-marker metabolites from four Cynanchum plants. Quantitative analysis has been performed with two Cynanchum, C. atratum and C. wilfordii which are available in Korea. Total concentrations of acetophenones in C. atratum and C. wilfordii were similar. However, 2’-hydroxy-4’-methoxyacetophenone was the most abundant acetophenone in C. atratum, while 2’,4’-dihydroxyacetophenone was the most abundant acetophenone in C. wilfordii. In addition, the concentration of sugar alcohol (conduritol F), a previously known marker of C. wilfordii was also compared. The concentration of conduritol F in C. wilfordii was approximately 4-270 times higher than those in other species. In summary, the results indicated that acetophenones were also useful chemical markers for the discrimination of Cynanchum plants. 박주가리과에 속하는 백미꽃속은 약 200여개 종을 포함하고 있으며 아시아에 넓게 분포 되어있다. 백미꽃속에 속하는 Cynanchum atratum, Cynanchum auriculatum, Cynanchum wilfordii, Cynanchum wallichii는 아시아 여러 지역에서 민간요법에 사용되고 있다. 언급된 네 가지 종 중에 C. atratum과 C. wilfordii만 한국에서 사용된다. 종의 동정에 대한 효과적인 지표성분을 발견하는 것은 가치 있는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백미꽃속 식물들의 대사물들을 조추출액 상태로 비교하였다. 여러 이차대사산물 중에 일곱 가지의 아세토페논이 백미꽃속의 지표성분으로 선정되었다. 한국에서 사용하는 C. atratum과 C. wilfordii에 대하여 정량분석이 실시되었다. 아세토페논의 총량은 C. atratum과 C. wilfordii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C. atratum에서는 2’-hydroxy-4’-methoxyacetophenone이, C. wilfordii에서는 2’, 4’-dihydroxyacetophenone이 가장 많이 검출된 아세토페논이었다. 이전 연구를 통하여 C. wilfordii의 지표성분으로 밝혀진 conduritol F에 대한 비교도 실시되었다. C. wilfordii에서의 conduritol F의 농도는 다른 종에서 보다 4-270배 많게 검출되었다. 이 결과들을 바탕으로 아세토페논을 백미꽃속 식물의 구별에 유용한 지표성분으로 설정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