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Quantifying Visual Specular Gloss Scale

        Youngshin Kwak(곽영신),Hyun Jin Park(박현진),Ki-Hyeong Im(임기형) 한국색채학회 2011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5 No.3

        현재 시중에 판매되는 대부분 전자 제품의 표면은 광택이 높은 편이나, 색 품질 관리를 위해 사용하는 색차식들은 대부분 광택이나 테스쳐가 없는 평면에 표현된 색을 이용하여 개발된 것들로 기존의 색차식을 이용하여 광택이 있는 제품의 색관리를 하는 데 한계가 발생한다. 이 때문에 색채과학 분야에서는 색 뿐 아니라 광택이나 텍스쳐까지 정량화가 가능한 시감 예측 모델에 관한 연구가 큰 관심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감 예측 모델 개발을 위한 첫 단계로 우선적으로 측정된 광택과 인지된 시감 광택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다양한 수준으로 UV 코팅된 폴리카보네이트 샘플들을 이용하여 두 세트의 광택 실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첫 번째 세트는 11 단계의 서로 다른 광택을 갖는 흰색 및 검정색 샘플들로, 두 번째 세트는 21 단계의 흰색 및 검정색 샘플들로 구성되었다. 샘플들을 D65 광원이 켜진 관측 상자 안에 제시한 후 관찰자들에게 0에서 100 사이의 값으로 인지된 광택 정도를 대답하게 하였다. 각 실험에는 10명 내외의 관찰자들이 참여하였다. 실험 데이터 분석 결과 인지된 광택 정도는 실험 시 함께 제시된 주변 샘플들의 광택정도에 상관없이 일정하게 나타났다. 이는 시각적으로 인지되는 광택은 물리적으로 정의되는 표면에서 발생하는 정반사 정도가 아니라 사람들이 표면 특성을 인지하는데 이용하는 시각 정보로 표면 고유의 절대적인 특성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물리적으로 동일한 광택값을 갖는 샘플이다 하더라도 검정색 샘플이 흰색 샘플보다 더 광택이 높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시감 광택 데이터는 향후 광택 예측 모델 개발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Current state-of-art color-difference equations for color quality control are developed mainly for matte surfaces without any gloss or textures. However, most of the home appliances or electrical devices available today have glossy appearance limiting the accuracy of surface color difference prediction. Therefore new visual appearance model development will be the next goal for the color scientists including not only the color but also other surface appearances such as gloss or texture. In this study, as a first step of surface appearance model develop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gloss and the measured gloss were investigated. Two sets glossiness data were obtained for the polycarbonate (PC) surfaces with the different levels of UV clear coating. The frist set came from the eleven black and white samples with different gloss levels and the second data set was collected using twenty one black and white samples. The samples were shown in the viewing booth illuminated with D65 simulator and the observers were asked to scale the perceived glossiness between 0 and 100 for black and white samples. Around ten observers participated each experiment.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observers can judge a glossiness of a sample consistently regardless the gloss level of the neighboring samples displayed together. It suggests that glossiness is an intrinsic and absolute visual attribute people use to judge the surface appearance. Also it is confirmed that black samples look glossier than white samples having the same physical gloss value. The experimental data in this study could be used to develop mathematical glossiness prediction model.

      • KCI등재

        펄 안료 함유 표면의 펄 느낌 정량화 연구

        백예슬(Ye Seul Baek),곽영신(Youngshin Kwak),박현진(Hyun jin Park),임기형(Ki-Hyeong Im) 한국색채학회 2011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5 No.3

        펄이나 금속 입자가 함유되어 있어 각도에 따라 색상이 바뀌는 제품들에 대한 효율적인 색상 선택 및 관리를 위해서는 색 뿐 아니라 광택이나 펄감(pearliness or pearlescence)과 같은 표면 특성 또한 표현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람들이 펄느낌을 독립적인 질감으로 인지하는가와 인지된 펄 느낌이 기존 적분구 방식의 색측정 장비로 예측가능한가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펄 입자 크기와 분포를 가진 펄 샘플 즉 펄 안료가 함유된 샘플을 사용하여 그 샘플들의 물리적인 특성을 분석하고, 육안평가를 실시하여 펄 느낌을 조사하였다. 실험을 위해 제작된 샘플은 UV 코팅된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동일한 베이스 색상 및 광택제를 사용하였고 펄 입자 분포도를 2 %, 5 %, 8 % 세 단계로, 펄 입자 평균 크기는 15 μm, 25 μm, 45 μm 세 종류로 조절하였다. 이렇게 만들어진 9개의 조합에 대해 각 조합마다 2개의 샘플을 제작하였으며 베이스 색상은 흰색, 분홍색 두 종류로 하였다. 따라서 실험에 사용된 전체 펄 샘플수는 36개이다. 또한 펄을 함유하지 않고 광택도만 서로 다른 3 종류의 흰색 샘플들도 준비 하여 펄 입자의 함유 여부에 따른 색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측정 장비를 이용한 분석을 위해서는 적분구를 이용한 d/8 측정 방식의 장비와 광택 측정기를 이용하였다. 측정 데이터 분석 결과 펄 입자가 커지고 많아질수록 측정된 광택값이 증가하였다. SCE 모드에서 측정한 CIELAB L*값은 입자 크기가 커질수록 작아지며, CIELAB C*값은 입자 분포도가 커질수록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펄 입자의 평균 크기는 정반사 성분의 크기에 주로 영향을 미치며, 분포도는 펄 입자에 의한 산란 정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샘플들을 이용하여 6명의 관찰자들을 대상으로 광원부스에서 인지되는 펄 느낌을 조사해본 결과 펄 입자 분포도 변화에 따라서는 펄 느낌에 큰 변화가 없는 반면 펄 입자 크기에 따라서는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펄 입자의 평균 크기 변화에 따른 펄에 관한 인지 정도 차이는 SCE 모드의 L*값 변화와 유사해 펄 느낌 판단에는 색상 변화보다는 밝기 변화가 더 중요한 것으로 해석되나 L*값 변화만으로는 관찰자 실험 데이터를 설명하지 못한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다양한 측정 장비와 관찰자 실험을 통해 사람들이 인지하는 펄 느낌이 예측 가능한 모델 개발을 위한 후속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Nowadays many effect pigments such as pearl or metallic flakes are commonly used in many commercial products such as electrical devices or car. To help the designer to choose the right color or for color management purposes, not only the color represented using hue, chroma and lightness but also the surface characteristics like gloss or pearliness needs to be quantified. In this study, the visually perceived pearliness is investigated to figure out whether an observer can perceive the pearliness as an intrinsic surface characteristics and whether the color measurement data using conventional color measurement devices could predict the visual pearliness or not. For the experiment, UV coated polycarbonate samples are prepared having three steps of pearl-pigment densities (2%, 5%, 8%) and average particle sizes (15 ㎛, 25 ㎛, 45 ㎛). Two types of base color are used, i.e. white and pink, and each sample is duplicated. Therefore in total 36 pearly samples are used in the experiment. Apart from the pearly samples, the three samples without pearl flakes are prepared having different gloss levels. All the samples are measured using glossmeter and spectrophotmeter with d/8 measurement geometry. Gloss measurement data shows that the gloss increases as the pearl flake densities and sizes are increased. CIELAB L* value decreases as the pearl flake’s size increases while CIELAB C* value decreases as the pearl flake density increases when SCE mode data are used for calculation. It means that the pearl flake’s size affects the specular reflection component mostly while the pearl flake’s density affects the degree of scattering at the flake’s surface. The psychophysical experimental data was conducted using the sample samples. Six observers participated and asked to quantify the degree of perceived pearliness of each sample. The result showed that perceived pearliness value is significantly increased as the pearl flake’s size increases, which cannot be fully explained by the measurement data. Since this research demonstrated that current color measurement technique cannot explain the perceived pearliness, further research using various measurement devices needs to be conducted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