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산란계 사료내 마늘분말 및 구리의 첨가가 난 생산성 및 난황 콜레스테롤 함량에 미치는 영향

        임규섭,안승민,김동욱,김관응,유선종,박유헌,안병기,강창원 한국가금학회 2003 한국가금학회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Vol.20 No.-

        마늘분말(GP)과 구리의 산란계 사료내 첨가가 난 생산성, 계란의 보존성, 난황 콜레스테롤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52주령 공시계에 GP 0 %(대조구), GP 1 %, 3 % 및 5 %, Cu 200 ppm, GP 3 %-Cu 200 ppm을 함유하는 실험사료를 각각 5주간 급여하였다. 난 생산성과 사료섭취량은 처리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사료내 GP 첨가수준의 증가와 함께 7일 및 14일 저장후의 Haugh unit 수준이 선형적으로 높아지는 결과가 관찰되었다. GP 3 %-Cu 200 ppm 첨가구에서의 혈청 및 난황내 콜레스테롤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he evaluation of the dietary effect of garlic powder(GP) and copper (Cu) on productivity, storage quality of egg and egg yolk cholesterol in laying hens. 52-week-old layers were fed one of six diets containing 0 % GP(Control). 1ㆍ3ㆍ5 % GP, 200 ppm Cu, 3 % GP-200 ppm Cu, respectively, for 5 wk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egg production performances and feed intake among treated groups. With the increase in dietary GP levels, the Haugh unit were higher linearly after 7-d and 14-d storage. The cholesterol contents of serum and egg yolk in 3 % GP-200 ppm Cu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Control.

      • KCI등재

        대만 청년 세대의 ‘톈란두(天然獨)’ 고찰

        임규섭 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 2022 韓中關係硏究 Vol.8 No.3

        This paper examines the origin and definition of ‘Tianlandu(天然獨, Natural Independence)’ of the youth generation, which has recently been attracting attention in Taiwan, and analyzes the existence of Tianlandu, their national identity, position on unification and independence, and attitudes toward China through Taiwanese poll results. In addition, the factors that led to the formation of Tianrandu in the youth generation were analyzed, and the controversy over the cause of formation was also identified, and then the characteristics of Tianlandu were analyzed compared to the traditional Taiwanese independence faction. Tianrandu is a political position in which the youth generation of Taiwan maintains their Taiwanese identity and supports Taiwanese independence, and it is closely related to national identity, unification and independence issues. In various opinion polls, the youth generation clearly expressed their strong national identity as Taiwanese and Taiwan as an independent sovereign state, their position to maintain the status quo or support Taiwan's independence in cross-strait relations, and their negative perception of China. As a result, it proved the existence of Tianlandu. Tianrandu is a result of the identity transformation of the Taiwanese youth generation, and was formed through the action of several factors. As a characteristic, Tianrandu emphasized the view of the country that was formed by birth, argued that it was “opposed to unification” by targeting the Chinese government and the Kuomintang(國民黨), which was close to China, as an object of opposition, and expressed a national identity with civic identity attributes. In conclusion, the existence of Tianrandu shows the active role of the Taiwanese youth generation in Taiwanese politics, and this political activeness will have a great influence on cross-strait relations and Taiwanese politics in the future. 본 논문은 최근 대만에서 사회적 관심을 받는 청년 세대의 톈란두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톈란두 유래 및 정의를 살펴보고, 대만의 여론조사 결과를 통해서 톈란두의 존재 여부 및 그들의 국가정체성, 통독에 대한 입장 및 중국에 대한 태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청년 세대에서 톈란두가 형성된 요인과 형성 원인에 대한 논쟁을 살펴보고 전통 대만독립 세력과 비교하여 톈란두의 특징도 분석하였다. 톈란두란 대만 청년 세대가 대만정체성을 견지하면서 대만독립을 지지하는 정치적 입장으로, 국가정체성 및 통독문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청년 세대는 자신들이 대만인이며 대만은 독립된 주권 국가라는 강한 국가정체성, 양안관계에 대해서는 현상유지 혹은 대만독립을 지지하는 입장, 중국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뚜렷이 표현하여 톈란두의 존재를 증명하였다. 톈란두는 대만 청년 세대의 정체성 전환의 결과로서 여러 요인이 작용하여 구성된 것이었으며, 그 특징으로 톈란두는 태생적으로 형성된 국가관을 강조하고, 중국 정부와 중국에 가까워진 국민당을 반대 대상으로 삼아 ‘통일 반대’를 주장하며, 시민정체성 속성의 국가정체성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톈란두의 존재는 대만 청년 세대가 대만정치에 대한 적극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러한 정치적 적극성은 앞으로 양안관계 및 대만정치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것이다.

      • KCI등재후보

        민주화 이후 대만민족주의 변동 및 추이

        임규섭 한국외국어대학교 대만연구센터 2022 대만연구 Vol.- No.21

        본 논문은 민주화 이후 대만에서 주류 민족주의로 성장하여 양안관계의 분열 및 통합에 큰 영향을 미치는 대만민족주의를 대상으로 하여, 대만민족주의 역사적 과정 및 특징을 이해하고, 여론조사 결과를 통해서 대만민족주의 추이를 분석하며, 향후 대만민족주의 발전 방향 및 양안관계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였다. 민주화 이후, 대만민족주의는 대만인 정체성과 대만독립을 핵심으로, 국민당의 중화민국 체제에 대해 저항하며 흥기하였다. 그 후 정권교체가 이루어지면서 중화인민공화국에 반대하며 더욱 성장하였다. 대만민족주의는 대만의 정당 및 선거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정권의 전환에 따라 변천해왔으며, 역사적 단계마다 다른 내용을 주장하며 성격도 달랐었다. 대만인 정체성과 통독입장을 지표로 삼아 분석한 대만민족주의 추이 결과, 첫째 대만민족주의는 민진당뿐 아니라 국민당이 집권할 때도 확대하였다. 즉 집권 정당의 성향에 비례하지 않았다. 둘째 대만민족주의는 대만인 정체성과 유의미한 관계를 형성하였고, 셋째 대만인 정체성이 강해졌지만, 대만독립 지지율의 상승 폭은 제한됐으며, 넷째 대만에는 대만민족주의와 중국민족주의가 상호 영향을 주며 공존하고 있는 다원화 현상이 존재했다. 다섯째 대만민족주의는 존재하며 대만 사회를 주도하는 핵심 민족주의가 되었다. 결론적으로, 대만에서 어느 정당이든지 집권하기 위해서는 대만민족주의 여론 추이를 반영한 정책을 세워야 하고, 중국의 대만에 대한 압박이 클수록 대만민족주의는 확대할 것이며, 대만민족주의는 중국과는 차별화된 가치와 체제를 핵심으로 한 국가정체성을 지향하기 때문에 앞으로도 양안관계는 긴장을 유지할 것이다.

      • 장쩌민(江澤民)시대 중국공산당 이데올로기의 재건 : 삼개대표론(三個代表論) 형성 및 그 의의

        임규섭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06 아태연구 Vol.13 No.1

        Chinese politics is a traditional 'ideology politics.' This ideology has been existing inside of discourse of Chinese politics and ideology, and performing its role. Chinese Communist Party (CCP) has been developing and formulating its ideology systematically and accurately. In Chinese political culture, ideology gives a legitimacy and political authority to Chinese guidance division. To obtain its political power and authority, political leader must secure the ideological hegemony. To obtain the ideological hegemony, this political leader must secure the constructional right about the former leader's ideology, and develop his own version of ideology. With his own ideology, he can justify his policy and guideline and legitimize his authority, so that he can stabilize his governing system. When Jiang Ze-Min (江澤民) obtain the hegemony among the CCP leaders, Deng Xiaoping's ideology had been supported by the CCP leaders. Moreover, they emphasized the development of market economic system and involvement of international society. However, after the open door policy, Post-Deng period has been showing many problems and those problems became limitation elements due to the changes of political environment. Jiang must progress both succeed to and transcend Deng's ideology; then he can secure his position as a new era in China. 중국정치는 전형적인 ‘이데올로기정치’로서, 이데올로기는 중국정치 및 사상의 담론 내에 존재하며 그 역할을 해왔다. 중국공산당은 체계적이고 치밀하게 조직화된 이데올로기를 형성 발전시켜왔다. 중국 정치문화에서 이데올로기는 통치지도자 층의 ‘정당성’ 기초가 되며 정치권위의 원천이 되어왔다. 어떤 정치 지도자도 권력을 획득하고 자신의 권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이데올로기 주도권 혹은 해석권을 반드시 장악해야 한다. 이데올로기를 장악하려면 전임자의 이데올로기에 대한 해석권 장악을 기초로 해서, 자신의 이데올로기를 만들어 발전시켜야 한다. 자신의 이데올로기로 정책 및 노선을 정당화시키고 통치지위에 정당성을 부여함으로써 통치시스템이 안정을 유지하게 한다. 장쩌민이 지도자 핵심층의 주도권을 실질적으로 장악한 후에도, 중국공산당 지도계층의 이데올로기는 덩샤오핑사상의 주체(主體)와는 본질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고, 시장경제체제로의 발전과 국제사회와의 융합을 더 강조했다. 그러나 덩샤오핑노선의 충실한 집행자인 장쩌민은 덩시대에 발생한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단계에 이르렀다. 개혁개방정책 이후 중국정치의 환경변화로 인해 발생한 새로운 유산, 문제 혹은 모순들은 모두 ‘포스트 덩샤오핑시대’에 지배이데올로기를 재건하기 위한 새로운 ‘제약요소’가 되었다. 그러므로 장쩌민은 이데올로기 승계방식의 ‘전통성’을 지켜, 반드시 덩샤오핑을 계승하면서도 일부 부정 혹은 초월해야 한다. 즉 장쩌민은 덩샤오핑이론에 대한 ‘계승’과 ‘초월’이라는 이중적 역할을 반드시 동시에 진행해야 한다. 그래야만 장쩌민은 덩샤오핑을 초월한 새로운 시대의 지도자 지위를 확보할 수 있다.

      • KCI등재

        중국 국가이미지에 대한 인식 연구 -한국 사이버대학교 중국 학습자를 대상으로-

        임규섭 한중사회과학학회 2022 한중사회과학연구 Vol.20 No.3

        Recently, conflicts between Korea and China have emerged in various fields, Korea’s anti-China sentiment has intensified, and Koreans’ favorability toward China has declined significantly. In particular, the younger generation’s antipathy to China has grown even greater. Therefore, this study, as part of a study on Korea’s perception of China, conducted a survey of university students who studied China at cyber university to analyze China’s national image formation path, components, and favorable feelings toward China. Th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had various backgrounds, including gender, age, occupation, academic background, experience in China and university major. They have learned knowledge of Chinese language, history, culture, society, politics, economy, and international relations opened by the department of Chinese Studies at Cyber University. In addition, the students acquired information and knowledge about China for at least one hour each week. In particular, many students have visited China for reasons such as residence, business trip, and travel.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urvey, students usually understood China through various methods, and among them, they preferred the ‘Internet’ using mobile phones the most. Next was ‘local visit to China’, and the proportion of ‘regular school education’ and books was relatively low. In addition, the method that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the national image and favorability of China was local visit to China, followed by news media. Regarding China’s national image, students saw China as an economically emerging country that inherited traditional culture well and had a unique culture. Yet, China’s politics, society, national character, and Korea-China relations were negatively recognized, and trust in China was not high either. However, the students did not have a bad affinity for China, recognized China as a very important partner country, and said that they should understand and study China in the future. 최근 한국과 중국은 여러 영역에서 갈등을 보이면서, 한국의 반중 정서는 심해지고 한국인의 중국에 대한 호감도는 크게 하락하였다. 특히, 젊은 세대의 중국에 대한 반감은 더욱 커졌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의 중국에 대한 인식 연구의 일환으로, 사이버대학교에서 중국을학습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중국의 국가이미지 형성 경로, 구성 요소및 중국에 대한 호감도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에 참여한 학생들은 성별, 연령, 직업, 학력, 중국 경험 및 대학 전공 등 다양한 배경을 가졌고, 사이버대학 중국학과에서 개설한 중국어및 중국의 역사, 문화, 사회, 정치, 경제 및 국제관계 등의 지식을 학습하였으며, 매주 최소 1 시간 이상 중국에 대한 정보 및 지식을 습득하였다. 특히, 다수의 학생은 거주, 출장, 여행 등이유로 중국을 방문한 경험이 있었다. 설문을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평소 다양한 경로를 통해 중국을 이해하였으며, 그중 핸드폰을 이용한 ‘인터넷’을 가장 선호했고, 그다음은 ‘중국 현지 방문’이었으며, ‘학교 정규 교육’ 및 서적의 비중은 비교적 작았다. 또한 중국에 대한 국가이미지 형성 및 호감도에 가장크게 영향을 미친 경로는 중국 현지 방문이었고 그다음은 언론매체였다. 중국의 국가이미지에 대해 학생들은 중국을 경제적으로 부상한 국가이며 전통문화를 잘 계승하고 문화적 독창성도 가지고 있지만, 정치, 사회, 국민성 및 한중관계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인식하였고, 중국에 대한 신뢰도 높지 않았다. 그러나 학생들은 중국에 대한 호감이 그다지 나쁘지 않았고, 중국을 매우 중요한 협력 국가로 인식하였으며, 앞으로도 중국을 이해하고 공부해야 한다고했다.

      • KCI등재

        대만에서 역사교육과 국가정체성의 관계 : 청년세대의 정체성 변화를 중심으로

        임규섭 한국아시아학회 2023 아시아연구 Vol.26 No.1

        대만에서 민주화와 본토화에 따른 정치적 변화 및 정권교체로 인해서 역사교육의 구성과 내용이 바뀌면서 청년세대의 국가정체성에 영향을 주었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대만의 고등학교 역사교육을 대상으로, 대만정부가 추진한 역사교육과 청년세대의 국가정체성과의 관계를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역사교육 과정강요 개정의 역사와 시기별 특징을 알아보고, 그 과정에서 대만사와 중국사의 내용 및 비중의 변화를 살피며, 역사 교육과정의 개정 및 그에 따른 역사교과서 내용의 변화가 청년세대의 국가정체성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다. 대만에서 역사교육과 정치발전과는 일정한 관계가 있었으며, 역사교육 개편이 집권당의 정치이데올로기와 관련되었기 때문에, 역사교육 개편 과정에서 사회적 갈등과 논쟁이 발생하였고, 그 과정에서 대만사와 중국사의 지위 및 비중이 변화하면서, 역사교육의 핵심 내용이 대만사에 집중되어갔다. 그 결과 청년세대는 강한 대만인 정체성을 가졌고 중국을 타자화하는 효과도 가져왔다. 즉 역사교육은 청년 세대에게 강한 대만인 정체성을 심어주었고, 대만인 정체성을 가진 청년세대의 비율이 증가하고 강도도 강해지면서, 대만사회와 양안관계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대만에서 역사교육은 대만 중심의 국가정체성 형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 KCI등재후보

        한국의 중국연구 어제와 오늘 -중국연구자의 고민과 반성-

        임규섭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07 아태연구 Vol.14 No.2

        China studies have been carried on for a long time in Korea, though interrupted now and then. And the researcher’s understanding of China and their role have also developed through important historical stages. However, China studies in the true meaning of area studies are not considered to be long enough, and Korea has not yet developed China studies from its own point of view. This is mainly because China studies in Korea have not seen due progress in quality, despite the growth in quantity. China studies should be done by a foreigner from his own standpoint. As a branch of area studies, China studies should be based on ‘their own position’. Then what do you mean by China studies what is based on Korean style and how should they be carried on? And what kind of role and function should they play? The researcher always raises such questions and is often confused about their social position and identity. This thesis research the standpoint of the researcher and the structural background of China studies such as history and system and the basis of China studies that have to be solve some arguments, aimed at seeking the way of the future china studies which based on Korean style. 과거 한국의 중국연구는 단절의 역사를 거치기는 했지만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주요 역사적 단계에서 연구자의 중국에 대한 인식과 그 들의 기능도 다른 형태를 가지고 발전해왔다. 하지만 한국에서 지역연구 의미의 중국연구 역사는 오래되지 않았으며, 아직까지도 한국적 시각의 중국연구를 발전시키지 못하고 있다. 이는 최근까지 한국의 중국연구가 양적인 증가에도 불구하고 질적인 향상을 못 이룬 근본적 원인이 되고 있다. 중국연구는 외국인이 타자의 시각으로 중국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지역연구인 중국연구는 ‘자신의 위치’에 우선을 두고 진행해야 한다. 그럼으로 한국적 중국연구란 무엇을 연구하는 학문이며, 어떻게 연구하는 것인가? 또한 어떤 역할을 갖고 어떤 기능을 하여야 하는가? 라고 연구자들은 항상 자문하며 신분 및 정체성 혼란에 빠진다. 본 논문은 중국연구자의 입장과 중국연구의 역사와 제도적 측면 등 구조적 배경을 살펴보고, 중국연구가 해결해야 할 몇 가지 논쟁을 중심으로, 향후 한국적 중국연구가 나아가야 할 부분을 고민한다.

      • KCI등재
      • KCI등재

        1990년대 이후 대만에서 중국연구의 현지화 및 연구방법에 대한 논점(論點)

        임규섭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4 아태연구 Vol.21 No.4

        Korea's China Studies has been developing mainly under the academic influence of the U.S., Japan, China, and Taiwan, etc. Among them, Taiwanese study experiences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Korean researchers by presenting not a few research results and fruitful outcomes. In some periods, researchers who had studied in Taiwan used to play main roles in China Studies in Korea. This thesis reviews the history and status of the Taiwan's Studies related to China. And it analyzes the trend of Taiwan's China Studies by focusing on the points at issues that have emerged from the developing procedure. Especi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mainly lays in the identity change of China studies and the debate of research method. Since Taiwan's national and social environment is differ from Korea, it started its China Studies with different epistemology and finality. Accordingly, this study tries to provide different point of view for the improvement of Korea's China Studie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Taiwan's China Studies. 한국의 중국연구는 주로 미국, 유럽, 일본, 중국 및 대만 등 국가의 학술적 영향을 받으며 발전해왔다. 그중 대만의 중국연구 경험도 한국의 연구자들에게 많은 영향을 미쳤으며 적지 않은 연구결과와 성과를 제시하였다. 어느 시기에는 대만유학파도 한국의 중국연구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기도 했다. 본 논문은 대만에서 중국연구의 정의, 명칭 및 그 역사 과정을 살펴보고, 1990년대 이후 중국연구의 현지화 및 연구방법의 논점을 연구목적으로 삼는다. 국가적으로나 사회적으로 한국과 다른 환경에 처한 대만의 중국연구는 다른 인식론과 목적성을 갖고 출발했다. 특히 1990년대 이후 국내·외 변화로 인해 대만은 중국연구의 시각이 다른 국가 연구로 전환하였으며, 대만의 장점을 찾아 대만특색의 중국연구를 구축하기 위해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그 과정에서 중국연구의 정체성이 변하고 탈서구화 경향도 나타났으며 연구방법에 대한 다양한 논쟁도 진행되었다. 주요 논점으로 지역연구와 분과학문 간의 관계, 내부자적 시각, 중국중심주의, 감정이입법, 질적 연구, 현장경험, 미시적 연구, 학술연구와 정책연구 능력 겸비 등이 있다. 그러나 대만의 중국연구는 탈서구화를 외치면서 학문적 탈식민주의 연구경향을 벗어나야 한다고 강조하였지만, 결과적으로 그러한 논리방식도 미국의 인문·사회과학의 영향을 받았으며 미국의 학문적 성과에 대한 반응적 경향을 보였다.

      • KCI등재

        포스트사회주의시대, 중국의 전통문화에 대한 정치적 함의

        임규섭 중국학연구회 2013 중국학연구 Vol.- No.63

        This paper started from the critical mind, “Why are the Chinese sensitive to a cultural issue and trying to pursue a ‘Culture Power’?” This paper is aimed at analyzing China’s cultural policy, change in their attitudes toward culture, and the status and role of culture in China. Since the modern age, the major historical events in China have been always associated with culture, and the culture has been the center of the controversy over national development. China, which emerged after its reform and opening, has expanded their influence in the field of international politics, economy, and the military, but relatively, they perceived their influence in the cultural area as vulnerable. Accordingly, the Chinese government expanded the influence of Chinese cultures externally while promoting the cultural policy that would make it possible to establish national identity and integrate society using their traditional cultures internally. In this process, China achieved the ‘Paradigm Shift’ in which they began to perceive the traditional cultures, which were once the target to be overthrown in the past, as the target to be inherited and developed. At present, China has entered into the period of Post-Socialism, during which socialist mechanism and capitalism-created new institutions are mixed. At this period, the Chinese culture attempted at cultural turn using the logic of convergence, and they are walking the path of hybridization. China is still proceeding with a ‘state-led’ cultural turn. Presently, the Chinese culture is developing into the more active and externally oriented character while gradually diverging itself from defensive and reactive attitud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