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최신판례분석 : 매도인의 하자 있는 매매목적물의 수리의무위반과 손해배상책임 - 대법원 2016. 6. 10. 선고 2013다13832 판결 -

        임건면1 ( Im Geon-myeon ) 법조협회 2016 法曹 Vol.65 No.8

        매매목적물에 하자가 있는 경우에 매도인이 담보책임을 부담하는 것과는 별도로, 당사자는 하자 수리에 대한 합의를 할 수 있다. 매매계약 당사자 사이에 “매도인이 차량결함으로 인한 수리시 해당 부품의 대금과 공임을 제외한 간접비용, 즉 렌터카 비용이나 운휴손실 등의 비용은 보상하지 않는다”는 면책에 관한 합의가 있는 본 사건에서, 대상판결(대법원 2016. 06. 10. 선고 2013다13832 판결)은 매도인이 하자 있는 목적물(자동차)의 통상적인 수리기간을 넘는 장기간 동안 수리를 마치지 않고 차량의 인도를 지연한 것은 면책약관에 따른 수리의무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은 위법한 채무불이행이며, 매수인은 수리기간 동안 자동차를 사용하지 못함으로써 입게 된 사용이익의 상실로 대차료 상당의 손해배상뿐만 아니라, 수리지연에 따른 교환가치의 감소로 인한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는 취지의 판결을 내리고 있다. 일반적으로 기간의 경과에 따른 교환가치의 감소(감가상각)에 대해서는 소유자인매수인이 이를 감수하게 된다. 그러나 대상판결은 하자 있는 목적물의 수리기간이 매도인의 책임 있는 사유로 부당하게 지연되어 교환가치가 감소된 경우에는 매도인이 감가상각에 대한 책임을 부담해야 하는 것으로 보고 있는 것 같다. 뿐만 아니라, 대상판결은 시세하락손해와 동력장치의 부식 등을 원인으로 한 성능저하로 인한 손해를 인정하고 있다. 이에 의하면 매도인은 수리차량이라는 이유로 발생하는 교환가치의 하락, 즉 시세하락손해뿐만 아니라, 수리지연으로 인하여 자동차를 장시간 운행하지 못함으로 인하여 생기는 자동차의 성능저하로 인한 교환가치의 감소에 대한 책임도 부담하게 된다. Bei einer immer großer werdenden Zahl von Mangeln(oder Verkehrsunfallen) des Wagens wird das Problem aktuell, inwieweit Mietwagenkosten als Schaden geltend gemacht werden konnen. Es stellt sich immer dann, wenn der mangelhafte (oder unfallgeschadigte) Wagen bis zur Beendigung der Reparatur ausfallt oder bei einem Totlaschaden die Ersatzbeschaffung eines anderen Wagens nicht sofort erfolgen kann. Gerade die Haufigkeit dieser Falle laßt es besonders unbefriedigend erscheinen, dass die maßgeblichen Rechtsatze insgesamt noch nicht abgeklart sind. Sobald der Kaufer infolge des Mangels vom angekauften Wagen nicht benutzen kann, kann er uber die zur Beseitigung des Mangels erforderliche Reparaturkosten die Mietwagenkosten verlangen. In welchen Umfange von der ausgefallenen Nutzungsmoglichkeit des eigenen Kraftsfahrzeuges tatsachlich Gebrauch gemacht worden ware, ist grundsatzlich ohne Bedeutung. Soweit die Voraussetzungen vorliegen, unter denen der Geschadigte einen Mietwagen beanspruchen kann, steht ihm der Anspruch auf Ersatz der Mietwagenkosten ohne Rucksicht auf die tatsachliche Anmietung eines Kraftfahrzeuges zu und zwar in voller Hohe. Der merkanteile Minderwert stellt einen unmittelbaren Sachschaden dar, weil auch nach voller Reparatur eines Wagens die Gefahr einer latenten Funktionsbeeintrachtigung und einer großer Schadensanfalligkeit oder Mangel der Reparatur verbleibt. Der Schaden entsteht unabhangig davon, ob der Kaufer(oder der Geschadigte) den Wagen weiter nutzt oder verkauft. In dem Urtei vom 10. 6. 2016. hat der Koreanische Hochste Gerichtshof (2016. 6. 10. 2013da13882) dem mangelhaften Wagen angekauften Kaufer den Schadensersatz fur Nutzungsausfall, merkanteile Wertminderung und die infolge schuldhaft uberdehnenderer als normaler Reparaturzeit geringere Wertherabsetzung zugesprochen. Daruber hinaus hat er dem Anklager den Schadensersatz fur Funktions- beeintrachgung des wahrend der Reparur nicht angetriebenen Wagens zugebilligt. Dem ist grundsatzlich zu folgen.

      • KCI등재
      • KCI등재

        선택형 약관조항과 근저당권설정비용 부담주체

        임건면(IM, Geon-Myeon)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성균관법학 Vol.26 No.4

        최근 대법원은 근저당권설정비용과 관련한 집단적 부당이득반환소송에서 선택형 약관조항의 불공정성을 인정하지 않았다. 본고에서는 공정거래위원회의 표준약관 사용권장처분 및 개정의결에 대한 금융기관의 취소청구의 행정소송과 근저당권설정비용반환을 구하는 민사소송에 대한 대법원의 판례를 근간으로 하여 근저당권설정비용 부담주체에 관한 선택형 약관조항의 불공정성 여부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선택형 약관조항에 의하여 고객에게 제한적인 선택가능성만이 인정되는 경우에 이는 약관규제법의 규율대상이 되며, 개별약정으로 보기 어렵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약관조항의 불공정성과 관련하여서는 구 약관규제법 제19조의2 제3항의 불공정성과 제6조의 신의성실에 반하여 공정을 잃은 약관조항은 반드시 동일한 개념으로 이해할 필요는 없으며, 동일한 기준에 의하여 불공정성 여부를 판단할 필요도 없다. 근저당권설정비용의 부담주체는 우선 민법 제566조의 계약비용에 관한 규정에 따라 금융기관과 고객이 균분하여 부담케 할 수 있으며, 또한 수익자부담원칙에 의할 경우 근저당권설정은 주로 금융에게 이익이 되지만, 그렇다고 해서 고객에게는 불이익만 주는 것이 아님을 밝혔다. 현재 근저당권설정비용을 누가 부담하여야 할 것인가에 대하여 다양한 의견이 제기되고 있고, 앞으로도 논쟁의 여지가 많다. 따라서 이 문제를 좀 더 명확히 하기 위하여 근저당권설정비용의 부담주체에 관한 규정을 두어 이를 입법적으로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Bei dieser Abhandlung handelt es sich um eine Frage über die Unwirksamkeit der alternativen Auslagenbelastungklausel in Vereinheitlichen Geschäftsbedinungen des Kreditinstituts 2003(=VGB 2003) in Bezug auf Hypothekbestellung. Im 14. 10. 2010 hat Koreanischer Höchstgerichtshof(2008 du 23184) die VGB 2003 über die Hypothekbestellungsgebühr als unagemessen angesehen, während das Urteil des Koreanischen Höchstgerichtshofs(2013 da 214864) vom 12. 06. 2014. diese Klausel als nicht unangemessen betrachtet hat. Werden VGB verwendet, die es dem Kunden erlauben, sich zu mehreren Alternativen zu entscheiden, so begründet die Zustimmung zu einer von ihnen keine Individualvereinbarung. Denn die vorfertigten Vertragsgestaltungen sind selbst unabänderlich, so dass der Vertragspartner in Wahrheit keine Möglichkeit des Aushandelns besitz. Aus Sicht des Kreditinstituts in Einzelfall mag erst die Sicherheitsbestellung, z.B. Hypothekbestellung, die Voraussetzung für die Gewährung des vom Kunden gewünschten Darlehens schaffen. Jedoch ist die Bestellung von Sicherheiten noch günstiger für die Banken als für die Kunden. Ein Kreditinstitut nimmt durch die Bestellung von Sicherheiten eigene Vermögensinteressen wahr, während ihre Kunden durch die Sicher-heitenbestellung keinen wirtschaftlichen Vorteilen erlangen, die über die Darlehensgewährung hinausgeht. Diesen Vorteilen aber haben die Kunden ohnehin schon üblicherweise mit dem als Hauptleistung zu zahlenden Zins abgegolten. Zur Bestellung von Hypotheken ist ein Darlehensnehmer von Gesetzes wegen nicht verpflichtet. Aber es ist unsicher, wer durch die Besetellung von Hypotheken Vorteil ziehen. Es ist erforderlich, gesetzlich darüber zu bestimmen, wer Sicherheitsbestelungsgebühr tragen sollte.

      • KCI등재후보

        인터넷 Provider 계약

        임건면(Im. Geon-Myeon)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소 2004 성균관법학 Vol.16 No.1

        Heutzutage braucht die Bedeutung des Internets mcht weiter betont zu werden. Jedoch fehlt es bislang eine ausfuhrliche Untersuchung der Vertragsbeziehungen urn den Schlusselfaktor des Internets, niirnhch den Provider m seinen Vlelfalhgen Funkhonen. Bei der Gest21tung jedes Vertrags stehen die indivlduellen Interessen der jeweiligen Vertragspartei zunachst irn V ordergrund. Idealerweise W1.1rde sich deshalb auch ein Internet-ProvIder vor jedem Vertragsabschluss uberlegen, welche Rechte er semem Kunden emraurnen will und zu welchen Leistungen er slch verpfhchten Wlll. Aber eine solche individuelle Gest21hmg eines jeden Vertrags ist im Massengeschaft der OnJinedieste mit privaten Endkunden illusonsch. Bel Internet ProVlder Vertragen m emem welten Smn kann zunachst grundsazlich danach unterschieden werden, ob die Vertrage mit Endkunden abgeschlossen werden oder ob es sich urn Vertnige handelt, die Internet Provider mit Unternehrnen abschlieBen, die emen eigenen Auftritt im Internet planen, Contents entgeltlich oder unentgeltlich bei einem anderen Provider anbleten wollen oder d.1e Werbung schalten wollen. DIe Einstufung von verschiedenen Vertragen in Vertragstypen hat eine wichtige Funktion bel der Vertragsgest21tung. In der Regel wird der Internet-Provider Vertrag als germschter Vertrag oder als Vertrag mit Elementen aus verscluedenen Rechtsverhaltnissen betrachtet. Bei der Auslegung des Internet-Provider Vertrags ist es wichtig, was die Vertragsparteien wirklich gewollt haben.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계약체결상의 정보제공의무와 매매목적물의 하자에 관한 설명의무 - 독일민법상의 하자에 관한 매도인의 정보제공의무를 중심으로 -

        임건면(IM, Geon-Myeon)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성균관법학 Vol.27 No.2

        법률분야에서 뿐만 아니라, 모든 분야에서 정보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특히 계약 당사자는 자기에게 유리한 계약을 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정보를 수집ㆍ분석하고, 그에 따른 위험을 스스로 감수하게 된다. 이러한 자기책임의 원칙은 사적자치의 원칙의 핵심적 내용이기도 하다. 그러나 양 계약 당사자의 정보의 불균형성으로 인하여 “정보적” 약자를 보호할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이는 정보제공의무라는 용태의무로 나타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일반적인 정보제공의무의 근거, 요건과 효과를 살펴보고, 특히 매매계약과 관련하여 매도인의 목적물의 하자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설명할 의무가 있는지를 독일의 개정 민법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 매도인은 목적물을 조사할 의무를 원칙적으로 부담하지 않기 때문에, 하자에 관한 정보제공 내지는 설명할 의무를 제한적으로 인정할 수 밖에 없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이는 매매계약의 특성과 양 계약당사자의 이해관계와도 일치한다. 물론 독일 개정 민법은 하자담보책임을 채무불이행책임과 결부시키고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매도인은 목적물에 하자가 있더라도 모든 하자를 밝히거나 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야 할 의무를 항상 부담하는 것은 아니다. 하자에 관한 설명의무를 아무런 제한 없이 부담 하는 것이 아니라, 매수인의 구매결정에 중요한 의미 있는 사정이나 상황에 한정해서 매도인은 이를 설명하고 밝힐 의무를 부담하게 된다. 우리의 하자담보법의 체계와 독일의 그것이 반드시 일치하고 있지는 않지만, 독일에서의 하자담보책임과 정보제공의무와 관련한 이러한 논의는 우리 민법의 해석과 적용 그리고 민법 개정에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One cannot overemphasize about impotance of information in not only legal field but also any other fields. Especially party to a contract take all the risks in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various information so that he can have a better position in entering a contract. However, principle of responsibility for faults is main ideas of principle of private autonomy. However, there is unbalance of information in contractual parties so it became necessary to protect the weaker party "in information", and it is known as a duty to provide information. This paper examines grounds, elements, and effects of the general duty to provide information and reviews whether a seller owes a duty to provide the defects of the subject matter of a contract especially relating to a contract for sales focusing on the amended German civil law. As a result, it conclued that since a seller does not owe a duty to examine the subject matter of a contract, therefore, one should admit a duty provide information or inform as narrow as possible. This is consistent with the interests of parties of a contract. According to the German law, it surely relates the liability for warranty with the liability of non-performance, but it does not mean that a seller owes a duty to reveal or provide information on the defects. It is not that a seller owes a duty to inform the defects without any limitation but he owes a duty to inform the circumstances or situations which can meaningfully influence on a buyer's decision Korean law for the liability for warranty is not completely correspondent with the German's but the discussion on the liability for warranty and a duty to inform, made under the amended German law, can give us a clue for the analysis and the application under Korean civil law and its amendments.

      • KCI등재

        Erfüllungsanspruch und Minderungsrecht des Gläubigers und Zurückbehaltungsrecht des Schuldners in PACL

        임건면(Im, Geon-Myeon)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성균관법학 Vol.23 No.2

        Ⅰ. 국제거래의 증가와 함께 나타나는 법적 분쟁과 관련하여 가장 중요한 문제의 하나는 이러한 분쟁을 어느 나라의 계약법에 따라 해결해야 하느냐이다. 이러한 문제해결의 방안으로 이미 국제물품매매계약에 관한 유엔협약(UN Convention on Contracts for the International Sale of Goods, “CISG”)과 UNIDROIT의 국제상사계약원칙(Principles of International Commercial Contracts, “PICC”)에 이어 유럽사법의 통일이라는 기치아래 유럽계약법원칙(Principles of European Contract Law, “PECL”)과 Draft Common Frame of Reference(DCFR)이 발표되었고, 최근에는 아시아에서도 아시아계약법의 통일이라는 모토하에 아시아계약법원칙(PACL)을 만들고자하는 움직임이 매우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고는 지난 2010. 12. 13.-15. 서울에서 개최되었던 “PACL((Principles of Asian Contract Law), Seoul Forum - Non-performance of Contract & its Remedics”에서 발표된 내용을 정리한 것으로, 계약법상의 이행청구권와 채무불이행의 중요한 부분의 하나인 감액청구권과 그리고 이행거절의 요건과 효과를 중심으로 아시아계약법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주된 목적을 두고 있다. (본 Seoul-Forum의 특성상 손해배상과 계약해제에 관해서는 다른 발표자에게 발표를 의뢰하였다.) Ⅱ. 계약법의 핵심분야의 하나는 급부장애법이다. 이와 관련하여 특히 문제가 되는 것은 채무자가 부담하는 의무의 범위와 급부장애시의 책임의 범위, 즉 어떤 요건하에서 채무자가 급부장애에 대하여 책임을 지며(또는 면책되며) 그리고 급부장애시 채권자의 법적 구제수단이다. 아시아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계약법의 제정에 있어 주의 할 점은 불이행(Non-performance)에 대하여 통일적인 책임구성요건에서 출발하여야 한다는 점이다. 계약불이행에 대한 채권자의 구제수단은 두 그룹으로 나눌 수 있는데, 그 하나는 이행청구와 손해배상인데, 이는 계약 완전한 이행에 대한 채권자의 적극적 이익을 보호하게 된다. 다른 하나는 감액청구, 계약해제 그리고 이행거절인데, 이는 채무자의 불이행에도 불구하고 채권자가 자기의 의무를 이행해야 하는 것으로 보호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본고에서는 이행청구권, 감액청구권 그리고 급부거절권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1. 계약당사자는 pacta sunt servanda의 원칙에 따라 계약의 내용에 좇은 이행을 하여야 한다. 따라서 채권자는 채무자에 대하여 본래의 급부이행(Erfüullung in natura)청구할 수 있다. 코먼로에서는 채무자의 배상책임을 원칙으로 하고 있지만, PECL에서는 본래급부청구의 원칙(Grundsatz der Naturkondemnation)에 입각해 있다. 다만, PECL Art 9:102(2)에서는 채무자가 본래의 급부의무에서 벗어날 수 있는 경우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는데, 이행불능의 경우(a), 채무의 이행은 가능하지만 채무자에게 지나치게 과도한 이행비용이 요구되는 경우(b), 채무자 개인적인 사정으로 이행이 기대될 수 없는 경우(c)와 채권자가 이성적으로 판단하여 볼 때, 다른 곳에서 급부를 조달할 수 있는 경우(d) 등이다. (a)의 경우 채무자는 처음부터 의무에서 벗어나지만, (b), (c), (d)의 경우에는 채무자의 항변에 의하여 책임을 면하게 된다는 차이점이 나타난다. PACL의 경우에도 이러한 점을 참고로 하여 채권자의 이행청구를 원칙적으로 인정하고, 예외적으로 채무자가 면책되는 경우를 명백히 규정함으로써 계약당사로 하여금 계약내용대로의 이행을 적극적으로 유도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할 수 있고, 국제거래에서 발생하는 법적 분쟁을 줄일 수 있고, 설사 법적 분쟁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이를 명확히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2. 계약내용에 따른 이행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 채권자는 자기의 반대급부의 감액을 청구할 수 있는데, 이는 채권자가 자기의 반대급부를 이미 이행한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감액청구권이 문제된 경우는 채권자가 채무불이행을 원인으로 계약을 해제할 수 있지만, 해제권을 행사하지 않을 때이기 때문에, 감액청구란 계약의 부분해제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논리적으로 보면 감액청구권을 행사하는 경우에는 채권관계의 소멸로 인하여 손해배상청구권을 부정하여야 하겠지만, PACL에서는 다른 법제와 마찬가지로 채권자는 감액청구와 더불어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우리 민법 제551조 참조, PECL Art. 9:401(3) 참조). 감액청구와 손해배상은 사실 계약당사자의 이해관계의 조정이라는 관점에서는 유사하지만, 제도의 목적에서 보면 차이가 있다. 즉 감액청구는 등가이익을 추구하는 반면에, 손해 배상은 보상적 성격을 갖기 때문에 채권자는 계약이 내용에 좇은 이행이 이루어진 것과 같은 경제적 지위를 얻게 된다.

      • KCI등재

        契約登記名義信託을 둘러싼 몇 가지 法律的 爭點에 대한 검토

        임건면(IM, Geon-Myeon),홍성민(Hong, Seong-Min)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성균관법학 Vol.23 No.3

        In principle, Act of Substantial Named Registration denies the nominal trust agreement and juridical effect about the change of a real right(the provisions of Article 4). And then the details of specific legal provisions in legal effect do not exist, it is entrusted to the theory and precedent. This paper deals with the ‘contract and registration nominal trust’ on the effect of nominal trust agreement and the restitution of nominal entrusted properties. Although the provisions of Article 4 Act of Substantial Named Registration provides the nullity of the agreement for nominal trust, this Act do not rules agreement about the standing of contracting parties. Therefore, we studied what is the legal nature of this agreement and finding which the relevant parties to the sales contract are. In addition, cases were reviewed before the enactment of Act of Substantial Named Registration as a prerequisite for understanding this contents. Meanwhile, The provisions of Article 4, clue of clause 2 do not rules the effect of the contract between the trustee and the owner about buying the properties. By the way, effect of nominal trust agreement do not influence the contract between the trustee and the owner. On the one hand, In case contract and registration nominal trust made before the enforcement of Act of Substantial Named Registration, its real estate blindness transition after the implementation, object of claim for restitution of unjust enrichment is the real estate itself. In case contract and registration nominal trust made since the enforcement of Act of Substantial Named Registration, object of claim for restitution of unjust enrichment is the fund given by the truster. By the way, in case of the provisions of Article 4, clue of clause 2 interpret by contraries, a real estate sales contract should be considered invalid, because such a contract signed after the effectuation of this act since the contract would be aiming to achieve a defaul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