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교수자와의 라포(rapport) 형성, 자기효능감, 수업 만족도 사이의 영향 관계 고찰

        이희승 ( Lee¸ Heeseung )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21 음악교수법연구 Vol.22 No.2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인한 온라인 학습이 2020학년도 1학기부터 일반적인 학습 형태로 행해지는 현 상황에서, 계속되는 학습자들의 온라인 학습 수행으로 야기되는 다양한 문제점들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비대면 수업뿐 아니라 면대면 수업에서도 교수자와 학습자 사이의 상호작용은 학습 목표를 위한 필수조건으로 비록 비대면 수업일지라도 온라인 수업에서의 다양한 채널을 통한 교수자와의 소통은 효과적인 학습을 위하여 간과할 수 없는 요소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선행연구들을 통하여 교수자와의 라포(친밀감) 형성은 학습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밝혀져, 교수자들에게 보다 효율적인 온라인 학습에서의 교육 지침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2020학년도 2학기부터 2021학년도 1학기까지 수도권에 위치하고 있는 4개의 음악대학에서 학부생 및 대학원 학생들(N=96)을 대상으로 교수자와의 라포 형성, 자기효능감, 그리고 수업 만족도에 관한 인식조사와 더불어 변인 간의 관계성 고찰을 위하여 상관관계분석과 매개효과검증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상관관계분석을 통하여는 자기효능감과 라포 형성, 수업 만족도와 라포 형성, 수업 만족도와 자기효능감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났으며 매개효과검증 분석 결과로, 자기효능감이 교수자와의 라포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Due to the influence of covid-19, we cannot help but consider the various problems caused by continuing learners’ online learning i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online learning has been conducted in the general form of learning from the first semester of 2020. In non-face-to-face classes as well as face-to-face classes, interaction between professors and learners is a prerequisite for learning goals, even if they are non-face-to-face classes. Prior studies have shown that building rapport with professors among various interactions in learning c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learning performance. Based on this, for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N=96) majoring in piano performance at four music universities loc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from the second semester of 2020 to the first semester of 2021, the survey has been conducted to identify preception as well as the relationship among building rapport with professors, self-efficacy and course satisfaction. For this study,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ed effect verification have been conducted. As a result,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self-efficacy and building rapport, course satisfaction and building rapport, course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showed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s. Mediated effect verification shows that self-efficacy affects building rapport with professors.

      • KCI등재

        정신적 연습을 통한 연주 불안 극복방안에 관한 인식연구

        이희승 ( Lee Heeseung ),정완규 ( Chung Wan Kyu )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16 음악교수법연구 Vol.1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 연주와 관련해 정신적 연습에 대한 의식을 알아보고, 연주불안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미국의 텍사스 테크 주립대학교에서 음악 연주를 전공하는 학생들과 교양수업으로 수강하는 비음악전공자, 음악 연주전공 대학원생, 그리고 미국 텍사스 주에 위치한 제일장로교회와 뉴멕시코 주에 위치한 동 뉴멕시코 대학에서 취미로 성악을 배우는 학생들을 대상(n=123)으로 정신적 연습을 통한 연주불안 극복방안에 관한 의식을 설문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정신적 연습에 대한 인식이 음악 연주를 전공으로 하는 학생들과 취미로 배우는 학생들 사이에 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정신적연습과 연주불안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r=0.346, p<.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정신적 연습이 연주자들의 연주불안 극복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students could utilize mental practice as a way to overcome performance anxiety. The population included music majors and non-music majors at Texas Tech University, and amateur singers at First Presbyterian Church and Eastern New Mexico University(n=123). The result revealed that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usic majors and non-music majors in relation to the attitudes about mental practice.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ental practice and performance anxiety(r=0.346, p<.01), in other words, mental practice could function positively to overcome performance anxiety. Recommendation has been provided to the music teachers as well as the students.

      • KCI등재

        마스터 클래스의 효용성에 관한 연구

        이희승 ( Lee Heeseung ),정완규 ( Chung Wan Kyu )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17 음악교수법연구 Vol.18 No.2

        마스터 클래스는 음악 교육과정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전공실기 수업의 한 형태이다. 전공실기 수업은 통상적으로 교수와 학생의 1:1 비공개 수업으로 이루어진다. 마스터 클래스 역시 교수와 학생의 1:1 수업으로 이루어지나 차이점은 다수의 학생들이 참관하는 공개수업이라는 점이다. 대학의 경우 내부 또는 외부에서 초빙된 교수가 대학생 및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마스터 클래스로 학생을 가르치는 것이 보편화 되어있다. 하지만 보편적으로 시행되는 마스터 클래스를 통하여 유익한 학습만이 아닌 유익하지 못한 학습의 기회가 될 수도 있다고 기존의 많은 연구에서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 및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마스터 클래스의 효용성에 관한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고 중요도-수행도 격자 모형 분석(IP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을 통하여 마스터 클래스의 강점 및 약점을 파악하여 마스터 클래스가 앞으로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서 수도권 지역의 몇 개 대학에서 피아노를 전공으로 하는 대학생 및 대학원 학생들을(n=117)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중요도와 실제 경험과의 큰 차이를 보인 문항들은 개선되어야할 필요성이 부각되었고 중요도-수행도 격자 모형 분석을 통하여 강점과 약점을 보이는 문항들은 마스터 클래스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서 지속 또는 지양되어야함이 대두되었다. Master class is regarded as a form of class that is normally seen in music education curriculum. Generally, music lesson is done privately, as a one-to-one tuition class. Even though master class is done as a one-to-one tuition class like the music lesson, master class is an open class that is taught in front of audience. Professors who are invited to teach at a University setting, would teach undergraduate or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music performance. Despite the fact that master class is taught regularly, previous researches show that master class can be harmful to the learning experience of students. Based on those previous researches, this study conducts a survey about awareness investigation and IP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about master class and suggests a promising perspective based on survey results and analysis. The survey was conducted in June 2017 and participants(n=117) included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music performance in the vicinity of the country’s capital. Results of several questionnaire items in the survey show big differences between importance and satisfaction that should be considered to improve in a positive way. Additionally, through IPA, results of several questionnaires show as strengths that should be maintained continuously for a successful master class.

      • KCI등재

        버스서비스 평가모형의 개발

        이희승(Lee Heeseung),이수일(Lee Sooil),원제무(Won Jaimu) 대한토목학회 2007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27 No.3D

        고유가 시대와 도심의 교통혼잡문제 등의 대두로 대중교통 이용활성화에 대한 정책과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대중교통의 대표적인 수단인 버스는 지하철 등에 비해 서비스 만족도가 낮게 나타나고 정성적인 부분과 정량적인 부분의 서비스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못하다. 본 연구에서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위의 두 서비스 평가항목을 함께 고려할 수 있는 버스 서비스 평가모형을 개발하였다. 이 알고리즘은 버스유형별, 각 평가항목별 중요도에 따른 만족도 측정이 가능하고 전체적인 서비스 만족도를 하나의 값으로 제시하여 버스노선별 평가 및 다른버스유형의 서비스 만족도의 평가가 가능하리라 본다. High oil prices and traffic congestion have led to increasing relevant policies and interests in the use of public transportation. The bus service, one of the typical means of public transportation, has shown lower customer satisfaction compared to the subway and, moreover, the service's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evaluations are not 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has developed an evaluation model for bus service in order to consider the two service evaluation items, using structural equation methods. The algorithm can measure the customer satisfaction levels according to bus types as well as the importance of evaluation items and present total service satisfaction, making possible evaluation by bus routes as well as various bus types.

      • KCI등재
      • KCI등재

        초급 피아노 교재 활용에 관한 피아노 전공생들의 인식 연구

        이희승 ( Lee Heeseung )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22 음악교수법연구 Vol.2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2022학년도 1학기, 서울 소재 대학원의 ‘초급 피아노 교수법’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초급 피아노 교재 활용에 관한 인식 및 만족도 조사와 함께 한 학기 수업 이후, 학생들의 초급 피아노 교재 인식변화에 관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피아노 학습자와 교수자들에게 초급 피아노 교재 선택에 관한 실질적인 제안을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조사 대상자로부터 현재 활용하는 교재에 대한 빈도분석, 초급 피아노 교재 평가 기준과 만족도에 관한 기술 통계량, 내적일관성에 대한 신뢰도 측정, 그리고 변인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초급 피아노 교수법’ 수업 한 학기 수강 이후, 인식변화에 관한 개방형 질문을 포함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초급 피아노 교재 평가 기준과 만족도에 대한 수치가 높지 않게 나타났고, 평가 기준 13문항 중 ‘교재의 일관성’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교재의 다양성, 학습자들의 다양성과 특성, 교재 선택 기준의 구체화, 그리고 학생들의 의견을 통한 발전 측면에서 조사 대상자들(수강생)의 인식변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practical suggestions to learners and instructors through the results of the study, as well as a survey on awareness and satisfaction of the use of beginners piano method for graduate students taking ‘piano teaching method for beginners’ at a university in Seoul, South Korea in the 2022-1 semester. For this study, frequency analysis of demographic parts and the use of current methods, descriptive statistics on evaluation criteria and satisfaction, reliability measurement of internal relevanc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igures on the evaluation criteria and satisfaction were not high, and it was found that the ‘consistency of method’ among 13 questions of the evaluation criteria had an effect on satisfaction. In addition, considering open-ended questions, the learners’ perceptions seemed to be changed in the parts of the diversity of method, diversity and characteristics of learners, concreteness of method selection criteria, and development through students’ opinions in the class.

      • KCI등재

        체험경제이론을 적용한 마스터 클래스 학습자의 인식에 관한 연구

        이희승 ( Lee Heeseung ),정완규 ( Chung Wan Kyu )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18 음악교수법연구 Vol.19 No.2

        우수한 학생들의 모집과 그들의 학습능력 유지 및 발전을 위해서는 기존의 학습체제와 정보에만 의존하기보다 현 상황에 맞는 새로운 학습방법의 개선 및 개발이 필요하다. IT 기술의 발전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고등교육(higher education)을 위한 온라인 강의과목이 많이 개설되어 있는 실정이고, 고등교육의 생존을 위해서는 교육학의 본질인 ‘경험’을 중요시하는 실험경제의 성장에 의지해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이에 파인과 길모어(Pine & Gilmore)가 제안한 체험경제이론(Experience Economy)의 네 가지 요인인 교육, 오락, 미적, 현실 도피적 체험의 특징을 살펴보고, 음악 교육 과정 중의 하나인 마스터 클래스에 참여한 학생들의 경험을 체험경제이론에 적용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결과들로 학생들의 다양한 요구에 대응하며 수업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 및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마스터 클래스에서 연주하고 지도받는 학생의 직접경험 뿐 아니라 마스터 클래스에 참관하는 모든 학생들의 간접경험 역시 학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점을 고려할 때, 참여한 모든 학생들의 경험을 분석하는 것은 긍정적인 학습 결과를 도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 수행을 위하여 수도권 지역에 위치한 몇 개의 대학에서 마스터 클래스에 수업의 일환으로 참여하는 대학생 및 대학원 학생들(n=116)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마스터 클래스를 통해서 교육적 체험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미적 체험이나 현실 도피적 체험의 수치는 상대적으로 낮음을 알 수 있었다.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ew learning method to recruit excellent students and help them maintain and improve their learning ability, rather than to depend on existing learning systems. Currently, many global online courses are opened for higher education. The opinion generally prevails that we should rely on the growth of experimental economy focusing on experience which is the nature of education. Since then, researchers have conducted studies on the master class. A master class utilizes music education curriculum, which is divided into four sections based on Pine and Gilmore's experience economy. This includes four factors: education, entertainment, aesthetics, and escap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master class and cater to a variety of needs that different students have. With regards to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master class as an observer rather than performer, their indirect experience should be regarded as crucial. Therefore, to analyze every student's experience of a master class is significant towards drawing a conclusion for building a positive and new learning method. The survey was conducted at several universities near the capital and targeted master class participants, who are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piano performance. As a result, students experience more education than aesthetic or escapism through a master cla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