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유아에서 분리한 Bifidobacteria에 의한 발효유의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함량 증가

        이효구(Hyo-Ku Lee),권영태(Yung-Tae Kwon),강혜순(Hye-Soon Kang),윤칠석(Chil-Surk Yoon),정재홍(Jae-Hong Jeong),김인환(In-Hwan Kim),정수현(Soo-Hyun Ch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3 No.8

        인체의 장관에서 유래한 200여 Bifidobacteria 균주를 대상으로 CLA 생산능을 조사한 결과, 공시균주 1종과 국내의 유아로부터 분리한 12개 균주가 기질로 첨가한 LA를 CLA로 전환하였으며, 각 CLA 생산 균주들에 의한 CLA 이성체는 90% 이상이 cis-9, trans-11 CLA이었다. CLA 생산능과 전환율이 가장 높은 Bifidobacterium sp. KHU 141 균주를 사용하여 발효유를 제조하였을 때, 발효유의 CLA 함량은 대조구보다 39.6 ㎎/100 g 증가하여 CLA의 생리활성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발효유의 생산에 사용할 수 있는 균주로 나타났다. Bifidobacterium sp. KHU 141에 의한 fermenter에서의 발효유 제조 시 lauric acid, myristric acid, palmitic acid, oleic acid 및 linolenic acid 함량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LA 함량은 감소하고 CLA 함량은 증가하여 배양 24시간 및 48시간 후에 각각 소비된 LA의 86.0% 및 84.8%가 CLA로 전환되었다. Bifidobacterium sp. KHU 141에 의한 CLA 생산은 배양 24시간과 48시간 사이에 큰 차이가 없었으며, fermenter에서의 CLA 생산능도 bottle이나 시험관을 이용하여 발효한 경우와 같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 More than 200 Bifidobacterium sp. originated from human intestine were investigated for their ability to produce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Of the Bifidobacteria tested, 1 of culture type strain and 12 isolated strains from Korean infants showed CLA producing ability. cis-9, trans-11 octadecadienoic acid presented more than 90% of the total CLA isomers produced by the Bifidobacteria. CLA content in fermented milk by Bifidobacterium sp. KHU 141 increased by 39.6 ㎎/100 g, which showed the potential use for producing fermented milk containing high content of CLA. In fermented milk, little changes showed in lauric acid, myristric acid, palmitic acid, oleic acid, and linolenic acid contents, whereas the content of linoleic acid (LA) decreased and the content of CLA increased. Bifidobacterium sp. KHU 141 converted 86.0% and 84.8% of LA consumed to CLA for 24 hr and 48 hr fermentation, respectively. Prolonging incubation from 24 to 48 hours did not appear to enhance CLA formation and CLA producing ability was stable whether bottle, test tube, or fermenter was used for making fermented milk by Bifidobacterium sp. KHU 141.

      • KCI등재

        충청지역 민속주의 항산화활성

        이효구(Hyo Ku Lee),최양문(Yang Mun Choi),서형주(Hyung Joo Suh)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3 No.8

        민속주의 고품질화와 소비촉진에 기여하고자 먼저 충청지역에서 제조되어 시판 중인 민속주들의 이화학적인 성분을 분석하고 생리활성으로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다. 충청지역의 7종류의 민속주는 0.30~0.95% 유기산, 1.4~11.1% 당함량과 1.5~37.3 ㎎%의 단백질 함량을 보였다. 민속주 L-3의 경우 가장 높은 polyphenol 화합물의 함량(205.8 ㎍/mL)을 보였다. 7종류의 민속주중 L-5, L-4 및 L-3는 tocopherol (0.05 ㎎/mL)의 항산화활성의 80%정도의 항산화 활성을 보였으나, 이들 3가지 민속주간의 유의적 차이(p<0.05)는 없었다. L-5가 7가지 민속주중에 가장 높은 reducing power를 보였으며, 또한 전자공여능 역시 다른 민속주에 비해 월등하였다. L-6, L-5, L-4는 비교적 높은 hydroxyl radical 소거능을 보였으며 이중 L-5는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능이 0.93 unit/㎎으로 가장 높은 소거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충청지역의 민속주 7가지중 L-5가 가장 높은 항산화활성을 보였다. Antioxidant activities of traditional liquors produced in Chungcheong-do were studied. The contents of organic acids, carbohydrate, and protein of the traditional liquors were 0.30~0.95%, 1.4~11.1% and 1.5~37.3 mg%, respectively. Especially, the contents of phenolic compounds of L-3 was the highest (205.8 ㎍/mL). L-5, L-4 and L-3 showed higher antioxidant activities than the others on hemoglobin-induced linoleic acid system. L-5 also showed high reducing power and scavenging effect on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s on hydroxyl radicals in L-6, L-5 and L-4 showed higher activities (42~53%) than those of the others. The highest scavenging effect on superoxide anion radical was observed in L-5 (IC_(50): 1.1 ㎍).

      • KCI등재
      • KCI등재

        시판 요구르트 제품 중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함량 분석 및 상업용 Dairy Starter에 의한 CLA 생산

        이효구(Hyo-Ku Lee),권영태(Yung-Tae Kwon),강혜순(Hye-Soon Kang),윤칠석(Chil-Surk Yoon),정재홍(Jae-Hong Jeong),김형국(Hyeong-Kook Kim),김인환(In-Hwan Kim),정수현(Soo-Hyun Ch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3 No.8

        국내에서 시판 중인 요구르트의 CLA 함량과 상업용 dairy starter 유산균의 CLA 생산능을 조사하였다. 시판 요구르트 중의 CLA 함량은 4.1∼14.8 ㎎/100 g이었으며, 원료 우유 사용비율이 낮아질수록 제품에 함유된 CLA 함량도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CLA 함량과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및 linolenic acid의 함량, CLA 함량과 지방함량간에는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상업용 dairy starter 유산균 67균주 중 L. acidophilus 1종, L. casei 1종 및 Streptococcus thermophilus 3종 등 모두 5 균주가 기질로 첨가한 linoleic acid로부터 CLA를 생성하였다. 또한 생성된 CLA는 cis-9, trans-11 이성체가 70% 이상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이들을 이용한 발효유는 대조구에 비해서 1.7∼2.6 ㎎/100 g의 CLA 함량의 증가를 보였으며, CLA 전환율은 6.1∼8.6%<br/> 였다.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concentrations of commercial yoghurts and the ability of dairy starter cultures to produce CLA were investigated. The CLA contents of yoghurts were in the range of 4.1∼14.8 ㎎/100 g. CLA contents in yoghurts depended on the amount of milk used for raw material. Regression test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CLA concentrations and selected fatty acids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and linolenic acid) of lipids in yoghurts. Among the 67 commercial dairy starter cultures tested, one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one of Lactobacillus casei and three of Streptococcus thermophilus were found to be capable of converting free linloeic acid to CLA and cis-9, trans-11 octadecadienoic acid presented more than 70% of the total CLA formed. The CLA conversion rate of the screened strains ranged from 6.1% to 8.6% in whole milk for 24 hours at 37℃.

      • KCI등재

        감마선 조사가 쌀밥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이유석(You-Seok Lee),오상희(Sang-Hee Oh),이주운(Ju-Woon Lee),김장호(Jang-Ho Kim),이종욱(Chong-Ouk Rhee),이효구(Hyo-Ku Lee),변명우(Myung-Woo Byu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3 No.3

        면역결핍 환자들에게 공급하기 위한 무균식 제품 기술개발의 일환으로 쌀밥에 0, 5, 10 kGy로 감마선 조사하여 30℃에서 저장하면서 색, 물성 및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감마선 조사선량과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yellowness는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10 kGy 조사구의 부착성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부착성과 경도의 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총균수는 비조사구의 경우 저장 3일 후 7 log cycle까지 증가하였으나 5 kGy 조사구는 저장 4주 후 4 log cycle 수준을 유지하였으며 10 kGy 조사구의 경우는 검출되지 않았다. 감마선 조사의 선량은 색도, 물성 및 미생물적인 측면을 고려하였을 때 5 kGy 내외가 적당할 것으로 생각되며 5 kGy로 조사하였을 경우 30℃ 저장시 1개월 이상의 저장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장기 저장을 위한 고선량 적용을 위해 색도의 변화 및 물성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Cooked rice for immunosuppressed patients was irradiated at 0, 5 and 10 kGy, and investigated on the irradiation effect on color, texture, and shelf-life during storage at 30℃. Yellownes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cooked rice with the increase of storage period and irradiation dose (p<0.05) and the ratio of adhesiveness/ hardness of cooked rice was decreased by irradiation at 10 kGy. The result of total plate count of non-irradiated cooked rice was 7 log CFU/g and that of 5 kGy irradiated cooked rice on 7 day storage was 4 log CFU/g, while that of 10 kGy irradiated sample was not detected even at the end of storage. Irradiation with 5 kGy on cooked rice is proper to prolong the shelf-life considering color, texture, and it was extended to over a month. Further research is necessary to apply the high-dose irradiation for long-term preservation to inhibit color and texture change.

      • KCI등재

        홍화씨의 식품학적 성분 분석 및 항균활성

        유석영 ( Seok Yeong Yu ),이영준 ( Youg Jun Lee ),강석남 ( Suk Nam Kang ),이성갑 ( Seong Kap Lee ),장중영 ( Jung Young Jang ),이효구 ( Hyo Ku Lee ),임정호 ( Jeong Ho Lim ),이옥환 ( Ok Hwan Lee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구 한국농산물저장유통학회) 2013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는 홍화씨의 식품학적 성분 및 항균활성을 분석하였다. 홍화씨의 수분함량은 5.58±0.09%, 조단백질 37.16±0.85%, 조회분 3.52±0.04%, 조지방 13.69±8.98%, 탄수화물 40.05%이었다. 홍화씨의 총 아미노산은 391.99mg%이고, 이중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은 122.97 mg%이었다. 홍화씨의 아미노산 중 alanine (75.43 mg%), arginine (37.97mg%) 및 aspartic acid (33.24mg%)을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홍화씨의 주요 유리당은 fructose가 3.29%이었고, linoleicacid (C18:2)는 약 79.46%의 비율을 차지하여 홍화씨의 조지방 중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Oleic acid (C18:1)도 약 40.42%를 함유하여 불포화지방산의 함유량도 매우 높게 나타났다. 홍화씨의 무기질 함량 측정 결과, K 및 Ca의 함량이 1,528 및 1,005 mg%으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55.52±0.99 mg GAE/g, 78.69±0.91 mg QE/g으로 나타났다. 홍화씨의 항균활성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Staphylococeus aureus, Salmonella typhimurium, Escheria coli, Candida albicans, Bacillus cereus, Listeria monocytogenes, Vibrio parahaemolyticus 및 Clustridium perfringens 균에 대한 항균 효과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di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 of Cart/minus tinctorius L seed and to assess its total phenol content total flavonoids content and antimicrobial activity. The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fat crude ash and carbohydrates of the Cars/minus tinctorius L seed were 5.58, 37.16, 13.69, 3.52. and 40.05%, respectively. Total amino acid in Carthanmus tincrorli6 L seed was 391.99 mg% The major free sugar of Cart/minus tinctorius L seed were fructose(3.29%) and sucrose( l.74%) Linoleic acid(79.46% was a major fatty acids in the crude fat of Can/minus tinctorius L seed. The K and Ca contents were the highest in Carthamus tinctorius L seed. Total phenol and total flavonoids contents of the ethanolic extract were 55.52 ± 0.99 mg GAE/g and 78.69 ± 0.91 mg QE/g, respectively. The extract from Carthamus tinctorius L seed showed growth inhibitory effect on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typhimurium, Escheria coil, Candida albicans, Bacillus cereus, Listeria monocytogenes, Vibrio parahaemolyticus, and Clustridium perfringen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arthamus tinctorius L. Seed extract can inhibit food pathogen associated with total phenol and total flavonoids contents.

      • KCI등재

        연구노트 : 3T3-L1 지방세포내 ROS 생성에 대한 천년초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윤보라 ( Bo Ra Yoon ),이영준 ( Young Jun Lee ),김선구 ( Sun Gu Kim ),장중영 ( Jung Young Jang ),이효구 ( Hyo Ku Lee ),이성갑 ( Seong Kap Rhee ),홍희도 ( Hee Do Hong ),최현선 ( Hyeon Son Choi ),이부용 ( Bo Yong Lee ),이옥환 ( Ok Hw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 구 한국농산물저장유통학회 ) 2012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Vol.19 No.3

        Recently, NADPH oxidase 4 (NOX4)-mediated generation of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was proposed to accelerate adipogenesis of 3T3-L1 cell. We have previously shown that Cheonnyuncho (Opuntia humifusa) extract significantly inhibited adipocyte differentiation via downregulation of PPARγ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gene expression. In this study, we focused on the molecular mechanism(s) of NOX4, G6PDH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and antioxidant enzymes in anti-oxidative activities of 3T3-L1 adipocytes. Our results indicate that Cheonnyuncho extracts markedly inhibits ROS production during adipogenesis in 3T3-L1 cells. Cheonnyuncho extracts suppressed the mRNA expression of the pro-oxidant enzyme such as NOX4 and the NADPH-producing G6PDH enzyme. In addition, treatment with Cheonnyuncho extract was found to upregulate mRNA levels of antioxidant enzymes such as Mn-SOD (manganese-superoxide dismutase), Cu/Zn-SOD (copper/zinc-SOD), glutathione peroxidase (GPx), glutathion reductase (GR), and catalase, all of which are important for endogenous antioxidant responses. These data suggest that Cheonnyuncho extract may be effective in preventing the rise of oxidative stress dur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through mechanism(s) that involves direct down regulation of NOX4 and G6PDH gene expression or via upregulation of endogenous antioxidant responses.

      • SCOPUSKCI등재

        홍국 코오지를 이용한 고추장의 특성

        정수현(Soo-Hyun Chung),서형주(Hyung-Joo Suh),홍재훈(Jae-Hoon Hong),이효구(Hyo-Ku Lee),조원대(Won-Dae Ch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8 No.1

        고추장 원료로 사용하는 멥쌀로 코오지를 제조하고 코오지의 효소활성, 곰팡이의 성장, 색소생산 등을 조사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기호성이 향상된 고추장을 제조하기 위하여 황국 코오지, 홍국 코오지를 단독 또는 혼합사용 및 홍국 코오지와 엿기름을 사용한 고추장을 제조하여 숙성과정중의 성분변화와 고추장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홍국 코오지의 α-amylase와 β-amylase 활성은 36.9와 6.1 units/g였으나, 황국 코오지는 97.7과 15.1 units/g로 홍국 코오지보다 높은 활성을 보였다. 황국 코오지의 acid protease 활성 역시 1.9 units/g 로 홍국 코오지에 비해 다소 높았다. 홍국 코오지는 황국 코오지에 비해 낮은 균 증식을 보였으나 M. anka 특유의 적색색소를 생산하였다. 고추장의 pH는 담금 초기 pH 5.1에서 숙성이 진행될수록 감소하여 숙성 종료시에 코오지에 따라 pH 4.70~4.83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고추장 숙성 중 적정산도의 증가는 pH 감소와 같은 경향이었다. 숙성 종료 후 고추장의 환원당은 16.3~20.7%로 홍국 코오지와 엿기름을 사용한 고추장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아이노태 질소함량은 183~230㎎%로 홍국과 황국의 혼합 코오지로 제조한 고추장에서 가장 높았다. 고추장의 색도는 홍국 코오지를 단독 또는 엿기름과 사용하여 제조한 경우에 밝은 적색을 띠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palatability of kochujang. The activities of liquefying amylase and saccharogenic amylase in Monacus anka koji were lower than those in Asp. oryzae koji. The acid protease activity(1.4 units/g) in M. anka koji was also lower than that(0.6 units/g) in Asp. oryzae koji. Glucosamine amount in Asp. oryzae koji was 1075㎍, and that in M. anka koji was 318㎍. Four kinds of Kochujang were prepared with Asp. oryzae koji(A), M. anka koji(M), mixed koji of Asp. oryzae and M. anka(A+M), and mixture of M. anka koji and malt(M+M). The pH of four kinds of kochujang was 5.1 in the beginning and was between 4.70~4.83 after 120 days of fermentation. Reducing sugar of kochujang was between 16.3~20.7% after fermentation and kochujang prepared with M+M showed the highest reducing sugar content. Amino-nitrogen of kochujang was between 182 ㎎%~230 ㎎% after fermentation and the highest amino-nitrogen content was observed at kochujang prepared with A+M. Kochujang prepared with M and M+M showed higher a-value than kochujang prepared with A and A+M.

      • KCI등재

        탁주 제조 시 율무 첨가에 따른 휘발성 성분의 분석

        신순영(Soon-Young Shin),서수환(Soo-Hwan Suh),조원대(Won Dai Cho),이효구(Hyo Ku Lee),황한준(Han-Joon Hwa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2 No.8

        탁주의 기능성 강화를 위하여 율무를 첨가하여 제조한 탁주의 탁주로서의 적합성을 조사하였다. 우선 기존 쌀코오지를 이용하여 전분원으로서 율무를 15, 30, 60와 100% 첨가했을 경우, 효모의 균수와 ethanol의 생성량은 각각 9.5×107~2.3×10^8 cell/mL과 13.6~15.2%로 시료 간의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율무의 알콜 발효원으로 적합성을 보여주었다. 한편 고급알콜인 iso-amyl alcohol은 첨가된 율무량에 따라 1,150ppm으로부터 1,206, 1,213, 1,293, 1,604 ppm으로 각각 증가되고, acetaldehyde와 iso-butanol도 율무의 첨가량에 따라 증가하였다. 한편 Aspergillus kawachii(AK)와 Rhizopus japonicus(RJ)를 이용하여 율무누룩주를 만든 결과 ethanol 생성량은 쌀코오지로 만든 율무주에 비해 14%로부터 각각 11.2%(AK), 7.5%(RJ) 그리고 10.4%(AK+RJ)로 감소하였고, 효모의 수는 7.5×10^7~2.6×10^8 cell/mL이었으며, isoamyl alcohol 함량이 1,840 ppm으로부터 각각 632[AK], 855[RJ], 792 ppm[AK+RJ]로 감소하였고, n-propanol, isobutanol 등의 fusel oil도 감소하였으나, acetaldehyde가 57 ppm으로부터 99[AK], 138[RJ], 131 ppm[AK+RJ]으로 각각 증가되었다. 전체적으로 탁주제조에 있어 율무의 이용은, 전분원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알콜 발효와 관능검사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fusel oil의 함량이 증가하였고, 누룩을 원료로서 사용하는 경우 ethanol의 생성과 fusel oil의 생성이 감소하고, acetaldehyde의 함량이 현격히 증가하였으며, 관능검사 결과 기호도가 낮아졌다. In order to use nutraceutical components in Yulmoo (Coix lachryma-jobi L. var. ma-yuen Stapf), the acceptability of Yulmoo for Takju (Korean rice wine) was examined in terms of the production of volatile components. When Yulmoo was added to the Takju made by commercial koji as a substitute of starch at 0 (rice 100%), 15, 30, 60, and 100%, the ethanol content slightly increased to 13.6, 15.2, 15,2, 14.1, and 13.8%; the production of iso-butanol and iso-amyl alcohol increased as the amount of Yulmoo increased. While the use of Yulmoo to the Takju as the nuruk (Korean traditional koji), inoculated with Aspergillus kawachii (AK) and Rhizopus japonicus (RJ), decreased the contents of n-propanol, iso-butanol, and iso-amyl alcohol as well as the contents of ethanol from 14.3% to 11.2 [AK], 7.5 [RJ], and 10.4% [AK+RJ]. The Yulmoo nuruk in Takju increased the production of acetaldehyde and ethyl acetate indicating the negative effect in the organoleptic evaluation. It was determined that the addition of Yulmoo as a starch source or as nuruk has a critical effect on the production of fusel oils and other volatile compounds in Takju fermentation.

      • KCI등재

        천년초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비만 활성

        김대중 ( Dae Jung Kim ),정지훈 ( Ju Hoon Jung ),김선구 ( Sun Gu Kim ),이효구 ( Hyo Ku Lee ),이성갑 ( Seong Kap Lee ),홍희도 ( Hee Do Hong ),이부용 ( Boo Yong Lee ),이옥환 ( Ok Hwan Lee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구 한국농산물저장유통학회) 2011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Vol.18 No.3

        Recent studies suggested that Cheonnyuncho is a significant source of bioactive phenolic compounds, comparable to phytochemicals, including green tea and onion. In this study, the hot-water and 80% ethanolic extracts of Cheonnyuncho were assessed as to their total phenol content, total flavonoids content, antioxidant activity (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y and reducing power), and anti-obesity activit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otal phenol contents of the hot water extract and the 80% ethanolic extract were 16.52±3.87 and 13.44±0.85 mg GAE/g, respectively. The total flavonoids content was detected only in the 80% ethanolic extract, however, with a 778.08 μg catechin equivalents/g content. The 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y and reducing power of the 80% ethanolic extract from Cheonnyuncho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water extract (p < 0.05). During the adipocyte differentiation, the 80% ethanolic extract of Cheonnyuncho more significantly inhibited lipid accumulation and ROS production than the 3T3-L1 cells that were treated with hot water extract. Furthermore, the 80% ethanolic extract of Cheonnyuncho suppressed the mRNA abundance of the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 PPARγ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 and its target gene, aP2 (adipocyte protein 2).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heonnyuncho extracts can inhibit adipogenesis through a mechanism that involves direct down regulation of PPARγ gene expression or via modulation of ROS production associated with radical-scavenging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