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향상된 임상시험정보 공유를 위한 임상시험정보방 구축

        황희정(Hee-Joung Hwang),이선희(Sun-Hee Lee),박인숙(In-Sook Park),정주연(Joo-Yeon Jung),강운구(Un-Gu Kang) 한국정보기술학회 2008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Vol.6 No.5

        In this study, we have developed a real-time clinical trials information system for reflect recent interest on international and domestic clinical trials and the demands of patient and clinicians by expanding and reorganizing existing search service linked to KiFDA database. Currently system in KFDA have some problem on management that could not search real-time information from KiFDA database. Then we have solved this problem using realtime search mechanism with KiFDA database. In particular, the database has enabled the provision of more reliable information covering approved clinical trials and administering organizations for those who are interested in clinical trial.

      • 수출 딸기 ‘매향’의 딸기 삽목묘 생산을 위한 최적 배지 및 포깅 기간 선발

        황희성 ( Hee Sung Hwang ),김혜민 ( Hye Min Kim ),정현우 ( Hyeon Woo Jeong ),이혜리 ( Hye Ri Lee ),황승재 ( Seung Jae Hwang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9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4 No.1

        본 연구는 딸기 삽목묘의 생산을 위한, 최적 삽목 배지 및 포깅 처리 기간을 선발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2018년 2월 13일에 채묘한 ‘매향’ 자묘를 두 종류의 유기물 배지인 coir와 terra plug, 그리고 세 종류의 무기물 배지인 rockwool, foam #1과 foam #2가 충진된 40구 트레이에 각각 삽목 하였으며, 포깅 처리는 온실 내부에 설치한 소형 터널에 상대습도를 80±5%로 설정하여 각각 0, 3, 6, 9, 12일간 처리하였다. ‘매향’ 삽목묘의 발근율과 생존율은 포깅 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배지 처리에 있어서 coir 배지에서 발근율과 생존율이 유의성 있게 높았고, terra plug 배지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엽록소 형광값은 0, 3일간 포깅 처리한 rockwool 배지와 terra plug 배지를 제외한 나머지 처리에서 0.7-0.8 범위의 정상값을 나타내었다. 엽면적은 foam #2 배지에서 9일간 포깅한 처리에서 가장 넓었고, 주근 수와 근장, 크라운 직경, 지상부, 지하부의 생체중 및 건물중은 모든 처리에서 포깅 처리 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coir 배지에서 딸기 삽목묘의 생육이 우수한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coir 배지를 이용하여 12일간 포깅 처리해주는 것이 삽목묘의 생육에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고로슬래그시멘트를 사용한 다공성 황토콘크리트의 성능 평가

        황희,강수만,박종식,박상우,전지홍,이진형,차상선,박찬기,Kim, Hwang-Hee,Kang, Su-Man,Park, Jong-Sik,Park, Sang-Woo,Jeon, Ji-Hong,Lee, Jin-Hyung,Cha, Sang-Sun,Park, Chan-Gi 한국농공학회 2010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52 No.3

        This study aims to evaluate a porous concrete using hwang-toh, blast furnace slag and blast furnace slag (BFS) cement instead of type I cement. The tests that were carried out to analysis the properties of porous hwang-toh BFS cement concrete included compressive strength, continuous void ratio, absorption rate, and pH value, repeated freezing and thawing test were conducted. Test results indicated that the performance in porous hwang-toh concrete are effective on the kaoline based binder materials. The pH value were shown in about 9.5 ~ 8.5. The compressive strength was increased and void ratio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kaoline based binder materials, respectively. The void ratio and compressive strength were in the range of about 21 ~ 30 %, 8 ~ 13 MPa, respectively. The increased in void ratio of more than 25 % is showed to reduce the resistance of repeated freezing and thawing. Also, the resistance of repeated freezing of thawing and the compressive strength of porous hwang-toh BFS cement concrete are independent with hwang-toh content and BFS cement amount. But, the void ratio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high volume hwang-toh contents (more than 15 %).

      • 학술지 윤리 강화를 위한 표절 검증 사례

        황희중(Hee-Joong Hwang),김동호(Dong-Ho Kim),이종호(Jong-Ho Lee),이정완(Jung-Wan Lee),김영이(Young-Ei Kim),양회창(Hoe-Chang Yang),윤명길(Myoung-Kil Youn) 한국유통학회 2015 International Forum on Business Convergence (IFBC) Vol.2015 No.-

        Kodisa의 유통과학연구(JDS)에서는 2014년 6월 연구윤리와 관련한 논문 표절 판단 기준에 대해 발표한 바 있다. 본 논문에서는 투고자들이 고의 또는 부주의로 인해 표절 논문을 투고한 후 이를 편집위원회의 심사과정에서 지적된 사항을 중심으로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향후 연구자들의 연구윤리 준수를 촉구하고 표절에 대한 경각심을 갖게 함이 목적이다. 연구자 본인의 자체 모니터링만큼 바람직한 것은 없으므로 구체적인 사례 제시를 통해 연구자들의 불안과 궁금증을 해결해 주고 건전한 학문적 분위기를 조성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배경이다.

      • KCI등재

        IBA 처리방법과 농도에 따른 딸기 ‘매향’의 측아 발생 억제와 자묘 생육

        황희성(Hee Sung Hwang),정현우(Hyeon Woo Jeong),이혜리(Hye Ri Lee),황승재(Seung Jae Hwang)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20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9 No.1

        본 연구는 시설 딸기(Fragaria × ananassa Duch. cv. Maehyang)의 생육과 런너 생산을 위한 옥신계 식물 생장조절제인, IBA의 처리방법 및 농도에 따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딸기 묘는 2019년 4월 12일에 코이어 배지가 충진된 화분(150×135×90mm)에 정식 하였다. IBA는 0, 50, 100, 150, 200mg·L<SUP>-1</SUP>농도로 각각 엽면살포 및 배지관주 처리로 식물체당 50mL씩 처리하였다. IBA 처리는 2019년 4월 29일에 시작하였다. IBA의 엽면살포 및 배지관주 처리는 처리 시작일로부터 2주 간격으로 9주간 처리하였다. 처리 9주 후, 모주의 엽병장은 대조구에서 가장 짧았다. 자묘의 수는 엽면살포처리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측아의 수는 IBA 처리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엽면살포 100mg·L<SUP>-1</SUP>처리에서 가장 적었다. 1차 묘와 2차 묘의 생체중과 건물중은 처리 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3차 묘에서 생체중과 건물중은 배지관주 100mg·L<SUP>-1</SUP>처리에서 가장 무거웠다. 그러므로, 3차 묘의 생육과 측아 발생 억제를 고려하였을 때, 배지관주 100mg·L<SUP>-1</SUP>처리가 IBA를 딸기에 처리함에 있어, 3차 묘의 생육과 자묘 생산에 적절한 처리방법 및 농도인 것으로 보이며 위 결과는 딸기 육묘기에 노동력 절감 및 묘소질 향상을 위한 식물생장조절제 활용의 기초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by application method and concentration of the indole-3-butyric acid (IBA), which is auxin-based plant growth regulator, on the growth and runner plants production of strawberry in the greenhouse. The seedlings of strawberry were transplanted in the pot (150 × 135 × 90 mm) filled with coir medium on April 12, 2019. The IBA was applied with a foliar spray or drench as 50, 100, 150, and 200 mg・L<SUP>-1</SUP> (50 mL per plant), respectively. The treatment was started on April 29, 2019. The foliar spray and drench treatment of IBA were repeated at 2-week intervals for 9 weeks from the start date of treatment. At 9 weeks after treatment, the petiole length of mother plants was the shortest in the control. The number of runner plants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d in the foliar spray. The number of lateral buds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d in the IBA treatment, and the least in the foliar with 100 mg・L<SUP>-1</SUP>. Ther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ce in the fresh and dry weights of the first and second runner plants. However, in the third runner plants, the fresh and dry weights were the greatest in the drench with 100 mg・L<SUP>-1</SUP>. Therefore, when considering the growth of third runner plants and lateral bud suppression, the drench with the 100 mg・L<SUP>-1</SUP> could be better application method and concentration of IBA treatment for growth of the third runner plants and runner plants production of strawberry, and the results can be used as a basic research of plant growth regulator application to save the labor force and enhance the seedling quality in strawberry seedling stage.

      • KCI등재
      • KCI등재

        Terpenoid 함유 식물 추출물의 첨가가 반추위 발효와 메탄 발생에 미치는 영향

        황희,하동욱,이수경,이일동,이신자,이성실,Hwang, Hee-Soon,Ha, Dong-Uk,Lee, Su-Kyoung,Lee, Il-Dong,Lee, Shin-Ja,Lee, Sung-Sill 한국유기농업학회 2013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21 No.4

        본 연구는 Terpenoid 함유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in vitro 반추위 발효성상 및 메탄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반추위액은 티머시(timothy)와 농후사료를 6:4의 비율로 급여한 반추위 cannula가 시술된 한우 암소에서 채취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식물추출물은 박하(Mint), 소나무(Pine), 삼나무(Japan cedar), 초피나무(Sichuan pepper), 편백(Hinoki cypress) 그리고 해송(Japanese black pine)을 사용하였으며, 반추위액과 McDougall buffer를 1:2의 비율로 혼합한 배양액을 0.3g 티머시와 식물 추출물(기질의 5%)이 담긴 50ml serum bottle에 혐기상태로 15ml를 분주하였다. Serum bottle은 $39^{\circ}C$, 150rpm으로 3, 6, 9, 12, 24, 48 및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실험 결과 pH 값은 점점 감소하였으며, 전 배양시간에 걸쳐 대조구보다 유의적(p<0.05)으로 높았다. 건물 소화율은 배양 3시간대는 Mint 처리구만 유의적(p<0.05)으로 높았으나, 이후 24시간까지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성이 없었다. 총 가스발생량은 전 처리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낮았으며, 이산화탄소 발생량은 배양 12시간대까지 감소하였으나, 그 이후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메탄 발생량의 경우 24시간대에 대조구에 비해 모든 첨가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감소하였다. 미생물 성장량은 첨가구에 따라 각각 다른 양상을 나타냈으나 24시간대는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성장량이 감소하였다. 암모니아 측정량은 배양 12시간부터 첨가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72시간대는 감소하였다. acetic acid 및 propionic acid도 대조구보다 유의적(p<0.05)으로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본 실험에 사용한 Terpenoid 함유 식물 추출물 6종 모두 소화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메탄저감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Mint 및 Pine 추출물은 총 VFA, acetic acid 및 propionic acid의 생성을 증가시켰으며 상기의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반추위 발효성상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메탄 발생을 저감하는 식물 추출물로는 Mint 및 Pine이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ffects of terpenoids-rich plant extracts (TRPE) on the in vitro ruminal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methane production. The ruminal fluid was collected from a cannulated Hanwoo cow fed concentrate and timothy in the ratio of 6 to 4. The TRPE as Mint (Mentha arvensis var. piperascens), Pine (Pinus densiflora), Japan cedar (Cryptomeria japonica), Sichuan pepper (Zanthoxylum piperitum), Hinoki cypress (Chamaecyparis obtuse) and Japanese black pine (Pinus thunbergii) were used in this study. The 15 mL of mixture, contains McDougall buffer and rumen fluid in the ratio of 2 to 1. The mixture was dispensed anaerobically 50 mL serum bottles and it is contained 0.3 g timothy substrate and 5% TRPE. The bottles were incubated at $39^{\circ}C$ for 3, 6, 9, 12, 24, 48 and 72 hours. The pH value decrease by increased incubation times and the pH values at all times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treatments than in control. The digestibility of dry matter at 3 hours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mint treatment than in control. Productions of total gas and carbon dioxide at before 12 hours was significantly lower (p<0.05) in treatments than in control. The methane production at 24 hours was significantly (p<0.05) lower in treatments than in control. The concentrations of acetic acid and propionic acid at 24 hours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mint and pine treatments than in control. In conclusion, the terpenoid-rich plant extracts were shown to decreased methane emission and without adversely affected ruminal fermentation. Therefore, the terpenoid-rich plant extracts as mint and pine were shown to decreased methane production and it has potential possibility for ruminal fermentations.

      • KCI등재

        Effects of Halogenated Compounds on in vitro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in the Rumen and Methane Emissions

        Hee Soon Hwang(황희순),Ji Un Ok(옥지운),Shin Ja Lee(이신자),Gyo Moon Chu(추교문),kyoung Hoon Kim(김경훈),Young Kyoon Oh(오영균),Sang Suk Lee(이상석),Sung Sill Lee(이성실) 한국생명과학회 2012 생명과학회지 Vol.22 No.9

        본 연구는 할로겐 화합물의 첨가가 in vitro 상의 반추위 발효성상과 메탄생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효과를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Italian rye grass 및 배합사료를 6:4의 비율로 급여한 반추위 cannula가 시술된 홀스타인에서 반추위액을 채취하여 사용하였고, 채취된 반추위액은 분쇄된 timothy (대조구; C)에 bromochloromethane (BCM구), 2-Bromoethanesulfonic acid (BES구), 3-Bromopropanesulfonic acid (BPS구), chloroform (CLF구) 및 Pyromellitic diimide (PMDI구)의 5가지 할로겐 화합물을 각각 1 ppm씩 첨가하여 in vitro 배양하였다. pH는 6.72 에서 6.25 정도로 배양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배양 48시간에는 처리구간 차이가 없었다. 배양 48시간 후의 총 가스 발생량은 처리구간 유의적인(p<0.05) 차이는 없었고, BPS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 에서의 메탄 발생량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감소하였다. 배양 12시간에서의 총 휘발성 지방산 및 propionic acid의 발생량은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높았다. 본 실험의 결과, 할로겐 화합물의 첨가는 반추위 내의 pH, 건물 소화율, 미생물 수 및 총 가스 발생량의 발효 성상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메탄의 발생량이 감소 되었다. 실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할로겐 화합물 첨가는 반추위 내 pH, 가스 발생량, 반추위 미생물 성장량 및 propionic acid 모두 증가하였으며, 반추위내 메탄생성을 억제하였다. 앞으로 할로겐화합물과 다른 메탄억제 물질과 혼합하여 반추위 내 메탄생성 억제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effects of halogenated compounds on in vitro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methane emissions. A fistulated Holstein cow of 650 kg body weight was used as a donor of rumen fluid. Five kinds of halogenated compounds (bromochloromethane (BCM), 2-bromoethane sulfonic acid (BES), 3-bromopropanesulfonic acid (BPS), chloroform (CLF), and pyromellitic diimide (PMDI) known to inhibit methyl-coenzyme M reductase activity were added to an in vitro fermentation incubated with rumen fluid. The microbial population including bacteria, protozoa, and fungi were enumerated, and gas production including methane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were observed in vitro. The pH values ranged from 6.25 to 6.72 in all the treatments, and these showed a similar level at 48 hr. The total gas production in the treatments showed a similar pattern with C at 48 hr, whereas methane production in the treatments was lower (p <0.05) than C. Concentrations of total volatile fatty acids (VFAs) and propionic acid were higher (p <0.05) in the treatments than in C at 12 hr. Therefore, halogenated compounds (BCM, BES, BPS, CLF, and PMDI) inhibited in vitro methane emissions by inhibiting methanogens in the rumen. Further studies on safety are needed.

      • 학술지 윤리 강화를 위한 표절 검증 사례

        황희중(Hee-Joong Hwang),김동호(Dong-Ho Kim),이종호(Jong-Ho Lee),이정완(Jung-Wan Lee),김영이(Young-Ei Kim),양회창(Hoe-Chang Yang),윤명길(Myoung-Kil Youn) 한국유통과학회 2015 한국유통과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5 No.1

        Kodisa의 유통과학연구(JDS)에서는 2014년 6월 연구윤리와 관련한 논문 표절판단 기준에 대해 발표한 바 있다. 본 논문에서는 투고자들이 고의 또는 부주의로 인해 표절 논문을 투고한 후 이를 편집위원회의 심사과정에서 지적된 사항을 중심으로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향후 연구자들의 연구윤리 준수를 촉구하고 표절에 대한 경각심을 갖게 함이 목적이다. 연구자 본인의 자체 모니터링만큼 바람직한 것은 없으므로 구체적인 사례 제시를 통해 연구자들의 불안과 궁금증을 해결해 주고 건전한 학문적 분위기를 조성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배경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