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누적이동평균(1,1) 모형에서 공정 변화시점의 추정

        이호윤,이재헌,Lee, Ho-Yun,Lee, Jae-Heon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09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0 No.2

        생산 공정에서 관리도를 통하여 이상원인을 탐지하는 경우 이상상태의 신호가 발생하면 교정활동을 통하여 이를 규명하고 제거한 후 다시 공정을 가동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이상원인이 발생한 시점인 공정의 변화시점을 알 수 있다면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이상원인을 규명하고 이를 제거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누적이동평균(1,1) 모형, 즉 IMA(1,1) 모형을 따르는 공정에서 관리도를 사용하여 모수들의 변화를 탐지하는 경우 공정의 변화시점에 대한 MLE를 제안하고, 제안된 추정량의 효율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Knowing the time of the process change could lead to quicker identification of the responsible special cause and less process down time, and it could help to reduce the probability of incorrectly identifying the special cause.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maximum likelihood estimator (MLE) for the process change point when a control chart is used in monitoring the parameters of a process in which the observations can be modeled as a IMA(1,1).

      • KCI등재

        아라이 하쿠세키와 아메노모리 호슈 -조선으로부터의 시선

        이호윤 ( Ho Yun Lee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09 石堂論叢 Vol.0 No.45

        일반적으로 아메노모리 호슈는 근대 일본의 아시아침략과는 대조적으로 근세일본의 `성신외교`의 진력자로서 알려져 있으며 호슈에 대한 연구도 `성신외교`에 주목한 것이 대부분이다. 확실히 아메노모리 호슈는 `성신외교`를 주장한 기록을 남기고 있는데 "교린제성"이 그 대표적인 서적일 것이다. 아메노모리 호슈는 "교린제성"에서 `성신이라고 하는 것은 서로 속이지 않으며 싸우지 않고 진실로서 교제하는 것이며 조금이라도 상대국의 방법에 응하지 않으면 참된 성신이라고 말 할 수 없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한편 아라이 하쿠세키는 근세일본과 조선의 `우호관계`의 심볼인 아메노모리 호슈의 라이벌로서 이러한 `우호관계`에 지장을 초래한 존재로서 인식되어져 왔다. 그런데 근세 조선측의 기록을 보면 아메노모리 호슈와 아라이 하쿠세키에 대한 평가는 현대의 이러한 평가와는 반대로 오히려 아라이 하쿠세키가 높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아메노모리 호슈는 비난을 받고 있다. 아메노모리 호슈의 `성신`을 평가할 때 근대이후의 `권모술수`적인 외교와는 다른 `친선, 우호`적 주장인 `성신`을 근세기에 있어서 유일하게 주창한 인물이 아메노모리 호슈이며 또한 당시 대부분의 일본, 조선의 지식인들이 가지고 있었던 상대를`오랑캐`로 보는 경향과는 거리를 두고 있는 인물로서 아메노모리 호슈를 그려왔다. 그런데 아메노모리 호슈를 `성신`이라는 말로`평등, 대등` 또는 `우호,선린`관계의 대표자로서 위치지운다면 `국민국가`의 `외부`에 존재하고 있었던 아메노모리 호슈의 사상 또는 `근세적 외교`의 참모습을 파악하기 어렵게 만들 위험성이 있다. 이러한 점은 토요토미 히데요시의 조선침략 이후 조일 양국간에 행해졌던 외교의례인 통신사 사행시 발생했던 긴장관계와 갈등관계를 은폐해버리는 것이 될지도 모른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통신사가 남긴 사행록과 아메노모리 호슈, 아라이 하쿠세키가 남긴 사료를 통해서 당시의 교류의 참모습을 살피는 것으로 근세 지식인들의 교류 및 관계의 일부분을 규명한 논문이다. In contrast to the perception of most modern Japanese diplomats, Amenomori Hoshu is generally thought of as an "honest diplomat" in early modern history. Studies on Amenomori also reflect this personification of the "honest diplomat," and Amenomori Hoshu`s account in Kourinteisei emboldens this even further. That is, in Korinteisei he writes that this honesty is conceived when two parties interact mutually with faith and without deception or aggression. When one country fails to interact with the other, pure honesty fails to materialize. Arai Hakuseki, considered as a rival to Amenomori Hoshu in his role as representative of "amicable relations" between early modern Japan and Korea, came to believe that Amenomori actually interfered with these congenial interactions. Moreover, early modern accounts from Korea praise Arai Hakuseki and levy criticism on Amenomori Hoshu. From a contemporary perspective, however, Amenomori Hoshu`s "honesty" is not seen as something derivative of Machiavellian politics but rather he is seen as an atypical figure in a time when most early modern intellectuals in Japan and Korea portrayed each other with contempt and as barbaric. It becomes even more difficult to comprehend early modern diplomacy when we take into account Amenomori Hoshu, in his role outside of the "nation-state," as a symbol of honesty, amity, and equality. In a sense, he was instrumental in concealing the tense and adversarial relationships that had grown between Japan and Korea ever sense Toyotomi Hideyoshi`s invasions in the late 1500s. This article uses primary sources pertaining to Amenomori Hoshu and Arai Hakuseki`s work in diplomacy to examine their role in international relations and to shed light on one part of early modern Japanese and Korean intellectual exchange.

      • KCI등재

        러시아 순양함 드미트리 돈스코이호와 고종

        이호윤 ( Ho Yun Lee ),유해수 ( Hai Soo Yoo ) 서울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15 러시아연구 Vol.25 No.1

        드미트리 돈스코이호는 러일전쟁 당시 러시아 발틱함대를 새로 재편한 제2태평양함대 소속으로 동해해전에 참가하였다가 일본군함과의 격전 끝에 1905년 5월 29일 새벽 울릉도 앞바다에 자침한 러시아 순양함이다. 돈스코이호는 1981년 조선일보의 보도 등으로 인해 제정러시아의 보물이 실려 있을 가능성이 큰 보물선으로 알려져 왔을 뿐이며 돈스코이호와 한국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도 거의 없었다. 고종은 1882년 임오군란 이후 조선의 내정간섭에 적극적으로 나선 청나라와 을미사변으로 조선에 대한 침략정책을 본격적으로 시행한 일본세력을 타개할 목적으로 러시아와 군사적 협력관계를 타진한다. 1888년 첫 극동항해에 나선돈스코이호 함장은 고종을 알현하여 협력 관계를 맺었고, 을미사변 이후정국타개책으로 단행한 고종의 ‘아관파천’시에는 서울에 군대를 파견하여 러시아공사관 수비임무를 담당하여 고종을 호위하였다. 본고는 이러한 돈스코이호와 고종과의 관계를 고찰한 논문이다. Dmitrii Donskoi, the Russian battleship, fought in the battle of Tsushima and sunk at the offshore of Ulleungdo around 6:40 AM, May 29, 1905 as a result of the fierce battle during the Russo-Japanese War. Japan``s increasing threats of invasion to Korea since the Eulmi Incident in 1985 and China``s growing influence on Korea``s domestic affairs resulted in King Gojong``s signing of the agreement on military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Russia in 1905. In 1888, the captain of the Donskoi cruiser made his first long voyage to the Far Eastern Asia. He was granted an audience with King Gojong so that they could sign the agreement. The captain deployed Russian military to Seoul not only to guard the Russian legation but also to escort King Gojong when he carried out the royal refuge to the Russian legation after the Eulmi Incident. This paper deals with the relations between the Donskoi cruiser and King Gojong.

      • KCI등재

        근세 류큐사절ㆍ조선사절의 일본ㆍ중국 파견과 교류

        이호윤 ( Lee Ho-yun ) 한국일본근대학회 2021 일본근대학연구 Vol.- No.72

        조선과 류큐는 중국과 일본에 직접 사절단을 대규모로 파견하여 동아시아교류네트워크의 중심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다. 일본에 파견된 조선사절은 일본 관료 및 지식인들을 통해 간접적으로 류큐에 대한 정보를 얻었으며 북경에 파견된 조선사절은 황제가 주최하는 조례, 향연 등에 참석하며 한시창화, 의례연습 등으로 류큐사절과 교류하며 류큐에 관한 정보를 얻었다. 류큐사절은 북경에서 조선을 비롯한 외국사신과 접촉하여 외국정보를 수집하였고 이렇게 수집한 정보를 사츠마에 전달하여 일본에 자신들의 존재감을 과시하였다. 조선사절과 류큐사절 파견으로 동아시아에는 교류네트워크가 형성되었고 이들이 얻은 지적 정보가 북경, 한성, 에도, 나하를 거점으로 동아시아 지역에 전파될 수 있었다. 또한 조선사절과 류큐사절의 북경에서의 교류는 근세 한일교류사의 무대가 한반도와 일본열도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중국대륙을 포함한동아시아적 규모로 전개되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러한 점을 종합적으로 검토한다면 류큐사절과 조선사절의 중국ㆍ일본 파견과 교류를 통한 한일양국의 지적 영향을 규명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Joseon Dynasty and the Ryukyu dispatched large-scale missions directly to China and Japan, playing a central role in the East Asian Exchange Network. Joseon envoys dispatched to Japan indirectly obtained information about the Ryukyus through Japanese officials and intellectuals, while Joseon envoys to Beijing attended ordinances and feasts organized by the emperor and obtained information about the Ryukyus in interactions with the Ryukyu envoys through poetry creation and ritual practices. The Ryukyu envoys contacted Joseon and other foreign envoys in Beijing to collect foreign information, and delivered the collected information to Satsuma to show off their presence in Japan. With the dispatch of the Joseon and Ryukyu envoys, an exchange network and information network were formed in East Asia, and the information they obtained could be spread to East Asia through the bases of Beijing (北京), Hanseong (漢城), Edo (江戸), and Naha (那覇). In addition, the exchange between the Joseon and Ryukyu envoys in Beijing means that the stage of Korean-Japanese exchange history in modern times was not limited to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Japanese archipelago, but was developed on an East Asian scale including mainland China. Through this, it is believed that a new perspective will be provided on the history of Korea-Japan exchanges and East Asian exchanges.

      • KCI등재

        일제강점기 조선의 실업야구와 전일본도시대항야구대회

        이호윤 ( Lee Ho-yun ) 한국일어일문학회 2023 日語日文學硏究 Vol.124 No.0

        1873年、日本に野球が伝来した後、日本では官庁・企業・銀行などを中心に野球団の創設と共に各種大会が開催され実業野球が始まった。そして、実業野球は日本帝国の「外地」でも実施された。日本帝国の植民地であった朝鮮では、1910年代実業野球チームが創設され始め、京城日報社、朝鮮公論社、朝鮮新聞社、西鮮新聞社、釜山日報社などのマスコミが野球大会を開催し、1910年代後半には野球が大衆的な人気を集めた。1920年代には全朝鮮野球争覇戦や全朝鮮選抜野球大会のような新聞社が主催した実業野球大会が開催された。特に1927年には日本帝国の実業野球の最強チームを決める全日本都市対抗野球大会の創設により、全日本都市対抗野球大会の朝鮮予選大会が朝鮮全域で開催された。京城では朝鮮最高の実力を誇っていた野球チームが所属した京城実業野球連盟が1927年に発足し、春季·秋季リーグ戦が始まり、京城実業野球連盟所属チームが朝鮮代表として東京で開かれた全日本都市対抗野球大会の本大会に参加し優勝をもした。そして、京城実業野球連盟所属チームの選手の中には朝鮮人選手も所属していた。植民地期に構築された実業野球システムや大会で活躍した朝鮮人野球人は、朝鮮の解放後韓国野球の土台を築き実業野球を再建した。以後、実業野球は韓国成人野球を率い、そして、1982年に発足した韓国プロ野球リーグの土台となった。 After baseball was introduced to Japan in 1873, a baseball team was founded in Japan, various competitions were held, and baseball as a business began. In Joseon, a colony of the Japanese Empire, the Japanese began to establish a business baseball team in the 1910s, and the media held baseball competitions, and baseball began to gain popularity in the late 1910s. In the 1920s, a baseball tournament hosted by the media was held in Joseon, and in 1927, the Joseon qualifying tournament for the Japanese Intercity Baseball Tournament was held in all parts of Joseon. In particular, in Gyeongseong, the Gyeongseong Business Baseball Federation, which belonged to the best baseball teams in Joseon, was launched in 1927 and the spring and autumn leagues began, and baseball teams from the Gyeongseong Business Baseball Federation won the finals of the Japanese Intercity Baseball Tournament in Tokyo. Most of the players in the Gyeongseong Business Baseball Federation League were from middle school and university, and among them were Korean players. The Joseon Baseball Association was established by the Korean baseball players who played in the business baseball system and competitions established and implemented in Japanese colonial era by rebuilding business baseball by laying the foundation for Korean baseball after liberation. In addition, the Korean Intercity Baseball Tournament was held, and the Korea Business Baseball League began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Hansung Industrial Baseball Federation, leading to the Korean adult baseball league, and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 Korean professional baseball league which launched in 1982.

      • KCI등재

        『하곡선생조천기(荷谷先生朝天記)』와 중국인식

        이호윤(Lee, Ho-yun)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6 亞細亞硏究 Vol.59 No.3

        『하곡선생조천기』는 하곡 허봉(荷谷許篈, 1551∼1588)이 선조(宣祖) 7년(1574년)에 명조(明朝) 제14대 황제 신종(神宗)의 생일을 축하하기 위한 성절사행(聖節使行)에 서장관(書狀官)으로 참가하여 기록한 사행일기이다. 이 사행에서 허봉은 24세의 젊은 나이로 서장관이란 큰 직책을 수행하였는데 이러한 직책과 그의 학문적 능력에서 나오는 자신감으로 명사(明士)와 활발한 학문적 논쟁을 펼쳤다. 허봉 일행이 명조에 사행한 명목적 이유는 신종 황제 생일 축하였지만 당시 조선의 현안 문제였던 종계변무(宗系辨誣)와 함께 문묘종사(文廟從祀)에도 큰 관심이 있었다. 종계변무는 이성계가 고려말의 이인임의 자손이라는 『명태조실록』과 『대명회전(大明會典)』의 잘못된 기록을 시정하려던 것이고, 문묘종사문제는 문묘에 배향하는 유현(儒賢)에 대한 시비인데 도통의 정통성에 관한 문제로 조선조에 있어서는 중요한 정치문제이자 교학 문제였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허봉은 명조의 생원(生員) 하성시(賀盛時), 국자감생(國子監生) 섭본(葉本) 등과 논쟁을 벌여 양명학의 이단성과 왕양명(王陽明)의 문묘종사에 대해서는 부당성을 강조하였고, 거인(擧人) 왕지부(王之府), 국자감에서 만난 양수중(楊守中) 등 명조의 주자학자와는 강한 연대감을 보였다. 허봉은 사행 중 상중(喪中)에 술을 마시고, 고기를 먹는 요동, 심양 지방의 풍습과 사인(舍人) 무리들의 무례한 행동을 보고 명조가 ‘이름은 중국이나 사실은 오랑캐와 같다(名為中國, 而其実無異於達子焉)’고 기록하고 있다. 이렇듯 ‘예악문물(禮樂文物)’의 유무로 화이(華夷)를 구별한 허봉은 유교와 예악문물과 성현(聖賢)의 본향이라고 여겼던 명조에서 사학(邪學)이라고 여긴 양명학이 번창하고 있는 것에 더하여 도교신앙과 불교신앙이 크게 유행하고 있는 것을 접하고서는 ‘명조=중화’ 인식에 회의를 하게 된다. 근세 유가 지식인의 ‘화이관’은 고정된 것이 아니었다. 즉 예의가 있으면 소인도 군자가 될 수 있지만, 예의를 잃으면 군자도 소인으로 전락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예악문물’이 존재하는 곳이 ‘華’이며 존재하지 않으면 ‘夷’로서 평가했던 것이다. 『Hagok Seonsaeng Jocheongi』is the envoy’s diary recorded by Hagok Heo bong (1551~1588) when he participated in the envoy’s imperial holiday trip to celebrate the birthday of the 14th Emperor Shinjong of the Ming Dynasty as a recording officer in the 7th year (year 1574) of King Seonjo. In this trip, Heo bong discharged the great duties of a recording officer at the young age of 24 and had lively academic discussions with Ming’s scholars based on the confidence of his position and his academic ability. In addition to celebrating the birth of Emperor Shinjong,the envoys were also interested in the Jonggyebyeonmu (clarifying falsehoods in the royal descent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Munmyojongsa (memorial rites at Confucian shrines) which were pending issues in Joseon at that time. The Jonggyebyeonmu intended to correct the errors in 『The History of Ming Taejo』 and 『The Daemyeonghoijeon』 that Yi Seong-gye was a descendent of Lee In-im during the last period of Goryeo, and the problem of the Munmyojongsa (memorial rites at Confucian shrines) was the right and wrong about the great Confucian scholars whose mortuary tablets were put in the Confucian shrine and it was the problem of legitimacy of dotong and the important political problem and education and scholarship problem in the Joseon Dynasty. In this background, Heo Bong argued with the scholar Ha Seong-si and the Gukjagam scholar Seop Bon of the Ming Dynasty and emphasized the heresy of the philosophy of Wang Yangming and the iniquity of Munmyojongsa (memorial rites at Confucian shrines) for Wang Yangming, and showed astrong feeling of solidarity with scholars of the doctrines of Chu-tzu in the Ming Dynasty, Geoin Wang Ji-bu and Yang Su-jung whom he met at the Gukjagam. Heo Bong saw the custom of Yodong and Shenyang province where people drank alcoholic beverages and ate meat whilemourning for the dead and the rude behavior of the officials during the trip ofthe envoys, wrote,“The Ming Dynasty has the name Jungguk, but in fact they are like barbarians (名為中國, 而其実無異於達子焉)”. As such, Heo Bong, who discerned the civilized from barbariansby observing whether ‘etiquette, music and the products of civilization’ existed or not, knew that the philosophy of Wang Yangming, which was regarded as evil learning, was flourishing and in addition to that Taoism and Buddhism were largely popular in the Ming Dynasty,which he regarded as the home of Confucianism, ‘etiquette, music and the products of civilization’ and the sages, and was skeptical that ‘Ming Dynasty = Junghwa’. The “view of the civilized and barbarian’ of the pre-modern Confucian intellectual did not predetermine the civilized and barbarian. Namely, with etiquette a petty person can become a gentleman, but if he is rude, a gentleman can fall to a petty person, he evaluated that the place where ‘etiquette, music and the products of civilization’ exist was ‘Hwa’ and the place where they did not exist was ‘the barbarian’. In this article, such a glimpse of the specific appearance of exchange of thought in East Asia in the 16th century was investigated through the record of Heo Bong who visited Ming in pers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