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수학교육의 연계방안 모색을 위한 유치원 교사와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조사

        이혜은(Lee Hae-Eun),최혜진(Choi Hye-Ji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수학교육의 연계방안 모색을 위하여 교육과정의 실제적 운영자인 교사 즉, 유치원 교사와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교육의 목적, 내용, 방법, 평가, 교육과정 연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해 봄으로써 두 기관의 교육과정간의 연계 가능성을 알아보고 효과적 연계 방안에 대한 실제적 시시점을 얻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와 초등학교 교사 모두 가장 중요한 수학교육의 목적을 수학에 대해 자신감을 갖도록 하는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둘째, 대부분의 수학교육의 내용에 대해서는 두 교사집단 모두 중요하게 여기고 있었으나 ‘분류’, ‘수개념’, ‘컴퓨터’, ‘문자와 식’에서 유치원 교사와 초등학교 교사 간에 차이가 있었다. 셋째, 수학교육의 방법에 대해서 두 교사집단 모두 소집단 또는 개별 활동으로 이루어지는 놀이나 그룹 게임을 통한 방법이 바람직하며 교사의 역할은 ‘유아와 상호작용해 주는 역할’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넷째, 수학교육 평가의 목적은 ‘일상생활에서의 수학적 문제해결력 파악’을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였고 평가방법으로는 수행평가가 적절하며 평가의 결과는 교수-학습활동 계획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거나 유아의 수학학습 진전 과정 확인하는 것을 바람직하다고 보았다. 다섯째, 초등학교 교사와 유치원 교사들의 교육과정에 대한 상호인지도는 매우 낮았는데 수학교육의 방법 면에서 기장 차이가 난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바람직한 연계방안으로 ‘교육과정의 공동개발’ 및 ‘상호 교육과정에 대한 연수’나 ‘자료집 보급’ 등이 적절하다고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eachers' awareness of the mathematics between the kindergarten and the elementary school. This assists in identifying gaps teachers may have concerning mathematics education between the Kindergarten and the elementary school levels.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both teachers recognize that it is the most important goal of the mathematics education in developing self-confidence. Second, kindergarten teachers agree wi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most of the contents of curriculum exceptsome sub-areas of curriculum.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ve a stronger view that 'classification', 'number conception', figures and a formula expression are important. Third, the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swer a small group or individual activity is effective and they think teachers assume a role as an interaction partner. Forth, the kindergarten teachers are in agreement with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at the first aim of the evaluation in mathematics is 'solving mathematical problems in life', in that performance assessment is the most proper way and in that the result of evaluation should be used as a reference for planning the mathematical activities and identifying a child's improvement in mathematical learning. Fifth, the kindergarten teacher and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little understand each other and the largest gap between them is the pedagogy. So the plans for connecting the mathematical education is developing both curriculum together, training for the teachers should include the understanding each and supplying the references about the connection. There are a lot of gaps on the teachers' awareness on the mathematics for connecting the education between the kindergarten and the elementary school. But both teachers are aware of importance of connecting the mathematics and they have something in common. So we can have the tips for a connecting mathematical education.

      • 1인 가구를 위한 다목적 주방가구시스템 디자인 연구

        이혜은 ( Hae Eun Lee ),윤재우 ( Jae Woo Yoon ) 경기대학교 부설 산업디자인연구소 2015 조형논총 Vol.12 No.-

        최근 1인 가구는 핵가족화, 미혼, 만혼의 증가와 고령화에 따른 사회적 현상으로 증가하고 있다. 1인 가구의 주 거주 형태인 소형주택은 규모면에서 제한적이며, 주방 공간은 기본적 역할만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1인 가구의 생활패턴과 주방의 공간 요소를 접목하여 다목적 복합 공간에 대해 연구하였다. 사용자의 공간 활용패턴을 분석한 결과 다목적 복합 공간에서의 기능전환의 개선이 필요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1인 가구의 생활패턴에 따른 다목적 주방가구를 개발하고자 한다. 1인 가구의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공간으로서 요리·오피스·학습·휴식 등의 공간개념을 집약시킨 복합공간으로 활용이 가능한 주방가구를 디자인하고자 한다.

      • 적응형 스위칭 주파수를 통해 높은 변환 효율을 갖는 휴대용 단말 충전기

        이혜은(Hae Eun Lee),백대령(Dae Ryeong Baek),남진송(Jin Song Nam),조영균(Young-Kyun Cho) 한국정보기술학회 2021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21 No.11

        본 논문에서는 조도에 따라 벅 변환기의 스위칭 주파수를 변경하여 낮은 부하 조건에서 높은 전력 변환 효율을 갖는 휴대용 단말 충전기 (Mobile Solar Charger, MSC)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MSC에 사용된 벅 변환기의 스위칭 주파수는 조도 센서의 출력 저항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경되어, 낮은 출력 리플 특성과 높은 변환 효율을 갖게 한다. 벅 변환기 모듈은 신뢰도 및 재현성 향상을 위해 인쇄 회로 기판에 제작하였으며, 1 A 부하 전류 내에서 12 V의 입력전압을 5 V 전압으로 조절한다. 제작된 벅 변환기는 25~250 kHz 범위에서 동작 주파수 조절이 가능하며, 적응형 스위칭 주파수 특성으로 인해 모든 부하 조건에서 80% 이상의 변환 효율을 갖는다. This paper presents a mobile solar charger that features a high conversion efficiency under light load condition by changing the switching frequency of the buck converter according to the illuminance. The output resistance of the illuminance sensor automatically and continuously changes the switching frequency of the pulse width modulator, resulting in low output voltage ripple and high conversion efficiency. The proposed buck converter was fabrica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to improve reliability and reproducibility, and it regulated the output to 5 V with input voltage of 12 V, and the maximal load current was 1 A. The implemented buck converter produced an adjustable operating frequency in the range of 25~250 kHz, and showed a conversion efficiency of over 80% under all load conditions.

      • KCI등재

        구성주의에 기초한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비교 및 연계성 탐색

        이혜은(Lee Hae-Eun),황해익(Hwang Hae-I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현대교육과정의 기초가 되고 있는 구성주의에 근거하여 전통적으로 객관적 지식체계이면서 탐구과정을 중시하는 수학 및 과학영역을 중심으로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저학년 교육과정을 비교하고 그 연계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개인적 구성주의, 사회문화적 구성주의, 기호상징적 구성주의의 관점에서 두 교육과정의 내용과 방법은 위계적인 교육내용 체계구정과 탐구과정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교수-학습방법 적용, 개별 인지능력에 대한 양적, 질적 평가에 대한 구체적 방법제시와 해석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보다 연계성 있는 두 교육과정의 운영을 위해 교육과정의 재구성 및 교육활동자료의 개발, 새교육과정에 대한 교사교육 등에서도 이러한 특징을 반영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aimed to compare and to suggest Continuity of Curriculums betwee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Based on Constructivism. For this purpose I reviewed philosophy of the Both curriculums, compared kindergarten curriculum about inquiring an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s about mathematics and integrated science of first and second and then suggested the reconstructions of the both curriculums. The research contents for this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constructivism, of the both curriculums, is focused on the process of learner's constructing intro, inter and representative meanings. Planning and managing curriculums also guarantee effective ways and good learning environments. Second, Kindergarten curriculums are more integrated and otherwise Elementary curriculums are guided more specific and divided each sections- contents and methods. Third, to connect curriculums betwee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should consider a hierarchy of the contents, individual investigating and children's abilities and pre-experiences about the learning.

      • KCI등재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수학교육과정의 연계성에 기초한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탐색

        이혜은(Lee Hae Eu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수학교육과정의 연계성에 기초하여 유아수학 능력에 대한 평가도구를 개발하고자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수학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고 선행 유아수학능력평가도구를 고찰하여 평가도구 개발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수학교육과정의 연계성에 기초한 평가도구는 첫째, 초등학교 입학 전후 시기인 만 5, 6세 유아의 수학능력을 개별 진단 및 집단별 발달 양상을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둘째, 평가의 내용영역은 두 교육과정의 공통된 교육내용 및 유아수학교육의 최근 동향을 고려하여 규칙성, 수연산, 공간ㆍ도형, 측정, 통계영역으로 한다. 셋째, 평가방법은 유아의 과제수행물을 통하여 각 수학내용영역별 질적, 양적 준거에 따라 개인내, 개인간 비교가 가능하도록 하며 교육과정 운영에서 실시하기 용이해야 한다. 넷째, 유치원 수학교육과정의 총괄 및 츠등학교 수학교육과정에 진행하는 과정에서 유아의 성취도를 평가한 결과는 두 기관의 수학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aimed to review and to suggest in developing a valid and reliable assessing tools that is based on continuity of mathematical curriculums betwee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For this purpose I compared the mathematical curriculums betwee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analyzed the mathematical evaluating instruments for young children and then suggested several guidlines to develop new assessing tools. The research contents for this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assessing tools based on a continuity of mathematical curriculums betwee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can find adequacy of the mathematical development of 5-6 year-old-children. Second, the tools of content can be consisted of regulation, number sense, space and shape, measurement and statistics. Third, the tools can be performed as individual or as group with simple materials such as worksheets Forth, evaluating criteria with qualitative category and quantitative scoring helps a valid and reliable assess Fifth, a result of the tools should be applied to reconstruct a mathematical curriculum.

      • KCI등재

        유아의 수학적 태도 및 능력 수준에 따른 수학학습능력의 역동적 평가과정에서의 차이

        황해익(Hwang Hae-Ik),이혜은(Lee Hae-Eun),오경녀(Oh Kyung-Nyeu)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유아의 수학적 태도와 능력이 교수-학습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학적 태도 및 능력 수준에 따라 집단을 구성하고 상, 하집단간 역동적 평가의 훈련검사점수, 전이검사점수, 학습잠재력점수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유아의 수학적 태도와 능력은 모든 수학내용의 교수-학습과정에 영향을 미치는데 특히 높은 수준의 수학적 태도는 교수단계를 거치면서 이미 학습한 유형 또는 보다 높은 난이도의 문제해결에서도 영향을 미치며 낮은 수준의 능력을 상쇄시킬 정도의 교수효과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relations of mathematical attitudes, abilities, and learning potentiality under teaching-learning situation. We examined the differences of young child's problem-solving in the process of dynamic assessment based on the level of Mathematical attitudes and abilities. 108 kindergarteners were tested by dynamic preschool assessment tools and mathematical attitude rating scale.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are there any differences of training-test score between 4 groups based on the level of mathematical attitudes and abilities? Second, are there any differences of transfer-test score between 4 groups based on the level of mathematical attitudes and abilities? Third, are there any differences of learning potential score between 4 groups based on the level of mathematical attitudes and abilities? The level of mathematical attitude and ability both are related to training-test, transfer-test and learning potentiality. Attitudes are the better, teaching effect and learning potentiality are the higher. Also abilities are the better, teaching effect and learning potentiality are the higher. The high-level attitudes can compensate for the low-level abilities under teaching-learning situation.

      • KCI등재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패턴인식능력에 대한 연구

        최혜진(Choi Hye-Jin),이혜은(Lee Hae-Eun),유수경(Yoo Sooky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2 No.1

        수학적인 관계 및 규칙성에 대한 인식은 논리 수학적 사고와 문제 해결력, 추론 능력으로 이어질 수 있어 최근 수학교육에서 강조되기 시작한 영역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와 초등학교 1학년에게 다양한 패턴과제를 제공하여 연령 및 패턴유형에 따른 패턴인식능력의 발달 경향을 알아봄으로써 규칙성 영역에서 유치원과 초등학교 저학년의 연계성을 고려한 교육과정 구성시 참고자료를 제공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유아의 패턴인식능력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더 높게 나타나며 패턴의 표현방식에 따라 사물과 도형의 형태로 제공된 패턴을 숫자패턴 보다 더 쉽게 해결하였다. 패턴의 생성양식에 따라 반복, 관계, 변형 패턴 순으로 패턴인식능력이 발달하고 수개념이 포함된 패턴보다는 수개념을 포함하지 않은 패턴에 대한 인식능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패턴관련 수학활동을 구성할 경우 이러한 패턴인식능력의 발달 경향을 고려하여 활동의 위계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Pattern distinction is an important part of mathematics education. Young children can understand mathematical concepts, especially regulation, through various patterns. This study is aimed at investigating an awareness of patterns by kindergarten and first-grade students. It seeks to help us understand the tendency of pattern awareness, as well as which pattern types are best suited to kindergarten and or elementary school curriculum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repeated rnanova-test, awareness of pattern differs significantly not only with age but also with the type of representative pattern (objects, figures, shapes). [Pattern figures.] Second, awareness of pattern differs significantly not only with age but also with the type of pattern making (repeating pattern, growing pattern, relating pattern). The relating pattern is the most difficult type of pattern making for young children. Third, awareness of pattern differs significantly between number-concept questions and non-number-concept questions. Number concepts are more difficult. We can therefore conclude that age is a significant element in development of pattern awareness. For younger learners, in activities or materials with real objects, repeating patterns are more suitable than more flexible patterns with figures. So teachers and producers can promote a child's development of mathematical ability by offering more educational materials, environments and mathematical experie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