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인쇄기법을 이용한 후막 캐패시터 제작

        이혜미(Hyemi Lee),신권용(Kwon Yong Shin),강경태(Kyungtae Kang),강희석(Heuiseok Kang),황준영(Jun-young Hwang),박문수(Moonsoo Park),이상호(Sang-Ho Lee) 대한전기학회 2007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7 No.11

        Polymer thick film capacitors were successfully fabricated by using ink-jet printing and screen printing technology. First, a bottom electrode was patterned by ink-jet printing of a nano-sized silver ink. Next, a dielectric layer was formed by the screen printing, then a top electrode was pattern by ink-jet printing of a nano-sized silver ink. The printed area of the dielectric layers were changed into 2×2㎡ and 4×2㎡, and also the area of the electrodes were patterned with 1×3㎟ and 1×3㎟. The thickness of the printed dielectric layer was ranged from 1.1 to 1.4㎛. The analysis of capacitances verified that the capacitances was proportional to the area of the printed electrode. The capacitances of the fabricated capacitors resulted in one third of the calculated capacitances.

      • KCI등재

        정치정보 비판적 관여도가 소비자 불매운동에 미치는 영향: 정치적 신뢰 및 지역사회 참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혜미 ( Lee Hyemi ) 한국소비자학회 2018 소비자학연구 Vol.29 No.6

        소비자 불매운동이 비통상적 시민참여임을 입증하는 연구가 점차 늘어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민참여의 중요한 결정요인 중 하나인 정치정보와의 관계성을 탐구한 연구는 드물다. 본 연구는 소비자 불매운동이 시민참여의 일환이라는 이해를 바탕으로, 개인의 정치정보 비판적 관여도가 소비자 불매운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되, 그 과정에서 정치적 신뢰와 지역사회 참여활동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100명의 외국인 표본을 활용하여 포괄적, 다각적 차원에서 소비자 불매운동을 측정할 수 있는 효과적인 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구조방정식 모델을 활용하여 363명의 외국인과 164명의 한국인 대상의 두 가지 연구를 통해 연구가설을 검정하였고 각 표본에 최적화된 모형을 수립하였다. 연구 결과, 두 가지 연구에서 정치정보 비판적 관여도가 소비자 불매운동에 미치는 직접 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정치정보 비판적 관여도가 정치적 신뢰 및 지역사회 참여활동의 선행요인으로 기여하고, 정치적 신뢰 및 지역사회 참여활동이 소비자 불매운동에 매개효과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두 연구에서 정치정보 비판적 관여도는 지역사회 참여활동의 매개효과를 통해서 소비자 불매운동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사회 참여활동이 소비자 불매운동에 대한 중요한 결정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두 표본의 사회문화적 특성 차이로 인한 측정도구의 일정부분 상이함으로 인하여 비교검정은 수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정치정보의 비판적 관여도가 소비자 불매운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정치적 신뢰와 지역사회 참여활동이 매개효과를 갖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소비자 행동을 시장에서만 행해지는 개인 행위자의 지극히 사적 행동으로 간주해왔던 기존의 전통적 담론에서 벗어나 공적, 시민적 차원으로 소비자 행동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키고, 시민 참여로서의 소비자 불매운동 참여 제고를 위한 소비자 교육적 함의를 도출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Based on the perspective of considering consumer boycotts as one type of civic engagement, this study explored the impacts of the critical involvement of political information on consumer boycott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political trust and community participation. For this purpose, two surveys were conducted against 463 foreign participants and 164 Korean participants to test the research hypotheses. For the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mployed.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direct effects of the individuals’ political involvement were not significant, but it is revealed to have indirect effects on consumer boycotts through political trust or community participation. The interesting point is that community participation is revealed to be the key factor of political participation by showing its direct and indirect effects in both samples. These findings not only support the alternative views of boycotts as civic engagement, these also offer a fresh perspective by showing the process and the mechanism of the connection among the critical involvement of political information, political trust, community participation, and consumer boycotts.

      • 자발적 주민주체와 복지기관의 협력관계를 통해 회복되는 마을공동체 경험연구 -주민조직 ‘반월사랑’의 마을공동체 활동 경험을 중심으로-

        이혜미(Lee, Hyemi),문미정(Moon, Mi Jung),안혜성(An, Hea Sung),정필진(Jung, Phil Jin),임병광(Lim, Byung Kwang),이상현(Lee, Sang Hyun),이슬(Lee, Seul),김정현(Kim Jeung-Hyun) 한국사회복지학회 2017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7 No.10

        본 연구는 주민조직 반월사랑에 참여하는 주민들의 마을활동 경험을 중심으로 마을공동체 활동이 주민들에게 어떤 의미이며, 이들의 활동을 유지하게 하는 원동력과 기제가 무엇인지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반월사랑에 참여하고 있는 주민10명을 심층면접 후 일반적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분절된 마을 안에서 더불어 살기를 바라는 평범한 부모들은 자발적으로 모임을 조직하여, 순수하게 아이들과 마을을 위해 필요한 활동들을 전개해 나가며 주체화 되어갔다. 그리고 이 주체성이 가진 힘들은 다시 새로운 활동을 만들어내는 순환 고리가 되어 마을활동의 강력한 원동력으로 작동되었다. 특히 반월복지센터는 주민들이 주체적인 주민조직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관리자가 아닌 주민조직의 일원으로 함께하며 지원하고, 마을 활동의 공간적 구심이 되어주었다. 이러한 주민의 주체적 활동과 반월복지센터의 협력적 연대를 통해 주민조직의 역동성은 강화되었고 마을공동체성이 회복 되어감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마을공동체가 형성되기 위해서는 주민조직의 주체성을 살리는 유연한 중간조직의 설치가 필요하며, 주체적 주민활동이 가능한 커뮤니티 공간 확보되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유연하고 포괄적인 예산지원정책이 마련되어져야 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value the community activities in village, to look into the experience of the residents who participated in "Love of Banwol," a residents" organization. For this purpose, 10 residents participating in Love of Banwol were analyzed using in - depth interviews and gener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ordinary parents voluntarily gathered for their children and villages and began to act. through various activities, they gradually became the subject of organization. And the force of such independence worked as a powerful driving force by becoming a virtuous cycle that creates more new activities. In particular, the Banwol Welfare Center helped residents as part of the residents" organization, not an administrator, and became a spatial center in order for residents to make an independent residents" organization. Through the cooperative solidarity between such independent activities of residents and the Banwol Welfare Center, the dynamics of the residents" organization was enhanced and the community spirit was restored.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a flexible intermediate organization that promotes the independence of the residents" organization and a community space where independent activities of residents can be carried out. Lastly, this study suggests that flexible and comprehensive budget support policies should be prepared.

      • KCI등재

        국내 프랑스인 학습자의 문화적응 전략과 한국어 접촉 양상

        이혜미 ( Hyemi Lee ),김영주 ( Youngjoo Kim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6 한국어 교육 Vol.27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 between acculturation strategies and the language contact profile of French-speaking-Korean learners in Korea. The study collected questionnaires from 140 French learners and also applied semi-structured interviews. Barry(2001)’s EAAM and Freed, Segalowits, & Dewey(2004)’s language contact profile were employed to implement surveys. The study found out that (1) among the 140 learners, 41.4% of them applied integration strategy and 29.2% for separation strategy, 15.7% for assimilation strategy and 13.5% for marginalization strategy. (2) The higher the learners’ proficiency was, the more they used Korean language daily and weekly; (3) learners who used more Korean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assimilation strategy; (4) writing in Korean influenced positively on using integration strategy that was known as the most successful strategy to acculturate in L2 environment. (Kyung Hee University)

      • KCI등재

        윤리적 소비 실천은 시민참여의 확장을 의미하는가? 한국 소비자들의 윤리적 소비와 시민참여 경험 간의 관계성과개인의 선택적 지향성 조절효과

        이혜미 ( Hyemi Lee ) 한국소비자학회 2016 소비자학연구 Vol.27 No.1

        윤리적 소비는 생태학적 지속가능성 및 사회 정의 관점에서 사회 전반에 바람직한 방향으로 소비하는 대안적 소비양식으로서, 전 지구적인 위기를 개인적 차원에서부터 해결할 수 있다는 신념에 기초한다. 윤리적 소비의 사회 참여적 가치에 주목하는 연구들은 윤리적 소비를 일상적인 라이프스타일에 기반하는 비제도적 시민참여방식이라 주장한다. 이러한 특성을 바탕으로, 윤리적 소비의 사회 참여적 가치에 주목하는 다양한 연구들이 행해지고 있는데, 대안적 시민참여방식으로서의 윤리적 소비와 전통적 방식의 시민참여행동 간의 관계성에 대한 연구는 그 중 하나다. 그러나 윤리적 소비와 시민참여 행동 간의 관계성에 대한 선행연구들의 연구결과는 비일관적이다. 또한 기존의 연구들이 주로 서구 사회에서 진행되었고, 그 관계성이 상황적 조건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는 측면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개인의 삶과 선택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사람(person orientation)과 사물(thing orientation)에 대한 선택적 지향성을 중심으로 윤리적 소비와 전통적 시민참여 간의 관계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특히, 윤리적 소비와 시민참여 행동인 공적 시민참여와 사적 시민참여 행동 간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 이러한 관계에 미치는 개인의 선택적 지향성의 조절효과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윤리적 소비와 시민참여 행동은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그 관계의 정도는 사람지향성과 사물지향성의 수준에 따라 유의하게 달라졌다. 윤리적 소비를 많이 할수록 공적 또는 사적 시민참여 경험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사람지향성과 사물지향성은 윤리적 소비와 시민참여 간의 관계를 유의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람지향성이 낮은 경우, 윤리적 소비와 공적 시민참여의 관계성은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시민 참여행동의 동력으로서의 윤리적 소비행동의 가능성을 밝히고, 윤리적 소비 촉진을 위하여 어떻게 개인의 선택적 지향성이 활용될 수 있을지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consumption and conventional civic engagement has been underexamined in terms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factors. In fact, existing work in this area has been conducted in Western societies, even though the use of ethical consumption as a civic practice is not a phenomenon limited to certain areas. To set out to address the gap in literature,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link between ethical consumption and civic engagement in South Korea. In particular, it focused Person and Thing Orientations, which have been known to stimulate individual differences. For this goal, an extensive online survey (n = 500) was conducted. The findings showed that ethical consumption correlated positively with public and private civic engagement, which echoed the results of several previous studies. Moreover, the relationships between ethical consumption and public and private civic engagement were moderated by Person and Thing Orientations, such that ethical consumers higher in Person and Thing Orientations were likely to be more engaged in public and private civic engagement. However, a simple slope analysis revealed that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consumption and public engagemen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consumers lower in Person Orientations.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중학생의 학교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다층분석

        이혜미(Hyemi Lee),황예린(Yerin Hwang),김미리(Miree Kim)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1 교육과학연구 Vol.5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학교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학생 수준(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주도 학습능력, 자아존중감, 정신건강, 시험스트레스)과 학교 수준(학생자치활동 반영 정도, 학교소속감, 학교풍토, 교사 소진, 수업개선 활동)으로 나누어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층모형을 활용하여 부산교육종단연구(Bus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 수준 변인 중에서 자기주도 학습능력, 자아존중감, 정신건강이 학교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 수준 변인 중에서 학생이 지각한 학교소속감과 교사의 수업개선활동이 학교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학생의 학교만족도 향상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variables that affect school satisfa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at the student-level (academic self-efficac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elf-esteem, mental health, test stress) and the school-level (reflection level of student"s autonomous activities, sense of belonging to school, school climate, teacher burnout, and activities of teachers to improve classes). To this end, data from the Bus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were analyzed using a multilevel model.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mong student-level variable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elf-esteem, and mental health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chool satisfaction. Second, among school-level variables, sense of belonging to school as perceived by the students and activities of teachers to improve classe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chool satisfaction.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school satisfaction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we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