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약초 근권토양 내 다당 생성세균 분리 및 계통학적 특성

        이혜란,김기광,황경숙,Lee, Hae-Ran,Kim, Ki-Kwhang,Whang, Kyung-Sook 한국미생물학회 2010 미생물학회지 Vol.46 No.3

        국내에 자생하는 당귀, 삽주, 쇠무릎, 지모, 황기의 근권토양내 EPS 생성균주의 분포율을 조사한 결과 당귀로부터 분리된 균주의 56%가 EPS 생성 균주로 가장 높은 분포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당귀 근계 (근권, 근면, 근 내부) 내 EPS 생성 세균의 밀도를 측정한 결과, 근권 토양 내에는 $9.0{\times}10^6$ CFU/$g{\cdot}soil$, 근면에는 $7.0{\times}10^6$ CFU/$g{\cdot}soil$, 그리고, 근 내부에는 $1.4{\times}10^3$ CFU/$g{\cdot}soil$로 확인되어, 다수의 EPS 생성 세균이 분포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당귀 근권으로부터 분리된 EPS 생성세균은 Alphaproteobacteria (4 strains), Betaproteobacteria (6 strains), Firmicutes (2 strains), Actinobacteria (3 strains), 그리고 Bacteroidetes (1 strain) 계통군에 속하는 균주였다. 근면으로 부터 분리된 EPS 생성세균은 Alphaproteobacteria (7 strains), Betaproteobacteria (3 strains), Actinobacteria (2 strains), Bacteroidetes (3 strains), 그리고 Acidobacteria (1 strain) 계통군으로 나타났으며, 근 내부에서 분리된 EPS 생성세균은 모두 Bacteroidetes 계통군 Chitinophaga에 속하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약초 근권토양으로부터 분리된 EPS 생성세균 112균주중에서 Burkholderia caribiensis DR14 (1,547 mpa.s), Terriglobus sp. DRP35균주(2,136 mpa.s), Rhizobium hainanense SAP110균주(1,680 mpa.s)를 최우수 EPS 생성 균주로 선발하였다. 분리 정제된 EPS를 Bio-LC로 분석한 결과 glucose, galactose, mannose의 중성당과, galactosamine, glucosamine의 아미노당이 나타났다. 특히 Rhizobium hainanense SAP110 균주는 주요 중성당으로 glucose (60-89%)를 그리고 주요 아미노당으로 glucosamine (8.5%)을 생성하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We examined the distribution of exopolysaccharide (EPS) producing bacteria population in rhizosphere soils of domestic medicinal herbs; Angelica sinensis, Atractytodes japonica, Achyranthes japonica, Anemarrhena asphodeloides, and Astragalus membranaceus. Fifty-six percent of the total isolates from rhizosphere soil of Angelica sinensis were EPS producing bacteria, suggesting the dominance of EPS producing bacteria in rhizosphere soil of Angelica sinensis. EPS producing bacteria were enumerated in root system (rhizosphere soil, rhizoplane, inside of root) of Angelica sinensis. Bacterial density of rhizosphere soil, rhizoplane, and inside of root were distributed $9.0{\times}10^6CFU/g{\cdot}soil$, $7.0{\times}10^6CFU/g{\cdot}soil$, and $1.4{\times}10^3CFU/g{\cdot}soil$, respectively. EPS producing bacteria from rhizosphere soil were categorized into five major phylogenetic groups: Alphaproteobacteria (4 strains), Betaproteobacteria (6 strains), Firmicutes (2 strains), Actinobacteria (3 strains), and Bacteroidetes (1 strain) subdivisions. Also, the EPS producing isolates from rhizoplane were distributed as 7 strains in Alphaproteobacteria, 3 strains in Betaproteobacteria, 2 strains in Actinobacteria, 3 strains in Bacteroidetes, and 1 strain in Acidobacteria subdivisions. All of the EPS producing bacteria inside of root belong to genus Chitinophaga. Burkholderia caribiensis DR14, Terriglobus sp. DRP35, and Rhizobium hainanense SAP110 were selected in 112 EPS producing bacteria. These appeared to have produced high levels of exopolysaccharide 6,555 mpa.s, 3,275 mpa.s, and 1,873 mpa.s, respectively. The purified EPS was analyzed Bio-LC. As neutral sugars, glucose, galactose, mannose were detected and as amino sugars, galactosamine and glucosamine were detected. Especilally, analysis of Bio-LC showed that Rhizobium hainanense SAP110 produced glucose (60~89%) and glucosamine (8.5%) as major neutral sugar and amino sugar, respectively.

      • KCI등재

        식물병원성 해충과 선충 방제의 새지평 I: 미생물

        이혜란,정지혜,류명주,류충민,Lee, Hae-Ran,Jung, Jihye,Riu, Myoungjoo,Ryu, Choong-Min 한국식물병리학회 2017 식물병연구 Vol.23 No.2

        전 세계적으로 주요 작물에서 식물 병원성 해충 및 선충으로 인한 작물 생산량 감소 등의 경제적 손실이 심각하다. 우리나라의 경우 시설 재배지의 연작으로 인해 해충과 선충의 발생이 증가하여 작물의 피해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식물병원성 해충 및 선충의 방제법은 사용이 편리하고 비용이 저렴한 화학적 방제법을 이용하고 있지만 화학 농약의 남용으로 인한 약제 저항성이 발생하고, 화학 약품으로 인한 인체 유해성 및 환경오염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로 인해 최근 친환경적인 방제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와 관심이 높아지면서 식물병원성 해충과 선충에 대하여 살충/살선충 활성을 나타내는 미생물을 생물학적 방제법으로 이용하기 위한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본 리뷰에서는 식물병원성 해충과 선충에 대한 살충/살선충 활성을 나타내는 세균, 진균, 바이러스에 의한 살충 및 살선충 사례와 기전들을 소개하였다. 이러한 미생물의 활성은 외피 분해효소와 독소물질생산을 통한 직접적인 작용기전과 기주 식물의 저항성 유도를 통한 간접적인 작용기전에 의해서 일어난다. 본 리뷰를 통하여 선충과 해충에 대한 생물학적 방제법과 그 분자 작용기전에 대한 이해를 돕고, 최신 살충 및 살선충 연구들을 소개함으로써 국내의 농민들과 연구자들의 미생물을 기반으로 한 친환경적 해충 및 선충의 방제법에 대한 저변확대를 기대한다. World-wide crop loss caused by insect pest and nematode reaches critical level. In Korea, similar crop loss has been gradually augmented in the field and greenhouse due to continuous crop rotation. The current methods on controlling herbivorous insects and plant parasitic nematodes are mostly depended on agro-chemicals that have resulted additional side-effect including occurrence of resistant insects and nematodes,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nd accumulation in human body. To overcome the pitfalls, microbe-based control method have been introduced and applied for several decades. Here, we revised biological control using by the bacteria, fungi, and virus in order to kill insect and nematode and to attenuate its virulence mechanism. The introduced microbes mainly secreted out the hydrolysing enzymes and toxic compounds to target host membrane or cell wall directly. Indirectly, the microbe-triggered plant innate immunity against insects and nematodes was also reported. In conclusion, we provide a new frontier of microbe-based environmentally friendly procedure and effective methods to manage insects and nematod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Substance P 자극에 의한 대식세포의 TNF 분비

        이혜란(Hae Ran lee),(Wen Zhe Ho),(Steven D . Douglas)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1993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3 No.2

        N/A Substance P (SP) is an undecapeptide of aminoacid sequence (Arg-Pro-Lys-Pro-Gln-Gln-Phe-Gly-Leu-Met-NH2) that belongs to a family of structurally related peptides known as tachykinins and is widely distributed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SP is involved in biological activities of cells in the immune system including induction of cytokines in immune cells. We hav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P on constitutive and/or lipopolysaccharides (LPS)-induced expression of tumor necrosis factor (TNF) in cultured blood nonocyte-derived macrophages (MDM). Cells cultured in vitro for 14 days were treated with SP or SP fragments (SP1-4 and SP5-11) at various concentrations (10-10 to 10-6M)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LPS before harvesting culture supernatants. TNF bioactivity in culture supernatants were measured with the L929 cell line. The MDM from ten of twelve donors showed significant production of TNF by the treatment of SP alone. SP and LPS also interact in a synergistic fashion in upregulating TNF production in MDM from responders. The stimulatory effect of SP was inhibited by two SP antagonists, spantide [D-Arg1,D-Trp7,9,Leu11]-SP and CP-96,345 (a non-peptide antagonist of the SP receptor). In addition, an anti-SP polyclonal antibody blocked the SP effect on the TNF production in the cultured MDM, further indicating the specificity of these effect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SP is an important regulator of monokine production in human monocytes/macrophages.

      • 소아 기관지천식에서 집먼지진드기 항원을 이용한 특이적 면역요법의 임상효과

        이혜란(Hae Ran Lee)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1997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7 No.1

        목 적 : 소아 기관지천식의 치료에서 특이적 항원을 사용한 면역요법의 사용에 관해서는 아직도 논란이 있고, 그 기전도 명확하지 않다. 저자는 소아에서 가장 흔한 천식의 원인 항원인 집먼지진드기를 사용한 면역요법의 효과 및 부작용에 대해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0년 1월부터 1995년 8월까지 본원 소아과 알레르기 크리닉에서 집먼지진드기 항원에 양성을 보이고, theophylline이나 항알레르기약제로 증상의 조절이 어려웠던 중등증 및 중증 천식 환아 45명에서 면역요법을 시행하여, 임상적 효과 및 검사상의 변화에 대해 관찰하였다. 임상효과는 면역치료 전후로 천식점수(증상점수+투약점수)를 계산하였고, 혈청내 총호산구, 총혈청 IgE, 특이 IgE, 피부반웅검사 반응도, 최대호기속도를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결 과: 1) 대상 환자는 남아가 35명 여아가 10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10.3±2.9세이고, 면역 요법을 처음 시행한 연령은 7.8±3.0세 였다. 면역치료 시작 당시 천식에 이환된 기간은 3.7±2.3년(6개월-11년 6개월)이었고, 평균 면역치료 기간은 은 30.2±16.8개월이었다. 2) 천식점수는 면역치료전 천식점수는 11.1±2.3, 치료 1년 후의 천식점수가 5.0±3.6, 치료가 끝난 시점의 점수가 2.8±3.2로서 특히 면역치료 1년이 지나고나서 상당한 임상적 효과를 보였다. 3) % PEFR치는 면역치료 전에 66.8±15,8%에서 치료 후 83.4±10.5%로 호전되었다. 4) 혈청 총호산구수(geopmetric mean), 혈청 총 IgE, 특이 IgE(MAST)는 면역치료 전후에 별 차이가 없었다. 피부반웅검사 반응도는 치료 전(100%)보다 치료 후(88.9±19.4%)에 감소하였다. 5) 부작용은 총 2012 피하주사 중 90례(4.5%)에서 나타났고, 이중 2.5㎝ 이상의 경결을 보인 국소 반응이 57례(2.8%), 천명, 빈맥, 호횹곤란 둥의 즉시 전신반응을 보인 경우가 15례(0.8%), 귀가 후 기침, 코막힘 등 지발성 전신증상을 보인 경우가 18례(0.9%) 있었고, 사망례는 없었다. 결 론 : 소아 기관지천식에서 집먼지진드기(D,f, D.p)항원을 사용한 면역요법은 약물치료가 어려운 중둥증 및 중증 소아천식 치료에 효과적이며, 그 효과 판정시 총호산구수나 혈청 특이 IgE치 변화보다는 임상적 천식점수와 최대호기속도의 면화를 측정하는 것이 더 효용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부작용은 약 4.5%이며 이중 즉시형 전신반응은 0.8% 정도였고 대개는 기관지확장제 흡입치료 및 대증요법으로 호전이 되었으나, 면역주사시 이들 부작용에 대한 세심한 주의, 관찰이 요구된다. 아울러 향후 소아의 면역치료법에 관하여 표준화된 면역요법제제의 개발과 그 사용 및 효과 판정에 있어서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지침의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는 바이다. Immunotherapy is the only specific therapy for allergic diseases, although its use is still debate. The effect of immunotherapy(IT) was evaluated in 45 moderate to severe asthmatic children. At the beginning of IT, the mean duration of the disease was 3.7±2.3 years and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7.8±3.0 years old. The mean duration of IT was 30.2±16.8 months. The efficacy of IT was evaluated by comparing symptom score, peak expiratory flow rate and laboratory tests such as total IgE, specific IgE, total eosinophil, and skin test reactivity before and after IT. Symptom score and peak expiratory flow rate were improved and skin test reactivity was reduced with IT. However, total IgE, specific IgE, total blood eosinophil count did not show any remarkable changes. Ninety episodes of adverse reactions over 2012 injections(4.5%) were noticed. Among them, 57(2.8%) episodes were local reactions (induration>2.5㎝) and 33(1.7%) episodes were systemic reactions including acute reactions(0.8%) such as wheezing, fainting, dyspnea or delayed reactions(0.9%) such as aggrevation of asthma or rhinoconjuctival symptoms at night. In conclusion, immunotherapy with house dust mite allergen is effective in moderate to severe asthmatic children, however, careful monitoring of adverse reactions is mandatory.

      • 관상동맥질환자의 스트레스에 대한 고찰

        이혜란(Lee Hae Ran),박정숙(Park Jeong Sook),박명화(Park Myung Hwa) 계명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01 계명간호과학 Vol.5 No.1

        The purpose of this literature review is to provide a basis to develop an effective stress management program by describing the stressors, mediating factors and stress responses of patients with coronary heart disease (CHD). The psychosocial stressors of CHD are showed that the onset factors of stress were important changes of life events, type A behavior pattern, itself of CHD. The mediating factors to decrease stress are the personality such as hardiness and locus of control, social support and coping. The person who received social support and increased hardiness can do easily compliance and adaptation, and were reduced mortality and morbidity due to a little stress symptom. A CHD patients have internal locus of control cope with stress well. After heart attack, patients with CHD was difficult to adapt because they used more common affective coping methods than problem solving coping methods. Physiological stress responses of CHD patients to the damaged heart result in increased blood pressure, heart rate, cortisol, and demand for myocardial oxygen because of increasing stimuli of sympathetic nerve system. Psychological stress responses were a anxiety and depression, which can result in negative effect on disease process and recovery.

      • KCI등재
      • 늑막 삼출액을 동반한 결핵성 폐렴 및 Mycoplasma 폐렴 1 례

        이혜란(Hae Ran Lee),양인석(In Seok Yang),이은숙(Eun Sook Lee),박종영(Chong Young Park),이일성(Eil Seong Lee)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 1994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4 No.1

        Community acquired pneumonia is one of the major respiratory disease causing hospital admission in children and prompt and apporpriate antibiotics selection is essential for recovery. Streptococcus, Mycoplasma pneumoniae, Hemophilus influenzae and Mycobacterium tuberculosis are common causes. Chest CT and percutaneous needle aspiration biopsy(PCNA) for pathology and PCR are very useful methods to confirm the etiology. We report a case of tuberculous pneumonia with effusion coinfected with Mycoplasma pneumoniae which confirmed by PCN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