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황종희의 유덕자 -함께 만드는 사회 안에서 성장해가는 사람-

        이혜경 ( Hye Gyung Yi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3 人文論叢 Vol.69 No.-

        This paper considers the thought of Huang Zongxi - which is based upon the intellectual tradition of the Yangming School and also adheres to the idea that li (理) never existed on its own but was always a part of existing qi (氣) - by focusing on the notion of ‘virtue’ and examining how it is regarded within his writings. As the material existence of human beings comes from qi, and as the world is comprised of the movement of qi, the two are interlinked and move together. The mind that is able to sense what is good is also qi, and it constantly moves within a state of excess and deficiency. As such, individuals, as imperfect beings, must come together within society to keep in check, and compensate for, their shortcomings and to develop their virtues. Therefore, the formation of a society and the establishment of institutions that can provide a positive environment in which virtue can develop becomes an important moral and political task. The way in which Huang Zongxi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virtue and how he combined this development of virtue with politics provides new insights for the field of modern virtue ethics, as well as demonstrating a way forward for Confucianism in the modern period.

      • KCI등재
      • KCI등재

        청인(淸人)이 만난 두 ‘보편’ 문명

        이혜경(Yi, Hye-Gyung)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09 철학사상 Vol.32 No.-

        본고는 중화의 주변이었으며 시빌라이제이션의 주변인 중국의 청조(淸朝)가 보편을 자처하는 두 문명을 만나 어떻게 그들과 대결했는가를 고찰함으로써, 청인(淸人)이라는 주체와 각 문명론이 어떤 변용을 겪는지 살펴보았다. 중화주의와 시빌라이제이션은 각각 다른 역사를 통해 형성된 보편문명론으로서, 본고는 그 보편문명론이 배타적 자기정체성의 원리와 팽창의 원리를 공유한다고 파악하고, 그 배타성과 팽창성이 시대에 따라 어떻게 전변하면서 작용하는지 추적하였다. 만주인으로서 우월한 군사력을 가지고 중원을 차지한 청조는 한족의 배타적인 종족적 중화주의를 문화주의로 변경하며 적극적으로 중화의 주체가 되었으며, 나아가 그 중화주의의 이론적 허용 하에 중국역사상 최대판도를 개척하는 팽창의 주체가 되었다. 그들은 만주족으로서 자신들의 정체성을 잃지 않으면서 한족의 중화주의가 꿈꿨던 천하일가의 대제국을 실현하였다. 19세기 그들은 자신들보다 더 강한 군사력을 갖춘 시빌라이제이션을 만났다. 그들에게 시빌라이이션의 강렬함은 인종대결 혹은 우승열패로 받아들여졌다. 그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청인은 시빌라이제이션을 어떤 식으로든 받아들이지 않을 수 없었지만, 시빌라이제이션으로의 완전한 투신은 없었다. 그들의 중화는 ‘중체(中體)’로 혹은 ‘대동(大同)’으로 혹은 민족으로 수축되어 명맥을 유지했다. 수세에 종족적 혹은 민족적 배타성을 갖는 이론으로 수축되는 것은 보편문명론의 일반적 특징이다. 상황에 따라 배타성과 팽창성을 왕래하는 보편문명론의 특성상, 우리는 중화가 시빌라이제이션으로 대체되었다고 단정할 수 없다. 타인의 보편문명에 완전히 투신하는 것은 추락을 의미하며 나아가 인간성의 상실을 의미한다. 기존의 문명은 역사의 누적에 의해 형성된 자기정체성이며 자기존엄의 근거이므로 쉽게 포기될 수 없다. 청인의 경험은 중화의 주변이며 시빌라이제이션의 주변인 우리에게 시사하는 점이 많다. 최소한 중화이든 시빌라이제이션이든 그 보편문명에의 완전한 투신을 가치판단의 척도로 삼는 일은 하지 않아야 할 것이며, ‘보수’ 혹은 ‘수구’를 쉽게 반가치로 단정하는 일도 피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황종희(黃宗羲)의 ‘분량(分量)’의 성선설과 권력견제의 필요성

        이혜경(Yi, Hye-Gyung)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09 철학사상 Vol.34 No.-

        본 논문은 황종희(黃宗羲, 1610∼1695) 성선설의 구체적 내용과 그 의의에 대해 탐구했다. 황종희는 인간의 도덕적 허약함과 사악함을 직시했다. 그리하여 그는 위정자들의 도덕적 허약함 때문에 비극적인 역사가 되풀이 되지 않도록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하는데 힘을 기울였다. 그런데 그는 법과 제도의 중요함을 강조하면서도 여전히 인간의 선한 본성을 믿었다. 그러나 그 선한 본성은 정주성리학에서 주장하듯 본래 완전한 것이 아니었다. 천지 사이의 모든 것을 기의 운행으로 설명하는 황종희는 마음 역시 기의 운행이라고 설명한다. 인간은 선한 마음을 그 종적 특성으로 갖는데, 타고난 것은 작은 양에 불과하다. 그래서 인간은 후천적인 노력에 의해 그 양을 늘림으로써 도덕적으로 성장해야 한다. 늘 불완전하고 과불급의 운동을 벗어날 수 없는 인간은 항상 실수에 노출되어 있다. 그래서 개인은 끊임없이 성장하면서 서로의 부족함을 보완해주어야 한다. 황종희가 구상하는 제도적 장치는 권력의 남용을 막기 위한 성장과 견제를 핵심으로 한다. 인간의 성장과 상호보완은 동시대인의 협업, 그리고 시대를 넘어서는 협업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그것이 가능한 것은 한 점 선한 마음이 있기 때문이다. 선한 본성은 허약하지만 그것이 있기 때문에 인간은 어려움 속에서도 선배들의 유산을 이어받고 좋은 세상을 희구할 수 있다. 선한 행위의 근거는 인간 안에 있지만 개개의 인간은 자신의 허약함을 인정하고 협업을 통해 성장해나가야 그 선함의 근거가 비로소 현실적인 힘을 얻게 되는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Huang Zongxi’s doctrine of innate goodness in detail and considers its meaning. Huang Zongxi recognized the moral weakness and wickedness of humanity. He therefore focused on establishing institutionalized mechanisms which would ensure that the moral weakness of a ruler would not lead to a tragic history. Huang Zongxi stressed the importance of laws and systems, but also continued to have faith in the innate goodness of humanity. This goodness, however, was not regarded as complete a priori, as argued by the Neo-Confuciansm of Cheng-Zhu(程朱性理學). Huang Zongxi, for whom all things existing between the heavens and earth resulted from the movement of chi(氣), also regarded the human mind as a product of chi. Goodness is regarded as a characteristic of the human species, but the amount of that goodness we are born with is small indeed. Moral development therefore involves the process whereby this amount of goodness is increased through a posteriori effort. Humans, who are incomplete and never free from lack or excess, are always prone to make mistakes. This is why individuals must continue to better themselves and supplement each other’s shortcomings. The focus of Huang Zongxi’s institutionalized mechanisms is to maintain a system of checks and balances which restrain the abuse of power. Humanity’s moral development and the supplementation of weaknesses takes place through cooperation, both synchronic and diachronic, and this is possible because individuals have goodness within them. This innate goodness may be weak, but its existence allows people to continue with the legacy of their forbearers amidst hardship, and to aspire to a better world.

      • KCI등재

        천하에서 국가로 -량치차오와 박은식의 보편원리의 행방-

        이혜경(YI Hye Gyung)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9 泰東古典硏究 Vol.43 No.-

        Charles Taylor argues that individuals consider themselves as moral beings, and that they require a highest good or universal principle in order to act upon that morality. Building on this thesis, this paper examines Pak Ǔnsik’s loss of ethical direction and the implications of its consequence. Pak Ǔnsik was a marginal figure in the worldview of Sinocentrism(中華主義), and in order to highlight the significance of his loss of Sinocentrism as the universal principle, this paper compares him to Liang Qichao, a figure at the center of Sinocentrism. The first half of the paper discusses what it means for Pak and Liang to lose Sinocentrism as a universalism and the source of highest good. In the latter half, the paper argues that while Liang Qichao oscillated between nationalism and culturalism to maintain Sinocentrism even when it was not a universalism, Pak Ǔnsik was forced to search for a new universal principle due to his position as an outsider who could only join the order of Sinocentrism when it operated as a universalism.

      • KCI등재

        박은식의 사상전변

        이혜경(YI, Hye-Gyung)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5 철학사상 Vol.58 No.-

        본고는 근대한국의 지식인들이 한반도의 생존을 넘어 자존(自尊)의 문제를 어떻게 풀어나갔는가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구체적으로 박은식(朴殷植, 1859∼1925)이 한국의 생존과 자존을 위한 돌파구를 찾기 위해 어떠한 사상전변을 겪었는가를 추적했다. 계몽운동 초기의 유럽근대문명 수입, 양명학에 의지한 근대문명 비판, 유학과 중화주의 비판, 민족주의의 고취, 보편정신의 탐색 등이 본고가 따라간 박은식 사상의 궤적이다. 중화주의와 근대유럽 문명이라는 거대문명이 충돌한 한반도에서 박은식은 문명에도 유학에도 나아가 민족주의에도 그대로 머물 수 없었다. 생존경쟁과 동행한 문명의 비도덕성을 비판하고, 유학의 중국중심주의와 비실용성을 비판하면서 박은식은 민족주의를 고취하지만, 민족주의를 유일한 이념으로 삼을 수도 없었다. 중화주의와 문명을 비판하지 않고서는 민족의 밝은 미래를 전망할 수 없었지만, 민족주의의 입장에서는 문명도 중화주의도 비판할 수 없었다. 문명에도 유학에도 거리를 둔 박은식은 민족주의를 이야기함과 동시에 민족을 넘어선 보편의 가치를 찾고, 생존을 위해서가 아니라 인류의 자격을 갖추기 위해 민족이 나아갈 길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study begins from a consideration of how modern Korean thinkers dealt with issues regarding not only the survival but also the self-dignity of the Korean peninsula. Specifically, it closely follows the courses of change in the philosophy of Park Eun-sik (朴殷植, 1859-1925) in his search for breakthroughs toward the survival and selfdignity of Korea. Park’s trajectory as laid out in this study includes the importation of modern European ‘Civilization’ in the early Enlightenment movement, his critique of Civilization based on Yangmingism, his critique of Confucianism and Sinocentrism, his advocacy of nationalism, and his search for a universal spirit. On the Korean peninsula, a land on which the two huge civilizations of Sinocentrism and modern European Civilization clashed, Park Eun-sik could settle for neither Confucianism nor nationalism. Critical of the immorality of Civilization accompanied by competitive survival, and also of the impracticalities and Sinocentric views of Confucianism, Park advocates nationalism. However, it cannot serve as his sole ideology. A brighter future for his people cannot be envisioned without a thorough critique of Sinocentrism and Civilization, but that critique is not possible from the position of nationalism. Park Eun-sik, keeping his distance from both Civilization and Confucianism, speaks not only of nationalism but also of universal values which extend beyond one’s own nation. He suggests to his people a future course not solely for survival but for human dignity.

      • KCI등재

        유길준의 ‘국민개사’의 ‘사’는 어떤 자질을 지닌 인물인가?: ‘도덕’을 중심으로

        이혜경(Yi, Hye-gyung)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0 동방학지 Vol.190 No.-

        이 논문은, 스스로를 도덕적인 존재로 이해하는 인간의 특성상 각 사회의 도덕질서는 그 사회의 특징을 보여준다는 찰스 테일러의 주장을 받아들이고, 그 전제 위에서 유길준의 도덕질서를 검토했다. ‘국민개사’의 주장이 상징하듯이, 유길준은 서구근대문명을 긍정적으로 소개했으며, 국민국가를 지향하며 국민창출을 위해 노력했다. 근대의 각 나라는 서로 모방하면서 국민국가 형성을 지향했지만, 세계 어떤 나라도 같은 성격의 국민국가를 만들어내지 않았다. 이 논문은 유길준의 도덕관에 주목함으로써 유길준의 근대지향이 갖는 특성을 파악하고자 했다. 구체적으로 국민의 대표명사로 언급된 ‘선비’가 어떤 도덕관을 갖고 있는지 검토했다. 결론적으로 유길준은 도덕질서가 사회에 따라 다를 수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했으며 기존의 성리학적 도덕을 세상에서 유일한 가치체계라고 생각했음을 확인했다. 그는 당시 급무였던 조선의 독립과 부강을 위해 봉사하는 것을 인간성을 실현하는 일로, 즉 유학적 도덕주의로 정당화하였다. 그는 사회경제적 영역에서 변화한 행동을 정당화하는 작업을 성리학의 틀에서 시도했을 뿐 아니라, 난국을 타개하는 데 도덕의 역할을 과도하게 강조하였다. 도덕질서의 변화 가능성에 대해 열려있지 않으며 도덕의 역할을 과대평가하는 경향은 유길준뿐 아니라 당시 드물지 않은 시대의 특징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경향이 현대 우리의 도덕의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주목을 요한다. This paper accepted Charles Taylor s (1931~) argument that, in the nature of man who understands himself as a moral being, the moral order of each society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at society, and reviewed Yu Gil-jun s (1856~1914) moral order according to that premise. Yu Gil-jun introduced western modern civilization positively, as indicated in “All the People are Seon-bi”, and sought to create a nation state and nation. Modern countries have sought to create a nation state by imitating other nation states, but no two countries in the world have created a nation state of the same nature. By paying attention to Yu Gil-jun s moral view, this paper tried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Yu s modern orientation. Specifically, it examined what morality the sunbi, which is used as a representative name for the people, carries. This paper concludes that Yu did not realize that the moral order could vary from society to society, and assumed that the existing morality of Neo-Confucianism was the only value system in the world. He justified serving the independence and wealth of Joseon, which was then an urgent task, as a realization of human nature. Not only did he attempt to justify behavioral changes in the socioeconomic sphere in the framework of Neo-Confucianism, but he also overemphasized the role of morality in coming out of the impasse. The tendency to leave no room for the possibility of a change in moral order and to overestimate the role of morality is a phenomenon that was not uncommon at the time. This calls for an investigation of how this trend is affecting our moral order today.

      • KCI등재

        박은식의 양명학 해석

        이혜경(Yi, Hye-Gyung)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5 철학사상 Vol.55 No.-

        본고는 박은식(朴殷植)의 『왕양명선생실기』(王陽明先生實記)를 통해 박은식이 근대에 소환한 양명학의 성격에 대해 구명하였다. 특히 박은식이 참고했다고 밝힌 다카세 다케지로(高瀨武次郎)의 『왕양명상전』(王陽明詳傳)과의 차이를 밝혔다. 두 사람은 모두 유럽근대문명과 구별되는 동양 도덕교육의 원천으로서 양명학을 평가했다. 다카세는 천황에게 충성하는 신민을 양성하는 역할을 양명학에 기대하고, 양명학의 지행합일설로부터 깊이 생각하지 않는 단순한 실천력을 끌어냈다. 그리하여 그는 애국심, 문무겸비, 사공(事功) 등을 양명학의 장점으로 평가하였다. 박은식은 다카세와 달리 근대문명과 생존경쟁에 대해 비판적 거리를 유지하고 있었다. 그가 조명한 양명학의 장점은, 변화를 받아들이고 거기에 유연하게 대처하는 중심성과 자신감, 세상을 향해 펼쳐지는 인의의 마음, 온 마음으로 안 것을 온 몸으로 실천하겠다는 신실함 등 이다. 박은식의 양명학이 주권상실의 난국에서 기대되는 역할을 하기 어려웠을지라도, 그가 평가한 양명학의 가능성은 오늘날 우리에게 새로운 주목을 요청한다. This article explores Park Eun-sik (朴殷植)’s interpretation of the Doctrines of Wang Yang-ming by investigating his Wang Yang-ming Silgi (王陽明先生實記). This paper also compares Park’s Wang Yang-ming Silgi with Takase Takejiro (高瀨武次?)’s Ou-yo-mei Sho-den (王陽明詳傳), which Park referred to. Both of them evaluated the Doctrines of Wang Yang-ming as a source of moral education of the East, distinct from European modern civilization. Especially Takase expected the doctrines to play a positive role in fostering the subjects’ loyalty to the emperor. Thus he considered patriotism, literary and martial arts, and achievements as the Doctrines of Wang Yang-ming. But Park maintained a critical distance from modern civilization and the struggle for survival unlike Takase. The strengths of the Doctrines of Wang Yang-ming that Park highlighted are self-confidence to accept and cope with changes, morality to accept the whole world as it is, and sincerity to practice what is believed to be good. Even though it was difficult for Park’s interpretation to play the role in the crisis of sovereignty loss at that time, the possibility of Yang-ming’s doctrines he evaluate requires us to re-evaluate it today.

      • KCI등재

        향원을 향한 유가윤리의 비판은 정당한가?

        이혜경(Yi, Hye-Gyung)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1 철학사상 Vol.39 No.-

        본고는 유학 전통이 위선자라고 비난했던 향원(鄕原)에 대한 변론을 시도했다. 유학이 비판하는 향원은 선한 행위와는 달리 선하지 않은 ‘딴 마음’이 있는 사람들이다. 본고는 마음과 행위를 윤리평가의 대상으로 삼는 윤리체계를 각각 ‘마음의 윤리’와 ‘행위의 윤리’로 분류하고, 그 두 입장에서 향원에 대한 변론을 시도했다. 먼저 행위의 윤리 관점에서 보면, 향원은 비난받을 사람이 아니라 지극히 윤리적인 사람임을 논했다. 이어서 마음의 윤리의 입장에서 향원에 대한 비난을 관철시킬 수 있는 것인지 검토하고, 성장을 강조하고 교육을 중시하면서 윤리적 미숙상태를 부정적으로 취급하는 것은 옳지 않음을 논했다. 결론적으로 갈라진 마음속에서 선행 행위를 실천하는 향원은 비난받아야 할 사람이 아니라, 갈등 속에서 분투하는 보통사람이며, 그러한 노력은 오히려 격려되어야 하는 것임을 주장했다. This paper argued on behalf of Xiangyuna (鄕原), whom Confucianism has accused of hypocrisy. Confucianism criticizes that Xiangyuan has innermost feelings that are different from his displayed behavior. I categorized the ethics theory into ethics of mind and ethics of behavior, according to the object on which we judge good and evil. First from the ethics of behavior, I insist that Xiangyuan is not the subject of blame, but a very ethical person. Subsequently, I examined that the ethics of mind could accomplish the criticism of Xiangyuna. I insist that it is not right for the ethics of the mind to treat Xiangyuan as negative, because the ethics of mind esteem the role of learning or education. In conclusion, I argued that Xiangyuan is a common man who strives for the ethical behavior in spite of inner conflicts and his exertion should be encouraged.

      • KCI등재

        양계초와 "혁명" 개념의 전변 -『청의보』, 『신민총보』시기를 전후하여

        이혜경 ( Hye Gyung Yi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5 人文論叢 Vol.72 No.2

        본고는 양계초가 계몽사상가로서 주도적인 역할을 한『청의보』(1898-1901).『신민총보』(902-1907) 시기를 전후하여 사용한 ‘혁명’ 개념이 어떻게 함의를 바꿔 가는지 추적했다. ‘입헌파’로서 양계초는 ‘혁명파’와 대립했지만, 근대어로서 번역어 ‘혁명’을 중국에서 가장 먼저사용한 사람이었다. 초기에 그는 ‘혁명’을 ‘진화’와 동류개념으로 받아들였기 때문에 일정한 시기까지는 ‘혁명’을 긍정적으로 사용한다. 그러나 혁명파와의 대립을 통해, 그리고 1905년 러시아혁명이라는 현실의 혁명을 목도하면서, 혁명에 부정적인 자신의 입장을 점차 정리해가면서 부정의 논리를 세운다. 그는 사회진화론을 국가경쟁력을 고양해야 한다는 현실을 인식하는 틀로 받아들임과 동시에, 사심을 제어하고 국가에 기여한다는 도덕적 가치를 제공하는 체계로도 받아들였다. ‘혁명’에 대한 비판 역시 그가 사회진화론을 받아들인 틀에서 이루어진다. ‘혁명’은 국내적으로는 국가에 헌신해야 할 사람들의 사적인 권력야망이며, 국외적으로는 국가경쟁력을 좀먹을 내란이라고 비판된다. 그리고 그것은 국가와 국민에 대한 고려는 전혀 없이 사심에 의해 자행된과거의 역성혁명과 다르지 않은 것이라고 처리된다. 이처럼 진화로서 긍정되었던 ‘혁명’은 진화의 반동인 ‘야만적’ 정권 탈취로 부정되기에 이른다. This paper examines how Liang Qichao, who had a leading role as an enlightenment thinker, changed the implication of the concept of “revolution” around the time of the Russian Revolution of 1905. Though Liang Qichao, as a “Constitionalist”, was in conflict with the “Revolutionaries,” he was the first person in China to adopt “revolution”, a translated term, with its modern meaning. With the understanding of “revolution” as a concept similar to “evolution”, he used the term quite affirmatively up to a certain time. However, through confrontation with the revolutionaries while witnessing the reality of the Russian Revolution, he organized his negative position towards revolution. Social evolution was regarded as a framework to recognize the reality that people had to uplift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as well as an institution to recognize the moral value that they had to control self-indulgence and contribute to the country. Criticism of revolution was also carried out within the framework in which Liang Qichao accepted social evolution. Domestically, “revolution” was regarded as a private ambition towards power by amoral people who needed to devote themselves to the country;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with foreign countries, it was criticized as a riot that eroded national competitiveness. It was considered not different from dynastic revolutions which had been forced by selfishness without any consideration to the nation and its people. “Revolution”, which had been affirmed as evolution, was negated as a “barbaric” takeover against evolu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