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일본의 유학 전유와 중국철학사 서술의 방향 -다카세 다케지로를 중심으로-

        이혜경(Yi, Hyegyung)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9 철학사상 Vol.74 No.-

        이 논문은 동양철학 학제를 세우고 동양철학이라는 이름으로 유학을 일본적으로 전유하는 역할을 했던 이노우에 데츠지로의 구도 하에서, 중국철학 전문가로 활동한 다카세 다케지로의 중국철학 연구를 검토했다. 다카세는 양묵비판의 형식을 빌어 당시 윤리적 적대자인 가토 히로유키와 기독교를 비판할 정도로 유학자로서의 자의식을 가진 사람이었다. 그의 중국철학사는 성선설을 핵심으로 공자에서 왕양명으로 이어지는 유학을 중심으로 서술되었다. 그러나 그 ‘선한 본성’은 ‘충군애국’으로 규정되어, 그의 중국철학사 서술은 기본적으로 이노우에의 국가주의적 지도를 지키는 것이었다. 그러면서도 유학자를 자처했던 다카세는 공자에서부터 이어오는 유학의 도통에 스스로를 앉히고자 했으며, 그 점에서 그에게 중국은 문화의 보고로서 과거의 나라가 아니라, 도를 보존하고 전해준 선배의 나라였다. 유학을 민족적으로 전유하면서 동시에 그 정통의 계승자를 자처했다는 점에서 다카세의 유학이해는 중층의 왜곡을 보여준다. This study reviewed the works of Takase Takejiro. He was a scholar of Chinese philosophy who was active after Inoue Tetsujiro established the discipline of Oriental Philosophy and appropriated Confucianism into Japan’s culture. Takase was a self-conscious Confucianist who denounced his ethical rival Hiroyuki Kato and Christianity by adopting the form of heresy criticism proposed by Mencius. His “History of Chinese Philosophy” surveys the lineage of Confucianism from Confucius to Wang Yangming, while focusing on the theory that human nature is good. Yet, Takase defines “good nature” as “loyalty and patriotism,” and therefore, his narration of the history of Chinese philosophy works within the nationalist framework of Inoue. Nevertheless, as a self-proclaimed Confucianist, Takase aspired to be next in line in the genealogy of orthodox Confucianism and, therefore, considered China not as a cultural treasure trove of ancient knowledge but as a bestower of moral authority. By appropriating Confucianism through a nationalistic framework but still claiming to be heir to orthodoxy, Takase’s interpretation of Confucianism has multiple layers of distortion.

      • KCI등재

        황종희의 유덕자 -함께 만드는 사회 안에서 성장해가는 사람-

        이혜경 ( Hye Gyung Yi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3 人文論叢 Vol.69 No.-

        This paper considers the thought of Huang Zongxi - which is based upon the intellectual tradition of the Yangming School and also adheres to the idea that li (理) never existed on its own but was always a part of existing qi (氣) - by focusing on the notion of ‘virtue’ and examining how it is regarded within his writings. As the material existence of human beings comes from qi, and as the world is comprised of the movement of qi, the two are interlinked and move together. The mind that is able to sense what is good is also qi, and it constantly moves within a state of excess and deficiency. As such, individuals, as imperfect beings, must come together within society to keep in check, and compensate for, their shortcomings and to develop their virtues. Therefore, the formation of a society and the establishment of institutions that can provide a positive environment in which virtue can develop becomes an important moral and political task. The way in which Huang Zongxi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virtue and how he combined this development of virtue with politics provides new insights for the field of modern virtue ethics, as well as demonstrating a way forward for Confucianism in the modern period.

      • KCI등재

        청인(淸人)이 만난 두 ‘보편’ 문명

        이혜경(Yi, Hye-Gyung)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09 철학사상 Vol.32 No.-

        본고는 중화의 주변이었으며 시빌라이제이션의 주변인 중국의 청조(淸朝)가 보편을 자처하는 두 문명을 만나 어떻게 그들과 대결했는가를 고찰함으로써, 청인(淸人)이라는 주체와 각 문명론이 어떤 변용을 겪는지 살펴보았다. 중화주의와 시빌라이제이션은 각각 다른 역사를 통해 형성된 보편문명론으로서, 본고는 그 보편문명론이 배타적 자기정체성의 원리와 팽창의 원리를 공유한다고 파악하고, 그 배타성과 팽창성이 시대에 따라 어떻게 전변하면서 작용하는지 추적하였다. 만주인으로서 우월한 군사력을 가지고 중원을 차지한 청조는 한족의 배타적인 종족적 중화주의를 문화주의로 변경하며 적극적으로 중화의 주체가 되었으며, 나아가 그 중화주의의 이론적 허용 하에 중국역사상 최대판도를 개척하는 팽창의 주체가 되었다. 그들은 만주족으로서 자신들의 정체성을 잃지 않으면서 한족의 중화주의가 꿈꿨던 천하일가의 대제국을 실현하였다. 19세기 그들은 자신들보다 더 강한 군사력을 갖춘 시빌라이제이션을 만났다. 그들에게 시빌라이이션의 강렬함은 인종대결 혹은 우승열패로 받아들여졌다. 그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청인은 시빌라이제이션을 어떤 식으로든 받아들이지 않을 수 없었지만, 시빌라이제이션으로의 완전한 투신은 없었다. 그들의 중화는 ‘중체(中體)’로 혹은 ‘대동(大同)’으로 혹은 민족으로 수축되어 명맥을 유지했다. 수세에 종족적 혹은 민족적 배타성을 갖는 이론으로 수축되는 것은 보편문명론의 일반적 특징이다. 상황에 따라 배타성과 팽창성을 왕래하는 보편문명론의 특성상, 우리는 중화가 시빌라이제이션으로 대체되었다고 단정할 수 없다. 타인의 보편문명에 완전히 투신하는 것은 추락을 의미하며 나아가 인간성의 상실을 의미한다. 기존의 문명은 역사의 누적에 의해 형성된 자기정체성이며 자기존엄의 근거이므로 쉽게 포기될 수 없다. 청인의 경험은 중화의 주변이며 시빌라이제이션의 주변인 우리에게 시사하는 점이 많다. 최소한 중화이든 시빌라이제이션이든 그 보편문명에의 완전한 투신을 가치판단의 척도로 삼는 일은 하지 않아야 할 것이며, ‘보수’ 혹은 ‘수구’를 쉽게 반가치로 단정하는 일도 피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향원을 향한 유가윤리의 비판은 정당한가?

        이혜경(Yi, Hye-Gyung)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1 철학사상 Vol.39 No.-

        본고는 유학 전통이 위선자라고 비난했던 향원(鄕原)에 대한 변론을 시도했다. 유학이 비판하는 향원은 선한 행위와는 달리 선하지 않은 ‘딴 마음’이 있는 사람들이다. 본고는 마음과 행위를 윤리평가의 대상으로 삼는 윤리체계를 각각 ‘마음의 윤리’와 ‘행위의 윤리’로 분류하고, 그 두 입장에서 향원에 대한 변론을 시도했다. 먼저 행위의 윤리 관점에서 보면, 향원은 비난받을 사람이 아니라 지극히 윤리적인 사람임을 논했다. 이어서 마음의 윤리의 입장에서 향원에 대한 비난을 관철시킬 수 있는 것인지 검토하고, 성장을 강조하고 교육을 중시하면서 윤리적 미숙상태를 부정적으로 취급하는 것은 옳지 않음을 논했다. 결론적으로 갈라진 마음속에서 선행 행위를 실천하는 향원은 비난받아야 할 사람이 아니라, 갈등 속에서 분투하는 보통사람이며, 그러한 노력은 오히려 격려되어야 하는 것임을 주장했다. This paper argued on behalf of Xiangyuna (鄕原), whom Confucianism has accused of hypocrisy. Confucianism criticizes that Xiangyuan has innermost feelings that are different from his displayed behavior. I categorized the ethics theory into ethics of mind and ethics of behavior, according to the object on which we judge good and evil. First from the ethics of behavior, I insist that Xiangyuan is not the subject of blame, but a very ethical person. Subsequently, I examined that the ethics of mind could accomplish the criticism of Xiangyuna. I insist that it is not right for the ethics of the mind to treat Xiangyuan as negative, because the ethics of mind esteem the role of learning or education. In conclusion, I argued that Xiangyuan is a common man who strives for the ethical behavior in spite of inner conflicts and his exertion should be encouraged.

      • KCI등재
      • KCI등재

        황종희(黃宗羲)의 ‘분량(分量)’의 성선설과 권력견제의 필요성

        이혜경(Yi, Hye-Gyung)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09 철학사상 Vol.34 No.-

        본 논문은 황종희(黃宗羲, 1610∼1695) 성선설의 구체적 내용과 그 의의에 대해 탐구했다. 황종희는 인간의 도덕적 허약함과 사악함을 직시했다. 그리하여 그는 위정자들의 도덕적 허약함 때문에 비극적인 역사가 되풀이 되지 않도록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하는데 힘을 기울였다. 그런데 그는 법과 제도의 중요함을 강조하면서도 여전히 인간의 선한 본성을 믿었다. 그러나 그 선한 본성은 정주성리학에서 주장하듯 본래 완전한 것이 아니었다. 천지 사이의 모든 것을 기의 운행으로 설명하는 황종희는 마음 역시 기의 운행이라고 설명한다. 인간은 선한 마음을 그 종적 특성으로 갖는데, 타고난 것은 작은 양에 불과하다. 그래서 인간은 후천적인 노력에 의해 그 양을 늘림으로써 도덕적으로 성장해야 한다. 늘 불완전하고 과불급의 운동을 벗어날 수 없는 인간은 항상 실수에 노출되어 있다. 그래서 개인은 끊임없이 성장하면서 서로의 부족함을 보완해주어야 한다. 황종희가 구상하는 제도적 장치는 권력의 남용을 막기 위한 성장과 견제를 핵심으로 한다. 인간의 성장과 상호보완은 동시대인의 협업, 그리고 시대를 넘어서는 협업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그것이 가능한 것은 한 점 선한 마음이 있기 때문이다. 선한 본성은 허약하지만 그것이 있기 때문에 인간은 어려움 속에서도 선배들의 유산을 이어받고 좋은 세상을 희구할 수 있다. 선한 행위의 근거는 인간 안에 있지만 개개의 인간은 자신의 허약함을 인정하고 협업을 통해 성장해나가야 그 선함의 근거가 비로소 현실적인 힘을 얻게 되는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Huang Zongxi’s doctrine of innate goodness in detail and considers its meaning. Huang Zongxi recognized the moral weakness and wickedness of humanity. He therefore focused on establishing institutionalized mechanisms which would ensure that the moral weakness of a ruler would not lead to a tragic history. Huang Zongxi stressed the importance of laws and systems, but also continued to have faith in the innate goodness of humanity. This goodness, however, was not regarded as complete a priori, as argued by the Neo-Confuciansm of Cheng-Zhu(程朱性理學). Huang Zongxi, for whom all things existing between the heavens and earth resulted from the movement of chi(氣), also regarded the human mind as a product of chi. Goodness is regarded as a characteristic of the human species, but the amount of that goodness we are born with is small indeed. Moral development therefore involves the process whereby this amount of goodness is increased through a posteriori effort. Humans, who are incomplete and never free from lack or excess, are always prone to make mistakes. This is why individuals must continue to better themselves and supplement each other’s shortcomings. The focus of Huang Zongxi’s institutionalized mechanisms is to maintain a system of checks and balances which restrain the abuse of power. Humanity’s moral development and the supplementation of weaknesses takes place through cooperation, both synchronic and diachronic, and this is possible because individuals have goodness within them. This innate goodness may be weak, but its existence allows people to continue with the legacy of their forbearers amidst hardship, and to aspire to a better world.

      • KCI등재

        태평천국의 정치적 합법화의 최후 근거로서 상제의 성격

        이혜경(Yi Hye-Gyung)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8 철학사상 Vol.68 No.-

        본고는 태평천국의 상제와 인류와의 관계가 기(氣)의 일본만수(一本萬殊) 논리에 의해 정초되었음을 밝히고, 일원지기(一元之氣)로 설정된 상제가 정치적 권위의 최고 근거가 됨으로써 초래되는 결과를 조명했다. 먼저 태평천국의 정치적 이념으로 작동했던 배상제회의 상제가 유학적 전통의 기일원론에 의해 설명되고, 그 건국이념 역시 공(公)의 회복과 한족의 중화 회복이라는 점에서, 태평천국이 기존사회를 비판하는 이념으로써 유사기독교를 채용해야 할 이론적 필연성을 없음을 밝혔다. 이어 상제가 기일원론에 의해 설명됨으로써, 현실정치에서 최고권위의 근거로 작동하는 상제가 보편성을 잃은 결과, 현실정치에서도 보편적 정의를 실현할 장치를 가질 수 없었음을 밝혔다. This paper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hàngdì as the final basis of political justification. This paper, focuses the logic of " “being separated from a single root(一本萬殊)”, which was used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Shàngdì and souls, and discusses what effect this interpretation had on the characterization of the Shàngdì and how it worked for the political justification of the Taiping Heavenly Kingdom. This paper explores the Hóng xiù quán’s justification to establish a new nation, which can be summarized as the realization of “fairness and justness” and the restoration of sovereignty for the Hans, in which sense there is no theoretical necessity of accepting pseudo Christianity as a philosophy of criticizing the existing society for the Taiping Heavenly Kingdom. Furthermore, it clarifies that the Shàngdì was explained by Qi philosophy, and loses his universality, and consequently, the nation could not have a device to achieve universal justice in actual poli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