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효과적인 학습을 위한 메타인지 기반의 온라인 학습 도구 웹사이트 구축

        이현준,빈기범,김은서,문일영,Lee, Hyun-June,Bean, Gi-Bum,Kim, Eun-Seo,Moon, Il-Young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2022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ol.14 No.2

        In this paper, this app is an online learning tool web application that helps learners learn efficiently. It discusses how learners can improve their learning efficiency in these three aspects: retrieval practice, systematization, metacognition. Through this web service, learners can proceed with learning with a flash card-based retrieval practice. In this case, a method of managing a flash card in a form similar to a directory-file system using a composite pattern is described. Learners can systematically organize their knowledge by converting flash cards into a mind map. The color of the mind map varies according to the learner's learning progress, and learners can easily recognize what they know and what they do not know through color. In this case, it is proposed to build a deep learning model to improve the accuracy of an algorithm for determining and predicting learning progress.

      • 젖소의 성장 및 생산 단계에 따른 분뇨배설량 및 성분의 변화

        이현준,이왕식,김현섭,조원모,양승학,기광석,김상범,박중국,Lee, Hyun-June,Lee, Wang-Shik,Kim, Hyeon-Shup,Cho, Won-Mo,Yang, Seung-Hak,Ki, Kwang-Seok,Kim, Sang-Bum,Park, Joong-Kook 한국축산환경학회 2011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7 No.1

        젖소는 성장단계 및 생산단계별 사료 급여 및 사양 관리 방법을 다르게 하여 사육되고 있어, 이에 따라 사료섭취량, 음수량 및 분뇨 배설량과 특성이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이에 대한 정확한 자료가 조사되고 제시되지 않아 축산분뇨 정책을 수립하고 낙농농가가 적절하게 분뇨처리를 실시하도록 유도하는데 어려움이 있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성장 단계와 생산 단계별로 젖소를 공시하여 사료섭취량, 음수량 및 분뇨 배설량과 분뇨 특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시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사료와 물의 최대 섭취조건에서의 젖소의 평균 분뇨 발생량은 41.5 kg/두/일(분 24.9, 뇨 16.4 kg)이고 분뇨의 평균 수분함량은 각각 85.0% 과 93.9% 이였다. 젖소 분뇨의 $BOD_5$, COD, SS의 오염 물질농도는 각각 분에서 15,444, 53,159, 40,528 mg/L이었고, 뇨에서 8,454, 1,116, 962 mg/L이었다. 그리고 분과 뇨를 통한 수질오염물질인 $BOD_5$, $COD_{Mn}$, SS의 일일부하량은 523, 1,416 및 1,025g 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비료성분인 N, P, K의 함량은 분 중에는 0.33, 0.49 및 0.20% 으로 나타났고, 뇨 중에는 1.02, 0.27, 1.03으로 나타났다. 광물질인 Ca, Na, Mg 함량은 1.56, 0.24, 0.69% 이었으며, 중금속물질인 Zn, Cu, Cr, Pb, As의 분중의 함량은 69.23, 19.14, 2.89, 7.73, 2.94 ppm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농가에서 젖소의 성장단계별 배출되는 분뇨를 파악함으로써 영양과 오염물질의 최적 균형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work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quantity of manure excreta and characteristics in growth and production phase of Holstein dairy cattle. The average manure production of dairy cattle under condition of ad libitum feeding was 41.5 kg/head/day (feces 24.9, urine 16.4 kg). The average moisture contents of feces and urine were 85.0% and 93.9%, respectively. Water pollutant concentration, $BOD_5$, $COD_{Mn}$ and SS excreted from dairy cattle were 15,444 mg/${\ell}$, 53,159 mg/${\ell}$, and 40,528 mg/${\ell}$ in feces and 8,454 mg/${\ell}$1,116 mg/${\ell}$, and 962 mg/${\ell}$in urine, respectively. And The daily loading amount of $BOD_5$, $COD_{Mn}$, SS in dairy cattle manure were 523 g, 1,416 g and 1,025 g, respectively. N, P and K contents of manure produced by dairy cattle were 0.33, 0.49 and 0.20% in feces, and 1.02, 0.27 and 1.03 in urine, respectively. In the concentrations of mineral and heavy metal of manure, Ca, Na and Mg contents were 1.56, 0.24 and 0.69%, and Zn, Cu, Cr, Pb and As were 69.23, 19.14, 2.89, 7.73 and 2.94 ppm, respectively. In conclusion, Dairy farms can be estimated optimum nutrient and pollutant balance to effectively manage the manure produced.

      • 밭고랑 잡초제거를 위한 원형 제초날 설계

        이현준 ( Hyun-june Lee ),안홍민 ( Hong-min An ),이황규 ( Hwang-gyu Lee ),김기동 ( Ki-dong Kim ),김태욱 ( Tae-wook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8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3 No.2

        밭작물 경작에서 제초작업은 수시로 시행해야하는 작업으로 작물 성장에 안정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작업이다. 제초작업을 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초날의 경우 대부분 평지 제초작업에 적합하게 설계 및 제작 되고 있어 형상이 불규칙한 지형의 제초에는 적합하지 않다. 형상이 불규칙한 밭고랑의 잡초제거는 기존의 2도날 등의 평면날을 적용한 예초기를 이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배부식 예초기, 관리기의 로터리 등을 이용하여 밭고랑을 중경하는 방식으로 잡초를 제거하고 있으나, 제초율이 낮을 뿐만 아니라 작물뿌리 손상 및 멀칭 비닐 손상으로 제초작업이 비효율적이다. 특히, 배부식 예초기를 이용할 경우 용도에 맞지 않는 제초날의 사용으로 작물의 피해, 작업자의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이 있다. 밭고랑을 제초에 적합한 제초기가 부재하고 제초작업에 투입될 인력이 부족하여 제초제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토양 산성화 및 환경오염의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본 연구는 평지가 아닌 굴곡이 있는 지형의 고랑에 있는 잡초를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원형 제초날을 설계하였으며, 제초날에 홀 가공하여 예취끈을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제초율을 높이는 최적화 설계하였다. 원형 제초날은 밭고랑의 기하학적 형상을 고려하여 직경 200mm~300mm, 높이 50~85mm로 설계하였으며, 원형 제초날 2개를 쌍으로 배치하는 방법으로 설계하여 제초 작업 폭을 높였다. 직경 300mm의 제초날에 홀 가공하여 예취끈을 결합할 경우 작업 폭은 532mm 이며, 작업 깊이는 204mm로 나타났다. 원형 제초날에 예취끈을 결합하여 제초기에 적용할 경우 제초기를 작업속도 2km/h 주행시킬 때 제초날의 회전수는 2,000rpm이 적정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초당 주행거리 555.5mm, 예취끈의 작업간격 8.3mm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설계한 원형 제초날을 적용하여 제초작업 시 고랑의 잡초를 쉽게 제거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공압실린더를 이용한 온실기둥 상승장치 개발

        이현준(Hyun June Lee),박은미(Eun Mi Park),신동창(Dong Chang Shin),최중섭(Jung Seob Choe),김태욱(Tae Wook Kim)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8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7 No.3

        대부분의 소비자들이 질 좋은 음식을 선호하기 때문에, 농장에서는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시설을 이용하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시설은 플라스틱 온실과 유리온실이다. 국내의 플라스틱 온실 과 유리 온실의 측고는 3m 내외이다. 결과적으로 작물의 생산성이 제한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둥의 높이를 증가시켜 온실의 측고를 높이는 것이다. 온실 기둥상승 장치는 멈춤장치, 공압 실린더 및 수직 부재 등으로 구성된다. 공압 실린더는 안전계수 1.5를 고려하여 직경 160㎜와 행정길이 50㎜로 설계하였으며, 노즐을 통하여 공기의 압력을 제어하였다. 1행정 시간을 30초 내외로 설계하기 위해서는 21.5L·min-1 공기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즐의 직경은 0.5㎜로 설계하였다. 압력이 0.9 ㎫일 때 평균 인상력은 13,805N으로 계산된 값 15,612N에 근접하였다. 현장 시험결과 같은 열의 기둥과 오차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실제 유리 및 플라스틱 온실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As many consumers prefer good quality food, farms have used various facilities to cultivate products for satisfying their desires. Among them, the most representative facilities are plastic and glass multi-span greenhouse. The height of both plastic greenhouse and glass greenhouse is around three meters high in Korea. As a result, the crop productivity is limited. The solution is to increase the height of the greenhouses to improve the greenhouses’ environment. The device for raising columns consists of a stop device, a pneumatic cylinder, and a vertical member. Pneumatic cylinders were designed with a diameter of 160 ㎜ and a stroke length of 50 ㎜,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safety factor of 1.5. In addition, the air flow was controlled by nozzle to achieve a time of less than 30 seconds per stroke. It was calculated that 21.5L·min<SUP>-1</SUP> of air was needed to complete in less than 30 seconds. Accordingly, the diameter of the nozzle is designed to be 0.5 ㎜. When the pressure was 0.9 ㎫, the average raising force was 13,805N, which was close to the calculated value of 15,612N. The field test results show that any inconsistency in the row columns was not generated. and that it is considered applicable to the actual glass and plastic greenhouses.

      • 밭 농업 예초작업을 위한 예초기 개발

        이현준 ( Hyun-june Lee ),김진현 ( Jin-hyun Kim ),김태욱 ( Tae-wook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2 No.2

        밭작물을 경작 할 때 예초작업은 수시로 진행되어야 하며, 수시로 작업을 하지 못하는 경우 작물의 성장에 장애를 초래하고 상품성에 영향을 미친다. 농업 인력의 고령화 및 농촌의 인력 부족으로 인하여 예초작업에 투입될 인력이 부족 할 뿐만 아니라 고령화 및 여성농업인에 증가에 비하여 손쉽게 예초를 할 수 있는 예초기의 부재로 적기에 예초작업을 수행하지 못해 제초제를 사용하여 잡초를 제거하고 있는 실정이다. 제초제의 과다 사용으로 인한 문제점으로는 토양의 산성화 및 작물의 상품성을 저하시키고 무엇보다 농업인의 건강을 해치는 부작용이 있다. 이러한 부작용을 감수하고도 농업인들은 제초제를 사용 할수밖에 없는 현실이다. 따라서 밭 농업 예초작업에 효율적인 예초기 개발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연구는 밭작물 잡초제거에 효율적인 예초기를 개발하기 위하여 고랑잡초 예초용 실험기를 설계 제작하였다. 실험기 설계는 적정주행속도 및 원형제초날의 적정회전수를 측정하기 위해 주행부 동력과 예초부 동력을 분리하였으며, 주행부는 DC모터를 활용하여 동력전달하고, 예초부는 1.5마력 가솔린엔진을 사용하도록 설계하였다. 밭고랑 예초작업에 적용할 예초날은 원형 예초날을 활용하였으며, 적용 및 실험결과 4km/hr에서 예초날의 회전속도 3000~4000 RPM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쌍 원형예초날을 적용하기 위해 베벨기어를 사용하여 엔진 동력을 분배하였으며 원형예초날에 동일한 동력을 전달 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설계 제작한 예초기의 예초작업은 배부식 예초기 및 중경제초기를 사용한 예초작업에 비하여 작업자의 피로도가 낮고 예초효율은 높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추가 연구에서 예초기의 적정 주행속도 및 예초날의 적정 회전속도를 설정하고, 1개의 엔진으로 주행부와 예초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형태의 예초기를 개발할 계획이다.

      • 밭 농업 예초작업을 위한 원형 예초날 설계

        이현준 ( Hyun-june Lee ),김진현 ( Jin-hyun Kim ),김태욱 ( Tae-wook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2 No.2

        밭작물 경작에서 예초작업은 재배과정 중 수시로 시행해야 하는 작업으로 밭작물 성장에 안정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작업이다. 국내에서 유통되는 대부분의 예초날은 평지 예초작업에 적합하게 제작되어 이용되고 있다. 밭고랑사이의 굴곡이 있는 잡초를 제거하는 예초작업에 적합한 예초날이 부재하여 평면날을 사용하여 굴곡이 있는 지형의 예초작업에 적용하고 있으나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평지가 아닌 굴곡이 있는 밭고랑의 잡초를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예초날을 개발하고자 하며, 고랑에 있는 잡초를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밭고랑 형상을 고려하여 예초날을 원형으로 설계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재배되는 밭작물 재배양식을 조사한 결과 밭작물의 평균 고랑폭은 320 mm, 높이 230 mm로 나타났다. 자료를 활용하여 원형 예초날 직경은 300 mm로 설계하고, 원형 예초날의 높이가 높을 경우 회전중 지면 및 각종 장애물과 충돌시 회전 안정성에 문제가 있어 원형날의 높이를 85 mm로 설계하였다. 원형날의 높이 85mm를 이용하여 밭고랑 높이 230 mm의 잡초를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원형예초날 2개를 쌍으로 배치하는 원형예초날로 설계하였다. 쌍원형예초날의 경우 각도 조절이 가능하여 고랑의 크기에 따라 넓이조절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으며, 잡초의 뿌리상부까지 제거하기 위하여 예초날을 절곡하는 형태로 돌출부를 설계 하였다. 쌍 원형예초날의 경우 예초날의 배치각도가 중요하며 배치각도는 고랑의 형태에 및 예초날의 크기에 따라 180도 까지 조절이 가능하며 배치각도에 따라 예초효율이 다를 것이라고 판단된다. 원형예초날의 높이 제한으로 인한 문제가 해결되어 고랑 높이 230 mm까지 예초작업을 진행 할 수 있다. 원형예초날을 예초기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원형예초날의 회전균형성과 안정성이 예초날 설계에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된다. 개발한 원형 예초날의 회전 실험결과 4,000 RPM 정도의 고속 회전에 따른 진동 문제 등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원형예초날 1개로 예취하는 방법보다 쌍원형예초날 형태로 예취하는 것이 안정성이 뛰어나고 효율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TMR의 에너지 및 단백질 수준이 비유초기 유산양의 유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기광석(Kwang Seok Ki),이현준(Hyun June Lee),김상범(Sang Bum Kim),이왕식(Wang Shik Lee),임동현(Dong Hyun Lim),임현주(Hyun Joo Lim),박성재(Sung Jai Park),조원모(Won Mo Cho),김현섭(Hyeon Shup Kim),김택림(Ze Lin Jin),이인덕(In Duk Lee),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0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0 No.3

        본 시험은 섬유질배합사료 (TMR)의 에너지 및 단백질 수준이 다를 경우, 비유초기 유산양의 사료섭취량 및 유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시험 동물은 자넨종 생후 16개월령 전후의 초산 착유양 24두 (♀)를 시험구별 6마리씩 공시하였으며, TMR의 에너지와 단백질 수준은 대조구 (Control)가 TDN 67.0%, CP 13.9% (NRC, 2007), 에너지 증량구 (T1)는 TDN 73.7%, CP 13.9%, 단백질 증량구 (T2)는 TDN 67.0%, CP 15.3%, 에너지+단백질 증량구 (T3)가 TDN 73.7%, CP 15.3%의 네 처리구로 나누었다. 연구결과 비유초기 유산양의 급여하는 사료내 에너지 수준을 NRC 보다 약 10% 정도 높여줄 경우, 유생산량 증가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비유초기 과도한 에너지 증량은 오히려 사료비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비유초기 일당 증체량은 에너지 증량구 (T1)와 에너지+단백질 증량구 (T3)에서 증가하였으나, 대조구와 단백질 증량구 (T2)에서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비유초기 에너지 수준을 높여주는 것이 체중감소를 예방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에너지 함량의 증가 없이 단백질 함량만의 증가는 오히려 섭취량 및 유생산을 감소시켰기에 비유초기 과도한 단백질 증가 역시 필요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해 보면, 비유초기 가소화 탄소화물의 과도한 증가가 유생산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체중저하를 방지하는데 도움이 되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experiment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total mixed ration (TMR) of different nutrition level on milk production in dairy goats (Sannen). Twenty four lactating goa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four TMRs; medium energy-medium crude protein (CP) TMR (control), high energymedium CP TMR (T1), medium energy-high CP TMR (T2) and high energy-high CP TMR (T3). The content of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and CP in the control diet were 67.0% and 13.9%. The TDN content of the high energy TMR was 73.7% and the CP content of the high CP TMR was 15.3%. Milk yield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for T1 (2,198±115 ㎖) than for T2 (1,742±52 ㎖) and T3 (1,984±90 ㎖).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ilk composition between the treatments. Daily body weight gain was increased in T1 and T3 but reduced in control and T2. The result of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dietary energy level supplied more than that of NRC recommendation did not affect milk yield of dairy goats in early lactation but prevented body weight loss.

      • KCI등재

        푸사리움속 곰팡이에 오염된 보리와 보리겨의 급여가 비육돈 및 육성빈돈의 생산성 및 사료이용효율에 미치는 영향

        이왕식,이현준,기광석,노환국,강석진,정영훈,백광수,허태영,Lee, Wang-Shik,Lee, Hyun-June,Ki, Kwang-Seok,Noh, Hwan-Gook,Kang, Seok-Jin,Jung, Young-Hun,Baek, Kwang-Soo,Hur, Tai-Young 대한수의학회 2012 大韓獸醫學會誌 Vol.52 No.1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arley and barley bran contaminated with Fusarium spp on growth performance and feed efficiency of fattening and growing pigs. In experiment 1, total 48 fattening Landrace pigs were used in a fattening trial for 71 days. Pigs weighing around 75 kg were allocated into different substitution groups containing 0, 10, 20 and 30% of barley contaminated Fusarium spp. In experiment 2, total 16 growing Landrace pigs were used in a growing trial for 45 days. Pigs weighing around 29.4 kg were allocated into different substitution groups containing 0, 5, 10 and 20% of barley bran contaminated Fusarium spp. Mycotoxin concentrations of barley and barley bran contaminated with 30% Fusarium spp were 0.452 and 1.049 ppm for deoxynivalenol, 8.125 and 17.646 ppm for nivalenol and 0.023 and 0.029 ppm for zearalenone, respectively. In experiment 1, no differences were found in weight gain and feed intake between control group (0%) and 10 or 20% substitution groups, but in 30% substitution group, weight gain and feed intake were significantly lower (p < 0.05) than those in control group. After slaughtering, the extended haemorrhage of the fundus region in stomach was observed in 20 or 30% substitution groups. In experiment 2, weight gain and feed intak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reatment groups. After slaughtering of experimental pigs, the extended haemorrhage of the fundus region in stomach was observed in pigs fed diet with 20% substitution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feeding of diet with contaminated highly levels of Fusarium spp was negative effect on growth and feed efficiency in growing and fattening pig.

      • KCI등재

        합성곱 신경망 기반 물체 인식과 탑승 감지 센서를 이용한 개인형 이동수단 주행 안전 보조 시스템 개발

        손권중,배성훈,이현준,Son, Kwon Joong,Bae, Sung Hoon,Lee, Hyun June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10

        최근에 전동킥보드와 같은 개인형 이동수단의 보급이 급격히 확대되면서 교통사고 발생 건수도 크게 늘고있다. 개인형 모빌리티가 자세 안정성이 낮고 탑승자가 외부로 노출되어 전도 사고나 낙상 사고의 위험이 크기 때문이다. 전동킥보드 사고 방지를 위해 본 논문은 주행 보조 장치로써 자동긴급제동시스템과 안전시동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인공지능 기반 물체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주변 위험 요소를 탐지하고 자동으로 제동을 걸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또한 운전자의 탑승이 확인되기 전까지 장치의 시동을 보류하는 안전시동시스템도 개발하였다. 상용차와 주행 조건이 매우 다른 개인형 이동 수단에 특화된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 융합 기술을 제안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A recent spread of personal mobility devices such as electric kickboards has brought about a rapid increase in accident cases. Such vehicles are susceptible to falling accidents due to their low dynamic stability and lack of outer protection chassis. This paper presents the development of an automatic emergency braking system and a safe starting system as driving assistance devices for electric kickboards. The braking system employed artificial intelligence to detect nearby threaening objects. The starting system was developed to disable powder to the motor until when the driver's boarding is confirm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poses the convergence technology of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specialized for personal mobility dev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