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술적 정체성 이론과 비극 이론을 통한 『광장』 서사 분석

        이현정 ( Hyeonjeong Lee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2

        본 연구는 그간 대립적이고 갈등적으로 공존해온 『광장』 해석과 관련, 이를 종합할 수 있는 해석을 마련함으로써 작가가 마지막 개작을 통해 궁극적으로 독자들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서술적 정체성 이론’과 ‘비극 이론’을 통해 『광장』의 서사 분석을 세세히 수행, 주인공 이명준이 어떻게 ‘밀실’에서 벗어나 ‘푸른 광장’으로 나아가는지를 증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작가는 주인공 이명준이 보여준 ‘나’ 중심의 지배 욕망을 ‘회상’과 같은 서사 장치(서술적 정체성)를 통해 이명준 스스로 반성의 대상으로 삼게끔 하고, 나아가 비극적 ‘과오’의 깨달음을 통해 이명준이 ‘나’를 벗어나 ‘사랑’의 힘을 깨닫고 이를 실천했음을 극적으로 전달하고 있었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는 기존의 양분화된 『광장』 해석이 증상적으로 보여주는 ‘밀실’과 ‘광장’ 사이의 갈등을 넘어설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독자로 하여금 멜로드라마적 이분법에서 벗어나 그들이 책임감 있는 성장서사로서 각자의 삶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n interpretation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Gwangjang interpretation, which has coexisted confrontationally and conflictingly, to understand the meaning that the writer ultimately intends to convey to the reader through 10 adaptations. To this end, this study tried to demonstrate how the main character Lee Myung-joon moved away from the “secret room” to the “blue square” by conducting detailed narrative analysis of Gwangjamg through ‘narrative identity’ theory and ‘tragedy’ theory. According to the study, the author made Lee Myung-joon reflect on himself through narrative devices such as “recipitation” (a descriptive identity), and the author was dramatically conveying that Lee Myung-joon realized the power of “love” beyond “me” and practiced his love. The above research results allow the reader to go beyond the conflict between “secret room” and “square” that the existing bifurcated Gwangjang interpretation shows symptomatically, and further help them escape from melodramatic dichotomy and participate in their own lives as responsible growth narration.

      • KCI등재

        미술교육 파트너십의 목표 형성 과정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기업연계 미술영재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이현정(Hyeonjeong LEE),김선아(Sunah KIM) 한국조형교육학회 2020 造形敎育 Vol.0 No.75

        본 연구에서는 사업 목표와 성과의 공유, 새로운 가치 창출로서 파트너십의 개념을 고찰하고, 시스템적 측면에서 파트너십의특징과 의미를 논의하였다. 이를 토대로 기업과 미술영재 교육기관이 어떤 의사소통과 상호작용을 통해 미술교육 파트너십을구축해 나가는가를 살펴보기 위한 질적 사례연구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미술교육 파트너십은 고정된 하나의 목표를중심으로 선형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설득하면서 목표를 인식하다’, ‘조정하면서 공동의 목표를 만들다’, ‘학생 경험으로부터 목표에 의미부여 하다’ 단계로 공동의 목표를 만들어가는 과정 그 자체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다음과 같다. 첫째, 사전에 설정된 명확한 목표보다 개방적인 태도로 함께 목표를 만들기 위해 인식을 공유하는 노력과 과정이 성공적인 파트너십의 핵심이 된다. 둘째, 참여자들이 각각의 위치에서 점진적으로 주체성을 가질 수 있는 조건을 만들어가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partnership was discussed by sharing objective and outcomes and creating new values, and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partnership were discussed in terms of system. Based on this, a qualitative case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how companies and gifted art education institutes establish art education partnership through which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art education partnership does not take place linearly around a fixed objective. It was found that it is the process of creating a common objective in the steps of recognizing the objective while persuading , making a common objective while making adjustments , and giving meaning to the objective from student experience . Therefore, as a research implication, first, efforts and processes to share awareness to create objective together with an open attitude, rather than a clear set objective, are the key to successful partnerships. Second, it can be seen that it is important to create conditions for participants to gradually become subjective at each location.

      • KCI등재

        사회참여미술에 기초한 지역연계 학교문화예술교육에 관한 질적 연구

        이현정(Hyeonjeong LEE),김선아(Sunah KIM) 한국조형교육학회 2018 造形敎育 Vol.0 No.67

        본 연구는 지역연계 학교문화예술교육이 학교 안에서 예술교육을 활성화하고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지속 가능성을 개선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음에 착안하여 사회참여미술을 중심으로 그 가능성을 탐구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교사, 정책전문가, 실천가를 대상으로 집단심층인터뷰(FGI)를 진행하였고 분석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 주제 에 대하여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그들의 ‘관심사’에 주목하여야 한다. 둘째, 학생들이 수업 시간에 학교에 서 배우는 지식들이 자신의 일상과 밀접한 것임을 알게 하고, 진로와도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도록 지역사회와 의 ‘공감’을 이끌 수 있는 장치 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학생들이 지역 구성원의 일원으로서 역할을 가지고 수업에 임할 수 있도록 수업 내 ‘활기’를 부여하기 위해 작지만 실제적인 경험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하여야 한다. 넷째, 학생들이 단순 체험만 하지 않도록 명확한 수업 목표와 학습 개념을 설정해야 하며, 예술 전문가는 자신이 가진 주관을 주입시키지 않도록 교수자 로서 ‘절충’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학교문화예술교육이 단순히 예술강사 지원의 차원을 넘어 지역사회와 학교 사이의 연결고리로서 그 역할이 확장될 수 있는 가능성을 논의하였다는 것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ies of community-bas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 school as an alternative to invigorate arts education in schools and to improve the sustainability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 school.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group in-depth interviews (FGI) for teachers, policy experts and practitioners, and the result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we should pay attention to student’s ‘interests’ in order to induce their interest in educational subjects. Second, we should set a device to lead to the ‘sympathy’ of the community in class to realize the lesson is that the knowledge which is taught in school is closely linked to student’s daily life and course. Third, a small but practical experience should be provided to give students ‘vigor’ in the class so that they can take part in the class as a member of the local community. Fourth, it should be set up clear lesson objectives and learning concepts for students not to simply experience only, and arts experts is important to have the ability to ‘compromise’ as an instructor not to inject the subjective oneself. In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hat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 school was discussed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its role as a link between community and school, beyond merely supporting arts instructor.

      • KCI등재

        20세기 초 일본 신어의 현대 일본어와 한국어에서의 정착과 쇠퇴

        이현정 ( Lee Hyeonjeong ) 한국일본어교육학회 2021 日本語敎育 Vol.- No.95

        In order to investigate settlement of Japanese new words accepted in early 20th century, we analyzed the Japanese new words in lists of dictionary and Corpus. And it was compared with a number of the words which is searched in Google(NWSG). The new words which has higher NWSG shows relatively higher registration ratio in dictionary both in Korean and Japanese. Base on this result, we divide the new words into settled and unsettled words. Interesting point is that there is a lot of common settled and unsettled words in Korean and Japanese. The ratios of settled and unsettled words were ca. 40% and 20%, respectively. This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Japanese new words accepted in early 20th century influenced greatly on modern Korean and Japanese.

      • KCI등재

        노인의 근감소증에 운동요법, 영양요법 및 건강교육 관련 중재요법이 미친 효과크기의 메타분석

        이현정(Hyeonjeong Lee),김애정(Aejung Kim) 한국노인복지학회 2020 노인복지연구 Vol.75 No.1

        본 연구는 지난 10년간(2009년 2019년 7월) 연구된 노인의 근감소증에 대해 운동요법, 영양요법 및 건강교육 관련 중재요법 효과가 검증된 선행연구 41편을 가지고 노인의 신체활동능력과 근육량의 변화에 대해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PubMed, 한국교육학술정보서비스, 국회도서관을 중심으로 ‘Sarcopenia’, ‘Elderly’, ‘Physical’, ‘Nutrition’, ‘Education’, ‘근감소증’을 키워드로 검색, 수집된 자료를 코딩한 후 효과크기, 표준 오차, 95% 신뢰 구간, 동질성(Q, I²), 출판편향, 통계적 이상치를 산출하고 분석하였다. 전체 효과크기는 중간 수준(0.493)이었고, 중재효과의 측면에서는 기능개선에서, 중재특성에서는 운동과 영양을 병행한 요법(연구 단위), 운동과 교육 또는 교육과 영양을 병행한 요법(중재 그룹 단위)에서 효과크기가 크게 나타났다. 단, 연구 대상자 수는 많을수록, 연구 기간은 길수록 효과크기가 크게 산출되었다. 본 연구는 운동, 영양, 교육 관련 중재요법을 모두 포함하여 종합적인 분석을 시도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차후 본 연구에서 얻어진 통합적이고 객관적인 분석결과들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performed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variation in physical ability and muscle mass based on 41 research papers that have proven effectiveness for sarcopenia in the elderly on physical activity, nutrition, and health education over the past ten years. Search results using keywords such as ‘sarcopenia’ and ‘elderly’ and ‘physical’ and ‘nutrition’ and ‘education’ from databases including PubMed, RISS, and NAL. This collected data was then coded to compute and analyze effect size. The overall effect size was medium level (0.493) and in terms of the effectiveness of an intervention, a large effect size was found in functional improveme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vention provided a large effect size in cases within the study unit, physical activity, and nutrition. At the intervention group unit, the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education or health education and nutrition showed a large effect size. The effect size was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number of subjects and the length of the research perio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interventions all across the physical activity, nutrition, and health education-related interventions. We hope the results of the integrated and objective analyses from this study will provide a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s for the elderly with sarcopenia.

      • 전기방사를 이용하여 제작된 폴리이미드 나노 섬유 매트의 열전도율

        이현정(Hyeonjeong Lee),설재훈(Jea Hun Seol) 대한기계학회 2021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21 No.6

        폴리이미드는 내열성, 내화학성, 전기 절연성 및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갖는 고기능 폴리머 중 하나로서 현재 자동차, 우주 항공 분야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폴리이미드를 포함한 대부분의 폴리머는 낮은 열전도율로 인해 사용범위에 있어 제한을 받게 된다. 따라서 열전도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열전도성 필러를 첨가하거나 폴리머의 분자 사슬을 정렬시키는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 폴리머에 다량의 필러를 첨가하는 경우, 가공성 및 유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전기방사 기법을 이용한 폴리이미드의 분자 사슬 정렬을 통해 열전도율을 증가시키고자 하였다. Pyromellitic dianhydride (PMDA) 와 4,4′-Oxydianiline (ODA) 를 이용하여 폴리이미드의 전구체인 폴리아믹산 (PAA) 용액을 합성하였고. 폴리이미드 나노 섬유 매트는 폴리아믹산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만들어진 나노 섬유 매트를 열적 이미드화하여 얻을 수 있었다. 제조된 폴리이미드 나노 섬유 매트는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분석기 (FT-IR) 스펙트럼을 통해 이미드화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후, 시차 주사 열량계 (DSC) 와 Laser Flash 방법으로 폴리이미드 나노 섬유 매트의 열전도율을 측정하였다. [그림 본문 참조]

      • KCI등재후보

        보건계열과 비보건계열 대학생의 손씻기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수행도 비교

        이지현 ( Lee Jihyeon ),김빛나 ( Kim Bitna ),김은지 ( Kim Eunji ),이하영 ( Lee Hayeong ),이현정 ( Lee Hyeonjeong ),유다운 ( Yu Dawoon ),고은 ( Ko Eun ) 부산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18 글로벌 건강과 간호 Vol.8 No.2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related to handwashing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and not majoring in health science. Methods: This descriptive study included 188 undergraduate students with 100 majoring and 88 not majoring in health science.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they were analyzed with the IBM SPSS 24.0 program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a multiple regression. Results: Mean scores on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handwashing were 13.86±1.56 and 21.05±2.34 respectively in students majoring health science, whereas the same were 13.22±1.73 and 19.76±2.24 in students not majoring health science respectively. In both groups,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knowledge and attitude (r=.32, p<.001; r=.33, p=.002), and between attitude and practice (r=.27, p=.006; r=.40, p<.001) respectively. Attitude toward handwashing (β=0.20, p=.028), experience of education about handwashing (β=0.33, p<.001) and perception about health status (β=-0.23, p=.014)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handwashing practice in students majoring health science. On the other hand, only attitude toward handwashing (β=0.37, p<.001)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handwashing practice in students not majoring health science. Conclusion: The present results reveal the importance continuing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on handwashing and the need to identify their longitudinal effects to improve handwashing practice among students majoring in health science. Additionally, when developing strategies to improve handwashing habits, we need to consider factors that could help change attitudes toward handwashing.

      • KCI등재후보

        아버지의 언어통제 유형과 유아의 의사결정력의 관계

        이서현 ( Lee Seohyeon ),이현정 ( Lee Hyeonjeong ),이정화 ( Lee Jung Hwa ),윤지영 ( Yoon Jiyoung ) 한국영유아교육보육학회 2021 영유아교육.보육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아버지의 언어통제유형과 유아의 의사결정력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아버지와 유아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아버지의 언어통제 유형과 유아의 의사결정력의 차이와 관계를 확인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K지역 C시에 소재한 국·공립 어린이집 한 곳과 직장어린이집 한곳, 사립유치원 한 곳의 만 3, 4, 5세 유아의 144명과 유아 아버지를 대상으로 선정하고, 유아의 담임교사인 26명에게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 검증과 ANOVA, Pearson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와 유아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아버지의 언어통제유형의 차이를 살펴 본 결과 아버지의 하루 평균 평일 양육 참여시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연령과 학력, 유아의 성별, 출생순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둘째, 아버지와 유아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유아의 의사결정력 차이를 살펴본 결과 아버지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유아의 일반적 특성에서 유아의 성별, 연령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아버지의 언어통제유형과 유아의 의사결정력 간의 상관관계 결과, 언어통제유형과 의사결정력의 하위요인인 참조적 의사소통능력과는 부적관계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how the father's type of verbal control influences children's decision-making ability and identifi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father's type of verbal control and the children's decision-making ability depending on the father's and children's general characteristic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using the SSPS 22.0 statistical program through t-validation,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father and childre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ther's age, educational background, children's gender, and birth order,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ther's average weekday parenting time. Second, the difference in decision-making ability between father and childre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father's age, educational level, father's average weekday parenting time, and weekend parenting time, but children's general characteristics show differences in gender and age. Thir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ather's verbal control type and the children's decision-making power results in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 of language control and decision-making power.

      • 고령자 온열 쾌적감 간이 측정방법 개발에 관한 연구

        배치혜(Chihye Bae),이현정(Hyeonjeong Lee),전정윤(Chungyoon Chun)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009 한국태양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9 No.11월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of portable thermal comfort measurement tool for elderly. Using prediction expression of thermal comfort for elderly which derived at previous study, a field studies were conducted. The objects of this survey are old persons over 60 years old and total 296 (male:111 persons, female:145 persons) persons were measured. The actual thermal sensation was compared with predicted thermal sensation calculated with PMV model, and the results shows that there were no correlation between them. Also, appling cheek temperature and hand temperature were useful to predict thermal sensation of elderly people. Especially, predicted thermal sensation using cheek temperature were closely connected with actual thermal sensation of elderly and presented most similar trend to actual thermal sens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