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accharomyces cerevisiae에서 Dna2 helicase/endonuclease와 YHR122W 단백질의 상호작용

        이현선,최도희,권성훈,김나연,이인환,김현정,배성호,Lee, Hyun-Sun,Choi, Do-Hee,Kwon, Sung-Hoon,Kim, Na-Yeon,Lee, In-Hwan,Kim, Hyun-Jung,Bae, Sung-Ho 한국미생물학회 2006 미생물학회지 Vol.42 No.1

        Saccharomyces cerevisiae Dna2 helicase/endonuclease plays an essential role in removing DNA primers during Okazaki fragment processing in eukaryotic DNA replication. Genome-wide scale co-immunoprecipitation experiments predicted that Dna2 interacts with a novel protein YHR122W (1). In this study, we observed that overexpression of YHR122W gene suppressed the temperature-sensitive phenotype of $dna2\Delta405N$ mutation. To investigate direct interaction between these two proteins, a histidine-tagged recombinant YHR122W protein was expressed and purified from E. coli. Physical interaction between the purified YHR122W and Dna2 proteins was detect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s. Further more, the complex formation was most efficient at physiological salt concentration, 150 mM NaCl. The genetic and physical interactions between YHR122W and Dna2 shown in this study suggest that the biological functions of these two proteins may be closely related each other. Saccharomyces cerevisiae Dna2 helicase/endonuclease는 진핵세포 DNA 복제과정의 Okazaki fragment processing에서 RNA primer를 제거하는데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Genome-wide scale의 면역침전 실험결과, 기능이 알려져 있지 않은 단백질인 YHR122W가 Dna2 단백질과 상호작용한다고 예측되었다 (1). 본 연구에서는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YHR122W 유전자를 효모에서 과량발현시킨 결과, $dna2\Delta405N$ 돌연변이의 온도감수성 표현형이 억제되는 유전학적 상호작용을 관찰하였다. YHR122W 단백질이 Dna2 단백질과 직접적인 삼호작용을 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YHR122W를 대장균에서 재조합 단백질로 발현시키고 단백질을 정제하였다.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를 통한 분석에서 YHR122W 단백질과 Dna2 단백질 사이의 상호작용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YHR122W-Dna2 상호작용은 생리적 염도인 150 mM NaCl농도에서 가장 강한 결합을 보였다. 이러한 유전학적 상호작용과 물리적인 상호작용은 YHR122W가 생체내에서 Dna2의 기능과 밀접한 연관이 있을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 SCOPUSKCI등재

        수종 생약의 Protein kinase C 저해활성

        이현선,안순철,김보연,박문수,오원근,윤병대,안종석,민태익,Lee, Hyun-Sun,Ahn, Soon-Cheol,Kim, Bo-Hyun,Park, Moon-Su,Oh, Won-Keun,Yoon, Byung-Dae,Ahn, Jong-Seog,Mheen, Tae-Ick 한국생약학회 1992 생약학회지 Vol.23 No.3

        MeOH extract of twenty medicinal herbs were screened for their effects against protein kinase C (PKC) using bleb-forming assay and PKC enzyme assay. Smilax china and Sanguisorba officinalis showed potent anti-PKC activity. Campsis grandiflora and Galla Halepensis showed moderate inhibitory effect on PKC.

      • KCI등재

        Mesaconitine과 Hypaconitine의 열분해

        이현선(Hyun Sun Lee),박신영(Shin Young Park),정보섭(Bo Sup Chung) 大韓藥學會 1990 약학회지 Vol.34 No.2

        The pyrolysis of mesaconitine and hypaconitine which are present as strongly toxic components in the raw aconite roots was performed. C(15)-keto pyro type compounds 1, 4 were obtained by the pyrolysis of mesaconitine and hypaconitine, respectively and structures of those compounds were determined as 16-Epi-pyromesaconitine(1) and 16-Epi-pyrohypaconitine (4) having C(16)-alpha-OCH3 on the basis of their spectral and chemical data.

      • KCI등재

        사량좌의 심성론 연구

        이현선(Lee, Hyun-sun)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4 철학사상 Vol.52 No.-

        본 논문은 신유학의 사상적 전개에 막대한 영향을 준 사량좌(謝良佐)의 심성론을 선불교와의 관계 속에서 그의 ‘지각’개념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기존의 연구 관점은 사량좌의 철학이 정호의 철학을 계승하여 이후 호굉 및 육구연과 사상적 연계성을 가진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관점은 정호철학과의 세밀한 대조 작업은 물론이고, 주희가 지적하는 사량좌의 선불교적 면모에 대한 충분한 고찰 없이 제시된 것이다. 신유학의 전개에 있어 사량좌의 사상은 심성론 방면에서 큰 역할을 하며, 그의 심성론을 조망하는 데 있어 선불교의 영향은 일차적인 고찰 대상이다. ‘성체심용(性體心用)’으로 대변되는 그의 심성론은 선불교, 특히 홍주종계열의 ‘작용시성(作用是性)’에 대한 비판과 그에 대한 반정립의 성격을 가진다. 인간 의식[心]을 전적으로 본체인 ‘성(性)’의 작용(作用)으로 보는 홍주종과 달리, 사량좌의 ‘성체심용’은 그것을 현상 세계의 대상과 관계 속에서 드러나는 것으로 본다. 즉 그에게서 의식[心]은 일차적으로 대상에 대한 ‘지각’이외에 다른 것이 아니다. 이 점은 ‘지각’이 곧 인간의 현상의식임을 가리킨다. 그러나 다른 한편, 사량좌는 이 ‘지각’의 의식 과정은 본체, 즉 ‘성(性)’ 또는 ‘인(仁)’이 드러나는 계기를 가진 것으로 보고, ‘지각이 인이 된다[知覺爲仁]’고 주장한다. 이 점은 인간의 도덕의식을 ‘지각’을 통해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사량좌의 관점은 인간의 도덕성을 의식의 본체가 아닌 현상 속에 추구해야 한다는 이른바 ‘이발 중심’의 이론으로 귀결된다. 그리고 이는 현상(일상세계)에 대한 적극적 긍정을 표방하는 선불교(홍주종)의 관점에 도리어 근접하는 것이다. This thesis mainly considers Xie Liang-zuo (謝良佐)’s Theory of Xin-xing, which had a huge influence on the process of the philosophical development of Neo-Confucianism and its relationship with Zen Buddhism and the concept of ‘Zhi-jue (知覺)’. Previous studies which distinguish the between the Cheng hao (程顥) and Cheng Yi (程?) philosophies regard the philosophy of Xie Liang-zuo as succeeding Cheng Hao’s philosophy and led to Hu Hong (胡宏) and Lu Jiu-yuan (陸九淵)’s school of thought. However, this perspective is presented without a meticulous verification process of Cheng Hao’s philosophy, and moreover without full consideration of Xie Liang-zuo’s Buddhist characteristics which Zhu Xi (朱熹) had pointed out while discussing his philosophy. Xie Liang-zuo‘s philosophy plays a significant role in developing Xin-xing’s (心性) neo-Confucianist theory. To prospect his view precisely, contemplating the influence of Zen Buddhism is the most important subject to investigate. The main theory of Xin-xing (心性), which is referred to as ‘xing-ti-xin-yong (性體心用)’, either criticizes and functions as the antithesis of Zen Buddism, particularly in relation to ‘zuo-yong-shi-zing (作用是性)’ which was established by Hongzhu-zong (洪州宗). However, Hongzhu-zong considered human consciousness(心) as an operation of nature (性), Xie Liang-zuo saw it as something that can be seen only in relationship with the objective world. In other words, for him, human consciousness is regarded as nothing but as a perception or an awareness(知覺) towards the object in the phenomenal world. However, on the other hand, Xie Liang-zuo insists that the awareness (知覺) turns out to be ‘benevolence (仁)’ since he believes that the benevolence which equally means to human nature (性) can be acquired only in the state of ‘awareness’. Viewed in this light, moral consciousness in human nature can be secured only through ‘awareness’. In conclusion, the viewpoint of Xie Liang-zuo on this issue emphasizes the phenomenal aspect of mind that the morality of human being should be pursued not from substance but from phenomenon. Ironically, it is more analogous to Zen Buddism, which advocated a positive affirmation to the phenomenal world, even though it had been criticized.

      • KCI등재

        정호의 철학과 明代 유학의 탈주자학적 경향

        이현선(Lee, Hyun-Sun) 한국양명학회 2015 陽明學 Vol.0 No.42

        이정(二程) 형제, 정호(程顥)와 정이(程頤) 철학의 동이 여부는 오늘날까지 신유학의 사상사적 흐름에 대한 논의에 있어 주요 쟁점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이와 관련하여 이정 형제의 학문적 차이를 강조하는 신유학의 사상사적 맥락을 고찰하고자 한다. 특히 탈주자학적 사상 경향이 본격화되는 명대 유학에서 정호 철학을 정이-주희와 구별되는 별도의 사상적 체계로 간주하기 시작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명대 유학에서 정호를 존숭하는 분위기는 진헌장(陳獻章)에서 감지된다. 그의 제자인 담약수(湛若水)는 정호와 정이의 학문적 차별성을 제기하며, 정호의 사상은 주돈이에게서 전수받은 것인 반면 정이는 주돈이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고 본다. 이로부터 그는 공자 이래 유학의 도통을 주돈이와 정호가 이어받았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입장은 왕수인(王守仁)에게로 이어진다. 한편, 이들과 동시대의 나흠순(羅欽順)은 形而上과 形而下의 구분과 관련된 道-器문제를 통해 정호와 정이의 사상적 차이를 이론적 차원에서 다룬다. 그는 이를 통해 자신의 ‘理氣一物’ 이론이 정호에 근거하고 있음을 주장한다. 명대 말기의 학자인 유종주(劉宗周)와 황종희(黃宗羲)는 이러한 주장들을 종합하여, 정호의 철학을 ‘氣’중심의 일원론적 체계로 조망한다. 그들은 정호와 장재(張載)의 사상적 연관성을 강조하면서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이와 같은 탈주자학적 명대 유학 사조는 기존의 주자학이 근거하고 있는 학문적 계보를 대체하는 사상 전통을 재구성한다. 이정 형제의 학문적 차이를 강조하는 현대의 연구 관점은 상당부분 이러한 명대 학술에 의거한 것이다. 이 점에서 정호와 정이 철학의 동이 여부는 실제 원전상의 사상적 차이 여부라기보다는 정호철학이 주자학적인가 아닌가라는 해석의 문제라고 할 수 있다. In the discussion of the philosophical development of Neo-Confucianism, one of the main issue until the present is whether Cheng brothers(二程) , Cheng Hao(程顥) and Cheng Yi(程頤) have the same scholarship or not. This dissertation attempts to examine the philosophical context of the Neo-Confucianism that emphasizes the academic differences between Cheng brothers’ thought. Especially I focused on the fact as follow: From the Confucianism of Ming-Dynasty, the viewpoint of the anti-trend of the Chu-tzu’s doctrine has emerged. It distincts the thoughts between Cheng Hao and Cheng Yi, and regards Cheng Hao’s philosophy as the authentical heir of the Confucianism that fully succeed from Confucius and Mencius. A mood of respect for Cheng Hao in the Ming Confucianism are sensed in the texts of Chen xian-zhang(陳獻章). His disciple Chan Jo-shui(湛若水) had positively raised the academic distinction of Cheng Hao and Cheng Yi, saying that only Cheng Hao had been succeed from the philosophy of Zhou Dun-yi(周敦頤), while Cheng Yi does not acknowledge it. For this reason, he claims that Cheng Hao and Zhou Dun-yi carried on the Dao of the Confucianism. This point of view also can be found in the thoughts of Wang Shou-ren(王守仁). On the other hand, Luo Qin-shun(羅欽順), a contemporary of these scholars, deals with the differences between Cheng Hao and Cheng Yi from a theoretical dimension. He analyzed the relation of Dao(道) and Qi(器), which is associated with the metaphysical and physical classification. He argued that his theory of ‘Oneness of Li-Qi(理氣一物)’ is based on the theory of Cheng Hao. At the end of Ming Dynasty, Liu Zong-zhou(劉宗周) and Huang Zong-xi(黃宗羲) put these various ideas together and views a philosophy of Cheng Hao as Qi(氣) centered monistic system. They emphasized the ideological connection between Zhang Zai(張載) and Cheng Hao in order to support their philosophical view. In this way, the anti-trend of the Chu-tzu’s doctrine in the Ming Confucianism reestablishes the tradition of thought which is replaced the academic genealogy where the existing the Chu-tzu’s doctrine is based. The perspective of modern research on the genealogy of Confucianism in Song-Ming period is based on the scholarship in Ming Dynasty that emphasizes the academic distinction of Cheng brothers. As of the likeness in the philosophy of Cheng Hao(程顥) and Cheng Yi(程頤), it is a matter of interpretation about whether Cheng Hao’ philosophy can be relevantly understood as the doctrine of the Chu-tzu rather than an ideological differences in original text.

      • KCI등재

        ≪三韻聲彙≫ 東音 體系 硏究

        이현선 ( Lee Hyun-sun ) 한국중국학회 2020 중국학보 Vol.93 No.-

        ≪三韻聲彙≫는 洪啓禧가 영조 22년(1746)에 완성한 운서이다. 이 책은 ≪華東正音通釋韻考≫, ≪奎章全韻≫과 함께 조선 후기 삼대 운서의 하나로 당시의 현실 한자음을 가장 충실히 보여주는 운서로, 각 운자들에 대해 중국에서 한자를 읽는 독음을 훈민정음으로 표기한 華音과 당시 우리나라에서 한자를 읽는 독음을 훈민정음으로 표기한 東音을 倂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 중 東音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귀납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東音 표기에 사용된 초성은 14개, 중성은 23개, 종성은 6개로 나타났다. 둘째, ≪三韻聲彙≫의 한자음은 일부에 있어서는 교정된 음이 존재하지만, 대체적으로 당시에 널리 쓰이던 현실 한자음을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Samunseonghui(三韻聲彙) is a rhyming dictionary written by Hong Kye-hee(洪啓禧), in 1746. It reflects exactly the way that Koreans lived in Chosun dynasty read Chinese characters, and is referred as one of the three most representive rhyming book of the late period of Chosun. The transcription system of Samunseonghui is classified by Hwaeum(華音) and Dongeum(東音), Hwaeum indicates the pronuncation frameworks of Chinese of Chinese characters, Dongeum indicates those of Korean of Chinese characters. This study focuses on Dongeum, figured out 14 initial consonants, 23 medial vowels, 6 final consonants. Overall, Samunseonghui’s Dongeum generally reflected the phonetic system used by people of the time, though it’s palatal initials and some vowels was intentionally corrected.

      • KCI등재후보

        신유학의 감응론을 통해 본 ‘소통’의 가능성

        이현선 ( Lee Hyun-sun ) 한국윤리학회 2015 윤리학 Vol.4 No.2

        이 글은 소통과 관련된 신유학의 논의를 감응론(感應論)의 관점에서 살펴본 것이다. 감응론은 인간 주체와 외부 대상 간의 자극과 반응에 대한 이론으로, 외부 자극에 반응하는 인간의 자연적이고 근본적 경향성이 과연 어떠한 것인가와 관련 된다. 이는 ‘좋아함과 싫어함’(好惡)으로 표출되는 인간 본성의 문제와 직결된다. 맹자는 이와 관련해서 인간은 ‘善을 좋아하고, 惡을 싫어하는’ 도덕적 경향을 가진다고 보았고, 장자는 이와 달리 ‘좋아함과 싫어함’은 모든 인간에게 일률적으로 적용될 수 없는 상대적인 것이라고 여긴다. 이로부터 맹자는 인간의 내적 본성에 근거한 반응을, 장자는 상대적 구별을 초월한 ‘도(道)’ 혹은 ‘자연(自然)’에 근거한 반응을 강조한다. 감응에 대한 이러한 관점 차이는 신유학의 사유 속에도 반영되어 있다. 신유학 내에 리(理) 중심의 철학은 맹자의 성선론의 입장을 견지하면서 도덕적 반응을 인간의 본성에서 비롯된 것으로 본다. 도가적 관점에 영향을 받은 기(氣) 중심의 철학에서는 인간 마음의 본래적 상태를 어떠한 구별 의식도 없이 ‘도’의 합일된 의식 경지로서, ‘비고 고요한 것[虛靜]’으로 간주한다. 그리고 이러한 의식 상태에서의 반응을 도덕적인 것으로 여긴다. 그런데 이 두 부류의 신유학은 모두 ‘소통’의 문제를 인(仁)과 결부시켜, 타자와의 소통을 논의한다. 리 철학에서 ‘인’은 인간 본성에 내재한 도덕 원리로서 理와 동일시되는 반면, 기 철학에서 ‘인’은 기의 궁극적 상태로서 주관과 객관, 자아와 타자의 구별이 사라진 의식 경지로 파악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argument of Neo-Confucianism on the interaction(疏通) in the viewpoint of stimulus-response theory(感應論). The stimulus-response theory is the theory about the stimulation and response between human subject and external object. It is related with the natural and fundamental tendency of human being who responds to the external stimulus. I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human nature expressed with “like and dislike.” For this, Mencius said that human beings have the moral tendency “to love the good and hate the bad,” while Chuang-tzu thought that “the like and dislike” is a relative concept which cannot be universally applied to human beings. In this problem, Mencius emphasized the response based on the human internal nature[性], and Chuang-tzu the response based on “Nature[自然]” or “Way[道]” which transcends the relative distinction. This difference of view point on the gan-ying is reflected in the thoughts of Neo-Confucianism. In the Neo-Confucianism, the philosophical party focusing on Li(理) keeps the standpoint of Mencius’ Good-Nature Theory(the theory that man‘’s inborn nature is good). Meanwhile, the philosophers influenced by Taoism focuses on Qi(氣), insisting that the original state of hum an mind was “empty and serene[虛靜],” which is the conscious state unified with “Way” without any recognition of difference. And they consider the response in this conscious state as moral. Both of these Neo-Confucian parties connect the problem of “interaction[通]” to “Benevolence[仁],” recognizing that the appropriate interaction with others can be made from the virtue. But the difference is that, while Li philosophers identify “Benevolence” with “Li” as the intrinsic m oral principle in the hum an nature, Qi philosophers think of “Benevolence” as the ultimate state where the difference between subject and object or myself and others in the mind.

      • KCI등재

        신유학(新儒學)에서 마음과 도덕실천 ─장재(張載)와 이정(二程)형제의 철학을 중심으로─

        李賢仙 ( Lee Hyun-sun ) 한국유교학회 2014 유교사상문화연구 Vol.57 No.-

        이 논문은 張載와 二程형제를 중심으로 신유학 도덕 실천론과 그 근거로서 마음[心], 즉 인간 의식에 대한 상이한 관점을 조망한 것이다. 장재의 氣중심 철학과 이정 형제의 理중심의 철학은 우리의 의식이 어떤 상태일 때라야 도덕적이면서도 자연스럽게 사태에 반응할 수 있는가의 문제에 대해 견해를 달리 한다. 그들은 모두 유학에서 도덕의 근거이자 총체로 이해되는 ‘仁’의 실현을 목표로 삼는다. 그러나 장재는 이 ‘인’을 기의 본래적 양상인 ‘비어있음[虛]’에 근거지 우고, 이정 형제와 주희는 무한한 ‘생성[生]’의 리로 파악한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본체론적 차이는 도덕 실천을 위한 인간 의식[心]에 대한 관점 차이로 이어진다. 장재의 기 중심 철학은 ‘비고 고요한’ 본래적 의식 상태에 도달할 때라야 도덕 실천이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이를 위해 그는 마음을 비우는 수양과 객관적 도덕 규범으로서 예를 학습하고 실천할 것을 요구한다. 이는 인간의 주체적 도덕 능력보다 객관적 도덕 질서가 도덕 실천의 근거가 된다고 보는 것이다. 이와 달리, 이정 형제의 리 중심 철학은 본성의 발현을 체험할 수 있는 현행 의식 이외에 별도의 본래적 의식 상태를 가정할 수 없다고 본다. 이 입장에서 본성은 주체의 도덕적 능력[德]으로 간주되며, 사태 속에서 이 도덕 능력을 유지ㆍ보존할 수 있는 통일된 의식을 요구한다. 그것은 대상의 자극에 대한 주체적인 반응을 위해 하나로 집중된 의식을 의미한다. 도덕 행위 주체의 입장에서 말하자면, 전자의 관점이 외부의 도덕 기준을 수용하는 수동적 입장이라면, 후자는 내적 능력을 계발하고 발휘하는 능동적 입장에 서있다고 할 수 있다. With focus on the Zhang-Zai(張載) and Cheng Brothers(二程; 程顥 & 程頤), this thesis is looking after the different perspectives about 'Mind(心)' in other words a consciousness of human being with its basic ground placed on theory of moral practice in Neo-Confucianism. Zhang-Zai's Qi(氣) philosophy and Cheng Brothers’ Li(理) philosophy have differently viewed the issue when a human being is morally good and natural in responding to a certain situation. For both of them, the ultimate goal to be accomplished is realization of benevolence(仁) which is represented as a basic factor of morality in Confucianism. However, what make those two different is found that Zhang-Zai’s philosophy is based on ‘Emptiness (虛)’ as it’s origin whereas Cheng Brothers and Zhu-xi(朱熹)’s philosophy is based on infinite ‘Creation(生)’ as it’s origin of formation. Such an ontological difference brought about the different viewpoints on a mind of human being in taking morality into practice. Zhang-Zai's Qi(氣) philosophy keep a stance that the moral practice is possibly done when the consciousness of human being reach to the state of emptiness and serenity in mind. For this, he also expresses concern about learning and practicing Li(禮) to empty mind and putting it into practice on a self-discipline and a moral code basis. It means that a moral practice is an objective to a systematical moral order than the independent capacity of human morality. In contrast with this, Cheng Brothers’ Li(理) philosophy claim that aside from current state of mind which discern the revelation of one’ nature(性), there is no extra original state of mind to be assumed. In viewing issues from this angle, human nature is considered as the subjective moral capacity, and they demand this capacity to be maintained and preserved in any situation by unified consciousness. It is the composure(敬) that means a concentrated consciousness in order to respond subjectively in case the stimulus was processed. To be address on a moral activity, the former view is making a passive stance in adopting external regulation of morality, the latter one is rather keeping an active stance in developing and demonstrating an internal capacity.

      • KCI등재

        ≪訓蒙字會≫ ‘俗呼’ 硏究

        이현선 ( Lee¸ Hyun-sun ) 한국중국학회 2021 중국학보 Vol.97 No.-

        ≪訓蒙字會≫는 朝鮮 중종 22년(1527년)에 간행된 한자 학습서로 한자의 훈과 음을 훈민정음으로 기록하여 초학자의 편의를 고려하였다. 중국어에 능통했던 저자 최세진은 주석에 훈민정음으로 기재한 훈과 음, 한자로 풀이한 釋 외에도 ‘俗呼…’, ‘俗稱…’, ‘今俗謂…’, ‘今呼’, ‘俗指…曰…’, ‘俗呼…曰…’, ‘俗又呼…’, ‘俗又名…’ 등으로 당시 중국에서 사용하던 중국어 어휘를 수록하였다. 이는 조선시대 사역원에서 편찬한 중국어 어휘집인 ≪譯語類解≫(1690)보다 시기적으로 훨씬 앞선다. ≪訓蒙字會≫에서 ‘俗呼’ 등으로 기록된 近代 중국어 어휘들 중에는 접사 野-, 老-, -子, -兒, -頭, 명사화의 -的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現代 중국어 구어에서 지금까지 사용하고 있는 어휘도 다수 포함되어 있어 明代의 구어 어휘로 볼 수 있다. 또한 관화뿐만 아니라 남방, 옛 楚나라 지역, 河北 지역, 關中 지역, 江東 지역, 峽中 지역, 지금의 복건성 일대인 閩 지역 등지의 어휘도 수록하고 있다. Hunmongjahoe (訓蒙字會) is a textbook of studying Chinese characters including phonetic notation, was written by Choe Sejin who was expert in the study of Chinese translation in 1527, Chosun dynasty. There are many Modern Chinese vocabulary on the annotation, which starts with ‘Sok-ho’, ‘Sok-ching’ and so on. The book is much former than Yeokeoyuhae (譯語類解), the Chinese-Korean dictionary published by Sayeokwon (司譯院) in 1690. Through this study, those Modern Chinese words is considered as common colloquialism of Modern Chinese, have prefixes and suffixes like 野-, 老-, -子, -兒, -頭, -的, and many of Contemporary Chinese vocabulary. The Modern Chinese vocabulary of Hunmongjahoe (訓蒙字會) includes Modern Mandarin, also includes Southern dialect, Chu(楚) dialect, Hebei(河北) dialect, Guanzhong (關中) dialect, Jiangdong (江東) dialect, Xiazhong (峽中) dialect and Min (閩) dialect.

      • KCI등재

        장재 철학에서神(신)개념과 마음의 문제

        이현선(Hyun Sun Lee) 철학연구회 2013 哲學硏究 Vol.0 No.102

        Zhang-Zai(張載, 1033∼1077) identify the scope of the substance and phenomenon as part of the unified Ether(氣) movement, which is described as Shen(神) and Gan-Ying(感應; stimulate-respond). Shen stemmed from emptiness(虛) and purity(淸) which are based on an original state of the Great Void(太虛) implies a process of the change of the Gan-Ying in itself. Shen is substantial power which is properly responds and goes through to any type of stimulus produced in the process of the phenomenal movement and change. In Zhang`s philosophy, the major discourse on ‘Mind(心)’ can be understood in the continuity of the Ether-movement. He said that if a man returns to his Nature of qi-zhi(氣質之性) properly then the Nature of heaven-and-earth(天地之性) can be preserved in him. It means that human being is able to obtain the power of Shen by re-humanize their innate nature and restore their mind exactly identical to the Great Void. Accordingly, the major focus of his cultivation is found on regaining into the original state of mind which is the same state of the Great Voi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