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 KCI등재

        요양병원 대기공간의 유형에 따른 공간위계 분석 기초연구

        이현민 ( Lee Hyunmin ),이행우 ( Lee Heangwo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8

        (연구배경 및 목적) 노인인구의 급증은 이미 우리 사회의 중요한 이슈가 되었다. 그중 심각한 수준인 노인 의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요양병원의 수가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요양병원의 양적인 증대에 대비하여 국내 요양병원의 질적인 수준은 선진국에 비하여 낮은 수준이다. 최근 요양병원은 대형화 및 전문화되고 있는 추세로 진료부의 대기공간 또한 2개소 이상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면밀한 검토없이 적용된 다수의 대기공간은 노인들에게 혼돈과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요양병원 대기공간 유형에 따른 공간위계분석을 실시함으로써, 향후 요양병원 설계시 기초자료의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요양병원 대기공간과 공간위계분석 방법론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실시한 뒤, 공간위상도 및 공간구문론을 순차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중앙형 및 분산형 타입의 대기공간에 대한 공간구조와 접근성, 인지성을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2000년 이 후 개원하여 현재까지 운영중인 요양병원으로 대기공간 유형별 2개소의 요양병원을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요양병원의 외래부와 중앙진료부를 포함하고 있는 층으로 국한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는 요양병원의 대기공간 유형을 중앙 집중형, 중앙 분산형 및 편재 분산형으로 구분하며, 이를 분류하는 정량적 기준을 제시하였다. 2) 요양병원의 대기공간은 공간깊이가 상대적으로 얕은 잡목형 및 고리형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분산형의 대기공간이 적용된 요양병원은 중앙형에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공간깊이(depth)를 보인다. 3) 중앙형 대기공간이 적용된 요양병원은 Tree형으로 나타나며, 분산형은 Ring형의 구조를 보인다. 4) 대기공간은 연결도와 통제도가 높아 혼잡이 예상되며, 접수부는 Ring형 구조의 요양병원에서 통제도가 높게 분석되어 유리하다. 5) 요양병원에서 공간인지는 중앙형이 유리하게 나타나고 있으나 최근 요양병원은 대형화, 세분화되는 추세여서 편재 분산형이 적절한 타입으로 도출된다. (결론) 본 연구는 요양병원 대기공간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였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나, 공간의 크기 및 거리를 반영하지 않는 방법을 사용했다는 점에서 제한적 연구이다. 이에 이러한 부분을 개선한 연구가 후속되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number of nursing hospitals for the elderly has been on the rise owing to the rapid global growth of the elderly population. Compared to the increase in numbers, the quality of medical care in such hospitals in Korea is lower than that in advanced countries. Recently, an increasing number of medical departments have two or more patient waiting areas as elderly nursing hospitals grow in size and become more specialized. However, having multiple waiting areas without thorough spatial consideration can cause confusion and inconvenience to the elderly.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 spatial hierarchy analysis according to the type of waiting area in elderly nursing hospitals to establish basic data for designing elderly nursing hospitals in the future. (Method) After conducting a theoretical review of spatial hierarchy analysis methodologies, including J-graphs and space syntax, and waiting spaces in elderly nursing hospitals, the spatial structure, accessibility, and recognition of centralized and distributed waiting areas were analyzed using J-graphs first and space syntax next. The analysis targets were elderly nursing hospitals in Korea that have opened since 2000 and are still operating. Two hospitals were selected for each spatial type of waiting area. The analysis was limited to specific floors, including the outpatient and central medical departments of these hospitals. (Results) The analytical results deriv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is study presents quantitative criteria and classifies the waiting areas of elderly nursing hospitals into centralized, centralized-but-distributed, and distributed types. (2) The waiting spaces were in the form of small bushes and shallow rings with relatively small spatial depths, and hospitals with distributed waiting areas had relatively high spatial depths compared to centralized waiting areas. (3) Elderly nursing hospitals with centralized waiting areas had tree types, and the distributed areas had ring-type structures. (4) The waiting areas were expected to be crowded because of their high connectivity and control, and the reception areas were advantageous because their control was high in elderly nursing hospitals with ring-type structures. (5) Centralized waiting areas have advantages in spatial recognition, but recently, distributed areas have become more appropriate as elderly nursing hospitals grow in size and become more subdivided. (Conclus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established basic data for designing waiting areas in elderly nursing hospitals; however, it did not reflect the size and distance of each space. Therefore, follow-up studies should include these aspects to improve the results.

      • ICT 융합기술에서의 기술경쟁력이 기업 다각화에 미치는 영향

        이현민(Hyunmin Lee),김선재(Sun Jae Kim),김홍영(Hong Young Kim)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7 No.11

        본 연구는 산업조직이론과 자원기반관점을 통합하여 사업 다각화에 대한 산업환경요인과 기술역량의 결정요인들로 구성한 통합모형을 설계하고, 제안한 모형을 스마트공장 ICT융합기술(애플리케이션 및 플랫폼 분야) 특허 출원기업 272개사의 6개년(2010년~2015년) 특허 및 재무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고정효과 패널모형을 분석한 결과, 기업의 사업다각화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가운데 기술경쟁력은 사업다각화 수준을 높이는 긍정적 효과가 검증되었다. 추가적으로 2단계 최소자승 고정모형을 분석한 결과, 출원특허수 보다 특허의 기술융합수준이 기술경쟁력을 증대시키는 유의미한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기업의 ICT융합기술자원 및 역량을 바탕으로 한 사업 다각화 전략기획방향과 정부 R&D 정책과 관련하여 융합기술자원의 사업화 지원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일인가구의 대인관계와 삶의 만족 및 우울의 구조적 관계

        이현민 ( Lee Hyunmin ),김욱진 ( Kim Wook-jin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8 사회복지연구 Vol.49 No.3

        본 연구는 일인가구의 정신건강 증진의 기초 자료의 구축에 기여하기 위하여 일인가구의 대인관계와 우울의 관련성을 검증하고 이 관계에서 대인관계의 역할과 삶의 만족을 통해 발생하는 간접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하여 분석하기 위해 동거가족 없이 혼자 거주하고 있는 20세 이상 일인가구 300명을 대상으로 전국 규모의 대표성이 있는 2012년도 한국종합사회조사(Korean General Social Survey, KGSS)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대인관계의 질은 우울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대인관계가 우울의 완화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와 함께 일인가구를 고립의 대상으로 바라보기보다 친족 관계자원을 비롯해 비친족 관계자원도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이를 통해 긍정적인 대인관계를 형성해 나간다는 대인관계의 강점자원을 발견했다. 둘째, 대인관계의 질은 주관적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쳐 궁극적으로 우울을 감소시키는 삶의 만족의 간접효과가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혼자 사는 사람의 삶의 만족도 향상 및 우울 수준 완화를 위한 현실적인 실천적 개입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To form a foundation of basic materials to contribute in improved mental health of one-person househol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depression and to identify indirect effect of satisfaction with life. To this end, the study us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employing data from the 2012 Korean General Social Survey(KGSS),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urvey and targeted 300 living alone people who is older than 20 years ol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qua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has a negative effect on depression and can relieve depression. It also revealed that one-person households are not isolated from relationships and they utilize not only kin relational resources but non-kin resources while forming a positive relationships. Second, the qua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effects one’s life satisfaction which ultimately has an effect on depression. It verifies that, with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depression, there are indirect effect resulting from satisfaction with life. Based on the result of current study, practical intervention programs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and prevent depression were suggested.

      • KCI등재

        대학생 진로결정 검사도구 개발

        이현민(Hyunmin Lee),정진철(Jinchul Jeong) 한국진로교육학회 2021 진로교육연구 Vol.34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 진로결정 검사도구를 개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진로결정 관련 이론 및 국내외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적합성, 구체성, 확신성의 3개의 구인을 도출하였고, 기존 문항 활용, 대학생 인터뷰 및 문항 검토를 통해 예비문항을 도출하였다. 대학생 34명 대상 안면타당도를 검증하고, 대학생 120명을 대상으로 문항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진로교육 전공 교수 5인 대상으로 문항의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최종 문항 신뢰도 및 구인타당도 검증을 위해 대학생 534명의 자료를 분석하여, 상관관계 분석, 문항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문항의 내적일치도 계수는 기준치 이상이었고,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3개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모형적합도를 충족하였다. 본조사 결과에 따라 진로결정 검사도구로 적합성 5문항, 구체성 5문항, 확신성 5문항의 총 15문항을 확정하였다. 이 연구는 기존 진로결정 검사도구의 한계를 제시하고 진로결정의 다차원적 속성을 중심으로 하위구인을 적합성, 구체성, 확신성으로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이에 따른 후속연구 및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career decision Instrument for undergraduate students. The theories related to career decision and previous studies were reviewed: suitability, concreteness, and certainty. And preliminary questions were derived through the use of existing questions, interview with undergraduate students, and question review. The facial validity of 34 undergraduate students was verified, the questionnair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120 undergraduate students were verified, an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question was verified with 5 professors majoring in career education. In order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final question and the validity, 534 university students were surveyed, and correlation analysis, question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ion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The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 of the item was more than the standard value, three factors were derived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model fit was satisfied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a total of 15 questions were confirmed, including 5 questions for suitability, 5 questions for concreteness, and 5 questions for certainty as a career decision instrume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s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career decision instrument and identifies the career decision consist of suitability, concreteness, and certainty. Accordingly, follow-up research and practical suggestions were presented.

      • KCI등재

        소비자의 소비목표 재인식이 제품 사용 후 지각된 인지부조화 감소에 미치는 영향

        이현민 ( Lee Hyunmin ),유병희 ( Yu Grace B. ) 한국소비자학회 2017 소비자학연구 Vol.28 No.3

        혁신적 기능을 가진 기술제품의 출시가 증대함에 따라, 소비자들이 이러한 기술제품에 대한 구매 확신을 갖지 못할 경우 이들은 제품 사용 과정에서 인지부조화를 빈번하게 경험하게 된다. 효과적인 소비자 인지부조화 감소 전략은 소비자의 적극적인 신제품 수용을 유도함으로써 기업의 수요 기반을 안정시킨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행동 기반의 인지부조화 모델(Harmon-Jones, 1999, 2000)에 근거하여 행동-유도된 인지변화의 인지부조화 감소전략을 제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2회의 실험을 통해 소비자의 사전 소비목표와 실제 사용결과가 불일치하여 인지부조화가 발생한 경우, 소비자는 소비목표 재인식과 소비목표에 대한 가치재평가 등의 인지변화를 통해 인지부조화를 줄이고 지속적인 제품사용의향을 높일 수 있음을 실증하였다. 연구 1에서는 실험 1을 통하여 새로 구매한 스마트폰에 대한 인지부조화 상황에서 소비자가 소비목표를 재인식할 경우 지속적인 제품사용의향이 증대됨을 보임으로써 소비목표 재인식이 인지부조화를 감소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때 소비목표 재인식이 시간적 심적표상 유형에 따라 인지부조화 감소에 차별적인 영향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과거회상적 심적표상에서 재인식된 소비목표보다 미래예측적 심적표상에서 재인식된 소비목표가 지속적인 제품사용의향을 더 크게 증대시키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 결과는 미래예측적 심적표상을 통해 재인식된 소비목표가 인지부조화 감소에 더 효과적임을 제시한다. 연구 2에서는 연구 1에서 확인된 소비목표 재인식이 시간적 심적표상에 따라 인지부조화에 차별적인 영향력을 제공하는 원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실험 2를 통하여 디지털카메라 사용에 대한 소비목표 재인식이 인지부조화 감소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가치재평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실험 2의 결과, 실험 1과 마찬가지로 미래예측적 심적표상으로 재인식된 소비목표의 인지부조화 감소 효과가 검증되었고, 그 효과는 가치재평가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미래예측적 심적표상에서 재인식된 소비목표가 더 높은 가치로 재평가됨에 따라 제품사용의향을 증대시킨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효과적인 신제품 수용을 위한 소비목표 재인식의 중요성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소비목표 불일치가 발생한 상황에서 소비목표 재인식은 소비목표 수정을 통해 인지부조화를 감소시키고 결과적으로 지속적인 제품사용의향을 증대시킴을 제시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인지부조화 연구에 대한 이론적 기여점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As the release of high-tech products with innovative features increases, consumers who are not certain about their new product purchase decisions are likely to experience cognitive dissonance. Based on an action-based model of dissonance (Harmon-Jones, 1999, 2000), this study shows a way to reduce cognitive dissonance induced by the inconsistency between product consumption outcomes and pre-existing consumption goals. We conducted two experiments to test the effects of consumption goal activation on consumers` dissonance reduction and continued consumption intention of the chosen product, mediated by value appraisals toward the consumption goals. In study 1, using smartphone consumption experience as a context, we showed that consumption goal activation has positive influences on dissonance reduction, moderated by temporal mental representations. To be specific, the consumption goal activation through the anticipatory mental representation increased consumers` continued consumption intention of their smartphones, while the retrospective mental representation condition showed no significant impact on it.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consumption goal activation through an anticipatory mental representation is more effective for dissonance reduction than a retrospective mental representation. Study 2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underlying mechanism between consumption goal activation and temporal mental representation. Consistent with the result of study 1, the consumption goal activation through an anticipatory mental representation is more effective for dissonance reduction toward the digital camera. Furthermore, we found that the interaction was significantly mediated by respondents` value appraisals of the activated consumption goals. This finding indicates that consumption goals activated by the anticipatory mental representation are evaluated as of higher values, which in turn increase continued consumption intention of the chosen product. These two studies provide consistent evidences that consumers can reduce their post- purchase dissonance by activating anticipatory consumption goals and value appraisal process of the goal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