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독일 대공황(1928~32년)의 원인 재론

        이헌대 한독경상학회 2020 經商論叢 Vol.38 No.3

        "The cause of the “Great Depression” in Germany has not been established, and controversy continues. The traditional hypotheses have paid attention to the sharp decline in foreign loans due to the plunge in U.S. stock prices, sluggish exports due to the Reichsmark's overvaluation, and failures in Brünning's economic policy. Unlike traditional hypotheses, this article found the cause of the German Great Depression in the structural factors inside Germany. Some scholars believe that the Great Depression occurred when foreign capital rapidly outflowed from Germany as a result of the massive collapse of U.S. stock prices in October 1929. However, until 1930, the net outflow of capital was not so severe, and the capital account was rather a surplus. Their views are inconsistent with historical facts in that the sharp decline in foreign loans was triggered by the banking crisis in mid-1931, and that the German economic downturn had already started in the fall of 1927, long before the decline in foreign loans. Although the share of German exports in the world declined significantly, export sluggishness cannot be regarded as the cause of the Great Depression, considering that the share of exports compared to GNP increased until 1931. The direct start of the Great Depression was that real wages rose at a much faster rate than labor productivity, resulting in extremely sluggish private investment. Some scholars argue that the Great Depression could have been prevented if the Brünning administration had implemented a Keynesian fiscal and monetary policy. This retrospective optimism can be said to have originated from an incomprehension of the fact that the area of ​​policy at the time was extremely limited. Sufficient policy resources could not be secured, and the task of solving the “fear of inflation” and the reparation was also a significant policy constraint. Even if such an expansive policy was implemented, the political price was so great that it would not have been able to properly act as a catalyst for the economic transformation, and considering the time lag in policy effects, it is unlikely that the lowest point of the Great Depression in the summer of 1932 was advanced.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cy is also questioned. In a situation where the distribution structure was severely distorted, the expansion of fiscal expenditure would have caused inflation, the low interest rate policy would have aggravated the capital shortage caused by the reduction of the inflow of the foreign capital, and the devaluation policy would not have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the balance of payments. Since the deflation policy was a somewhat valid remedy that could be taken under internal and external constraints, the “meaning crisis” hypothesis loses its basis." 독일 ‘대공황’의 원인이 정립되지 못한 채 아직도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전통 가설은 미국의 주가 대폭락에 따른 외자대부의 급감, 라이히스마르크의 고평가 등으로 인한 수출부진, 브뤼닝의 경제정책 오류 등을 그 원인으로 주목해왔다. 이 글은 독일 대공황이 전통 가설들과 달리 독일 내부의 구조적 요인에서 그 원인을 찾았다. 외자대부 급감은 1931년 중반 은행위기를 계기로 한 것이었고, 외자대부가 감소하기 훨씬 전인 1927년 가을부터 경기가 이미 하강하기 시작했다. 독일의 GNP대비 수출비중이 1931년까지 증가했음을 감안하면 수출부진을 대공황의 원인으로 볼 수도 없다. 대공황의 직접적인 발단은 실질임금이 노동생산성보다 훨씬 더 빠른 속도로 상승하여 민간투자가 극히 부진해진 점이었다. 일부 학자들은 브뤼닝 정부가 케인스식 확장적 재정금융정책을 실시했더라면 대공황을 막을 수 있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회고적 낙관론은 당시 정책영역이 극히 제한되었다는 점에 대한 몰이해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충분한 정책재원을 확보할 수 없었고, ‘인플레이션 공포’와 배상문제 해결 과제도 중대한 정책제약이었다. 설사 확장적 경기대책이 실시되었더라도 그 정치적 대가가 매우 커서 경기전환을 위한 촉매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없었을 것이며, 정책효과의 시차까지 감안하면 1932년 여름의 대공황 최저점이 앞당겨졌을 가능성은 거의 없다. 정책의 실효성도 의심된다. 분배구조가 심하게 왜곡된 상황에서 재정지출 확대는 인플레이션을 유발하였을 것이고, 저금리 정책은 외자유입 감소로 자본부족을 더 심화시켰을 것이며, 평가절하 정책도 국제수지 개선에 기여하지 못했을 것이다. 디플레이션 정책이 대내외적 제약 속에서 취할 수 있었던 어느 정도 타당한 처방이었으므로 ‘공황의 수단화’ 가설은 그 근거를 상실한다.

      • KCI등재
      • KCI등재

        1930년대 세계대공황의 원인에 관한 재해석

        이헌대 한독경상학회 2018 經商論叢 Vol.36 No.1

        This paper examines the main causes of the Great Depression of the 1930s and tries to revise the implausible prevailing hypotheses related to it. It argues that the Great Depression has occurred in the circumstances of weakening globalization and preexisting structural problems of the world economy in 1920s, represented by the strengthening of the protectionism, the complicated conflict surrounding the war-debt and reparations, and the regulation of the immigration. This article further argues that the sudden change to pro-labour and high-wage policy regime in the United States was the direct cause of the stock market crash in October 1929. Despite this crash the situation of the world economy was not so seriously deepened until the end of 1930 and it has experienced even a short upswing in the spring of 1931. But it has started to deteriorate rapidly and deeply from the time of the collapse of the unexpected Austrian Creditanstalt in May 1931 and the following German banking crisis. Especially the German banking crisis, highlightening the problems of the German foreign debt and reparations, had as an independent and non-monetary factor strong spillover effects on the world economy, especially on the American economy. I could not find any objective evidence for the anti-factual hypotheses of M. Friedman and P. Temin based only on “retrospective optimism” that the Great Depression could have been avoided through the expansive monetary or fiscal policy. 이 논문은 1930년대 세계대공황의 핵심 원인을 분석하고 그에 관한 기존의 비현실적인 가설들을 수정하고자 한다. 보호무역주의의 강화, 전쟁채무 및 배상 문제를 둘러싼 복잡한 갈등, 이민규제 강화 등 1920년대 세계화의 후퇴과정과 세계경제의 구조적 문제에서 이미 대공황의 전조가 나타났다. 무역, 자본, 노동 등 모든 부문에서 반세계화가 대세를 이루게 되었으며 그 종착점이 ‘대공황’이었던 것이다. 대공황의 직접적인 발단으로는 1929년 10월 주가 대폭락 이전에 미국 노동시장이 친노조․고임금 체제로 급선회한 점을 꼽을 수 있다. 그러나 주가 대폭락에도 불구하고 1930년 말까지는 세계경기가 크게 위축되지는 않았고, 심지어 1931년 봄에는 세계경기가 수개월간 상승세를 보이기도 하였다. 그러나 세계경기는 1931년 5월 예기치 못한 오스트리아 크레디트 안슈탈트의 위기와 그에 이은 독일의 은행위기를 기점으로 본격적으로 악화되었다. 특히 독일의 은행위기는 독일의 외채 및 배상문제의 심각성을 부각시키면서 독립적인 비화폐적 요인으로서 영국, 미국 등 전 세계에 강력한 파급효과를 미쳤다. 미국경제는 이때부터 1933년 3월까지 한층 더 심각하게 지속적으로 악화되었다. 당시 확장적인 통화정책이나 재정정책으로 대공황을 막을 수 있었을 것이라는 “회고적 낙관주의”에 입각한 프리드먼과 테민의 가설을 뒷받침할 만한 객관적 증거는 매우 희박하다.

      • KCI등재

        세계대공황의 원인과 경제정책

        이헌대 경제사학회 1999 經濟史學 Vol.26 No.-

        이 글은 세계대공황과 관련된 최대관심사인 '원인'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었다. 기존 가설은 대공황의 원인을 대체로 정부나 중앙은행의 경제정책 실패에서 찾고 있다. 통화가설은 미 연방준비제도의 긴축정책에 따른 큰 폭의 통화량 감소를, 지출가설은 재건 국제금본위제가 디플레이션 유발적이었다는 점을 대공황의 주된 요인으로 설명하고 있다. 통화론자는 미 연방준비제도가 '공개시장매입'을 통해 통화량감소에 적극 대처했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데 비해, 지출론자는 평창재정정책의 실시가 급선무였다고 보고 있다. 대공황이 과연 '피할 수 있는' 경제정책 실패 때문에 발생했고, 어떤 유효한 경제정책을 통해 그것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었는가를 분석한 후, 몇 가지 결론을 도출하였다. 대공황을 미국에 국한된 현상이 아니라 세계적인 현상으로 파악해야 한다는 점, 대공황의 원인을 경제정책 실패보다는 1920년대 경제구조문제에서 찾아야 한다는 점, 경제정책을 통한 대공황의 회피에는 한계가 있었다는 점, 경제외적 변수도 감안해야 한다는 점 등이 그것이다.

      • KCI등재

        전후 서독경제 고성장(1950-1973년)의 원인과 성격에 관한 연구

        이헌대 한국경영사학회 2003 經營史學 Vol.32 No.-

        The years between 1950 and 1973 witnessed the longest period of uninterrupted growth in West Germany and at the highest growth rates in economic history. For West Germany the average increase in gross domestic product(GDP) during this so-called ‘Golden Age’ amounted about 5.9% percent per year. Economic growth in West Germany was more rapid than any other country because she had abundant potentiality of growth, i.e. the sufficiently remained capital stock in spite of the World War Ⅱ, the continued supplies of labour from an influx of refugees and the increase of population, and the highly increased human capital along with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Moreover, in the demand side the German export increased very rapidly after her joining in the General Agreement on Tariffs and Trade (GATT) in 1951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European Economic Community (EEC) in 1957. This article has analysed the caus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uperwachstum’ in West Germany mostly based on the Schumpeterian ‘long wave hypothesis’. The high growth rates in West Germany were certainly remarkable, but they were scarcely ‘miraculaous’. American technology played a crucial role in sparkling the rapid growth and the ‘catch-up’ process of West Germany. In addition to having forfeited her potential increment of growth, it operated with obsolete equipment and lagged behind the United States in technological progress. Technological modernization both accompanied and was an important contributory factor to the rapid growth. The change of the attitude and role of government was not its major factor. Government assumed the tasks of providing overall stability, a climate favorable to growth, and minimal protection for the economically weak and underprivileged, but the main task of producing the goods and services remained mostly to private enterprise. In conclusion, the whole process of the rapid growth in West Germany during the ‘Golden Age’ was characteristic of a world wide long wave of the natural ‘upward’ business cyc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