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눈물젖은 두만강>의 탈이념성

        이해영 한중인문학회 2006 한중인문학연구 Vol.19 No.-

        본고에서는 안수길의 <북간도>와 리근전의 <고난의 년대>라는 두 편의 소설과는 구별되는 최홍일의 <눈물젖은 두만강>의 무이념성 즉 탈이념성을 중심으로 작품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눈물젖은 두만강>이 우리 민족 이주사를 다룬 <북간도>나 <고난의 년대>와는 달리 이념성에서 벗어나기 내지는 탈이념화를 고집하였으며 그러한 탈이념화의 방법으로 역사적 시간과 역사적 현실을 차단하고 민담의 세계와 민속의 세계로 회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눈물젖은 두만강>이 민담형식으로서 소설적 형식이 미달되고 구성적으로 파탄을 보이고 있지만, 민족 이주사를 다룬 <북간도>나 <고난의 년대>가 안고 있던 이념의 과잉과 도식화에서 벗어나고자 한 점과 그를 통해 이주민들의 진솔한 삶의 모습을 보여줄 수 있었다는 점은 그 의의가 충분히 긍정되어야 한다. The Character of Anti-Ideology in Nunmuljeoteun Dumangang This paper analyzed non-ideology, that is, anti-ideology in Nunmuljeoteun Dumangang by Hongil Choi, which is distinctive from two novels; Bukgando by Sugil Ahn, and Gonaneui Nyeondae by Gunjeon Lee. In analysis, it was suggested that Nunmuljeoteun Dumangang focused on being free from ideology or being anti-ideology unlike Bukgando or Gonaneui Nyeondae, which were about the history of Korean migration; and by blocking historical time and truth and returning to the world of folk and ethnic customs, it attempted to being anti-ideology. Although Nunmuljeoteun Dumangang shows lack of novel format and solid structure since it is more of a folk tale, its attempt to break out from excessive ideology and diagraming in Bukgando or Gonaneui Nyeondae, which described the history of ethnic migrants and to show their true life should be counted for its significance.

      • KCI등재

        국가주의 정책사상은 인간중심주의인가?

        이해영 대한정치학회 2020 大韓政治學會報 Vol.28 No.2

        In this research paper I argued that the serious confusions have prevailed in the study of policy thought on the policy statism those who have argued for the anthropocentric idea and philosophy that the policy statism has based on the ideologies of the human dominance of the nature for human’s self interests and desires. I shall review and consider this philosophical understanding to the thought of policy statism that might misguide the bona fide underpinnings of the statism in policy studies. Rather the policy thought of the statism could be better understood by arguing that the state, not the human and/or non-human have dominated policymaking power and authority by exercising its policy capacities of state monopoly, supremacy, and intervention, that is termed to ‘the state- centeredness,’ in which it is the philosophical ideal for theorizing the policy thought of the statism. If we were simply to advance that the policy human as the presider of the policy statism has dominated and intervened to the policy world by the theory of human-centeredness, the human has policy capacities of the monopolized and supremacy power, in turn they have used to intervene or interfere to the autonomous and free-willed decisions and choices of the human themselves as well as non-humans. As a concluding remark, the policy statism is not underpinned philosophically and practically by the theory of anthropocentrism, whereas it is based upon the human- centeredness. 인간의 이기적 목적과 이해관계에 따라서 정책을 독점적으로 지배한다는 서구의 전통적인 인류학 중심의 인간중심주의(anthropocentrism)를 비판하면서, 본 연구는 국가주의 정책사상을 국가독점, 국가우월, 국가개입 등으로 설명하였다. 이에 따라서 국가는 정책을 통한 개인의 자유롭고도 자율적인 의사결정과 판단에 개입하거나 간섭하는 정책개입을 설명하였다. 따라서 국가중심의 정책개입을 전제로 하는 국가주의 정책사상에서 인간이 정책세계나 영역에서 주재자의 역할을 한다는 정책사상으로 인간중심주의(human-centeredness)를 주장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은 국가주의의 인간중심주의는 인간이 만물의 중심자이고 지배자라는 인간중심 사상이 아니다. 즉 인간에 의한 인간의 지배나 독점이 아니다. 또한 인간에 의한 비인간, 특히 생태나 자연을 독점적으로 지배하거나 착취하는 인간도 아니다. 국가주의 사상은 국사의 독점적이고 우월적인 결정권한과 집행권 및 통치권이 국가에 귀속된다는 것을 전제로 하면서 국가주의에서 인간중심주의를 인간중심의 인간우월과 독점 및 개입 사상 등으로 설명하였다. 이와 같은 국가주의 정책사상은 인간중심주의를 기반으로 하는 정책사상의 한 패러다임이 될 수 있다고 논의하였다.

      • KCI등재

        ‘만주국’ 조선계 문단에서의 향토 담론과 안수길의 『북향보』

        이해영 만주학회 2017 만주연구 Vol.- No.23

        This paper is a study on hometown discourse and the Korean literary world’s writing style influence on ‘Manchukuo’ and An Soo-gil's novel Buk Hyang Bo. As part of the hometown discourse of Imperial Japan, the hometown discourse of the Korean literary world started with “The Manchurian Korean Literature Construction” published in Man Sun Daily in the early 1940 and the “Japan․Korea․Manchukuo’s Cultural Forum” held by Man Sun Daily one month later. Basically, the discourse emphasized the uniqueness of Korean literature, but its essence was the preservation of Korean literature in Manchukuo which was realized with the preserving of Korean literature written in Korean. Yeom Sang-seop was the representative writer who actively pursued a theoretical search for the practice of the Korean literature in Manchukuo, and in essence preserved Korean literature. By his unique political sensitivity, he pointed out that “this guideline should penetrate to the pioneer group and should be used to foster the new-born literary activities of the pioneer group” mentioned in “Art and Literature Guidelines” was the basis of preservation and development of Korean literature in Manchukuo. He also pointed out that ‘Manchukuo’ national literature based on the pioneer literature could also be guaranteed in this way. An Soo-gil actively practiced Yeom Sang-seop’s literary theory and thought that Buk Hyang Bo was the first novel-cum-anthology of his works in Manchukuo period. An Soo-gil confirmed Korean peasants’ qualification as citizens of Manchukuo according to their contributions to the development of Manchukuo in Buk Hyang Bo, and especially emphasized the contribution of rice cultivation or the “reclamation of the paddy field”. Following Yeom Sang-seop’s thought, An Soo-gil also thought that this was a way for Korean peasants to become citizens of Manchukuo, meanwhile, the pioneer literature of Korean people and the peasant literature were the form of pioneers’ mind and the source of their mental power. For this reason, the literary thought shown in the preface of the Yeom Sang-seop in the first collection of Korean literature in Manchukuo, Burgeoning Earth and the literary thought was presented in the preface of the anthology of An Soo-gil’s works. Bukwon was a kind of spiritual pillar and food for An Soo-gil, with which he wrote Buk Hyang Bo. 이 글은 ‘만주국’ 조선계 문단의 향토담론과 그 맥락 속에서 안수길의 장편소설 <북향보>를 살펴보았다. 제국 일본의 향토담론의 일환으로 이루어진 ‘만주국’ 조선계 문단의 향토 담론은 1940년 초의 “만주조선문학건설신제의”를 제목으로 한 <만선일보> 지상토론과 이어 약 한달 뒤 <만선일보>사 주최로 이루어진 “내․선․만 문화좌담회”로부터 시작되었으며 기본적으로 ‘만주국’ 조선계 문학의 독자성을 강조하였으나 그 본질은 만주에서 조선문학의 보존, 즉 조선어로 창작되는 조선문학의 보존에 있었다. 조선문학의 보존을 핵심으로 하는 ‘만주국’ 조선계 문학의 실천을 위한 이론적 모색에 적극 나선 대표적 작가는 염상섭이다. 염상섭은 그 특유의 날카로운 정치적 감각으로 일제가 1941년 ‘만주국’에서 반포한 “예문지도요강” 중의 “예문을 개척단까지 침투시키고 싹트기 시작한 개척단의 신생문예활동을 육성해야 한다”는 조항에서 만주에서 조선문학이 보존되고 발전될 수 있는 구체적인 근거를 확보하였으며 그 방안으로 개척문학에 근거한 ‘만주국’ 국민문학으로서의 자격확보를 제시하였다. 안수길은 만주시기 작품의 총 결산이자 그의 최초의 장편소설이기도 한 <북향보>에서 염상섭의 이러한 문학이론과 사상을 적극 실천하였다. 안수길은 <북향보>에서 만주 개척의 공로를 통한 조선농민의 ‘만주국’ 국민으로서의 자격을 확인함과 동시에 벼농사, 즉 수전개간의 공로를 특별히 강조하였다. 이는 조선농민이 ‘만주국’의 국민이 되기 위한 길은 수전개간으로써 만주의 농업건설에 기여하는 것이며 조선인 개척문학 내지 농민문학은 그러한 개척민의 마음의 양식인 동시에 정신적 원동력의 공급원이 되기 때문이라고 한 염상섭의 문학사상과 동궤에 놓이는 것이다. 결국 염상섭이 재만 조선인 첫 작품집 <싹트는 대지>의 서문과 특히 안수길의 개인 창작집 <북원>의 서문에서 보여준 문학사상은 안수길에게 일종의 정신적 기둥이자 식량이 되었을 것이고 안수길은 그것을 『북향보』의 창작지침으로 삼았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