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조선과 명의 관계를 통해 본 중국패권의 작동

        이택선(Taek Sun Lee) 한국정치학회 2013 한국정치학회보 Vol.4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과 명(明)의 관계를 중심으로 중국패권의 작동방식을 고찰해 보는 데 있다. 본 연구는 거시적으로 전통시대 동아시아 국제정치질서를 문명표준과 언어표준, 그리고, 외교표준을 둘러싼 한족과 북방 민족 간의 충돌과 융합의 정치, 외교사로 해석한다. 즉, 서론에서 조셉 나이의 개념을 적용하여 중국패권의 작동을 같은 시기 속에서도 군사력과 경제력 등의 하드 파워적 권력과 유교라는 이데올로기와 문화, 그리고, 책봉조공체제라는 외교제도와 관련된 ‘표전문’과 ‘이문’등을 둘러싼 소프트 파워적 권력이 병행되어 투사되고 갈등과 협력이 공존했었던 일종의 ‘복합게임’으로 정의하고 있다. 그리고, 본론에서는 이를 미시적인 권력의 차원에서 구체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힘을 네 가지 형태로 정의한 로버트 제이아트의 이론을 사용하여 조선과 명 사이에 나타난 외교 갈등의 사례를 살펴볼 것이다. 즉, 명이 ‘이문(吏文)’과 ‘표전문(表箋文)’ 등의 외교문서의 형식에 대한 요구를 통해 조선에게 강요하였던 외교표준과 문명표준을 수용하기 위해 조선이 기울였던 노력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결론에서는 조선과 명의 관계가 1. 협력 속의 갈등(1368년-1388년)→2. 갈등(1388년-1402년)→3. 갈등 속의 협력(1402년-1474년)→4. 협력(1474-1637년)의 네 단계로 전개되었으며 하드 파워적 권력과 소프트 파워적 권력이 병행, 투사되는 일종의 ‘복합게임’으로 진행되는 복잡한 양상을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기존 연구들이 그 본질을 파악하고 유형화시키기 매우 어려웠음을 지적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plain the mechanism of the Chinese hegemony focusing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re-modern the Joseon and the Ming Dynasty. At the same time, it refers to the Joseph Nye, and Robert J. Art’s security theory of international relations. This study argues as the following. China carried out the two measures to rule the region; the use of military power and diplomatic means based on diplomatic institutions and protocols. As such, the relationship between pre-modern Korea and China indicates the form of ‘complex games’, which keep conflicts and cooperation continue, depending on Robert J. Art’s Four Forces. The four stages developed as the following; 1. conflicts in cooperation (1368~1388) → 2.conflicts (1388~1402) → 3. Cooperation in conflicts (1402~1474) → 4. Cooperation (1474~1637). Even though the Chinese hegemony has form of ‘complex games’, researchers have expressed different views on the mechanism of the China’s hegemony, depending on the periods they observe. Thu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theoretical framework to structuralize these periods and to help researchers viewing the pre-modern China’s hegemony.

      • KCI등재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의 이승만 탄핵 재검토 : 국제정치적 차원을 중심으로

        이택선 ( Taek Sun Lee ) 한국세계지역학회 2019 世界地域硏究論叢 Vol.37 No.1

        본 연구는 이승만의 6개월간의 상해 체류시절을 중심으로 이승만의 탄핵에 관한 기존입장에 대해 재검토하였다. 먼저, 쟁점의 중심 중 외교중심 독립론에 대해서 많은 독립운동가들 역시 긍정적으로 바라보았음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승만이 초대 대통령으로 추대된 것은 상당부분 미국에 의존한 외교독립을 기대한 때문이었고 이러한 기대가 좌절되자 반 이승만운동이 활성화되었음을 기술하였다. 다음으로 미국이 한국의 독립에 미온적인 입장을 표현하면서 미국중심의 외교독립론 역시 힘을 잃게 될 수밖에 없었음을 살펴보았다. 이와 함께, 이승만에 대한 탄핵이 실현되었으며 이는 이전까지 국제법에 의존한 약소국의 독립 역시 가능하다고 믿었던 이승만이 현실주의적 국제정치관을 확실히 굳히고 카리스마적 리더십을 지향하게 되는 전환점이 되었음을 재구성하여 보았다. 마지막으로 소비에트 혁명과 제1차 국공 합작으로 이어지는 국제정치의 흐름을 읽었던 안창호가 집단지도체제에 의거한 좌우합작을 지향하게 됨에 따라 이승만에 대한 탄핵은 가속도를 낼 수밖에 없었음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승만과 갈등과 화합을 반복했던 안창호가 이승만 탄핵에 가세하게 되는 것은 그가 한민족의 독립을 가장 중시했었기 때문이었음을 서술하였다. This study reexamined the 6 months Syngman Rhee spent in Shanghai (from December 5, 1920, to May 28, 1921) to reconsider the validity of the existing views that took Rhee’s impeachment as granted and called for a reappraisal of Rhee and Ahn Changho. First, many activists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were positive toward Rhee’s diplomatic independence movement. Syngman Rhee was elected the first president largely due to the expectations that he could realize diplomatic independence through the United States, but antagonism toward Rhee grew as such expectations did not come to fruition. Secondly, as the U.S. gave a luke warm response to the independence of Korea, the U.S.-centered diplomatic independence movement also lost its power. This led to the impeachment of Syngman Rhee, which became a turning point for Rhee to pursue a realist perspective toward global politics as well as charismatic leadership. Lastly, the impeachment of Syngman Rhee gathered speed as Ahn Chang-ho, who was conscious of the trends in global politics which began from the Russian revolution and led to the alliance between the Kuomintang and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decided to support the “left-right alliance” based on a collective leadership system. Ahn, who repeatedly had been in a state of conflict and harmony with Rhee, became a figure in the party against Syngman Rhee because he thought highly of independent.

      • KCI등재

        미군정 법률고문 퍼글러의 한국에서의 활동에 관한 연구

        이택선(Taek Sun Lee) 세계헌법학회 한국학회 2018 世界憲法硏究 Vol.24 No.1

        This study examined the work and roles of Charles Pergler, who served as the legal consultant of the U. S.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and was seldom a topic of research, in spite of his importance. For this, this study conducted a comprehensive analysis on previous studies and related historical data with focus on what Pergler had done in Korea from April 1946 until September 194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truct the activities of Pergler, the most highest ranking legal adviser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Then, it will contribute to the study of the vested property and constitution, still have a lot of questions. This study identified three reasons to why Pergler was dispatched to Korea. First, this study found that Pergler studied both the law of Germany, which is a part of the continental legal system, and American law, a part of the common-law legal system, and was the right person to implement American law in Korea, which had adopted the continental legal system. Second, the U. S. military government was attempting a coalition of the left and right in Korea, and took interest in the nation-building model of Czechoslovakia. Pergler had served as the Czechoslovak First Republic ambassador to Japan and once took charge in negotiations over the repatriation of POW with the Soviets. His political companion, General Radola Gadja, also remarked on Pergler’s interactions with Kim Kyu-sik and Lyuh Woon-hyung, which made him the perfect candidate for the coalition mission between the left and right. Third, this paper showed that there was a possibility that Pergler, a Czech, was appointed with Ernst Fraenkel, a German lawyer, due to his unique experience of being liberated from colonialism. This paper also examined research on Jin-gi Hong’s dissertation and collection of speeches to present new interpretations and hypotheses on the significance of Pergler’swork and roles in Korea, in terms of his handling of vested properties and the legislation of the first constitution of Korea. Finally, this study pointed out that new primary data should be found for further research on Pergler. This study further pointed out that reviewing and adding bibliographical notes on the existing data and joint research through international cooperation are necessary for future in-depth research on Pergler. 본 연구는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단일 연구주제로는 거의 연구되지 않았던 미군정 법률고문 퍼글러(Charles Pergler)에 관해 한국에서의 활동을 중심으로 기존의 연구들과 사료들을 총망라하여 1946년 4월부터 1948년 9월까지의 퍼글러의 한국에서의 활동과 역할에 관해 종합적으로 살펴보 고자 하였다. 예컨대 미군정 법률고문들 중 제일 고위직이었던 퍼글러의 한국에서의 활동에 관해 재구성한 후 이를 바탕으로 지금까지도 많은 의문점들이 남아있는 귀속재산과 제헌헌법 연구에 기여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론에서는 퍼글러가 한국에 파견된 세 가지 이유를 제시하였다. 첫째, 퍼글러가 대륙법계열인 독일법과 영미법계열인 미국법을 모두 공부하여 대륙법체계를 채택하고 있었던 한국에 미국의 법을 이식하는데 적임자였다는 사실을 언급하였다. 둘째, 당시 미군정이 한국에서 좌우합작을 추진 하면서 체코슬로바키아의 국가건설 모델에 주목하고 있었고 일본 주재 체코슬로바키아 공화국 대사로 소련 측과 포로 송환 교섭을 담당한 적이 있었고 정치적 동반자였던 가이다 장군이 김규식, 여운형 등과 교류한 적이 있었던 퍼글러가 좌우합작 관련 임무에도 적임자였음을 기술하였다. 셋째, 해방이라는 특수한 상황들을 경험해본 체코슬로바키아 출신 퍼글러가 독일 법률가 출신인 프랭켈과 함께 선택되었음을 지적하였다. 이와 함께, 귀속재산에 관한 홍진기의 논문과 연설집을 더하여 퍼글러의 한국에서의 활동과 역할의 의미에 대해 귀속재산의 처리와 제헌헌법의 제정 측면에서 새로운 해석과 가설들을 제시하 였다. 결론에서는 퍼글러 관련 연구들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1차 사료들의 발굴이 필요하며 기존 자료들에 대한 해제와 검토, 국제적인 공조를 통한 공동연구가 요망된다는 사실을 지적하였다.

      • KCI등재

        조선민족청년단과 한국의 근대민주주의국가건설

        이택선 ( Taek Sun Lee )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14 韓國 政治 硏究 Vol.23 No.2

        본 논문의 목적은 조선민족청년단을 중심으로 한국의 근대민주주의 국가건설과정을 고찰해보는 것이다. 해방 직후 한국의 상황은 일제의 수탈로 인해 철저히 피폐되어 근대 민주주의 국가를 건설하는 데 필요한 양대 축인 지배계급으로서의 헤게모니를 지닌 부르주아와 정치적 정당성을 지닌 시민사회가 모두 부재한 상황이었다. 따라서 가능한 빨리 한국으로부터 철수하기를 원하면서도 한국에 민주주의 국가를 건설해주어야만 한다는 국제사회의 여론을 수용할 수밖에 없었던 미국은 자신들의 철수 이후에도 민주주의 체제가 한국에 존속하기를 희망하면서 조선민족청년단을 지원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단시간 내에 미국의 근대국가의 기준이 한국 사회 전체로 빠르게 보급되었다. 조선민족청년단과 관련되었던 보수, 진보세력들은 1960년대 이후 국가안보와 경제발전, 민주화라는 국가건설의 과제를 성취하는데 성공하였다. 이는 비록 미국 측의 희박한 가능성을 바탕으로 한 지원이 시작점이 되었지만 단기간에 한정되었으며 이후에는 한국측의 내적 역량이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었던 것이었다. 그러나 이들 중 상당수가 경제발전 등의 공로에도 불구하고 지도계급으로서의 정치적 정당성을 인정받을 수 없었기 때문에 급작스럽게 한국에 도입된 자유민주주의가 제대로 정착되지 못하고 여전히 근대 국가건설의 과정이 진행되고 있다는 것이 본 연구의 주장이다. The object of this paper is to analyze South Korea`s development as a modern democratic state while focusing on the Korean Youth Corps. Emerging from the Japanese occupation, Korea lacked the two main building blocks of a democratic society: the bourgeoisie with the hegemonic power of a ruling class and a civil society with political legitimacy. The United States, as much as it wanted to pull out from Korea, had to respond to the international society`s demand that a democratic state be built. Thus the U.S. supported the Korean Youth Corps, which played a major role in quickly spreading the U.S. standards of a modern state throughout Korea. From the 1960s and onwards, both the conservative and liberal groups that had branched out from the Korean Youth Corps actively participated in nation-building, achieving goals such as national security, economic development and democratization. However, while the support from the U.S. initiated the nation-building process, it did not last long. In fact, such progress would not have been possible if not for the South Koreans that took up leading roles even after the support from the U.S. had been cut off. Yet many of these leaders could not obtain political legitimacy despite their contributions and democracy could not fully take root in Korea. Thus,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process of building a modern state is still ongoing.

      • KCI등재

        1910-40년대 식민지 한국에 관한 외부 국가들의 시각과 권력의 작동

        이택선(Lee, Taek Sun)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6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외국문서들을 중심으로 일본이 1910-40년대 식민지 한국에 대해 행사했던 권력의 작동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식민지 상황 고찰에 대한 객관성을 높이는 한편, 미국과 소련, 중국 등 주요 외부 행위자들이 식민지 한국과 해방 직후 한국의 분단에 대해 미친 영향을 재구성하였다. 1910년대에 일본은 강제권력과 구조권력을 작동시키는데 집중했으며, 미국은 교육계를 중심으로 생산권력을 구축해 1919년 3.1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미국의 영향력은 제1차 세계대전 참전을 조건으로 이루어진 일본의 압력행사와 1940년대 일본의 탄압으로 인해 크게 약화되었지만 라디오를 통하여 다시 응집되었으며, 이는 1945년 8월 해방과 함께 미군정이 진주한 이후 지금까지도 한국에 압도적인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원동력으로 작용하게 되었다. 1920년대에 일본은 식민지 한국에 장기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제도권력과 생산권력을 이식하려고 노력하였으며, 소련은 한국에게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외부 행위자 중 하나로 부상하기 시작해 1945년 8월 해방 무렵에는 한국에 생산권력과 제도권력을 투사시킬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었다. 1930년대에는 일본이 중국 진출을 위한 기반으로 한국을 활용하기 위해 제도권력과 생산권력을 작동시키려고 노력하였고 중국 역시 구조권력을 중심으로 한국인들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여 장기적인 차원에서의 제도권력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일본이 모든 직·간접적인 권력을 작동시킨 시기였던 1940년대에는 한국인들에게 적극적으로 강제권력을 지원하기 시작한 중국과 미국, 소련이 일본 패망 이후 한국에서의 주도권을 두고 경쟁하게 되었다. 1945년 6-7월경 한국의 임시정부는 중국과 소련 그리고 미국을 지지하는 입장들로 나뉘어져 있었고 해방 이후 한국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 확대를 우려한 미국과 소련은 동아시아에서의 세력균형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의 신탁통치에 대해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었다. This study increases the objectivity of considering the colonial experience by examining, by using international sources, Japan’s use of force on colonial Korea from the 1910s to the 1940s. It also reconfigures the effect of outside influence by the US, USSR, China, and other key powers on colonial Korea and the division of post-independence Korea. During the 1910s, Japan focused on operating “compulsory power” and “structural power.” At the same time, the US greatly influenced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s by establishing “productive power” that centered on education. American influence greatly weakened due to pressure from Japan after its participation in the First World War and after Japanese oppression in the 1940s. However, these influences again gained cohesion through the medium of radio. Such factors acted as the driving force for the overwhelmingly large American influence on Korea during and after US military rule after Korea’s liberation in August 1945, an influence that still exists even today. Meanwhile, in the 1920s, Japan tried to transplant “institutional power” and productive power in order to gain long-term returns from colonial Korea. Moreover, the Soviet Union rose to become one of the most influential external powers on Korea. Around the time of independence in August of 1945, the Soviet Union was able to provide foundations with which to project on Korea productive and institutional powers. In the 1930s, Japan started to apply institutional and productive powers in order to gain a foothold in China. China, too, strived to build influence over Koreans using structural power, thus establishing institutional power in the long term. After the collapse of the Japanese Empire, China, which started supporting compulsory power for Koreans in the 1940s at a time when Japan was applying all implicit and explicit powers, as well as the US and the USSR, competed for influence over Korea. Korea’s provisional government was divided into factions that supported China, the Soviet Union, and the United States in June and July of 1945. Fearing an expansion of China’s influence on Korea after independence, the US and the Soviet Union were reaching consensus regarding a joint trusteeship of Korea in order to achieve balance of power in East Asia.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Offensive Realism, and the Interpretation of North East Asian Regional Order

        In Hyo Seol(설인효),Taek Sun Lee(이택선)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14 전략연구 Vol.- No.62

        국제정치이론은 우리가 미래의 국제정치를 예측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친다. 우리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예측을 위해 이론에 의존하기 때문이다. 탈냉전 이후 지난 20여 년간 적어도 강대국 사이에서 안정적이고 평화적인 국제관계가 유지되면서 평화와 안정을 설명하는 다양한 이론들이 제시되었고, 현실주의는 그 이론적 설명력을 의심받게 되었다. 현실주의 내에서도 다양한 분파들이 논쟁을 벌였지만 강대국의 방어적 행태를 가정하는 방어적 현실주의가 주류의 자리를 지키고 있었다. 미어세이머(John J. Mearsheimer)의 공격적 현실주의 국제정치이론은 체제이론의 엄밀한 정교함을 유지하면서도 ‘정치 현실주의(realpolitick) 전통’에 입각한 고전적 현실주의의 지혜를 상당 부분 살려내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더불어 이 이론은 현실주의의 주요 대항 이론인 자유주의, 민주평화론, 구성주의 등에 대해 설득력 있는 비판과 반론을 제시하고 있으며, 현실주의 내에서도 방어적 현실주의와 달리 강대국이 공격적 행동으로 나아가게 되는 이유와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메커니즘을 제시하고 있다.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사태 이후 동북아 지역의 군사적 긴장은 나날이 고조되고 있다. 2008년 경제 위기 이후 G2로서 초강대국의 위상을 확립한 중국은 점차 자신의 영향권을 확대하고, 영향권 내에서 미국의 접근을 차단하고 배제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변화된 현실은 현실을 분석하는 새로운 시각을 요구하고 있으며 본 연구는 미어세이머의 공격적 현실주의가 이러한 필요에 부응하고 있다고 평가한다. 이론이 우리의 미래에 대한 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만큼 현 시점에서 다양한 이론적 시각의 상대적 강약은 무엇이며 그것이 동북아의 현실과 미래를 어떻게 설명하고 있는지 점검하는 것은 시의 적절한 일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debates between offensive realism and other alternative theoretical approaches including liberalism, democratic peace, constructivism, and defensive realism, and to predict the future order of North East Asian region from the view point of offensive realism. The article first presents the outline of Mearsheimer’s offensive realism based on his various papers and books, and after that, it analyzes the differences between offensive realism and other theories, showing why they are different and how they differently interpret the realities of international relations. After the Incident of Cheonan Battleship, bombardments of Yonpung Island and more recently the disputes arising from claimed territorial sovereignty over some disputed islands among South Korea, Japan, and China, the military tension between United States and China has been more and more escalated, which requires more realistic explanation of the whole situation. At the same time, in anticipating future North East Asian regional relations, we will come to need to interpret the real intention of China from the viewpoint of offensive realism, as time goes by. Thus it will be proper and necessary now to illuminate the essence and implications of offensive realism and relative advantages of the theory over other alternative perspectives to understand the current and future situation of North East Asian region.

      • KCI등재

        ISD 모델에 기초한 농업인 안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김진모,이택선,이경숙,김경란,길대환,김효철,이찬 한국농업교육학회 2007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39 No.3

        이 연구의 목적은 ISD 모델에 기초하여 농업인 안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으며,이를 위해 분석-설계-개발-실행-평가의 다섯 단계로 구성된 개발모형을 설정하였다. 구체적인 프로그램 내용을 개발하기 위해 환경분석,학습자분석,과제분석을 실시하였고,그 결과를 반영하여 ‘안전의식 함양’,‘근골격계질환’,‘농약중독예방’,‘농기계 안전 사용’의 4개 모듈과 10개의 레슨을 설계하였다. 요구분석 및 설계 결과를 바탕으로 농업인 안전교육 프로그램의 교재/보조 자료/매체를 개발하였다. 교재의 경우,학습자용과 강사용을 구분하여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 및 운영체제에 대한 검토 및 보완을 위한 전문가 협의회를 개최하여 프로그램 시연회를 실시한 후 교육프로그램을 수정,보완하였다. 그 후,농작업안전시범마을의 농업인을 대상으로 농업인 안전교육 프로그램을 시험 운영하였고,그 결과를 반영하여 농업인 안전교육 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또한 이상의 프로그램 개발 과정을 통해 나타난 논점을 토대로 향후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agricultural safety and health training program based on ISD Model. We set up 5step(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Evaluation) model for developing the program. After analyzing environment, learner and task, four modules(① Safety and Health Mindset, ② Musculoskeletal System Disorders, ③ Agrichemical Poisoning Prevention, and ③ Using Farm Machines Safely) and 10 lessons were designed. We developed teaching materials and supplement materials for the Agricultural Safety and Health Training Program based on need analysis and program design. Teaching materials consisted of the learner's and instructor's. The developed program was examined by expert groups and the weak points were revised through professional workshop. Finally, we tested the Agricultural Safety and Health Training Program at agricultural safety and health model village and fixed the program by reflecting the test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