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인종위기의 리듬: 아이스 큐브의 갱스터 랩 <Black Korea>

        이찬행 이주사학회 2023 Homo Migrans Vol.29 No.-

        본 논문은 로스앤젤레스에서 활동한 갱스터 래퍼 아이스 큐브가 1991년 10월에 발표한 곡 <Black Korea>에 의해 로스앤젤레스의 한흑관계가 악화 되었던 과정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와 동시에 본 논문은 아이스 큐브의 노래에 분노한 한인들의 집단적 대응에 대해서도 살펴볼 것이다. 음악적으로 보면, <Black Korea>가 실려 있는 아이스 큐브의 앨범 <<Death Certificate>>는 그가 동료 래퍼들보다 높은 수준의 랩 실력을 갖췄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Black Korea>의 가사는 노골적으로 한인 이민자 상인들을 위협하는 내용으로 채워졌다. 짧고 논란이 많았던 이 노래에 대응하기 위해 로스앤젤레스 한인 커뮤니티는 정치적 힘을 발휘하고자 했다. 또한 이러한 대립과는 별개로 흑인과 한인 사이의 관계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도 진행되었다. 그러나 두순자 사건 재판은 두 커뮤니티 사이에 화해의 다리를 놓으려는 모든 노력을 무너뜨렸다. 그 결과 1991년 겨울부터 이듬해 초봄까지 로스앤젤레스에서 한인을 대상으로 한 폭력 및 혐오 관련 사건은 급격히 증가하고 말았다. This essay examines the processes through which the release of “Black Korea” in October, 1991 by Los Angeles-based gangster rapper Ice Cube exacerbated black-Korean relations in Los Angeles. It also presents an overview of collective actions of Korean Americans against the song. Musically speaking, Ice Cube’s album Death Certificate which included a track titled “Black Korea” showed that he had reached a higher level of rapping skill than his peers. However, the lyrics of “Black Korea” explicitly threatened Korean immigrant merchants. To respond to this short and highly controversial song, Korean American community in Los Angeles sought to exert political muscle. Apart from such confrontations, there were also efforts to improve the relations between blacks and Koreans. But, the case of Soon Ja Du undermined every effort to construct a bridge between the two communities. As a result, the winter of 1991-1992 witnessed a sharp increase in violent, hate-related incidents against Korean immigrants in Los Angeles.

      • KCI등재

        SDN환경에서 DHT를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 위치자-식별자 분리 기술

        이찬행,민성기,최창원,Lee, Chan-Haeng,Min, Sung-Gi,Choi, Chang-Won 한국사물인터넷학회 2016 한국사물인터넷학회 논문지 Vol.2 No.2

        An IP address is used as a host identifier and a locator to bind hosts and applications to their location in existing Internet. Several protocols are proposed to eliminate this binding. Most of these protocols use IPv6-based host identifiers to maintain compatibility with existing Internet, but these identifiers cannot be handled by standard IPv6 routers because such identifiers are unroutable. Therefore, host identifiers need to be usually converted to locators at hosts, and the standard IPv6 protocol should be modified to interoperate with these protocol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twork-based host identifier locator separating scheme in software-defined networking. The proposed scheme separates the underlying network into Host Identity and IP domains in order to directly forward unroutable identifiers. The Host Identity domain operates as an overlaid network over IP domain, and it makes the unroutable identifiers to be routable using distributed hash table based routing strategy. For the evaluation, we compared the proposed scheme with the previous scheme using signaling costs and packet delivery costs. The result shows that the proposed scheme is more suitable in the recent mobile-based environments. IP 주소는 기존 인터넷에서 단말과 어플리케이션을 바인딩하기 위해 식별자와 위치자의 역할을 모두 갖고있다. 이러한 바인딩을 제거하기 위해 몇몇 프로토콜들이 제안되었고, 제안된 대부분의 연구들은 기존의 인터넷과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해 IPv6기반의 단말 식별자를 사용하였다. 하지만, 단말 식별자는 일반적으로 IP 도메인 상에서 라우터블하지 않은 주소이기 때문에 기존의 표준 IPv6 라우터들은 이와 같은 단말 식별자를 처리할 수 없었고, 때문에 단말 식별자는 보통 단말에서 위치자로 변경될 수 밖에 없었다. 본 논문에서는 분산 해시 테이블(DHT)을 이용한 단말의 위치자와 식별자를 분리하는 기술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기술은 기존의 네트워크를 가상의 Host Identity 도메인과 실제의 IP 도메인으로 나누어 host Identity 도메인을 IP 도메인 위에서 오버레이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함으로써, 단말 식별자를 자신의 주소로 갖는 패킷을 직접 다룰 수 있고, 가상의 도메인을 통해 라우터블하지 않은 식별자를 라우터블하게 처리할 수 있다. 제안 기술의 평가는 기존의 연구와 시그널링과 패킷 전송에 소모되는 비용을 비교하였으며, 비교 결과는 현대의 모바일 위주의 환경에는 제안한 기술이 더 적합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마주침의 공간 로스앤젤레스- 1980년대 중후반 한인과 흑인의 인종언어와 정치

        이찬행 도시사학회 2022 도시연구 Vol.- No.31

        This essay examines discursive realms that provided African Americans and Korean Americans with multiple subject-positions from which they could make sense of the Black Korean tension. In Los Angeles during the mid- to late 1980s, Korean merchants were positioned as those responsible for the underdevelopment of the black community within the languages of community control espoused by black nationalism. They were also “orientalized,” portrayed as unreasonable and unscrupulous. Through the languages of black nativism, they were considered perpetual foreigners incapable of assimilation. In response to black hostility, Korean immigrant merchants sought to frame the Black Korean conflict as an issue that could be managed through various programs for mutual understanding. Korean immigrants also argued that the Black Korean conflict was manufactured by the mainstream media. In addition, they sought to insist that such tension was inherent in any transaction between merchants and customers. Lastly, Korean immigrant merchants positioned themselves as a hardworking model minority while blaming black poverty on alleged cultural deficiencies. 본 논문은 흑인과 미주 한인들에게 다양한 주체-위치를 제공했던 담론 영역을 검토한다. 두 집단은 상이한 주체-위치를 통해 한흑긴장을 이해했다. 1980년대 중후반, 흑인 민족주의가 옹호했던 커뮤니티 컨트롤 언어는 로스앤젤레스 한인 상인들이 흑인 커뮤니티의 저개발에 책임이 있다고 주장했다. 한인들은 오리엔탈리즘에 의해 비이성적이고 비양심적인 집단으로 묘사되기도 했다. 그뿐만 아니라 흑인 토착주의는 한인들을 동화가 불가능한 영원한 이방인으로 표상하였다. 흑인들의 적대에 맞서 한인 이민자 상인들은 한흑갈등은 상호 이해를 위한 다양한 문화 프로그램에 의해 관리될 수 있는 문제라고 주장했다. 그들은 한흑갈등은 주요 언론매체가 만들어낸 것이라고 보기도 했다. 또한 한인들은 한흑갈등과 같은 긴장은 고객과 상인 사이의 거래에 언제나 내재하기 마련인 문제라고 파악하였다. 한인들은 나아가 스스로를 열심히 일하는 모델 마이너리티로 표상하면서 흑인의 빈곤은 그들의 문화적 결함 때문이라고 책망하기도 했다.

      • KCI등재후보

        "An Invisible Design": Asian Americans and the Making of Whiteness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이찬행 도시사학회 2014 도시연구 Vol.0 No.11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the U.S. immigration and naturalization policies functioned as an ideology that imagined America as a racially homogeneous space and Americans as white. And such a project of imagining the nation required an orientalist discourse that constituted Asian Americans as the undesirable "Other" in America. This essay undertakes an analysis of such a language of race embedded in the immigration and naturalization policies in such a way as to demonstrate the historical nature of whiteness. These policies, often devised not in a vacuum but in the unsymmetrical geopolitics, made paranoid efforts to keep America's "normalcy," while always suspecting its own "purity." It thus reveals the schizophrenic dimension of whiteness. By examining the Supreme Court cases (Takao Ozawa v. United States in 1922 and United States v. Bhagat Singh Thind in 1923), this essay also argues that the meaning of whiteness was unstable and there was no external referent to determine its meaning. This essay maintains that whiteness was a discursive reality because its meaning was structured by the systems of difference from Asian Americans. Although Asian Americans were the undesirable "Other"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this essay suggests that they were a "constitutive outside" that was required as part of the necessary conditions for the making of whiteness.

      • KCI등재
      • KCI등재

        White Citizenship and Asian Americans’ Subalternity: Takao Ozawa, Bhagat Singh Thind, and Easurk Emsen Charr

        이찬행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5 동국사학 Vol.59 No.-

        By analyzing two United States Supreme Court cases of Takao Ozawa v. United States (1922) and United States v. Bhagat Singh Thind (1923), this paper highlights the power of whiteness in making of the subject of Asian Americans. Takao Ozawa and Bhagat Singh Thind sought American citizenship by trying to prove that they were white. It suggests that both of them thoroughly internalized the value of whiteness. Unlike Ozawa and Thind, however, Easurk Emsen Charr oscillated between the assimilated immigrants and the permanent foreigners. By examining Charr’s autobiography The Golden Mountain: The Autobiography of a Korean Immigrant, 1895-1960, this paper emphasizes the intractability of Asian Americans, which is irreducible to whiteness, in order to identify the emergence of their subalternity within dominant discourse.

      • KCI등재후보
      • KCI우수등재

        “예측할 수 없는 과거”: 미국사 연구의 탈중심화와 재중심화

        이찬행 역사학회 2019 역사학보 Vol.0 No.243

        This historiographical essay aims to understand American historical scholarship in Korea by reflecting the recent historical research of the United States and providing projections about the future direction. From 2017 to 2018, eighty-nine journal articles and four history books were published in Korea. American historical scholarship was being decentralized in Korea by medical history, women’s history, and immigration/race studies. These three areas deconstructed the hierarchical center of American historical scholarship and enlarged the research fields of the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However, this essay also found very strong attempts to recentralize the scholarship for the last two years. The vector for recentralization came from the fields of political history and diplomatic history. Armed with new methodologies such as history from below and transnationalism, political and diplomatic historians struggled to retain their previous mainstream position in the historical scholarship. This essay maintains that such an academic competition in terms of decentralization and recentralization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American historical research in Korea. It also proved that it is just an illusion to believe that there is a permanent mainstream or a fixed and unchangeable tradition in the field of American history. 본 논문의 목적은 최근 2년 동안 미국사 연구의 경향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전망을 제시함으로써 미국사의 정체성을 이해하는 데 있다. 2017~2018년 사이에 총 89편의 논문과 4편의 단행본을 생산한 미국사 연구의 정체성은 탈중심화와 재중심화에 의해 구성된다. 탈중심화를 시도하는 분야로는 의사학, 여성사, 이민/인종 연구를 꼽을 수 있다. 이들 세 연구분야는 미국사 연구의 위계적 중심을 해체시키면서 연구영역의 확장을 적극적으로 주도하고 있다. 하지만 미국사의 기존 정체성을 유지하려는 재중심화 움직임도 매우 강하다고 할 수 있다. 정치사와 외교사에 의해 주도되고 있는 재중심화는 아래로부터의 역사학, 트랜스내셔널리즘과 같은 새로운 방법론으로 무장하면서, 기존의 주류 위치를 고수하기 위해 분투하고 있는 모습이다. 탈중심화와 재중심화 사이의 경합은 미국사 연구의 내연과 외연을 심화・확장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으며, 역사(연구)에 대한 예측불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영원한 주류 혹은 고정불변의 정통이라는 믿음은 한낱 미망(迷妄)에 지나지 않음을 다시 한 번 일깨워 준다.

      • KCI등재

        1992년 로스앤젤레스 폭동에 대한 미주 한인들의 멜로드라마적 상상 만들기

        이찬행 ( Chanhaeng Lee ) 한국미국사학회 2013 미국사연구 Vol.37 No.-

        본 논문은 1992년 로스앤젤레스 폭동에 대한 주류 사회 담론, 즉 폭동을 한흑갈등의 결과물로 파악하면서 한인 커뮤니티를 폭동의 피해자라기보다는 원인 제공자로 지목하는 폭동 담론에 맞서 한인 커뮤니티가 대항 담론을 만들어가는 과정을 검토한다. 특히, 본 논문은 멜로드라마적 상상이 한인들에게 세계를 선과 악의 대립으로 파악하고 선의 궁극적인 승리를 이야기하는 담론 구조를 제공했다고 주장한다. 멜로드라마적 상상의 언어들은 한인들로 하여금 스스로를 힘이 없으나 순수한 존재로 간주하게끔 이끌었다. 멜로드라마 언어들은 폭동으로 한인들이 겪는 고통을 의미 있는 것으로 만들었으며 한인들의 주체 위치를 흑인과 백인 사이에 불행하게 끼어 있는 무고한 피해자로 구성하였다. 멜로드라마적 상상은 나아가 한인들을 백인 지배 사회가 흑인과 백인 사이에서 벌어지는 위기를 모면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희생시킨 무고한 희생양으로 구성하기도 했다. 이상과 같은 한인들의 담론적 실천을 검토하면서 본 논문은 한인들이 멜로드라마적 상상의 미학적 형식을 전유하면서 92년 로스앤젤레스 폭동을 흑인과 백인의 문제로 재규정하고 이 과정에서 폭동에 책임이 있다는 비난에 맞섬으로써 스스로를 저항하는 정치적 주체로 형성해가는 과정에 주목한다. Special attention is given to the discursive practices by which Korean Americans created a counternarrative in response to post-riot discourse that framed the Los Angeles riots of 1992 as a result of Black-Korean conflicts, accusing the Korean community of being responsible for, rather than the victims of, the riots. In particular, I argue that a melodramatic imagination provided Korean Americans with a discursive structure for narrativizing the world as an arena in which good will eventually win over evil after enduring hardship. Languages of melodramatic imagination enabled Korean Americans to identify themselves as the powerless yet virtuous, experiencing extreme suffering. Not only did melodramatic languages place their suffering in a meaningful framework, they also discursively constituted their subject positions as innocent victims caught by mishap in the middle of a clash between Blacks and Whites. Furthermore, they constituted Korean Americans as innocent scapegoats thrown to the rioters by a “White system” in order to avert the real threat of crisis between Blacks and Whites. In examining Korean Americans’ discursive practices, I seek to shed light on the processes by which Korean Americans appropriated the aesthetic form of the melodramatic imagination to counterframe the Los Angeles riots of 1992 into Black-White issues, and to constitute themselves as political subjects confronting the accusation that Korean Americans were responsible for the riots-the authors of their own misfortu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