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비전(非戰), 반군국주의, 비핵화로서의 평화: 일본 평화 개념사의 핵심

        이찬수(Yi, Chan Su)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2018 국제이해교육연구 Vol.13 No.2

        메이지 시대부터 전후에 이르는 일본의 주요 사상가들에게 평화는 ‘비전(非戰)’, ‘반군국주의(反軍国主義)’, ‘비핵(非核)’으로 대변되는 이상적 가치였다. 전쟁을 통한 군국주의적 팽창과 그로 인한 무력적 살상을 반대하면서, 각종 물리적 폭력의 가능성을 줄이거나 없애기 위한 메시지가 일본적 평화 담론의 요지였다. 20세기 후반에는 일본의 전쟁 책임을 반성적으로 의식하고, 핵무기와 같은 전쟁 병기를 거부하면서, 전쟁포기를 선언한 ‘헌법9조 수호 운동’ 및 반핵운동으로 확장되어가는 중이라고 요약할 수 있다. 평화를 비전, 반군국주의, 비핵 등으로 이해하고 있다는 것은 현실에서는 전쟁, 군국주의, 핵발전 등 그 반대의 흐름이 더 컸다는 뜻이다. 실제로 일본에서는 메이지 시대부터 패전 때까지 78년 동안 각종 전쟁이 끊이지 않았다. 전쟁은 정당화되었고, 정의로운 것으로까지 치부되었다. 현실에서는 ‘힘에 의한 평화론’이 늘 득세해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록 ‘비’전(非戰), ‘반’군국주의(反軍国主義), ‘비’핵(非核)에 담긴 부정[非], 반대[反] 등의 언어가 주류였던 적은 없지만, 일본에서 평화와 관련된 목소리는 물리적, 특히 군사적 힘의 확대를 경계하고 비판하면서 오늘도 지속되고 있는 중이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사정과 상황을 염두에 두고서 일본 내 평화 개념의 역사(the history of the concept of peace)를 정리해보고자 한다. 일본에서는 평화 혹은 그에 해당하는 가치를 누가 제기하고 어떻게 계승해 왔는지, 일본인은 지난 수세기에 걸쳐 평화의 의미를 어떻게 상상해왔는지, 일본적 평화의 원류에 해당하는 개념이 있다면 무엇이었는지 등을 역사적 흐름을 따라 정리해보려는 것이다. 특히 일본 평화론의 기념비적 역작인『日本平和論大系󰡕에 등장하는 안도 쇼에키, 요코이 쇼난, 나카에 초민, 우에키 에모리, 고토쿠 슈스이, 우치무라 간조 등은 물론, 요시노 사쿠조, 야나이하라 타다오, 가가와 도요히코, 일본국헌법(평화헌법), 마루야마 마사오 등의 사상가가 평화를 어떻게 상상했는지도 살펴보겠다. 이를 통해 일본 평화주의자들은 대체로 제국주의, 군국주의, 자본주의, 독재정치 등을 비판하고, 자유, 민권, 사회주의, 기독교 등에 입각한 비전/반전, 징병거부 등의 목소리를 높였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함께 헌법 9조 수호 운동 및 반핵 혹은 탈핵 등으로 세분화해온 일본 평화론의 현주소도 짚어보도록 하겠다. For major Japanese thinkers from the Meiji period to the postwar period, peace was an ideal value that had been represented by the ideas of “no- war”(非戰), “anti-militarism(反軍國主義),” and “non-nuclear(非核)”. The voices to eliminate, or reduce, the possibility of physical violence were a key to the Japanese peace discourse, while opposing the expansion of militarism through war and its violent killing. The concept of peace of Japan in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can be summarized not only as a process of anti-nuclear movement but also as a campaign to defend Article 9 of the Constitution which renunciation of war was expressed while reflective awareness of Japan’s responsibility for the war arose and the renunciation of weapons, such as nuclear, was proclaimed. Understanding peace as no-war, anti-militarism, and denuclearization means that, in reality (of the 20th century of Japan), the opposite trends, such as war, militarism, and nuclear power, were superior. Practically, Japan continued to wage wars for 78 years from the Meiji period to the defeat in the Pacific War. The war was justified and even, regarded as just. In reality, ‘peace by power always prevailed. Although the negative prefixes such as ‘no-’, ‘non-’, and ‘anti-’ as in no-war, non-nuclear, and anti-militarism have never been mainstream; nevertheless, peace-related voices in Japan has been continuing to have a say in warning and criticizing the expansion of physical - and in particular, military - power. With these circumstances in mind, this paper would like to summarize the history of the concept of peace in Japan. This paper will examine historical streams to see who raised and inherited the peace or its values, how Japanese have imagined the meaning of peace over the past centuries, and what the concepts that correspond to the origin of Japanese peace were. Especially, this paper will look at how Japanese thinkers(Yoshino Sakuzo, Yanaihara Tadao, Kagawa Toyohiko, Article 9 of the Japanese Constitution(日本国憲法第9条), Maruyama Masao as well as Ando Shoeki, Yokoi Shonan, Nakae Chomin, Ueki Emori, Kotoku Shusui, Uchimura Kanzo and so on) in『A Compendium of Japan Peace Theory』(日本平和論大系), a monument to Japan s pacifism, imagined peace. This shows that Japanese pacifists have generally criticized imperialism, militarism, capitalism, and dictatorship, and raised voices toward no/anti-war and rejection of conscription based on freedom, civil rights, socialism, and Christianity. This paper will also look into the present state of Japanese pacifism, which has been subdivided into the movement for the defense of Article 9 of the Constitution, denuclearization, and/or anti-nuclear movements.

      • KCI등재
      • KCI등재

        길희성과 타나베 하지메가 불교와 그리스도교를 포섭하는 논리의 비교 연구

        이찬수(Yi Chan-Su)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8 한국학연구 Vol.28 No.-

        본 논문에서는 한국과 일본에서 불교와 그리스도교가 만나는 논리를 탐구한다. 이를 위해 그리스도교 신학과 불교학을 창조적으로 소화하는 가운데 궁극적으로 이들 간 일치의 가능성을 보는 한국의 종교학자 길희성(吉熙星, 1943-)의 신학과, 절대무(空)의 논리에 서양철학을 포섭하며 통합적 일본 사상을 이루고자 했던 타나베 하지메(田?元, 1885- 1962)의 논리를 주로 비교하며 살펴본다. 길희성은 종교다원주의적 시각에서 ‘보살예수’론을 전개하고 불교와 그리스도교의 궁극적 일치의 가능성을 탐색한다. 타나베는 ‘종의 논리’ 내지 ‘참회도로서의 철학’을 통해 절대무와 역사의 관계를 동일성 차원에서 다룬다. 그러면서 동서양 시장의 조화와 일치를 도모하며, 진리 체험의 ‘타력적’ 측면을 중시하는 데서 이들은 상통하거나 일치한다. 이들에게서 우리는 한국 내 문화적 뿌리가 얕은 그리스도교가 전통적 한국종교문화의 힘을 받아들여 비로소 그리스도교 및 한국의 종교가 될 수 있는 논리를 정립할 수 있게 된다. This paper examines the logics of connecting between Buddhism and Christianity in Korea and Japan. For this purpose, this paper makes a comparison between the theology of Korean religious philosopher Keel Hee-Sung(1943-), who sees the possibility of unity of Christianity and Buddhism in the creative digest of them, and the logics of Japanese philosopher Tanabe Hajime(l885-1962), who sought to form of unitive Japan thought through the digest of the Western philosophy in the position of thought of Nishida Kitaro based on the concept of Absolute Nothingness. Keel develops his theory of 'Bodhisattva-Jesus' in the sights of religious pluralism, and searches for the possibility of the ultimate unity of Buddhism and Christianity. Tanabe develops the inter-identity relationship of the absolute nothingness(emptiness) and the history through the unfolding of his 'logic of species' and 'philosophy as metanoetics'. The thoughts of Keel and Tanabe have something common with each other in the points that they seek the harmonization or unity of Eastern-Western thought, pay attention to the 'Other-Power' aspect of truth experience. From them, we can found the logics of how Christianity shallow-rooted in Korea can be a Korean religion through the accepting of other power as the Korean religious culture.

      • KCI등재

        연구논문 : 한국 종교의 평화 인식과 통일 운동: 기독교계를 중심으로

        이찬수 ( Chan Su Yi ) 한국종교문화연구소(종교문화비평학회) 2013 종교문화비평 Vol.23 No.23

        2011년 기준으로 남한 종교인들의 68.8%가 통일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종교를 염두에 두지 않은 일반인들의 53.7%가 통일이 필요하다고 생각한 것에 비하면, 다소 높은 수치이다.) 그리고 이 때의 통일은 평화적 통일이다. 정치적 환경 변화에 따라 한국 종교 계의 통일 의식이나 운동에도 다소 부침이 있었지만, 종교인들이 바라는 통일은, 평화학자 요한 갈퉁의 책제목처럼,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Peace by Peaceful Means)적 통 일이다. 평화는 통일의 수단이고 목적이자, 동시에 종교의 목적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종교계 통일 운동의 물꼬를 튼 “7.4남북공동성명”(1972)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개신교와 가톨릭을 포함한 기독교계의 통일 인식과 운동의 역사를 정리해보 고자 한다. 기독교계가 그동안 평화를 어떻게 생각했고, 통일을 위해 어떤 실천적 참여를 해왔는지, 그 요지와 대강(大綱)을 정리하려는 것이다. 특히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와 ‘천주교서울대교구 민족화해위원회’의 통일관과 통 일운동을 중심으로 하면서, 필요할 때마다 다양한 통일 연구자들의 연구 결과와, 불교, 원불교, 천도교 등 여러 종단들의 통일관도 포함시키겠다. 기독교계 통일 인식과 운동의 흐름이 한국 사회 전체적으로는 어떤 맥락에서 진행되어 왔는지, 그 전반적인 흐름을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아울러 향후 종교계 통일 운동은 종교들의 상호 협력을 통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는 점에서 통일을 지향하는 여러 종단의 흐름을 동시에 살펴보는 일 역시 중요하다. 그 뒤 종교들이 서로 협력하는 가운데 북한에 대한 ‘유연한 상호주의’적 자세를 가지고 21세 기 생태 환경에 어울리는 자발적이고 다원적인 통일운동으로 이어가야 한다는 제언으로 논문을 마무리하고자 한다. In 2011, 68.8% of South Korean religious believers said that unific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s needed. (This statistics is considered relatively high considering the fact that only the 53.7% of the non-religious believers said that the unification is needed.) In addition, the unification in this sense refers to unification through peace. Unification ethic and movements go through ups and downs as political environment changes. However, the actual way the religious believers expect the unification to happen is through “Peace by Peaceful Means” which is also the title of Johan Galtung`s book. The reason being is because peace is not only the tool or the purpose of unification; it is also the purpose of religions. This paper will briefly explain how unification is recognized in the realms of Christianity and what movements there have been throughout the history starting from the “South-North Joint Communiqu announced on July 4, 1972” up to today. The organizations will clarify how the peace has been considered in the realm of Christianity and what practical efforts the Christianity has contributed to unification. This paper will also incorporate the unification viewpoints and unification movements practiced from The National Council of Churches in Korea and Catholic Seoul Diocese People Reconciliation Center and include various scholars` researches, as well as unification view points in the realms of Buddhism, Won Buddhism, and Cheondogyo. By organizing the viewpoints, the paper will draw the concept of unification ethic and movements from a broad picture, particularly how the unification is recognized in the realm of Christianity, and how unification movements have aken place and had impacts on Korean society. Furthermore, because it is important to simultaneously understand how those pro-unification religious denominations flow because future direction for unification requires mutual cooperation between the religious bodies. The paper will conclude with a suggestion that the idea of “flexible reciprocity” should be incorporated when dealing with North Korea as unification movements should be understood in an environmentally sound way and should be resulted from proper understanding of unification with voluntary and comprehensive movements

      • KCI등재

        연구논문 1 : 재난: 자연의 타자화, 인간의 사물화

        이찬수 ( Chan Su Yi ) 한국종교문화연구소 2014 종교문화비평 Vol.26 No.26

        재난의 어원(한자, 라틴어)적 의미는 자연의 질서가 기존과 어긋난다고 느껴지는 현상이다. 특히 자연이 인간적 성취의 과정이자 산물인 문명을 파괴할 때 그것을 재난이라 한다. 인명이 살상되고 인간적 성취가 무너진다는 점에서 자연에 의한 문명의 파괴는 천재(天災)이면서 동시에 인재(人災)이기도 하다. 이 글에서는 천재가 인재가 되는 논리를 추적해보고자 한다. 자연적 재난 자체가 아닌, 인간의 문명이 개입된 재난, 사회적 구조로부터 비롯되는 재난의 근본 원인 및 의미에 대해 분석해보고자 한다. 특히 국내 최악의 해상 참사인 ‘세월호 침몰 사건(2014.04.16.~)’를 염두에 두고, 한나 아렌트, 슬라보예 지젝, 조르조 아감벤 등의 입장을 참조하면서, 재난이 재난이 되는 자연철학적, 정치철학적 논리를 문명 비판적 차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예외적이어야 할 재난이 사실은 자연을 타자화하며 건설해온 문명의 본질이며, 문명을 향유하는 일상의 속살이라는 사실을 드러내고자 한다. 아울러 아우슈비츠 대량학살에서 드러나듯이, 권력이 인간을 사물화하며 비인간적 예외 상태를 일상적인 것으로 만드는 보이지 않는 근간이라는 사실도 비판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나아가 종교 언어를 구체적으로 사용하지는 않겠지만, 라인홀드 니버, 엠마누엘 레비나스 등의 입장을 원용해, 재난 방지 거버넌스는 결국 진정한 의미에서의 종교적 정신과 함께 기획되고 시도될 필요가 있다는 내용을 결론으로 삼고자 한다. 제목에 담겨있듯이, 재난의 근본 원인은 ‘자연의 타자화’, ‘인간의 사물화’에서 찾아진다는 것이 이 글의 요지가 될 것이다. The original Latin meaning of disaster is a phenomenon where the natural orders have been disrupted that they have become different than before. Particularly, a disaster occurs when civilization, which is a product and an on-going process of human accomplishment, is violated by nature. Because of disasters` disruptiveness that harm civilization and undo human accomplishments, disaster is not merely a “natural disaster” but also a“human disaster.” This paper investigates the logic of how the natural disaster can turn into the human disaster. Disaster will be discussed not as a mere natural disaster, but as a configurative disaster where fundamental causes stem from humans civilizations and societal structures. Specifically concerning the Sewol Ferry disaster(2014.04.16), one of the most devastating oceanic catastrophes in the history of Korea, Hannah Arendt, Slavoj Zizek, Giorgio Agamben`s arguments will be incorporated in developing a critical view of civilization to investigate how a disaster breaks out natural-philosophically, and political-philosophically. Through this, the paper will reveal that disasters, which must have been an exception to the rules, are in essence of nature-destroying civilization formed as nature is otherized. Furthermore, as the Auschwitz Holocaust shows, the paper will also critically suggest that political power is a invisible base which cause the reification of human, inhumane exceptions can invisibly become everyday routine. Although the paper will not use religious languages frequently, it will incorporate Reinhold Niebuhr and Emmanuel Levinas`s words to conclude that governance for disaster prevention should be developed and attempted with religious spirit in mind. As the title suggests, the fact that the fundamental causes of disasters are “otherization of nature” and “reification of humans” will be the main topic of this paper.

      • KCI등재

        관계, 생명, 신학

        이찬수(Chan Su Yi) 한국기독교학회 2003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30 No.-

        All living beings are in existence closely connected with each other. Relation makes living beings living beings, i.e., life life. Life is a relation, process, and dynamic movement. Relational coexistence to the individual lives in the global life is the real state of affairs of life and essence of universe. All lives are in the structure of web. Deep ecology which attaches importance to all phenomena of life is derived from this concept of life. This deep ecology is useful to the establishment of theological doctrine of life, i.e., a reflection of God confessed as a ground and subject of all lives. An interpretation of creation by Gospel according to John: “all things were made through him, and without him was not anything made that was made”(John 1:3) can be a biblical ground of deep ecological theory of life. We can analogize the ontological-structural similarity between God and all living beings “made through Him” from this interpretation of creation. According to it, God is in all beings with the concreteness of them, is a subject of all changes of them. In other words, the being of God is various and infinite as much as the infinite of all things in universe. As Sallie McFague say, God has many bodies as well as many names. This viewpoint enlarges ‘the human being-centered theological ethics’ to ‘the all living beings-centered ethics’ of life which is in favor of the panentheism. This article aims to make hard the base of deep ecological theology and ethics which is harmonized with the relationality and theory of global life by use of theological and scientific thought of H. I. Zhang, Fritjof Capra, Meister Eckhart, Teilhard de Chardin, Charles Hartshorne, Hans Jonas, Sallie McFague, Karl Rahner etc.

      • KCI등재

        ‘베트남공화국’의 몰락: 지엠 정권의 ‘식민지적 민족주의’, ‘서구적 종교편향’, ‘하향적 반공주의’를 중심으로

        이찬수 ( Yi Chan Su ) 한국사회역사학회 2018 담론 201 Vol.21 No.1

        이 논문에서는 민주주의적 공화제를 지향하던 남베트남(베트남공화국, 1955-1975)이 공산체제를 지향하는 북베트남에게 무너지게 되는 원인과 과정을 남베트남 ‘지엠 정권’의 실정(失政)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실패의 요지는 다음과 같다. ① 지엠은 민족주의자였지만, 친미적 입장에서 비서양적 베트남의 전통을 열등시하는 ‘식민지적 민족주의’로 기울었다. 그것이 인민의 민족의식과 괴리되었다. ② 가톨릭 신자였던 지엠 및 그 일가가 남쪽으로 이주한 가톨릭 신자들을 정치적 기반으로 하면서 ‘종교 편향 정책’을 펼쳤다. 그 과정에 베트남의 대표적 종교인 불교를 차별하고 민간신앙 등 토착적 정서를 소외시키면서 민중적 지지로부터 멀어졌다. ③ 북베트남의 공산주의에 맞서는 ‘하향적 반공주의 정책’이 정치적 이념과 무관하게 살던 민중적 정서와 연결되지 못하면서 국정의 동력으로 작동하지 못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내용을 ‘식민지적 민족주의’, ‘서구적 종교편향’, ‘하향적 반공주의’라는 세 가지 키워드를 중심으로 정리하면서 지엠과 군부세력으로 이어진 베트남공화국의 몰락의 원인을 분석했다. 이와 함께 ‘남’베트남을 몰락시킨 또 다른 ‘남’의 의미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핵심은 다음과 같다. 남부의 베트남공화국에 대한 저항세력도 사실상 남베트남이다. 무너진 남베트남과 무너뜨린 남베트남을 각각 ‘표층남부’와 ‘심층남부’로 구분한다면, 지엠과 군부로 이어진 남베트남의 정권은 베트남의 표층에 머문 데 비해,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을 중심으로 하는 저항세력은 베트남의 심층을 반영했다. 그렇기에 미국과의 전쟁(베트남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었다. 심층남부가 베트남의 자존감을 회복하려던 남부지역의 반정부, 반미 저항세력에 더 잘 반영되어 있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심층남부의 정신이 오늘날 통일 베트남의 ‘도이 머이(Doi Moi)’을 작동시키는 주요 동력으로까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focuses on maladministration of Diem’s regime, in order to study the causes as well as the process of North Vietnam’s destruction of South Vietnam(the Republic of Vietnam, 1955∼1975) where the North was adopting Communism System whereas the South was moving toward Democratic Republicanism. The determinants of the failure are as follows. Diem was a nationalist, but his beliefs eventually diverged to ‘colonial nationalism,’ disregarding Vietnamese traditions for not being in accordance with Diem’s western, pro-American perspective. As a result, it was alienated from people’s national spirit. Diem who was a Catholic utilized the migrating Catholics, who had come to South, as his political foundation hence he conducted ‘policies with religious bias.’ Meanwhile, he discriminated against Vietnam’s representative religion, Buddhism, and disengaged the nation’s local customs such as Vietnamese folk beliefs, thus he lost the people’s support. ‘Top-down anticommunism’ of Diem’s regime contradicted the North’s Communism, however; it did not have political strength because it was detached from the minds of the politically inattentive people. This paper categorizes the contents into three key ideas; ‘Colonial Nationalism,’ ‘Religious Bias,’ and ‘Top-down Anticommunism’ while examining what caused the collapse of the Republic of Vietnam, a country which had been maintained by Diem and military force. Moreover, this paper observes the meaning of a different “South” that made South Vietnam fall. The key points are explained as follows. The resistance from the southern part against The Republic of Vietnam was, in reality, South Vietnam. The fallen South is addressed as ‘Surface South,’ while the South who caused the fall is called “Deep South.” Diem and the military force of the South Vietnam stayed in Surface South whereas the resisting force, with ‘Vietnamese National Liberation Front’ as a center, reflected Deep South. Accordingly, the South was able to win the war against America(The Vietnam War,) and the willpower of Deep South has become a motive for stimulating ‘Doi Moi’(Renovation) of the united Vietnam today.

      • KCI등재

        평화적 복지와 종교의 심층

        이찬수 ( Yi Chan Su ) 한국종교문화연구소(종교문화비평학회) 2020 종교문화비평 Vol.37 No.37

        이 글에서는 평화와 복지와 종교가 심층에서는 사실상 같은 세계를 지향하며 상호 순환한다는 사실을 밝혀보고자 한다. 가령 평화는 공평과 조화가 확대되고 상처와 갈등이 줄어드는 과정이다. 복지도 물질적 공평함의 차원이자, 공평을 위한 제도가 조화롭게 적용되는 과정이다. 평화와 복지 모두 불평등한 구조로 인한 상처와 갈등을 공평과 조화의 관계로 바꾸어가는 과정이다. 복지가 평화적이어야 하고, 평화가 복지로 구체화되는, ‘평화구축’과 ‘복지구축’이 평화와 복지의 목표이다. 이러한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는 합리적 의사소통을 통해 상이한 입장과 주장들에 대한 상위의 지점을 합의해가야 한다. 자기중심주의에 입각한 ‘평화들’의 충돌을 극복하고 상위의 상생적 ‘평화’를 찾아가야 한다. 다양한 ‘복지들’이 저마다의 실질적 안녕에 기여하도록 하면서 인류가 더 상위의 ‘복지’로 나아가도록 소통해야 한다. 평화와 복지는 목적론적이다. 이러한 목적론은 종교적 세계관의 기본 형식과 내용이기도 하다. 종교는 현재적 복지와 평화를 추동하는 미래적 목적으로서의 이상세계(대문자 평화와 대문자 복지)를 추구해왔다. 이 미래적인 이상세계를 현재화하는 과정이 종교의 핵심이다. ‘종교가 복지를 수행하는 것’이기도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복지가 수행되는 과정을 종교’로 뒤집어서 보는 것이다. 종교를 주어로서가 아니라 행복, 안녕, 감폭력, 공평과 같은 실질적인 내용 즉 술어 중심으로 보는 코페르니쿠스적 인식의 전환이 요청된다. 아울러 복지도 물질적 시혜의 차원에 머물지 않고, 인간의 심층적 의미와 인류의 이상적 목적이 조화된 상태로 나아가야 한다. 그것이 영적 복지(spiritual welfare)이다. 영적 복지는 역사, 문화, 사회의 심층에서 통하는 인간 존재의 상호성이 구현된 복지이다. 영적 복지는 현실의 부조화를 비판하고 갈등을 넘어서도록 끌어당기는 미래적 이상에 대한 인식능력을 사회 전반에 구현하는 과정이다. 이것이 표층적 복지 정책에 심층적 영성을 입혀준다. 영적 복지는 이상으로서의 대문자 복지(Welfare)와 대문자 평화(Peace)를 현실의 다양한 소문자 복지들(welfares)과 평화들(peaces)의 모습으로 구체화 시키는 길이다. This article will examine that the peace, the welfare and the religion, altogether are actually oriented toward the same world in its in-depth and circulate themselves over one another. Peace, for an example, is a process in which the fairness and the harmony are expanded, while the trauma and the conflicts are reduced in it. Welfare is to be materially fairness among the people and is a process in which the fairness system should be harmoniously applied. Both the peace and the welfare are the process of turning the unfair structures of trauma and conflicts into a relationship of fairness and harmony. The goals of peace and welfare are “peace-building” and “welfare-building,” where the welfare should be peaceful, and the peace is to be embodied in the welfare.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e higher points of different positions and contentions must be agreed upon through the reasonable communication. The conflicts between “peaces” based on self-centeredness must be overcome, and a higher win-win “peace” should be sought. It should be communicated so that mankind can move further toward the higher-level “welfare” while allowing various “welfares” to contribute to their own practical well-being. Peace and welfare are teleological. This teleology is also the basic form and the content of the religious world-views. Religion has pursued the ideal world (the capital “Peace” and the capital “Welfare”) as the future purpose of mobilizing present welfare and peace. The Process of being realized in here and now this futuristic ideal world seems to me to be the core of religion. While I have solid faith in “religion itself is the very performance of the welfare,” what is more important to me is to read it in a reverse way of its proceedings in which how welfare is carried out into religion. Copernican shift of perception is asked on, that from the subjective thinking of religion onto the predicate thinking, centered on happiness, well-being, reducing-violence and fairness, which is in the actual core of religion. Besides, the welfare should not remain at the level of the material dispensation but should move forward in harmony between the deep meaning of human beings and the ideal purpose of mankind. That is the “spiritual welfare”. Spiritual welfare embodies the interrelationship of human beings in the depths of history, culture, and society. Spiritual welfare is a process that criticizes the incongruity of reality and implements awareness of future ideals that attract people to go beyond conflict across society. This process gives a deep spirituality to surface welfare policies. Spiritual welfare is the way to embody the ideal capital “Welfare” and “Peace” as a form of lowercase “welfares” and “peaces” in reali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