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인의 제1형 과립각막이상증의 형태학적 특징

        이지윤,민지상,최진석,김응권 대한안과학회 2024 대한안과학회지 Vol.65 No.3

        목적: 제1형 과립각막이상증(granular corneal dystrophy type 1, GCD1)은 각막 전부기질에 회백색 과립 혼탁이 발생하는 유전 질환으로, 대부분 10세 이전에 병변이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국내에서 GCD1의 특징이 확연하게 기술되지 못한 바, 이에 유전적으로 확인된 국내 GCD1 각막의 형태학적 특징을 조사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5년부터 2022년까지 구강상피 또는 혈액을 이용한 TGFBI 유전자(transforming growth factor β induced gene) 검사에서 R555W 변이가 확인된 GCD1 환자 총 30명(60안)의 의무기록과 세극등현미경으로 촬영한 각막 사진을 분석하였다. 결과: 남성 11명, 여성 19명으로 이루어진 대상 환자의 평균 연령은 35.7세(3-70세)였으며, 모두 이형접합자였다. 이 중 28명(56안93.3%)에서 각막침착물이 표면에서 탈락한 흔적(drop-off)이 있었으며 이들은 모두 6세 이상이었다. 표면 침착물은 탈락 후 같은 위치의 주변부 가장자리부터 재발하기 시작하여 점차 중심부로 확장되는 모습을 보였다. 혼탁의 개수와 모양은 나이가 들면서 탈락과재발이 반복됨에 따라 많은 변화를 보였으며, 같은 가계구성원 내에서 나이가 많을수록 혼탁의 정도가 다양하고 선명한 혼탁은 그깊이가 기질 심부까지 침범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국내 GCD1 환자들의 각막 사진을 분석하여 형태적 특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특징들은 추후 GCD2와의 비교 연구의 발판이되어 유전자검사 시행을 통한 확진 전에 임상 소견만으로 빠른 임상 진단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Granular corneal dystrophy type 1 (GCD1) is a genetic disorder characterized by grayish-white granular deposits in the corneal stroma, typically manifesting before age 10.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GCD1 in the Korea population remain insufficiently describe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orphological features of GCD1 corneas with confirmed genetic mutations in this population. Methods: Medical records of GCD1 patients with the R555W mutation confirmed through transforming growth factor β induced (TGFBI) gene testing on oral epithelium or blood samples from 2005-2022, were analyzed. Corneal photographs obtained using a slit lamp biomicroscope were also examined. Results: The study group included 11 males and 19 females with an average age of 35.7 years, ranging from 3-70 years. All participants were heterozygotes. In 28 individuals (56 eyes, representing 93.3% of the total), there were signs of corneal deposit detachments, known as “drop-off”, observed in patients aged 6 years and above. Surface deposits reemerged at the peripheral margin of previous locations and expanded toward the center. The number and shape of opacities significantly changed with age, showing cycles of deposition and shedding. There were variations in the severity of opacities within the same family, particularly with advancing age, and distinct opacities extending into deeper stromal layers. Conclusions: This study outlines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rneas in Korean GCD1 patients, based on corneal photograph analysis. These findings provide a basis for future comparative studies with GCD2 and may aid rapid clinical diagnosis based on clinical findings, prior to genetic testing confirmation.

      • SCOPUSKCI등재

        Expression of Fra1 and Fra2 Genes are regulated by Estrogen in the Mouse Uterus

        이지윤,홍석호,나희영,김성훈,채희동,김정훈,강병문,김문규,Lee, Ji-Yoon,Hong, Seok-Ho,Nah, Hee-Young,Kim, Sung-Hoon,Chae, Hee-Dong,Kim, Chung-Hoon,Kang, Byung-Moon,Kim, Moon-Kyoo The Korean Society for Reproductive Medicine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0 No.4

        연구목적: 스테로이드 계통의 에스트로겐 호르몬은 막 수용체와 결합하고 DNA에 부착되어, 자궁조직에서 발현되는 많은 유전자들의 발현 양상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난소를 제거한 생쥐 모델을 이용하여 에스트로겐에 의해 조절되는 전사 관련 유전자(transcription factor)들을 동정하고, early up-regulation gene으로 확인된 Fos related antigen (Fra1과 Fra2) 유전자의 발현 양상을 RT-PCR과 면역염색방법으로 살펴보았다. 연구재료 및 방법: 난소 절제술을 시행한 생쥐에 에스트로겐을 피하주사하고 2, 4, 6, 12시간 간격으로 자궁조직을 적출하였다. 대조군으로는 sesame oil만을 주사한 후 2시간째에 수획한 자궁조직을 사용하였으며, 시간대별로 채취한 자궁조직(n=4)에서 RT-PCR을 수행하였다. RT-PCR을 통해 early response gene으로 확인된 Fra1과 Fra2에 대한 에스트로겐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estrogen receptor antagonist인 ICI 182, 780을 주사하여 유전자 발현 양상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또한, 자궁조직내에서의 단백질 발현 부위를 관찰하기 위해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실시하였다. 결 과: 생쥐 자궁조직에서 에스트로겐에 의해 발현 양상의 변화가 확인된 유전자는 early up-regulation genes (CREB2, Fra-1, 2, GATA5), late up-regulation gene (E2F1), no response genes (CREB1, ATF1, GLI3, E2F3), down-regulation genes (GLI2, E2F5, GATA-2, 3, 6) 등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그 중 early up-regulation genes에 해당하는 Fra1과 Fra2 유전자는 ICI 182, 780에 의해 그 발현이 유의하게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p < 0.01). 이들 단백질은 생쥐 자궁조직의 상피세포층, 기질층, 근육층에서 고루 발현되었으며, 특히 근육층에서 강한 염색정도를 관찰할 수 있었다. 결 론: 이상의 결과를 통해 Fra1과 Fra2 유전자의 발현은 에스트로겐에 의해 조절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들의 강한 발현이 자궁조직의 근육층에서 관찰되어 이들의 기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기업 ESG활동이 내부종사원의 조직결속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이지윤,왕의니,김재영,안대천 한국유통경영학회 2022 유통경영학회지 Vol.25 No.5

        Purpose: Drawing upon the recent findings and theories in CSR research, this study intends to test the effects of corporate ESG activitie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employees and their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pecifically, the effects of employees’ perceptions of the three dimensions for ESG activities, environmental protection, social responsibility practices, and governance on their affective, calculative, and normative commitment and the resulting effects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ere examined.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Measurement items were measured using a Likert-type 5-point scale based on previous studie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in a large firm and 300 sampl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Reliability test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performed for research validity and reliability. Results: The results show that a firm’s environmental protection activities significantly influence all the three dimension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was also found that social responsibility practices have a positive effect on calculative commitment and governance have a positive effect on normative commitment. Additionally, Affective and calculative commitment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corporate citizenship behavior.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normative commitmen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corporate citizenship behavior. Implications: These findings have theoretical implications in that it newly highlights the potential effects of ESG activities on employe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moreover, multi-dimensional natur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may better explain the differential effects of ESG activities on employees’ corporate citizenship behavior. The significant role of affective commitment in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SG activities and corporate citizenship behavior may add new theoretical implications, too. Practically, the study findings suggest that managers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different rol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ugmenting the internal marketing effects of their own ESG activities.

      • 전통 노리개에 사용된 보석의 현대적 변용 연구

        이지윤,정양희 한국귀금속보석학회 2013 한국귀금속보석학회지 Vol.7 No.4

        인류의 역사와 함께 성장해온 장신구는 단순히 몸을 아름답게 치장하기 위해서 뿐 아니라 자신의 사회적 지위와 신분을 나타내기 위해서 또는 간절한 염원이나 신앙을 담은 도구로 사용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장신구에는 그 민족의 미의식과 생활관, 문화, 사회성이 내재되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선사시대, 삼국시대를 지나면서 우리 선조들은 화려하면서도 다양한 종류의 장신구들을 제작ㆍ착용하였다. 특히 조선시대에는 노리개, 떨잠, 비녀 등의 장신구가 발전하였고 금ㆍ은 등의 금속류와 함께 옥, 산호, 호박 등의 보패류를 사용하여 장신구를 제작하였다. 궁중 왕실에서부터 평민에게까지 전 계층의 여인네들이 즐겨 착용했던 전통 장신구는 외국의 복식ㆍ장식문화의 유입과 함께 큰 변화를 겪게 된다. 즉, 일상에서 늘 착용하던 장신구에서 박물관 전시물, TV사극 속 소품 그리고 장인들의 재연품으로 그 의미가 바뀌게 되었다. 또한 맹목적인 서구형 장신구의 제작과 사용은 우리 고유의 독창성이 담긴 전통 장신구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가 되고 있다. 현대 장신구의 특징은 독특한 재료와 제작기법을 사용하여 제작자와 착용자간의 소통과 착용자의 개성과 미적 감각을 보여주는 수단으로 인식되어 하나의 예술분야로 자리잡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 장신구 중 노리개를 응용하여 개성과 감성을 중시하는 현대적 장신구로의 변용 가능성과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노리개는 여성의 가슴을 장식한다는 점에서 현대 여성들이 즐겨 착용하는 브로치, 목걸이와 그 용도가 유사하여 현대적 변용의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간주된다. 또한 노리개에 사용된 보석을 살펴봄으로써 그 속에 담긴 의미와 조형성을 현대 장신구에 접목시켜 장신구 제작 시 보석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 KCI우수등재

        Changes in Urinary MDA and 8-OHdG Concentrations due to Wearing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and Performing Protective Behaviors among Agricultural Workers in Korea

        이지윤,지경희,김보경,박석환,김판기 한국환경보건학회 2017 한국환경보건학회지 Vol.43 No.6

        Objectives: Oxidative stress and DNA damage have been proposed as mechanisms linking pesticide exposure to health effects such as cancer and neurological diseases. We investigated whether protective measures could significantly reduce the levels of biomarkers for oxidative stress and DNA damage in agricultural workers. Methods: In the present study, the levels of malondialdehyde (MDA) and 8-hydroxy-2’-deoxyguanosine (8OHdG), biomarkers related to oxidative stress and DNA damage, respectively, were analyzed in urine samples collected from agricultural workers in two provinces of Korea (n=60). The influence of wearing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PPE) and performing protective behaviors on the levels of these two biomarkers was also evaluated. Results: The median urinary levels of MDA and 8-OHdG were 10.45 nmol/mg creatinine and 14.42 ng/mg creatinine in subjects living in region A, while they were 6.25 nmol/mg creatinine and 24.77 ng/mg creatinine in subjects living in region B, respectively. The levels of MDA and 8-OHdG were higher in male farmers. Farmers wearing greater numbers of PPE and performing more protective behaviors had significantly lower levels of MDA. Greater numbers of protective behavior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ower levels of 8-OHdG.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 that pesticide exposure could induce oxidative stress and DNA damage in agricultural workers, and that protective measures are important for mitigating pesticide exposure.

      • KCI등재후보

        손상된 흰쥐 척수에 태아 척수 조직 이식이 미치는 영향

        이지윤,최창락,안병태 대한신경외과학회 2004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Vol.35 No.1

        Objective:Previous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axon regeneration or remyelination after spinal cord injury occurs when provided with a suitable substratum such as fetal spinal cord (FSC). We carry out this study to determine whether FSC transplants can reduce the glial scar at the interface between host and graft. Methods : Hemisectioned spinal cord injury was made by aspiration at T3 or T4 spinal cord level in rat. Cell suspension of E-14 FSC was introduced into the injured cavity contaning glial scar tissue. To indentify the transplanted cells from host tissue, FSC cells were labeled with DiI. Rats were sacrificed at 1,2,3, and 8 weeks after transplanation and spinal cord was undergone serial sections for immunocytochemistry and histological observation. The observation by electron microscope was carried out too. Results : We could observe that the FSC transplants survived in host spinal cord and generally occupied most of the neuron-depleted area. Examination of serial sections through the graft-host interface which had been immunoreacted for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demonstrated that the glial scar was no longer a continuous wall separating the graft and host tissues at eight weeks after injury. We could observe oligodendrocyte and the reformed myelin at the interface by electron microscope. Conclusion : The fetal spinal cord transplant can reduce an established glial scar or restrict the reformation of a scar following surgical manipulation, and that the FSC transplant can promote remyelination. Key words:Spinal cord injury;Fetal spinal cord transplantation;Reactive gliosis;Glial scar;Remyeli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