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페미니즘 연극에서 창작자들이 사유해야 할 지점들에 대한 고찰

        이지영 ( Yi¸ Ji Young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21 한국어와 문화 Vol.29 No.-

        국내 연극계는 서지현 검사의 미투(#Me Too) 이후로 페미니즘 관점을 적극 수용하는 페미니즘 계열의 공연들이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특히, 2010년대 후반부터 국내 페미니즘 공연들은 여성과 소수자들의 드러나지 않았던 목소리와 그동안 묵과했던 사회구조적 문제점들을 전면에 내세우며 자성의 시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여성 창작자들이 주목받는 부차적인 효과 역시 견인하고 있다. 관객들도 이제는 젠더-프리(Gender-free) 캐스팅이나 젠더-밴딩 (Gender-bending, 성별의 구분을 모호하게 만드는 것) 캐스팅을 유쾌한 전복으로 받아들이는 등 짧은 사이에 변화되고 성숙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필자는 페미니즘 계열의 공연들이 더 안정적으로 국내 공연계에 정착하기 위해서는 창작자들이 고민해야 할 지점과 논의 되어야 하는 지점들이 있다고 보았다. 본고에서는 페미니즘 공연의 창작자들이 사유하고 경계해야 할 지점들을 크게 세 가지로 압축해 보았다. 첫 번째는 공연을 통해 여성 또는 소수자들의 다양한 정체성과 교차성 (intersectionality)을 입체적으로 복원시키기 위해서는 기존 접근법의 답습이 아닌 새로운 접근 법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특히, 페미니즘 공연의 주제나 소재가 실존 인물이나 사건을 바탕으로 하는 경우에 다른 공연들과 달리 조심스러운 접근법이 필요한데 이 경우, 페미니스트 페다고지 (Feminist Pedagogy) 전략들에서 그 해답을 찾을 수 있다고 보았다. 두 번째는 성별 이분법에 저항하는 공연의 전략과 표현들이 상투적이거나 단순하면 그것은 오히려 기존의 젠더 고정관념을 강화시킬 수 있다는 점을 창작자들이 인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여성성과 남성성을 단순 도치시키는 방법, 성별의 고착화 된 특성을 희화화해서 웃음을 유발하는 표현방식들은 자칫하다가 기존의 성별 고정관념을 더 강화시킬 수 있으니 경계해야 할 것이다. 세 번째는 위의 페미니즘 접근법과 성별 이분법에 저항하는 다양한 전략을 찾기 위해서는 창작자 모두가 수평적 관계에서 협업하며 다양한 접근법을 제시할 수 있는 공동창작의 방식이 가장 유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본고는 국내 페미니즘 공연들이 안정적으로 정착화 되고 새로운 지평을 열어가기 위해 창작 주체들이 고민해야 할 지점들을 짚어봄으로써 페미니즘 공연의 발전에 아주 작은 기여를 할 수 있다는 믿음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In the domestic theater community, a performance in which feminist perspectives are actively embraced is sprouting like a fashion, after the #Me Too declaration by prosecutor Seo Ji-Hyun. In particular, since the late 2010s, feminist performances in Korea have uncovered hidden voices of women and minorities, and social structural problems that have been overlooked so far were brought to the fore. This provides a time for self-reflection and at the same time unexpectedly brings female creators to the spotlight. The theater community is showing a changed and mature attitude in a very short time; for example, it accepts gender-free casting or gender banding (which obscures the gender distinction) casting as a pleasant turnaround. However, it seems that in order for feminist performances to more stably settle in the domestic performance community, there are things that the creators must consider and discuss. In this paper, three major points are summarized that the creators of feminist performances should consider and be warned against. The first is that in order to three-dimensionally restore the various identities and intersectionalities of women or minorities through performances, a new approach is needed, instead of repeating the existing approach. In particular, when the subject or subject matter in feminist performances is based on real people or events, unlike in other performances, a careful approach is needed. In this case, it seems that the answer can be found in the feminist pedagogical strategy. Second, If the strategies and expressions used in the performances that defy gender dichotomy are clichéd or simple, they can reinforce the existing gender stereotypes, which creators should recognize. Since methods of simply switching between femininity and masculinity, and expressions that mock the stereotyped characteristics of gender to induce laughter may backfire, reinforcing existing gender stereotypes, to which the creators should pay attention. Third, we need to find a variety of approaches about the above feminist approach and how to defy gender dichotomy. To that end, the co-creation method, in which all creators collaborate in a horizontal relationship and present various approaches, seems to be the most useful. This paper explored the points that the creators should consider in order to stabilize domestic feminist performances and open up new horizons. Thus, I believe this exploration can make a very small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feminist performances.

      • KCI등재

        한국 고소설을 통해 본 한국역사문화의 트라우마와 치유 -역사, 사회, 가족 ; 조선시대 장편한글소설에 나타난 못된 아버지와 효자 아들의 갈등

        이지영 ( Ji Young Yi ) 한국고소설학회 2015 古小說 硏究 Vol.40 No.-

        조선시대에 효는 사회질서의 근간이었고 집안에서 아버지의 권한은 절대적이었다. 그런데 당대의 장편한글소설 <유효공선행록>과 <보은기우록>에는 난폭하고 不仁한 ``못된 아버지``가 등장하여 아버지를 따를 수 없는 문제적 상황이 설정된다. 이들 소설에서 주인공인 아들은 극단적 상황에서도 아버지에게 성심을 다하는 효자이다. 그동안 효자 아들의 이러한 형상에 대해서 관념적이라는 평가가 있었지만, 이들 작품에서 그려지고 있는 효자 아들의 정신적 고통은 지극히 현실적이다. 효자 아들은 ``못된 아버지``로 인해 좌절하고 절망하며, 피를 토하는 신체적 병증까지 보인다. ``못된 아버지``로 인해 고통 받는 아들의 방어기제는 크게 두 가지로 나타난다. 먼저 <유효공선행록>의 유연은 아버지의 잘못을 장인에게 전가시킨다. 이는 부부갈등과 부자갈등을 유발하게 되고 유연은 스스로 아들에게 폭력적인 아버지를 재연한다. 반면, <보은기우록>의 위연청은 아버지의 잘못을 합리화하는 과정에서 아버지를 이해하게 되면서 상처를 치유하고 아버지의 권위에서 벗어나 이상적인 가장의 모습을 보여준다. 여기에서 부자갈등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하는 단서를 찾을 수 있다. In Joseon period the filial piety was regarded as the source of all virtues, and the authority of father was absolute. But we can see cruel and bad fathers who did not love their sons in the novels of Joseon period written in Korean, Boengiwoolok and Yuhyogongsunhanglok, while their sons were always dutiful to their bad fathers even in an extreme situation. Many scholars said the filial piety of the sons are ideological and unreal. But I examined the state of their mind and knew that the despair, depression and emotional wounds of the sons are described fully and realistically in the novels. The mental sufferings of the sons often appeared in the shape of disease symptoms like hematemesis, vomiting blood. There are two kind of reactions of the sons in the novels. In Yuhyogongsunhanglok the son blamed another person for problem arisen from his father, but blaming another person and suppression of his resentment could not heal his wounded mind, and he showed his negative image as a oppressive father, that was similar to his father. In the Boengiwoolok the son rationalized the father``s fault. In the process he could see the good side of his father and understand him, so he could govern his family well. Here we can find the clue for resolving the conflict between father and son of the present.

      • KCI등재

        이광수의 <일설춘향전>에 대한 再考

        이지영(Yi, Ji-young) 한국현대문학회 2016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49

        한동안 통속적인 소설로만 인식되었던 이광수의 <일설춘향전>이 2000년대 이후부터는 ‘국민문학’과 ‘근대소설’로의 개작으로 재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일설춘향전>을 <옥중화> 및 <고본춘향전>과 비교해 보면, 개작의도가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은 전반부이며 후반부로 갈수록 <고본춘향전>의 사설을 그대로 수용하고 있다. 그리고 <옥중화>와 <고본춘향전>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서술이 중복되거나 어긋나는 착종도 나타나고 있다. 이는 이광수의 춘향전 개작이 치밀한 구도에서 이루어지지 않고 신문연재를 위해서 그때그때 서술되면서 나타난 결과라 할 수 있다. 또한, <일설춘향전>은 춘향을 헌신적이고 희생적인 기생으로 형상화하고 있으며 월매는 속물적인 인물로 그리고 있다. 그리고 방자는 우직하지만 고달프게 사는 민중의 전형이다. 이러한 인물형상화는 이광수의 ‘계몽적 의도’가 반영된 것이라고 할 수 있지만, 한편으로 <일설춘향전>이 지향하는 통속성을 드러낸다. 즉, 헌신적인 여주인공은 사랑에 대한 대중의 환상을 반영하며, 흑백논리 속에서 구현되고 있는 이광수의 계몽의식은 통속적 권선징악과 상통한다. 이러한 점으로 볼 때, ‘국민문학’을 내세운 『동아일보』의 춘향전 연재는 춘향전의 통속성을 기반으로 하여 흥행을 염두에 둔 기획이었다고 할 수 있다. Another Chunhyangjeon is adaption of Chunhyangjeon which is a famous traditional novel of Joseon period. It was serialized from September 1925 to January 1926 in Dongailbo, a daily newspaper. Before the series, the newspaper put a notice saying that Another Chunhyangjeon was a adaption of Chunhyangjeon for a true National Literature by Lee-Kwangsu. Lee-Kwangsu was the first class writer and serialized the sensational novel Regeneration just before Another Chunhyangjeon. His novels was characterized by enlightening, and his tendency to teach the people influenced the characters of Another Chunhyangjeon as a fathful servant Banja, greedy Wolmae and devotional sweetheart Chunhayang. But his attempt to adapt Chunhyangjeon was not successful. Although in part Lee rewrote Chunhyangjeon to modern novel, Most part of text was the copy of Flower in Prison and Old Chunhyangjeon. Besides there are many errors and mistakes. I attribute these problem to the serialization newspaper. Dongailbo’s purpose of serial of novel was to increase the circulation, and Chunhayngjeon was chosen because of the popularity. The ‘True National Literature’ was a empty justification of popularity.

      • KCI등재

        <옥중화>를 통해 본 20세기 초 ‘춘향 형상’의 변화

        이지영(Yi, JI-Young)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6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32

        춘향전은 1920년대까지 가장 많이 팔린 소설책이었다. 이러한 춘향전의 인기는 기생인 춘향이를 기생 아닌 춘향이로 변모시킨 <옥중화>의 개작에 힘입은 것이었다. 19세기까지 대부분의 이본에서 춘향은 기생이었다. 이는 춘향전의 주향유층이었던 남성들에게 춘향이 욕망의 대상으로 존재했던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완판 84장본에서도 춘향이의 신분은 기생이 아닌 것으로 바뀌었지만 춘향이는 여전히 기생으로서의 면모를 강하게 유지하고 있으며, 신재효의 <남창춘향가>에서도 춘향은 근 본적으로는 기생이다. 이와 달리 <옥중화>에서는 춘향이가 스스로 자신도 양반이라고 주장하며 여염집 처자로서의 면모를 보인다. 이러한 변화는 매일신보의 풍속개량의 방향과 맞물려 있다. 즉, 지나치게 음란한 대목을 ‘산정(刪定)’해야만 했기에 ‘기생 아닌 춘향’이 요구되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관기제도가 폐지되고 기생조합이 설립되면서 기생에 대한 대중의 인식이 달라진 점도 변화의 원인으로 꼽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옥중화>의 춘향은 여중군자로서의 면모를 보이면서 주체성이 강화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옥중화>의 춘향은 여전히 욕망의 대상이다. 춘향이 기생이 아니면서도 욕망의 대상으로서 존재할 수 있었기에 <옥중화>는 흥행할 수 있었다. 이는 당시에 기생 외에도 여학생등이 등장하면서 남성들 시선에 포착된 점과 관련이 있다고 본다. The story of Chunhyang was the most popular novel in early 20th century. The story of Chunhyang had been read in various version, and the text which people chose in 1910s was The Flower in Prison rewritten by Yi, haejo. Chunhyang, the heroin of The story of Chunhyang, had been gisaeng, but in The Flower in Prison Chunhyang changed to the daughter of noble although her mother is low born gisaeng. I inferred two reason of the change that the abolition of the caste system changed public perception of gisaeng and the newspaper publication of The Flower in Prison affected Chunhyang's social position. Chunhyang as gisaeng was the object of man's sexual desire and the obscenity was connected to the pleasure in gisaeng's room. So to publish in newspaper, Chunhyang was recreated as noble lady, who is literate and independent. But Chunhyang still was the object of desire, although she was not gisaeng. It confers the fact that in 1910s the girl student of modern school was the new object of desire. The man in 1910s wants to falling in love with girl student of modern school. The popularity of The Flower in Prison is from the new character of Chunhyang who has the image of girl student.

      • KCI등재
      • KCI등재

        <상사동기>, <옥소선>, <심생전>의 "열정적 사랑"에 대하여

        이지영 ( Ji Young Yi ) 한국고소설학회 2013 古小說 硏究 Vol.36 No.-

        본고는 17∼18세기에 창작된 <상사동기>, <옥소선>, <심생전>을 대상으로 근대 이전 존재하였던 사랑의 감정을 고찰하였다. 이들 작품은 주인공이 걷잡을 수 없는 사랑에 빠져 사대부로서 보장된 삶을 포기한다는 점에서, 주인공이 소외감에서 비롯되는 보상심리로 인해 사랑에 빠지는 <만복사저포기>나 <주생전>과 차이를 보인다. 이들 소설에서 주인공의 충동적이고 열정적인 사랑은 조선 전기 잡록류의 일화에 나타난 무절제한 정욕과 유사하다. 그러나 사랑에 빠진 주인공을 비판적 거리를 두고 서술하는 잡록의 서술자와 달리, 애정전기의 서술자는 주인공의 시점에서 그 내면을 섬세하게 서술하고 있다. 열정적 사랑에 대한 당대 사대부의 관심과 동경에는 중국 인정소설의 영향도 작용했을 것이다. 이러한 관심은 현실에 대한 저항보다는 무관심에서 비롯된 잉여의 감정에 가깝지만, 집단을 벗어난 개인의 감정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나타난다는 점에서 감정에 대한 인식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This study is on the love of three novel written in 17th and 18th century. They are a kind of Cheongi-soseol novel, written in Hamun, the old chinese. From 17th to 18th, several Cheongi-soseol texts was written, and among them we can fine three peculiar texts, Sansadonggi(The story of Love avenue), Oksoseon(Geisha Oksoseon), and Simsaengjeon(Sim`s love story). The heros of three novels who belong to the upper class and have the world before them, for their love they gave up all. The narrators described their ardent love in sympathetic voices. Above all, in the three novels sincere love is differentiated from sexual desire. The hero of Sansadonggi saw a beautiful girl, and he chased the girl. The girl was the a maid of Prince Hoisan. The hero wanted sexual intercourse with the girl, but the girl deferred until he infiltrated house of Prince Hoisan. The hero of Oksoseon said good bye calmly to Geisha Oksoseon with whom he lived and have sex several years. But after he arrived in Hanyang, one day he could not resist to his longing for Geisha Oksoseon, so he left to the city Pyungyang, where she lived. He realized his love that surpassed sexual desire. The hero of Simsaengjeon who was attracted to a girl of middle class, stayed all night for about a month under the eaves of the girl`s house. The passionate love of three Cheongi-soseols, reflected the mood of Chosun`s noblemen who long for love as the passionate emotion.

      • KCI등재

        유한당사씨언행록을 통해 본 조선시대 여성지성의 의식과 지향

        이지영 ( Yi Ji Young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4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28

        <유한당사씨언행록>은 유한당이라는 허구적 여성인물의 언행을 서술 한 텍스트이다. 규장각 소장 <책목록>이나 <연경당언문책목록> 등에서 도 제목이 발견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선행연구에서 밝힌 30종의 이본 외에도 6종이 추가로 확인되는 바, 당대의 사대부 여성들에게 널리 읽혔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책은 유한당과 가족들의 문답 형식으로 전개되고 있는데, 문답의 내용은 경전어구의 해석을 비롯하여 각종 사물의 명칭유래, 승경, 초목, 풍수, 태교, 육아, 치산 등 다양하여 문답식 백과사전 이라 할 만하다. 이 책은 표면적으로는 규범서처럼 보이지만, 남녀의 성별지식을 강조 하는 여느 규범서와는 큰 차이가 있다. 우선 주인공 유한당은 여성이면 서도 남성을 능가하는 박식함을 보이며, 학문공부에서의 남녀구별을 비판한다. 유한당은 여성으로서의 한계를 자각하면서도 학문을 통해 여성 의 한계를 넘어서고 있으며 ‘체행’을 강조함으로써 독특한 학문적 경지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유한당의 면모는 당대 여성지성의 면모와 닮았다. 여성으로 추정되는 작자는 유한당을 통해서 현실에서는 드러낼 수 없는 자신의 학문적 역량을 허구적으로 드러냄으로써 여성으로서의 한 계를 극복하고자 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The records of Yuhandang is the fictional text, that wrote the life of Yuhandang the fictional character. The title is found in the list of books which was written in 19th, and there are 36 versions of the text. So I suppose it was widely read among Joseon`s high class women. This text which pretended to be a record of Yuhandang`s life is comprised of her behavior and mainly dialog with her family. The questions and answers among Yuhandang and her elder brother, husband, parents-in-law, sons and daughters and grandsons and granddaughters etc. show the process of her learning and teaching. So it seems to be a records of education. It ranges from interpretations of Confucian`s canons to origin of thing`s name, method of child-rearing, like a encyclopedia. The postscripts of versions say that Joseon`s high class women regarded this text as some kind of moral text. But the eruditeness and critical view on the gender knowledge transgress the line which limited the freedom of Joseon`s women and made them stay in their home. Yuhandang is similar the Joseon`s female intellectuals, who could not achieve what they wanted in real life. The writer who is supposed to be a women may surpass the limits and oppressions in fictional text.

      • KCI등재

        춘향전의 가치에 대한 비판적 검토

        이지영 ( Ji Young Yi ) 한국고전문학회 2013 古典文學硏究 Vol.44 No.-

        그동안 춘향전의 가치는 주로 근대지향적인 주제의식과 관련하여 논의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연구자의 문제의식을 반영한 것이지만, 다양한 계층에서 호응을 얻었던 춘향전의 존재맥락을 포착하지 못하였다. 근대지향적인 춘향전은 저항의 주체인 ‘춘향의 이야기’로만 해석된다. 그러나 텍스트 전체의 서술비중 과 시점을 고려할 때 춘향전은 춘향을 욕망하는 ‘이도령의 이야기’이다. 이도 령은 향유집단의 욕망이 투사된 존재이며, 다양한 이본은 시기와 계층에 따라 다층적으로 존재하였던 향유집단의 문화를 반영한다. 춘향전은 고정된 텍스트가 아니기에 춘향전의 해석 역시 당대 향유집단의 문화적 맥락 속에서 이루어 져야 한다. 춘향전은 20세기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변화하면서 향유되었다. 춘향전의 가치는 이처럼 지속적으로 변모하면서 향유되어 온 문화텍스트로서의 속성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Since 1930 the scholarly study began, the literary value of Chunhyangjeon has been found in the modern-oriented resistance of Chunhyang, the heroin. This modern-oriented inclination has the meaning as a the critical discourse on the Korean society. But because of the trend, the cultural context of Chunhyangjeon has been ignored. The text is understood as only modern-oriented work, and it is read as the story of Chunhyang. However in the text the first part that the youngman and young girl fall in love and the youngman leave, is narrated much more than the middle part that the girl resists to the demand of the newly-appointed governor for sexual intercourse. All the more the story is narrated mainly in the view of Mongryong, the youngman, so the reader would read the text as the youngman`s love story. The man readers identify them with Mongryong, project of their desire to him. Therefore various version of Chunhyangjeon reflected the desires of the readers. Thus the text of Chunhyangjeon is constantly changed to new forms and new images. The the literary value of Chunhyangjeon can be found in the diversity and manifoldness as the popular-oriendted cultural text.

      • KCI등재

        이야기세계와 실제세계의 관계로 본 춘향전의 ‘성이성 모델설’

        이지영(Ji young Yi) 판소리학회 2023 판소리연구 Vol.56 No.-

        이 글은 춘향전이 실존인물을 모델로 하여 창작되었다는, 이른바 실존인물 모델설을 실제세계와 이야기세계의 관계양상으로 고찰하였다. 춘향전이 실존 인물의 이야기라는 주장은 19세기 문헌에서도 나타난다. 이러한 주장은 춘향과 이도령이 실제세계에서 존재했다는 믿음에 기반하고 있다. 성이성이 이도령의 실존인물이라는 주장은 1965년 성안의 선정비가 발견되면서 형성되었다. 성이성 모델설은 성이성의 부친이 남원부사라는 점, 성이성이 호남암행어사를 했다는 점과 함께 ‘금준미주시’를 성이성이 호남암행어사로 출두하였을 때 지었다는 성섭의 기록에 근거하고 있다. 그러나 김동욱은 춘향전은 허구라는 점을 강조하며 성이성 모델설은 비판하였다. 1999년에 설성경은 성이성 모델설은 다시 주장하였는데, 이를 KBS 『역사스페설』에서 다큐멘터리로 제작하면서 확산되었다. 그러나 설성경의 성이성 모델설은 성이성과 이몽룡의 공통점만 부각시킨 것으로, 광한루가 객사로 사용되었다는 사실을 간과한 채 눈보라 치는 날 성이성이 광한루를 방문했다는 <호남암행록>의 기록에 지나친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역사스페설』에서는 <호남암행록>과 『교와문고』 등의 문헌을 근거로 내세우면서 성이성 모델설을 주장하였는데, 이에 힘입어 성이성 모델설은 지역의 관광 마케팅에 이용되었고 위키백과 등 인터넷 사이트에서는 성이성의 실제모델설이 기정사실화되고 있다. 이야기세계에 관심이 높은 경우 사람들은 실제세계에서 허구적 인물이 존재했다고 믿는 경향이 있는데, 춘향전의 실존인물설이 제기된 것도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그런데 성이성 모델설은 대중독자의 관심에서 자발적으로 형성된 것이 아니라 문화마케팅 차원에서 인위적으로 형성되었다. 더구나 오늘날 춘향전은 대중이 몰입할 수 있는 이야기세계가 아니다. 이런 점에서 고전 춘향전에 기대고 있는 성이성 모델설은 문화마케팅 콘텐츠로서 한계가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assertion that Chunhyang-jeon was templatized upon real individuals and explores the interplay between the real world and the story world. The assertion that Chunhyangjeon is grounded in the life of an actual person, also found in 19th-century records. The Seongyiseong model theory centers on the notion that both Chunhyang and Lee Doryeong existed in reality. This theory originated in 1965 with the discovery of a monument commemorating Seonganui. It is supported by three key elements: Seongyiseong’s father’s position as a Namwon magistrate, Seongyiseong’s covert role as a royal envoy in the Honam region, and the composition of the poem “Good Wine in a Golden Drink Cup” attributed to Seongyiseong during his covert mission. However, Kim Dong-wook emphatically asserted that Chunhyangjeon is a work of fiction, disputing this assertion. In 1999, Seol Seong-kyung reasserted the Seongyiseong model theory, which led to the production of a KBS documentary History Special. This gained momentum and was utilized by Bonghwa-gun for local tourism promotion. However, Seol Seong-gyeong only highlighted the parallels between Seongyiseong and Lee Mong-ryong, while overlooking the historical context of Gwanghallu as a guest house and exaggerates the significance of Seongyiseong’s visit to Gwanghallu on a snowy day as depicted in “Honam Amhaengrok. The History Special partially endorsed Seol Seong-gyeong’s assertions, further exploring the Seongyiseong model theory by referencing documents such as “Honam Amhaengrok” and Kyowamungo. As a result, the Seongyiseong model theory is exploited in local tourism marketing. Notably, on platforms such as Wikipedia, it is gaining traction as an established narrative. When people are deeply immersed in a storyworld, they often believe that fictional characters exist beyond the confines of the storyworld. The notion that Chunhyang and Lee Doryeong were real figures aims to connect this storyworld to actual world. However,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at the Seongyiseong model theory did not emerge from the voluntary immersion of the masses; rather, it was strategically constructed through cultural marketing strategies. Furthermore, Chunhyangjeon no longer captivates contemporary audiences. In this regard, the Seongyiseong model theory, stemming from the traditional Chunhyangjeon, demonstrates limitations as cultural marketing conten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