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만화본춘향가>의 서술방식과 주제의식 고찰

        이지영(YI Ji-youung) 국문학회 2022 국문학연구 Vol.- No.45

        이 글은 <만화본춘향가>의 서술방식을 분석하고 주제의식을 고찰하였다. <만화본춘향가>에서는 서술자가 다양한 시점으로 서술하는 가운데, 이도령의 시점과 목소리로 서술하는 대목이 우세하게 나타난다. 이도령의 시점으로 서술되는 경우 서술자의 목소리가 이도령의 목소리로 전이되면서 이도령의 목소리가 서술자의 목소리와 섞이는 현상이 자주 나타난다. 이도령의 목소리로 서술되는 몇몇 대목에서는 서술자의 존재가 크게 약화되면서 이도령의 1인칭 서술처럼 보이기도 한다. 이 경우 이도령이 춘향을 ‘너’로 지칭하지만 춘향의 목소리는 들리지 않아 마치 연극의 방백이나 독백처럼 보인다. 이러한 서술방식은 <서상기>의 창(唱) 부분과 유사하여 판소리를 통해 굴절된 <서상기>의 영향이 아닌가 한다. <만화본춘향가>에서 이도령의 시점과 목소리가 우세하게 나타나는 것은 유진한이 춘향가를 ‘이도령의 이야기’로 전유하였기 때문이다. 이도령이 춘향과 혼인하여 행복하게 사는 후일담이 확장된 것도 이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즉, 이도령의 시점과 목소리가 두드러지는 서술방식과 후일담 확장은 텍스트에 투사된 애정에 대한 작자의 관심과 기대의 결과로 보인다. 애정담에 대한 작자의 관심은 남휘의 <송여승가>에 대한 비판을 반박한 <만화본춘향가>의 구절에서도 확인되는데, 유진한은 <만화본춘향가>를 통해서 사랑하는 사람과의 유복한 삶을 상상한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examines the narrative description and themes of Manwha-Chunhyangga, which Yoo Jin-han, 18th-century local aristocrats recreated Chunhyangga into classical Chinese long poem. In Manwha-Chunhyangga which the narrator describes from various perspectives, there are many scenes described from perspective and voice of young Master Yi, the hero. Describing from the perspective of Yi, the voice of the narrator is transferred to Yi s voice which is often mixed with the voice of the narrator. In some parts described with Yi s voice, the presence of the narrator is greatly weakened as Yi s first-person narrative. In the scene Yi call Chunhyang you , Chunhyang s voice not heard, as he say in an aside or monologue. I estimated that this narrative description might be influenced by Pansori and Romance of the Western Chamber s inserted song. The reason why Yi s point of view and voice dominate in Manwha-Chunhyangga is that Yoo Jin-han appropriated Chunhyangga as a story of young master Yi It is also related to this point that the afterwards story had been expanded. In other words, the narrative description and expansion of afterwards story appear to be the result of Yoo Jin-han s projection of expectation for love on this text. The author s interest in love stories is also expressed when he refuted criticism of Female monk s song in the verse of Manwha-Chunhyangga . I conclude that Yoo Jin-han imagined a happy life with his beloved woman through this work.

      • KCI등재

        <옥중화>를 통해 본 20세기 초 ‘춘향 형상’의 변화

        이지영(Yi, JI-Young)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6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32

        춘향전은 1920년대까지 가장 많이 팔린 소설책이었다. 이러한 춘향전의 인기는 기생인 춘향이를 기생 아닌 춘향이로 변모시킨 <옥중화>의 개작에 힘입은 것이었다. 19세기까지 대부분의 이본에서 춘향은 기생이었다. 이는 춘향전의 주향유층이었던 남성들에게 춘향이 욕망의 대상으로 존재했던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완판 84장본에서도 춘향이의 신분은 기생이 아닌 것으로 바뀌었지만 춘향이는 여전히 기생으로서의 면모를 강하게 유지하고 있으며, 신재효의 <남창춘향가>에서도 춘향은 근 본적으로는 기생이다. 이와 달리 <옥중화>에서는 춘향이가 스스로 자신도 양반이라고 주장하며 여염집 처자로서의 면모를 보인다. 이러한 변화는 매일신보의 풍속개량의 방향과 맞물려 있다. 즉, 지나치게 음란한 대목을 ‘산정(刪定)’해야만 했기에 ‘기생 아닌 춘향’이 요구되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관기제도가 폐지되고 기생조합이 설립되면서 기생에 대한 대중의 인식이 달라진 점도 변화의 원인으로 꼽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옥중화>의 춘향은 여중군자로서의 면모를 보이면서 주체성이 강화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옥중화>의 춘향은 여전히 욕망의 대상이다. 춘향이 기생이 아니면서도 욕망의 대상으로서 존재할 수 있었기에 <옥중화>는 흥행할 수 있었다. 이는 당시에 기생 외에도 여학생등이 등장하면서 남성들 시선에 포착된 점과 관련이 있다고 본다. The story of Chunhyang was the most popular novel in early 20th century. The story of Chunhyang had been read in various version, and the text which people chose in 1910s was The Flower in Prison rewritten by Yi, haejo. Chunhyang, the heroin of The story of Chunhyang, had been gisaeng, but in The Flower in Prison Chunhyang changed to the daughter of noble although her mother is low born gisaeng. I inferred two reason of the change that the abolition of the caste system changed public perception of gisaeng and the newspaper publication of The Flower in Prison affected Chunhyang's social position. Chunhyang as gisaeng was the object of man's sexual desire and the obscenity was connected to the pleasure in gisaeng's room. So to publish in newspaper, Chunhyang was recreated as noble lady, who is literate and independent. But Chunhyang still was the object of desire, although she was not gisaeng. It confers the fact that in 1910s the girl student of modern school was the new object of desire. The man in 1910s wants to falling in love with girl student of modern school. The popularity of The Flower in Prison is from the new character of Chunhyang who has the image of girl student.

      • KCI등재

        20세기 초 미주 한인 소설 <부도>에 대한 고찰

        이지영 ( Yi¸ Ji-young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0 民族文化硏究 Vol.89 No.-

        <부도>는 1세대 미주 한인 전낙청이 한글로 쓴 미발표 장편소설이다. 19세기 말 평안도 정주를 배경으로 한 부도와 외대의 사랑이야기가 중심으로, 부도와 외대가 서로를 점차 사랑하게 되는 과정과 외대가 다른 남성과 혼인한 이후에도 지속되는 이들의 사랑을 섬세하고 그리고 있다. 외대의 혼인 이후 부도는 외대 외에도 수무·우목·기화 등 다른 기혼여성들과도 동시에 교제하는데, 외대가 병으로 죽고 청일전쟁이 일어나자 부도와 여성들은 칠학산에 모여 음주가무를 즐기다 홀연 사라진다. <부도>에는 <구운몽>·<앵앵전>·<홍루몽>을 읽었던 작자의 독서경험이 반영되어 있다. 여러 여성과 한 남성의 사랑은 <구운몽>의 영향이라고 할 수 있으나 사랑이 혼인으로 이어지지 않고 여성 주인공이 비극적으로 죽는 결말은 <앵앵전>과 <홍루몽>의 영향으로 보인다. 또한 전낙청은 자신의 젊은 시절 고향에 대한 기억을 소설에 수용하고 있다. 즉, 자신과 출생연도가 비슷한 주인공 부도를 통해 자신이 기억하는 고향 정주의 풍경과 사람들의 삶을 세밀하게 그린다. 그러나 부도의 뛰어난 상업수완이나 여러 여성들과의 파격적인 사랑은 작자의 경험이 아닌 허구이다. 전낙청은 고된 노동에 시달리는 이민자로 살면서 현실에서 이루지 못한 욕망을 소설적 허구를 통해 성취했던 것이다. Budo is the full-length novel written in Korean by Nak chung Thun (1876-1953), the first generation Korean American. Budo is a love story of hero Budo and heroin Oe-dae, depicting delicately how they fall in love. Budo and Oe-dae could not get married because of both parents’s opposition, nevertheless they continue their love. In addition, Budo gets in love with other married women besides Oe-dae, so the women who all are married with other man, shares love of Budo. At last Oe-dae died. And Budo and other women disappear and remain stones. Budo appears to have been influenced by pre-modern fictions such as The Cloud Dream of the Nine, Romance of the Western Chamber and Dream of the Red Chamber. The love of a man and a plural woman was taken from The Cloud Dream of the Nine while the tragic ending of love was from Romance of the Western Chamber and Dream of the Red Chamber. Thun created a new form of love from such traditional novels. In writing Budo, Thun recall his memories in his hometown, Chŏngju, P’yŏngan-do. Through his memory, Thun describes the scenery of his hometown in the late 19th century. But Budo is not his autobiography. The hero is fictionalized as the character of extraordinary ability in love and business. After immigration, Thun suffered from poverty and racism, and his wife died in tragic. Because of this situation, for Thun writing a novel was a fictitious achievement of frustrated desires.

      • KCI등재

        <사씨남정기> 한문본과 한글본의 비교 분석-규장각 소장본과 장서각 소장본을 중심으로

        이지영(Yi Ji-Young) 한국문학회 2004 韓國文學論叢 Vol.37 No.-

        This study is on the difference of Sasi-Namjoengi's two variant. The one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is possessed by Gyuchang-gak(규장각), and the other in korean is possessed by Changsoe-gak(장서각). The variant in classical Chinese was translated by Kim-Chuntack(김춘택). He was the high class gentleman, and the taste and ideology of the class was reflected in it. That is the narrator's slant to Confucianism and calm attitude to implied reader. He thought that the novel should have been written by the style of historian. On the contrary, the variant in Korean is not so ideological. The narrator is intimate with the implied reader. All the more, the two have different verisimilitude. Classical chinese‘s is correctness and the korean' is vividness of scene. The relation between language and text is inferred as follows. The difference of reader and their culture made two kind of variant. Most of all, I focused on the way of reading. The text in Classical chinese was read silently, and the text in korean read loudly. This difference effected the formation of text.

      • KCI등재

        조성기 사유와 <창선감의록> 작자의식의 간극에 대하여

        이지영 ( Ji Young Yi ) 한국고전문학회 2010 古典文學硏究 Vol.38 No.-

        이 글은 오랫동안 <창선감의록>의 작자로 거론되었던 조성기의 사유와 <창선감의록>의 작자의식을 비교한 논문이다. 우선 <창선감의록>의 서문에 언급된 ``원감록``은 명나라 문언소설 『화영집』에 수록된 <동구후전>일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근거로, 서문의 ``余``는 곧 <창선감의록>의 작자일 것으로 추정하였다. 서문 및 본문에서 <창선감의록>의 작자는 천명을 강조하고 있는데, 도덕적 당위로서의 천명을 허구적으로 이룬 것이 바로 <창선감의록>이라고 할 수 있다. 반면에 조성기는 천명을 객관적 존재법칙인 理의 구현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또한 <창선감의록>의 주인공 화진은 조정에 엄숭이 득세하자 아버지에게 귀향을 권했다. 이는 때가 불리하면 은거하여 몸과 가문을 보존하는 것이 현명하다고 본 당시 사대부의 의식을 반영한 것이다. 그러나 조성기는 개인의 안위를 위해서 출사를 거부하는 행위를 강하게 비난했다. 이처럼 그동안 <창선감의록>의 작자로 거론되어 온 조성기의 사유는 <창선감의록>에 나타난 작자의식과는 간극이 있다. 이는 소설과 철학의 글쓰기 관습의 차이일 수도 있고 젊은 시절의 조성기와 중년 이후 조성기의 차이일 수도 있다. 그러나 조성기가 <창선감의록>의 작자가 아닐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This paper is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hought of Changsun-gamerok`s author and thought of Cho-sungki, who has been supposed as the writer of Changsun-gamerok. At first, I assumed that ``Wongamrok`` mentioned in the prologue of Changsun-gamerok is The story of Donguhoo, Ming`s story, and the narrater of prologue is the author. In the prologue and the story, the author emphasizes Providence(天命). Changsun-gamerok fictionalize the history in that Providence is realized and the justice come true. On the other hand, Cho-sungki considered Providence as the realization of Li(理), the law of nature. His idea of Providence is similar to that of natural science. And Whajin, the hero of Changsun-gamerok advises his father to leave the Royal Court Where the opposition party seize power, meanwhile Cho forced Yimyoung, his relative and friend, to enter the Court. Cho thought that the official must not avoid the Court for the safety of himself and his own family. As I said, the thought of Cho-sungki is different from the thought of Changsun-gamerok`s author. We can supposed the difference is caused by the distance between novel and philosophy, or Cho in early life and Cho in middle age. Most of all, we can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another author of Changsun-gamerok.

      • KCI등재

        <상사동기>, <옥소선>, <심생전>의 "열정적 사랑"에 대하여

        이지영 ( Ji Young Yi ) 한국고소설학회 2013 古小說 硏究 Vol.36 No.-

        본고는 17∼18세기에 창작된 <상사동기>, <옥소선>, <심생전>을 대상으로 근대 이전 존재하였던 사랑의 감정을 고찰하였다. 이들 작품은 주인공이 걷잡을 수 없는 사랑에 빠져 사대부로서 보장된 삶을 포기한다는 점에서, 주인공이 소외감에서 비롯되는 보상심리로 인해 사랑에 빠지는 <만복사저포기>나 <주생전>과 차이를 보인다. 이들 소설에서 주인공의 충동적이고 열정적인 사랑은 조선 전기 잡록류의 일화에 나타난 무절제한 정욕과 유사하다. 그러나 사랑에 빠진 주인공을 비판적 거리를 두고 서술하는 잡록의 서술자와 달리, 애정전기의 서술자는 주인공의 시점에서 그 내면을 섬세하게 서술하고 있다. 열정적 사랑에 대한 당대 사대부의 관심과 동경에는 중국 인정소설의 영향도 작용했을 것이다. 이러한 관심은 현실에 대한 저항보다는 무관심에서 비롯된 잉여의 감정에 가깝지만, 집단을 벗어난 개인의 감정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나타난다는 점에서 감정에 대한 인식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This study is on the love of three novel written in 17th and 18th century. They are a kind of Cheongi-soseol novel, written in Hamun, the old chinese. From 17th to 18th, several Cheongi-soseol texts was written, and among them we can fine three peculiar texts, Sansadonggi(The story of Love avenue), Oksoseon(Geisha Oksoseon), and Simsaengjeon(Sim`s love story). The heros of three novels who belong to the upper class and have the world before them, for their love they gave up all. The narrators described their ardent love in sympathetic voices. Above all, in the three novels sincere love is differentiated from sexual desire. The hero of Sansadonggi saw a beautiful girl, and he chased the girl. The girl was the a maid of Prince Hoisan. The hero wanted sexual intercourse with the girl, but the girl deferred until he infiltrated house of Prince Hoisan. The hero of Oksoseon said good bye calmly to Geisha Oksoseon with whom he lived and have sex several years. But after he arrived in Hanyang, one day he could not resist to his longing for Geisha Oksoseon, so he left to the city Pyungyang, where she lived. He realized his love that surpassed sexual desire. The hero of Simsaengjeon who was attracted to a girl of middle class, stayed all night for about a month under the eaves of the girl`s house. The passionate love of three Cheongi-soseols, reflected the mood of Chosun`s noblemen who long for love as the passionate emotion.

      • KCI등재

        유한당사씨언행록을 통해 본 조선시대 여성지성의 의식과 지향

        이지영 ( Yi Ji Young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4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28

        <유한당사씨언행록>은 유한당이라는 허구적 여성인물의 언행을 서술 한 텍스트이다. 규장각 소장 <책목록>이나 <연경당언문책목록> 등에서 도 제목이 발견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선행연구에서 밝힌 30종의 이본 외에도 6종이 추가로 확인되는 바, 당대의 사대부 여성들에게 널리 읽혔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책은 유한당과 가족들의 문답 형식으로 전개되고 있는데, 문답의 내용은 경전어구의 해석을 비롯하여 각종 사물의 명칭유래, 승경, 초목, 풍수, 태교, 육아, 치산 등 다양하여 문답식 백과사전 이라 할 만하다. 이 책은 표면적으로는 규범서처럼 보이지만, 남녀의 성별지식을 강조 하는 여느 규범서와는 큰 차이가 있다. 우선 주인공 유한당은 여성이면 서도 남성을 능가하는 박식함을 보이며, 학문공부에서의 남녀구별을 비판한다. 유한당은 여성으로서의 한계를 자각하면서도 학문을 통해 여성 의 한계를 넘어서고 있으며 ‘체행’을 강조함으로써 독특한 학문적 경지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유한당의 면모는 당대 여성지성의 면모와 닮았다. 여성으로 추정되는 작자는 유한당을 통해서 현실에서는 드러낼 수 없는 자신의 학문적 역량을 허구적으로 드러냄으로써 여성으로서의 한 계를 극복하고자 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The records of Yuhandang is the fictional text, that wrote the life of Yuhandang the fictional character. The title is found in the list of books which was written in 19th, and there are 36 versions of the text. So I suppose it was widely read among Joseon`s high class women. This text which pretended to be a record of Yuhandang`s life is comprised of her behavior and mainly dialog with her family. The questions and answers among Yuhandang and her elder brother, husband, parents-in-law, sons and daughters and grandsons and granddaughters etc. show the process of her learning and teaching. So it seems to be a records of education. It ranges from interpretations of Confucian`s canons to origin of thing`s name, method of child-rearing, like a encyclopedia. The postscripts of versions say that Joseon`s high class women regarded this text as some kind of moral text. But the eruditeness and critical view on the gender knowledge transgress the line which limited the freedom of Joseon`s women and made them stay in their home. Yuhandang is similar the Joseon`s female intellectuals, who could not achieve what they wanted in real life. The writer who is supposed to be a women may surpass the limits and oppressions in fictional text.

      • KCI등재
      • 페미니즘 연극에서 창작자들이 사유해야 할 지점들에 대한 고찰

        이지영 ( Yi¸ Ji Young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21 한국어와 문화 Vol.29 No.-

        국내 연극계는 서지현 검사의 미투(#Me Too) 이후로 페미니즘 관점을 적극 수용하는 페미니즘 계열의 공연들이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특히, 2010년대 후반부터 국내 페미니즘 공연들은 여성과 소수자들의 드러나지 않았던 목소리와 그동안 묵과했던 사회구조적 문제점들을 전면에 내세우며 자성의 시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여성 창작자들이 주목받는 부차적인 효과 역시 견인하고 있다. 관객들도 이제는 젠더-프리(Gender-free) 캐스팅이나 젠더-밴딩 (Gender-bending, 성별의 구분을 모호하게 만드는 것) 캐스팅을 유쾌한 전복으로 받아들이는 등 짧은 사이에 변화되고 성숙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필자는 페미니즘 계열의 공연들이 더 안정적으로 국내 공연계에 정착하기 위해서는 창작자들이 고민해야 할 지점과 논의 되어야 하는 지점들이 있다고 보았다. 본고에서는 페미니즘 공연의 창작자들이 사유하고 경계해야 할 지점들을 크게 세 가지로 압축해 보았다. 첫 번째는 공연을 통해 여성 또는 소수자들의 다양한 정체성과 교차성 (intersectionality)을 입체적으로 복원시키기 위해서는 기존 접근법의 답습이 아닌 새로운 접근 법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특히, 페미니즘 공연의 주제나 소재가 실존 인물이나 사건을 바탕으로 하는 경우에 다른 공연들과 달리 조심스러운 접근법이 필요한데 이 경우, 페미니스트 페다고지 (Feminist Pedagogy) 전략들에서 그 해답을 찾을 수 있다고 보았다. 두 번째는 성별 이분법에 저항하는 공연의 전략과 표현들이 상투적이거나 단순하면 그것은 오히려 기존의 젠더 고정관념을 강화시킬 수 있다는 점을 창작자들이 인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여성성과 남성성을 단순 도치시키는 방법, 성별의 고착화 된 특성을 희화화해서 웃음을 유발하는 표현방식들은 자칫하다가 기존의 성별 고정관념을 더 강화시킬 수 있으니 경계해야 할 것이다. 세 번째는 위의 페미니즘 접근법과 성별 이분법에 저항하는 다양한 전략을 찾기 위해서는 창작자 모두가 수평적 관계에서 협업하며 다양한 접근법을 제시할 수 있는 공동창작의 방식이 가장 유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본고는 국내 페미니즘 공연들이 안정적으로 정착화 되고 새로운 지평을 열어가기 위해 창작 주체들이 고민해야 할 지점들을 짚어봄으로써 페미니즘 공연의 발전에 아주 작은 기여를 할 수 있다는 믿음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In the domestic theater community, a performance in which feminist perspectives are actively embraced is sprouting like a fashion, after the #Me Too declaration by prosecutor Seo Ji-Hyun. In particular, since the late 2010s, feminist performances in Korea have uncovered hidden voices of women and minorities, and social structural problems that have been overlooked so far were brought to the fore. This provides a time for self-reflection and at the same time unexpectedly brings female creators to the spotlight. The theater community is showing a changed and mature attitude in a very short time; for example, it accepts gender-free casting or gender banding (which obscures the gender distinction) casting as a pleasant turnaround. However, it seems that in order for feminist performances to more stably settle in the domestic performance community, there are things that the creators must consider and discuss. In this paper, three major points are summarized that the creators of feminist performances should consider and be warned against. The first is that in order to three-dimensionally restore the various identities and intersectionalities of women or minorities through performances, a new approach is needed, instead of repeating the existing approach. In particular, when the subject or subject matter in feminist performances is based on real people or events, unlike in other performances, a careful approach is needed. In this case, it seems that the answer can be found in the feminist pedagogical strategy. Second, If the strategies and expressions used in the performances that defy gender dichotomy are clichéd or simple, they can reinforce the existing gender stereotypes, which creators should recognize. Since methods of simply switching between femininity and masculinity, and expressions that mock the stereotyped characteristics of gender to induce laughter may backfire, reinforcing existing gender stereotypes, to which the creators should pay attention. Third, we need to find a variety of approaches about the above feminist approach and how to defy gender dichotomy. To that end, the co-creation method, in which all creators collaborate in a horizontal relationship and present various approaches, seems to be the most useful. This paper explored the points that the creators should consider in order to stabilize domestic feminist performances and open up new horizons. Thus, I believe this exploration can make a very small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feminist performances.

      • 『춘향전, 역사학자의 해석과 토론』에 대한 서평

        이지영(Yi, jiyoung) 서울대학교 동아문화연구소 2020 東亞文化 Vol.58 No.-

        저자(오수창 교수)는 춘향전에 대한 기존 연구가 문학작품을 통해 이념을 확인하기 위한 노력이었다고 비판하면서, ‘삶의 현장’ 안에서 춘향전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의도에서 춘향의 신분 및 신관 사또와의 대결을 법적·제도적 측면에서 고찰하고, 춘향전을 ‘기생 춘향이 자신의 사랑을 지키기 위해서 목숨을 걸고 저항한 이야기’로 해석하였다. 또 이러한 주제가 가장 잘 표현된 이본으로는 완판 84장본을 들었다. 이러한 저자의 해석은 춘향전에 반영된 역사적 현실로서의 ‘민중의 저항’을 생생하게 드러내려는 시도이다. 그러나 춘향전이 통속 소설로 인기를 누린 것은 ‘민중의 저항’만으로 설명하기 힘들며, 향유층의 욕망과 감성을 고려하여 텍스트를 당대 문화적 맥락에서 해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춘향전은 적층문학으로 존재하면서 다양한 이본을 생성하였고 춘향전의 주제도 다양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춘향전 연구도 춘향전의 다양성과 개방성을 규명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Professor Oh Su-chang criticized the previous research on Chunhyangjeon as an effort to confirm its ideology. So he tried to analyze Chunhyangjeon in the ‘place of Life’ and studied Chunhyang’s status and resistance to the new government-satto in legal and institutional aspects. Through this process, Chunhyangjeon is interpreted as a story of Gisaeng Chunhyang’s desperate resistance to protect her love and 84-page text published in Jeonju evaluated as the best example of Chunhyang’s resistance. This is an attempt to show ‘people’s resistance’ as a historical reality more richly and vividly. However, it is hard to explain the popularity of Chunhyangjeon in the aspect of ‘people’s resistance,’ and for the study of the text in the cultural context of that time, consideration of the desires and emotion of the public is needed. In addition, Chunhyangjeon has been an oral literature for a long time, producing various versions. In the meantime, the subject have been changed in various directions. Therefore, the study of Chunhyangjeon should also be conducted in the direction of identifying its diversity and openness in the cultural contex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