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학교급별 미술 용어 비교 조사

        이주연(Jooyon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학교급별 미술 교과서에 제시된 미술 용어에 대한 비교 조사 연구이다. 미술 용어는 학교급별 내용 체계의 수준을 구별하는 척도가 되어줄 뿐만 아니라, 해당 학교급별로 어떤 내용에 중점을 두고 미술교과교육이 이루어지는 지를 알 수 있는 기준이 되어준다. 본 연구를 위하여 한국의 경우 초등 3-6의 4개 학년, 중학교 1-3의 3개 학년, 고등학교 1의 1개 학년 미술 교과서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일본의 경우 초등학교 1-6의 6개 학년, 중학교 1-3의 3개 학년, 고등학교 1-3의 3개 학년의 교과서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두 국가의 학교급별 미술 용어의 비교를 위한 조사의 틀은 ‘조형 요소와 원리’에 기초하여, ‘미술 분야별 명칭’, ‘감상 및 미술사 용어’, ‘직업’ 관련 용어 등의 기본 구분에 기초하였다. 차기 교육과정의 개정을 앞두고 각 교과교육의 목표 및 내용 체계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이 때, 한국과 일본의 교과서 미술 용어의 비교 조사는 미술과 교육 내용을 체계화하는 데도움을 줄 것이다. 또한 새로운 교육과정을 제정하고 이에 따라 미술 교과서를 개발 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art terminologies in art textbooks for primary, junior, and high school level in Korea and Japan, in order to set up the basis for the systematic organization of the content structure of the art terminologi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next Korean National Art Curriculum. For this study, Korean and Japanese National Art Curriculums, the textbook system of each country, and the art terminologies in art textbooks which are being used in primary, junior, and high schools in Korea and Japan,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total number of Korean and Japanese art textbooks are 32(4 for primary, 21 for middle, and 7 for high school) and 12(6 for primary, 3 for middle, and 3 for high school) respectively. The art terminologies in this study were classified as follows: 1) the art terminologies in design elements(dot, line, shape/form, texture, space, volume, color, etc.) and design principles(balance, harmony, rhythm, proportion, composition, contrast, unity, etc.), 2) art terminologies in each specialties in art fields, 3) art terminologies in art appreciation and art history area, and the last, 4) art terminologies in (the name of) jobs in art.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art contents in the next Korean National Art Curriculum and art textbooks for each school level should be developed and presented in accordance with appropriate art terminologies which were proved for the school level. 2) Studies on school art terminologies should be proceeded and encouraged for its development. And the last, 3) various ways to present its strategies and content meaning in art textbooks should be considered prior to organizing content structure of art textbooks.

      • KCI등재

        학교미술교육 강화를 위한 미술 교과서 내용 개선 제안: 동시대 미술, 지역사회 연계 미술(공공미술), 미술 감상·미술관교육의 3가지 핵심 주제를 중심으로

        이주연(Jooyon LEE),류지영(Jiyeong RYU),고황경(Hwanggyung KO) 한국조형교육학회 2020 造形敎育 Vol.0 No.7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3 core themes(‘contemporary art’, ‘community-linked art(public art)’, ‘art appreciation·museum education’) proposed by ‘Korea Arts Management Service’, and to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enhancement of school art education. This study was done as the base research for ‘qualitative improvement of school art education’ and ‘happy life with art’ promoted through a set of School Arts Education Plans(MOE, 2018; 2019; 2020) and Art Promotion Plan(MCST, 2018) by the government. For this purpose, a total of 64 elementary to high-school art textbooks by 2015 revised Korean National Art Curriculum(MOE, 2015a) were analyzed. The standard of analysis for screening art textbooks was reviewed and verified by 7 school art-education experts. The result and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a foundation for developing the next national art curriculum and art textbooks, and would bring about the effect of leading the advance of school art education. 본 연구는 현 정부가 ‘학교예술교육중장기계획’(교육부, 2018), 학교예술교육활성화기본계획(교육부, 2019; 2020) 및 ‘미술 진흥중장기계획’(2018-2022)(문화체육관광부, 2018)을 통해 추진하는 ‘학교예술교육의 질적 제고’ 및 ‘미술로 행복한 삶’을 위한 기반 연구의 하나로, 학교미술교육 강화를 위하여 주목해야 할 3가지 핵심 주제, 즉, ‘동시대 미술’, ‘지역사회 연계 미술(공공미술)’, ‘미술 감상·미술관교육’이 학교미술교육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를 살펴보고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 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학교미술교육 전문가 7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자문회의를 통해 교과서 분석을 위한 주제별 필수 내용 요소로서의 분석기준을 점검하였으며, 이에 기초하여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교육부, 2015a)에 따라 개발된 초·중·고 미술 교과서 총 64권을 분석하였다. 학교미술교육의 강화를 위한 본 연구의 제안들은 우리나라 미술교육 정책을 비롯하여 차기 미술과 교육과정 및 학교급별 미술 교과서 개발 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학교미술교육 전반에 긍정적인 효과를 불러올 것이라 기대된다.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학교 연계 미술관교육의 미래와 방향 : 대전시립미술관 2020 어린이 미술 기획전을 중심으로

        이주연(Jooyon LEE) 한국조형교육학회 2020 造形敎育 Vol.0 No.76

        뉴노멀, 언컨택트, 언택트, 온택트 등을 특징으로 새로운 기준 설정과 변화를 요구하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학교와 미술관은 어떤 관점을 가지고 공생 관계를 지속해나가야 할 것인가가 본 연구의 출발점이 된 고민이었다. 모두 다 온라인으로 몰려가면서 디지털 플랫폼을 요구하는 이 때 변해야 할 것과 변하지 말아야 할 것은 무엇이며, 이것이 학교와 미술관과의 연계에서는 어떻게 적용되어야 하는지 등에 대한 고찰과 더불어 이에 대한 방향 설정이 필요해 보였다. 이러한 배경과 필요성에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 피해가 컸던 문화예술교육 중에서 학교와 연계한 미술관교육의 미래와 방향을가늠해보고자 학교미술교육에서의 미술관교육과 더불어, 미술관에서 이루어지는 초·중등학생들을 위한 전시와 교육을 중심으로 학교미술교육과의 연계를 살펴보았으며, 포스트 코로나 시대 어린이 미술 전시 사례로서 대전시립미술관의 ‘환상, 상상, 도시 Imagine the City’ 기획전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학교 연계 미술관교육의 방향을 3가지로제안하였으며, 이를 위해서는 학교와 미술관의 모든 관계자와 매개자가 무엇보다 중요함을 논하였다. In the post COVID-19 era characterized by new normal, uncontact, untact and ontact, a new standard setting was required. The starting point of this study was the question of what point of view schools and art museums could maintain symbiotic relations at a time when change was required in these days. When all of them were rushing to online and demanding new digital platforms, it seemed necessary to consider what needed to be changed and what should not be changed, and how it should be applied in the connection between schools and art museums. For getting a bead on the future and direction of art museum education linked to schools, this study conducted art museum education in school and exhibitions and education in art museums. Focusing on the linkage, and as an example of children s art exhibition, the special exhibition of Imagine the City by DMA was analyzed. Based on this analysis, three directions were proposed, and it was discussed that all officials and intermediaries of the school and art museum were important.

      • KCI등재

        학교미술교육에서 건축교육 현황 및 쟁점 분석

        이주연(Jooyon LEE),정옥희(Okhee JEONG) 한국조형교육학회 2021 造形敎育 Vol.- No.77

        인문학, 예술, 과학 그리고 기술은 인간의 삶과 인류 역사에 있어 필수 불가결한 관련성을 맺어왔다. 이를 모두 포괄하는 건축은 인류의 사회적, 경제적, 과학적, 기술적, 민속학적 산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건축이 가지는 중요한 측면들이 교육적으로 이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학교미술교육에서 건축교육의 실행에 대한 견해는 무엇이고 교육에서 건축은 무엇이어야 하며 교육자로서 건축을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가의 관점들이 논의의 쟁점으로서 선결되어야 할 필요 성에 주목하였다. 건축 전문가들과 정책 입안자들도 그동안 건축에 대한 교육과 건축을 통한 교육으로 이원화된 기존의 건축 교육을 ‘기초건축교육’으로 통합하여 모든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건축교육을 시행하고자 공교육에의 도입을 시도해왔다. 이에 본 연구는 학교미술교육에서 이루어지는 건축교육의 현황을 초·중등학교 미술 교과서 분석을 통해 알아보고 공교육에서 기초건축교육의 실행 이전에 건축교육의 실행에 따른 쟁점을 분석하고 개선 방향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학교 미술교육에서 ‘건축’을 바라보는 관점이 보다 다각도로 고찰되어야 할 필요성과 미술과 교육과정 및 학교급별 교과서 내용 구성의 체계화를 위한 반성적 고찰을 제공한다. 연구의 성과는 미술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포함하여 학교미술교육 내용 구성의 체계화를 위한 기초 연구로 활용 가능함은 물론, 나아가 인간 삶의 방식과 문화적 이해로서 건축의 교육적 가치가 무엇이어야 하는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함을 제기하는데 그 의미를 지닌다. Science, humanities, arts and engineering have been distinguished areas since modern eras, but these have been interlinked and are the indispensable areas in the human histories. Architecture as encompassing these areas, can be seen as the product of human influences such as social, economic, scientific, technical and folklore factors that represents the limitations, potential, demands, and purpose of our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reflecting point on the view of architecture in the category of school art education and starting discussion on what the educational value of architecture should be in terms of human life and cultural understanding. This study first examines preceding studies regarding the institutionalization of basic architecture education presented by architectural experts and policy makers, and analyzes architecture related content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art textbooks to discuss the education application of the field. The results of this study serve as a educational view that should be discussed before the policy presenting a ‘Basic Architecture Education’ for the public, as well as a first step for contents designing on school art curriculum during the settlement process,

      • KCI등재

        차기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미술과 교수·학습 방법 제안

        이주연(Jooyon LEE),장연자(Yeonja JANG) 한국조형교육학회 2019 造形敎育 Vol.0 No.69

        교과 교육과정 문서의 구성 요소는 성격, 목표, 내용 체계,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로 이루어진다.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미래 사회에서 요구되는 인재 육성을 위한 교육 내용 및 방법의 다양화가 모색되는 가운데, 학교교육에서도 이러한 노력들은 국가 교육과정 연구로 이어진다. 그러나 미술과 교육과정의 경우 교수·학습 방법 관련 연구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의 2002년 연구에 준하고 있어 새로운 제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차기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미술과 교수·학습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수·학습, 교수·학습 방법(모형, 기법 포함) 관련 선행 연구 및 최근 대학교수를 위하여 제안된 교수법을 살펴보았으며,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및 15개 교과별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교수·학습 방법 간 차이점을 비교하고, 제1차부터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교수·학습 방법의 특징을 분석 하였다. 그 결과, 차기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미술과 역량별 교수·학습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가장 중점적인 교수 학습 방법 을 선정하였다. 급변하는 사회·문화적 측면에 대한 관심과 미래 사회를 대비할 미술교육의 방향에 따른 교수·학습 방법을 반영한 본 연구가 차기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의미 있는 기초 연구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components of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consist of characteristics, goals, contents, instructional methods and assessment.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diversity of education contents and methods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required in future society is needed, and these efforts lead to national curriculum research. However, most of the studies on instructional methods in art education relied on the research conducted by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KICE) in 200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instructional methods as a basic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the next national art curriculum. For this purpose, researches on existing and brand-new instructional methods were reviewed. In addition, every subjects’s instructional methods of the current national curriculum and national art curriculums from the 1st through 2015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it was suggested that the instructional methods related to the core competencies in art education for the next national curriculum, and explained the most important on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ould serve as a meaningful basic study for the upcoming curriculum.

      • KCI등재

        중등학교 미술교과교실 현대화 모델 개발 연구

        이주연(Lee, Jooyon),장경아(Jang, Kyeounga),유장열(Ryu, Jangyeol),김동욱(Kim, Donguk) 한국미술교육학회 2011 美術敎育論叢 Vol.25 No.1

        최근 교육과학기술부는 수업 운영 방식의 다양화와 학교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교과교실제를 도입, 이의 활성화를 모색하고 있다. 미술교과의 경우 타 교과에 비해 교과교실의 조성 여부 및 제반 시설이 학습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이 큰 교과이다. 따라서 오늘의 학교 미술교육 현장에서는 미래 지향적인 교육 환경 개념에 따른 환경의 정비 및 시설 확충의 기반 마련이 무엇보다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학교 현장의 요구와 국가적 시책에 터하여 중등학교 미술교과교실의 현대화 모델을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 교과교실제 운영 방향을 살펴보았으며, 현장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및 요구 조사(FGI)를 통해 현장의 다양한 의견을 분석하였다. 또한 국내 여러 중등학교들의 현장 실사를 통해 미술교과교실의 형태 및 운영 방식을 고찰하였으며, 이를 통해 미술교과교실의 유형별 모델과 활용 방안, 설비ㆍ교구의 기준을 구안하여 제시하였다. 미래지향적이고 선진적 형태의 교과 교실제의 시행은 학생 중심의 탄력적인 교육과정의 운영, 기본ㆍ기초 교육과 수월성 교육, 효과적인 교육 자료의 개발 및 활용 등 다양한 교육 요소를 충족시킬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The Korea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MEST, 2009) has been carrying a plan to enforce the system of variation types of classroom in ‘department system’ in order to diversify class management and to raise educational competitiveness in school. It is regarded that school art classroom is one of the major factors to effect and affect the class management and efficienc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modernized models for ‘variation types’(A, B & C Type) of art classroom in ‘department system’ in secondary school. Several researches on managing ways of classroom in department system were analyzed, and the FGI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art teachers' variable demands on art classroom facilities and environment. Several middle and high schools(two art-oriented schools included) were selected in order to suggest the ideal architectural design and managing ways of art classroom for schools. The model types of art classroom for ‘2D’, ‘3D’, ‘art in computer’ & ‘Drawing & Painting’ in ‘department system’, ‘application plan’, and ‘facility standards’ were suggested and recommended. The base for modifying classroom environment facilities should be rearranged and expanded. The enforcement of advanced and modernized system could be satisfying variable educational elements such as flexible curriculums for student centered education, improvement of basic competences, management of intensified classe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ffective educational materials.

      • KCI등재
      • KCI등재

        디지털 휴먼 시대 건축을 보는 다양한 시선과 융·복합적 교육 접근 모색

        정옥희(Okhee JEONG),이주연(Jooyon LEE) 한국조형교육학회 2021 造形敎育 Vol.- No.79

        인공지능으로 대변되는 과학기술 시대에는 인간의 창의력과 새로운 지식에의 접근, 다양한 학문을 통한 융·복합적 아이디어의 발견, 기술적 상상력과 더불어 인문학적 사고를 필요로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디지털 휴먼 시대에 건축을 보는 다양한 시선을 4가지 학제적(기술공학적, 도시경제환경적, 조형예술적, 인문학적) 측면으로 도출하고 이를 학교교육으로 변환하기 위한 융·복합적 접근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기존의 기초건축교육이 국민교육을 위한 공교육으로의 도입을 시도했던 것과 달리, 현재 국토교통부가 추진하는 건축교육은 사회·경제·환경·문화적 변화에 따른 메가트렌드를 건축과 연결 하여 도시재생 및 발전에 공헌하는 건축으로의 인식 변화를 꾀하고 궁극적으로 문화적·산업적 경쟁력 향상과 건축문화 진흥의 토대 마련을 위한 교육에 집중한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건축 정책에서 제외된 건축이 함유한 조형예술적 의미와 인문학적 가치를 환기하여 학교교육에서의 학교급별 건축교육을 제안하면서, 디지털 휴먼 시대 인류 미래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견인하는 데 있어 스마트 도시환경 정책을 실현함과 동시에 인문학적 부흥을 꾀할 수 있는 중요한 융·복합 분야가 바로 건축 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In the era of science and technology represent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human creativity and access to new knowledge, the discovery of convergence ideas through various studies and humanistic thinking are required as well as technological imagin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four academic aspects of architecture in this digital human era with the diverse perspectives(technical engineering, urban economic environment, formative arts, and humanities) and to explore a convergent and complex approach for application to school architecture education. Unlike previous attempts to introduce basic architecture education as public education, basic architecture education currently promoted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connects megatrends to architecture, ultimately focusing on improving cultural and industrial competitiveness. Thus, this study proposes architectural education to school education by recalling the structural artistic meaning and humanities values excluded from the current architectural policy, emphasizing that architecture is an important convergence field in driving sustainable growth and current smart-urban environment towards future society.

      • KCI등재

        지역사회 공공미술과 학교교육의 연계 방안 : ‘안양공공미술 프로젝트’(APAP)를 중심으로

        장현주(Hyonjoo JANG),이주연(Jooyon LEE) 한국조형교육학회 2021 造形敎育 Vol.- No.79

        안양공공미술 프로젝트(Anyang Public Art Project, APAP)는 미술을 매개로 지역 공동체의 회복 가능성을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로 꼽힌다. APAP에 의한 지역 공공미술의 성과와 미래의 교육적 가치를 가늠해 볼 때 보다 적극적으로 학교와 연계 되어야 할 필요성과 더불어 궁극적으로는 APAP가 관 주도의 운영으로 인한 한계를 넘어 지역 커뮤니티와의 긴밀한 연계를 통해 공동체의 주체로서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 지역 공공미술 사례를 분석 및 진단하고 APAP의 전개 과정과 현주소,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이를 통해 지역 공공미술의 활성화를 위한 토대로서 지역 공공미술과 학교와의 협력적 연계를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지역에서의 협력 방안으로는 유관 기관의 교육적 활용, 공공미술 상설 프로그램 마련, 프로젝트 종료 후 지역민과 지역미술가에 대한 재정적 지원을 제안 하였으며, 학교에서의 협력 방안으로는 학교-지역사회 협력을 위한 교육 정책 실시, 공공미술 주제의 수업 방안 모색, ‘공공 미술 교육연구회’(가제) 조직 및 운영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APAP(공공미술)-지역사회-학교가 유기적 연계를 맺어 APAP가 학교를 중심으로 지역민이 주체가 되는 공공미술로서 당위성과 지속성을 확보하고 보다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APAP showed the possibility of recovery of local community. This study started with the recognition that APAP should be continued in consideration of the developments, achievements, and educational value of local public art shown in APAP. It analyzed and diagnosed cases of local and international public art and investigated the history, present state and direction of APAP. Based on these surveys and analyzes, it was intended to propose a plan for cooperative connection between local public art and schools. As a way to cooperate with the local community this study suggests educational utilization of related institutions, provision of permanent programs. As a way of cooperation in schools, it proposed an educational policy for school-community cooperation, possibility of classes on public art, and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Public Art Education research group’.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APAP(public art)-community-school would be organically linked, and APAP would be able to ensure continuity and vitalize as public a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