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하이퍼큐브상에서 2n - 2개보다 작은 오류를 허용하는 분산형 경로배정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이종철(Jongcheol Lee),김영호(Youngho Kim) 한국정보과학회 1994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1 No.2B

        신뢰도가 중요시되는 응용에서의 경로배정 알고리즘은 고장나지 않은 노드들이 연결되어 있는 한 메시지 전달이 가능하여야 한다. 이전의 많은 논문들이 하이퍼큐브에서 오류 수가 n보다 작을 때 동작하는 오류 허용 경로배정 알고리즘들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오류의 수가 2n-2보다 작을 때, 고장이 나지 않은 노드들간에 최단 경로를 통한 메시지 전달이 가능한 분산 경로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이의 분석을 보였다. 최단 경로배정에 필요한 오류 정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각 노드는 그 자신에서 임의의 다른 노드로의 모든 최단 경로들을 사용할 수 없을 때 관련된 오류 정보들을 2홉 이내로 인접한 노드들에게 전달한다.

      • KCI등재

        헤겔의 『법철학』에서의 국가의 이중적 역할과 그 관계에 관한 연구

        이종철 ( Lee Jongcheol ) 한국헤겔학회 2021 헤겔연구 Vol.- No.49

        올해 탄생 200주년을 맞이하는 헤겔의 『법철학: 자연법과 국가학 강요』는 고대의 정치사상과 근대의 자연법론자들, 형식적 도덕론자들과 자유주의 시장주의자들 등을 비판하면서 새로운 형태의 근대국가를 모색하고 있다. 국가 문제는 제3장 ‘인륜’ 장에서 다루어진다. ‘인륜’은 추상적 통일이자 보편인 가족이 기초를 이루고, 이 가족이 ‘시민사회’로 해체된다. 시민사회는 근대 자본주의 사회의 내적인 모순과 위험을 드러내면서 본래적 의미의 국가로 이행한다. 시민사회는 원자화된 개인들이 사적인 이기심으로 뭉쳐 있는 결사체와 다름없다. 시민사회는 한편으로 각자의 욕구를 극대화하려는 ‘욕구의 체계’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이런 욕구를 성취하기 위해서 불가분적으로 타자들과 연결되어 있는 ‘상호 의존성의 체계’이다. 시민사회는 내부적인 위험과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 사법과 공공행정 그리고 직능단체와 같은 제도를 갖추고 있다. 하지만 최소국가의 이런 보편적 국가 기능은 본래적 의미의 국가에서 좀 더 적극적으로 모색되고 있다. 공공행정은 통치권과 연결되고, 직능단체는 입법권과 연결이 된다. 헤겔이 말하는 국가는 삼권의 분리를 전제로 하지만 동시에 권력들의 유기적 조화와 통일에 기초해 있다. 이러한 통일의 정점에 군주가 자리하고 있다. 시민사회가 ‘기계론적으로’ 결합되어 있다고 한다면, 국가는 생명체와 마찬가지로 ’유기적으로‘ 통일되어 있다. 헤겔의 국가는 크게 유기체적 국가론과 입헌 군주정으로 특징지어진다. 삼권의 유기적인 통일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삼권 상호 간의 소통과 매개가 중요하다. 헤겔은 입법권의 신분의회를 통해 이러한 역할을 기술하고 있다. 헤겔의 입헌군주정은 한편으로 근대 권력국가의 주권의 통일에 대한 요구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절대 군주정과 달리 법률에 의해 그 권력과 역할에 제한을 두고 있다. 하지만 자연적 출생에 의한 세습을 군주에게 허용한다는 것은 이념의 원리에 부합되지 않을뿐더러 근대세계의 기회의 평등과 공정성의 원리에 배치된다는 지적도 있다. 결과적으로 시민사회와 고유한 의미의 국가는 근대세계를 구성하는 두 가지 각기 다른 국가이고, 다른 원리에 따라 움직이는 국가이다. 이런 의미에서 괼러는 ’국가가 이중화되어 있다‘라고 한 것이고, 이 글은 이중국가의 차원에서 헤겔의 국가론을 고찰해본 것이다. Hegel's “Philosophy of Rights: Natural Law and State Studies,” which marks its 200th anniversary this year, seeks a new form of modern state, criticizing the ancient political thoughts and the modern natural law theorists, formalistic moralists and liberal marketers. The State issue is dealt with in Chapter 3, Ethical Virtue. “Ethical Virtue” is based on abstract unification and universal family, and this family is disbanded into a “civil society.” Civil society transitions to a nation of its original meaning, revealing the inner contradictions and dangers of modern capitalist society. Civil society is nothing short of an organization in which atomized individuals are united by personal selfishness. Civil society is on the one hand a “system of wants” to maximize each other's wants, and on the other hand a “system of interdependence” that is inextricably linked to others to achieve these wants. Civil society has systems such as judicial, welfare administration and corporation to address internal risks and contradictions. However, this universal state function of the minimum state theory is being sought more actively in the state in its original sense. Welfare administration is linked to sovereignty, and coporation are linked to legislative power. The state Hegel talks about presupposes the separation of powers, but at the same time is based on organic harmony and unification of powers. The monarch is at the height of this unification. While the civil society is ‘mechanically united’, the state is ‘organically united’ as the life. Hegel's state is largely characterized by organic state and constitutional monarchy. In order to enable organic unification of the three powers, communication and mediation between the three powers are important. Hegel describes this role through the Legislature. Hegel's constitutional monarchy, on the one hand, is a demand for the sovereignty of modern powers, and on the other hand, law restrict its function and role. However, some point out that allowing a monarch to inherit by natural birth does not conform to Hegel’s own principles emphasizing the ideological superiority over nature and contradicts the principle of equality and fairness of opportunities in the modern world. As a result, civil society and a state are two different countries that make up the modern world, and they work on different principles. In this sense, Göller said, “The state is dualized,” and this article considers Hegel's national theory at the level of a dual state.

      • KCI등재후보

        청동기시대 후기 立大木 祭儀 존재와 의의에 대한 試論-전주 대정Ⅳ 유적을 중심으로-

        이종철 ( Lee Jongcheol ) 호남고고학회 2021 湖南考古學報 Vol.69 No.-

        본 글은 송국리형문화와 점토대토기문화가 복합되는 청동기시대 후기 취락에서 입대목 제의가 존재했다는 것을 설득력 있게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두 문화의 복합화 속에서 입대목 제의의 흔적이 있는 취락 유적을 소개하고, 취락의 구성과 입대목 제의가 긴밀한 상호관계에 있음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송국리형문화와 점토대토기문화의 복합 양상으로 소개할 유적은 전주 대정Ⅳ 유적이다. 먼저 입대목 제의의 흔적으로 추정되는 입목수혈의 성격을 검토하였고, 유적의 입지와 환경 및 물질문화 등 취락경관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대정Ⅳ 유적의 취락구성과 분포 양상이 취락설계의 관점에서 조성되었고, 그 중심에 입대목 제의가 존재하였음을 상정하였다. 특히 물질문화의 속성이 송국리형문화나 점토대토기문화 어느 한 쪽에 편중된 양상이라기보다 두 문화요소가 융합적으로 잘 섞여 있는 양상을 통해 두 문화의 융복합 단계임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문화적 복합 양상은 교성리식 단계에 해당하는 것으로, 점토대토기문화가 한반도에 처음으로 유입된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 현지 적응과정에서 발생한 현상으로 추정하였다. 그리고 그 시기는 잠정적으로 기원전 5세기 후반~기원전 4세기대 어느 시점으로 비정하였다. 대정Ⅳ 취락 입대목 제의의 고고학적 의의는, 첫째로 송국리형문화와 점토대토기문화의 복합화가 이루어진 취락에서 처음으로 확인된 입대목 제의 유적이라는 점이다. 둘째로 송국리형문화 전통의 제의가 점토대토기문화 단계까지 계승 또는 전승되었음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셋째로 이러한 입대목 제의가 거점취락에서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작은 마을에서도 확인될 수 있다는 점을 상기시켜 준다. 넷째로 집들로 둘러싸인 중앙 광장에서 편향집중형의 제의 환경이 구축된 점이다. 마지막으로 입대목 제의의 폐기와 관련된 모종의 의례가 존재했고, 입대목 제의의 소멸은 취락의 폐기나 취락민들의 이주와 관련될 수 있다는 점이다. This paper aims to substantiate an existence of the Big Tree Rituals (立大木 祭儀) in a late Bronze Age village where the Songguk-ri Type Culture and Rolled-Rim Pottery Culture were integrated. To this end, I intend to introduce a late Bronze Age village site with trace of Big Tree Ritual, and to exhibit that the village composition and the Big Tree Rituals are closely related. The studied site is the ‘Daejeong IV’ in Jeonju, South Korea. The site illustrates an integration of the Songguk-ri Type Culture and Rolled-Rim Pottery Culture. First, I examined the nature of a pit feature which is presumed to be a trace of the Big Tree Ritual. Then I have looked into the village landscape, including the site location, site environment, and material culture. Based on these investigations, I propose a possibility that the settlement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patterns of the Daejeong IV site were formed according to a schematic zoning plan of the village. In particular,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llage’s material culture were shown to have been fused well together. Such type of cultural integration corresponds well with the Gyoseong-ri Type phase. This study proposes a tentative period of this cultural complex as from the late 5th century BC to the 4th century BC. The archaeological significances of the Big Tree Ritual evidenced from the Daejeong IV site are as follows. First, it is the first known documentation of a Big Tree Ritual evidence from a village where the Songguk-ri Type Culture and Rolled-Rim Pottery Culture were integrated. Second, it is an example showing that a ritual of the Songguk-ri Type Culture tradition has been passed down to the Rolled-Rim Pottery Culture phase. Third, the findings remind us that a Big Tree Ritual evidence can be found not only from a pivotal village but also from a smaller village site. Fourth, it exhibits that the ritual niche was established in a one-direction-facing design at the central plaza surrounded by houses. Finally, an evidence of some sort of ritual activity related with the termination of the Big Tree Rituals could be found. The fade-out of the Big Tree Rituals might have been related with the termination of a village or the migration of the village residents.

      • 음주실태의 사회적 문제에 관한 한일 비교연구 (청소년을 중심으로)

        이종철(Lee, Jongcheol),이국권(Lee, Kukgwon)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20 동북아시아문화학회 국제학술대회 발표자료집 Vol.2020 No.10

        This paper identifies the drinking conditions of domestic teenagers and talks about social problems arising from them. It also covered the dangers of youth drinking by providing empirical analysis of whether drinking in adolescents can cause social problems. Since drinking often triggers events in juvenile delinquency, drinking in adolescents is as important as adults. In order to reduce drinking-related problems among teenagers, the government recognizes drinking problems at the government level and makes numerous efforts to prevent social problems by reducing the drinking rate. Therefore, in this study, we studied countermeasures to re-examine and prevent social problems caused by drinking among teenagers. First, we looked at the drinking status of teenagers in relation to youth drinking. We looked at the trend of annual changes in the drinking rate and the drinking rate of teenagers, and the drinking rate of problems that are more likely to cause accidents has decreased, but on the contrary, it is believed that the drinking rate of teenagers has increased, making it easier for them to buy alcohol and to buy alcohol.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changes in the annual statistical trend caused by drinking among teenagers, the relationship between crime, disease, and various accidents related to the social cost of drinking among teenagers was not shown to be high in social problems and costs caused by drinking, but it was found to be a social proble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and improve policies for preventing teenagers from drinking, and to improve to continuous activities of intermittent activities to prevent youth drinking at the private level.

      • KCI등재

        병부과장식석검과 그 제작 집단에 대한 시론

        이종철(Jongcheol Lee) 한국상고사학회 2016 한국상고사학보 Vol.92 No.-

        본 글은 우리나라에서 극히 희소한 사례에 해당하는 김해 무계리와 부산 괴정동 출토 석검을 대상으로 그 제작 성격을 추론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석검들의 손잡이는 경직된 디자인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심부와 병두의 길이가 과도하게 길다는 점이 특징이다. 또한 이렇게 손잡이가 과장된 석검들이 낙동강 하류역에만 분포하고 있는 점도 또 다른 특색이다. 필자는 이상의 연구 목적을 위하여 병부가 현격하게 과장된 석검을 ‘병부과장식석검(柄部誇張式石劍)’으 로 별칭하고, 그들과 관련된 기본 모티브 또는 같은 범주의 석검을 찾아 그 관계성을 파악해보았다. 그 결과, 이러한 석검들의 도안적 친연성과 분포를 바탕으로 여수반도 지역과 낙동강 하류역이 매우 긴밀한 관 계에 있음을 추론할 수 있었다. 그리고 완전한 병부과장식석검에 이르기까지에는 기본 형태 및 과장 전조 (前兆) 단계, 과장화(誇張化) 단계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기본 형태와 과장 전조 단계를 Ⅰ기, 과장화 단계를 Ⅱ기, 과장 단계를 Ⅲ기로 구분해보았다. Ⅲ기에 해당하는 병부과장식석검은 낙동강 하류역에, Ⅰ기와 Ⅱ기에 해당하는 석검은 여수반도에 집중 분포하고 있어 병부의 과장 양상이 여수반도에서 시작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여수반도 지역에는 지석묘 문화를 배경으로 하는 전문 장인 집단이 존재하였고,완전한 병부과장식석검은 유통망을 통해 낙동강 하류역으로 유입되었을 것으로 추론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plausible explanations on the provenance of polished stone dag¬gers that came to represent the Korean Bronze Age dagger style despite their scarce pres¬ence. These stone daggers, excavated from the Mugye-ri site at Gimhae and the Goejeong-dong site at Busan, are characterized by overly extended guards and pommels. Interestingly, daggers with exaggerated hilts have been discovered only in the lower reach of Nakdonggang River. This study examines the polished stone daggers discovered in the Nakdonggang River area as referred to be as a Stone Dagger with an Exaggerated Hilt and identifies characteristic elements of their basic form. Examination of artifacts in terms of their design and geo¬graphic distribution pattern revealed that the daggers excavated in the Yeosu Peninsula and the lower reach of Nakdonggang River are closely related. It also shows that it had to go through three production stages to attain its final form: preliminary, intermediate, and final phases. Comparison between artifacts from these two areas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daggers from the Yeosu Peninsula were almost in the preliminary stage whereas those from the lower reach of Nakdonggang River were in the final Stage, suggesting that the last stage of production to make an exaggerated hilt was carried out in the Yeosu area. It is concluded that the daggers were produced by a group of specialist artisans who were relat¬ed with the dolmen culture that flourished around the Yeosu area and daggers were distrib¬uted to the lower Nakdonggang area through a trade route.

      • KCI등재

        송국리형취락의 생산과 소비 양상 -개별 주거와 취락을 중심으로-

        이종철 ( Lee Jongcheol ) 호남고고학회 2017 湖南考古學報 Vol.57 No.-

        청동기시대의 취락은 다양한 형태의 생산과 소비 활동을 통해 구성원 간의 소통과 결속을 다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취락에서의 생산은 생활에서 필요한 도구나 용기를 만드는 것뿐만 아니라 생계체제를 유지하기 위한 곡물 생산이 대표적일 것이며, 이렇게 생산된 재화의 다양한 소비와 유통을 가능하게 했을 사회적 시스템이 존재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비록 이러한 시스템이 선사시대 유적지에서 분명하게 확인되지는 않지만 송국리형취락에서는 어느 정도 유추해볼 수 있다. 청동기시대 중기 단계의 대표적 문화 주체인 송국리형문화 집단은 중·소단위 또는 대단위 취락을 영위하면서 논농사와 밭농사를 발전시켰고, 전국적으로 동일 범주의 토기를 가마에서 생산해냈다. 뿐만 아니라 취락 내에 석기 제작과 옥가공이 전문적으로 이루어진 주거를 통해 전문 장인의 존재를 상정할 수 있다. 취락에서 공동체적 성격을 띠는 이러한 생산체제는 개별 구성원의 주거에서도 확인되고 있는데, 주거 내노지와 작업공간은 생산과 소비의 개별단위 영역으로 간주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송국리형취락에서 소비는 공동체적 성격과 개별적 성격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들 취락 내에 마련된 광장의 존재와 다양한 수혈유구 중일부는 의례나 집회에 수반되는 취사행위와 같은 공동소비를 상정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주거 내에 존재하는 노지나 소토부는 개별 구성원의 소비단위로 볼 수 있다. 송국리형취락의 생산과 소비는 가족 분화, 공동체적 분업체계, 다양한 취락 구성을 통해 볼 때 청동기시대 전기 단계보다 상대적으로 발전되고 체계화된 시스템을 구축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It is presumed that people living in the Bronze Age settlements strengthened communication means and solidarity through a variety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activities. Production activities in the Bronze Age settlements were largely focused on making tools and vessels for daily use as well as grains essential for the maintenance of subsistence systems. It is highly probable, therefore, that there had existed well-developed social systems to enable the produced goods to be consumed and distributed in many different ways. One of such systems representing the Bronze Age in Korea can be found in the Songguk-ri type settlement. The Songguk-ri type cultural groups representing the middle period of the Bronze Age on the Korean Peninsula developed both dryland and wetland farming, and produced pottery exhibiting similar shapes across the peninsula. They had also produced artisans equipped with expert knowledge and skills to manufacture stone implements and jade objects. Such production system reflecting communal activities can also be found at the dwellings of the community members. The hearth and the work areas in the dwellings can be interpreted as individual units for production and consumption. Meanwhile, consumption in the Songguk-ri type settlement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according to their communal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existence of a public space and a variety of pit features in the settlement reflects common consumption activities such as cooking required for communal meetings or ceremonies while the existence of hearths and burnt earths in the dwellings represents the consumption unit of individual members or households of the community.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the Songguk-ri type settlement seen through the evolution of families, division of communal labor, and various settlement formation systems show that it had developed more advanced and systematic systems than those in the early period of Bronze Age.

      • KCI등재SCO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