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신인과와 수반논변의 딜레머

        이종왕 철학연구회 2001 哲學硏究 Vol.52 No.-

        이 논문의 주된 목적은 주로 김재권에 의해서 규정되고 발전되었으며 많은 철학자들의 활발한 논의를 불러일으켰던 정신인과와 관련된 몇 핵심적인 원리들과 이론들의 가장 최근의 논의를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 먼저 필자는 통속적 심리학(folk psychology)의 관점에서 소박하게 가정하는 정신인과 가능성에 억제요소로서 작용하는 그가 규정했던 두 가지 원리들, 물리적 세계의 인과적 폐쇄의 원리(the principle of causal closure of the physical)와 인과적 배제의 원리(the principle of causal exclusion)들을 상세히 고찰하면서 그 원리들의 규정성을 강화시키려고 시도하겠다. 이것이 성공적일 수 있다면 물리주의의 실행가능성을 주로 비환원주의자들이 제기했던 비판들로부터 지킬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둘째로 비환원주의자들에 의해서 지지되어 왔던 수반이론이 오히려 정신인과의 가능성을 설명하지 못하는 딜레머 형태의 논변으로 전락한다는 그의 수반 논변(supervenience argument)을, 심신이론으로서의 수반개념에 대한 일반적 논점들을 명료화한 후에 자세히 고찰하겠다. 여기서 필자의 논점은 이 논변이 실행성을 가지기 위해서 해소해야 할 몇 가지 의문들을 제기하면서 현시점에선 그것이 이 것들에 대한 해결을 주지 못한다면 성공적이지 않을 수 도 있다는 것이다. 특히 필자에 의해서 강화된 김의 원리들이 수반논변에서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도 간략하게 검토해 보겠다. 마지막으로 수반논변의 결과로서 그가 제시했던 대안인 국지적 환원과 동일성에 근거한 기능주의적 환원주의의 움직임은 제거주의적 경향을 띠고 있다는 점을 간략하게 짚고 넘어가겠다.

      • KCI등재
      • KCI등재

        사건동일론은 정신부수현상론을 수반하는가?

        이종왕 범한철학회 2009 汎韓哲學 Vol.53 No.2

        Recent discussion about the mental causation(MC) finds its impetus in Davidson. His theory of MC, the so-called “anomalous monism,” induced abundant philosophical discussion about explaining how MC is possible. However, it seems to me that he has never provided any concretely systemic definition of the nature of the strict law and any explanation of why causation is tied to the strict law. My main aim in this paper is to argue that although in explaining MC the nonreductive-based counterfactual account is not strong enough in some sense, it needs not be in need of the thick conception of causation and thus the property identity by critically discussing the counterfactual account, and the productive/generative account, of mental causation that were supported by Donald Davidson and Jaegwon Kim respectively. In so doing, I will argue that a version of event identity theory helps the counterfactual account explain the possibility of MC, which is untimately based on the regularity/nomologicality. Furthermore, my conception of event identity provides the best solution the problem of MC, avoiding both the problems of mental epiphenomenalism and exclusion principle Kim espoused. In this paper, I will not directly examine the well-known supervenience/exclusion argument: Instead I will look into the reason why Kim came to espouse the argument. 데이비슨은 정신인과에 관한 심리철학자들의 본격적인 논의를 촉발시켰지만, 엄격한 법칙이 인과관계를 보증한다는 그의 주장을 뒷받침할 만한 엄격한 법칙의 본성에 관한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설명을 제공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왜 인과가 엄격한 법칙과 함께 묶여있어야 하는가에 대한 명확한 이유도 제시하지 않았다. 이것은 이 후의 심리철학자들의 짐으로 남게 되었다. 이 논문은 주로 데이비슨 스스로도 그가 주장하는 엄격한 법칙이 지지해야 한다고 생각했던 정신인과에 대한 반사실적 인과의 접근방법과 이에 대응하는 김재권의 생산적/발생적 인과의 그것 간의 가장 최근의 논쟁을 비판적으로 논의한다. 그렇게 하면서 비록 정신인과에 대한 비환원주의에 기초해있는 반사실인과적 설명이 어느 정도의 약점은 있지만, 가장 최근에 김재권이 주장하는 것처럼 그것 때문에 두터운 인과의 개념이 필요하게 되고 그래서 속성동일론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할 것이다. 오히려 한 바람직한 사건동일론은 반사실적조건문이 궁극적으로 의존해 있는 규칙/법칙에 기초한 정신인과의 설명을 어느 정도 뒷받침하며, 이런 인과에 기초한 설명은 김재권이 주장하는 것처럼 정신부수현상론의 덫에 빠지지 않는다는 것을 보일 것이다. 더 나아가서 이 논문은 사건동일론의 핵심논점을 설명하여 만약 비환원주의자들이 이 형이상학적 기초를 선택하다면 김의 배제의 원리가 만들어 놓은 함정을 피할 뿐만 아니라 발생적 인과의 개념도 필요하지 않게 된다. 이것은 김이 제공하는 것 보다 더 안정적인 형이상학적인 그림이 될 것이다. 논문은 이미 널리 잘 알려져 일반화 되어있는 김재권의 수반논변 또는 배제논변—수반에 의존한 정신인과의 설명은 딜레마에 빠지게 된다는 논변—을 직접적으로 논의하지는 않는다. 대신 김이 이 원리를 고안하게 된 배경을 논의하면서 그것을 간접적으로 비판적으로 논의하게 될 것이다.

      • KCI등재

        귀납추론의 인식론적 정당화

        이종왕 범한철학회 2006 汎韓哲學 Vol.41 No.2

        It would be self-contradictory to accept the premises of a deductive argument while at the same time rejecting its conclusion. In contrast, an inductive argument is not deductively valid. Rather the premises of an inductive argument are alleged to make it ”reasonable” to accept the conclusion of the argument. Inductive reasoning has epistemic justificatory power if it provides a justification which increases to some degree the probability that a justified belief is true. A correct inductive inference is thought to make it reasonable for one to accept the conclusion, in that the premises supply evidence supporting the truth of the conclusion thereby making the conclusion more likely or adding to the likelihood of its being true. David Hume raised important doubts about the justification of induction. His argument can understand to require that if inductive inference is to be justified at all then it must be justified through the use of a priori reasoning or empirical reasoning. He asserts that the use of a priori reasoning involves the avoidance of contraction. Since the rejection of induction does not result in a contraction, Hume concludes that an a priori argument on the other hand must utilize inductive generalizations in order to proceed and this assumption begs the question at issue. Therefore Hume concludes that induction cannot be justified. My paper will focus on two attempts to escape this dilemma. First, an attempt to show that inductive reasoning can be justified through an inductive argument in a noncircular manner. Second, an attempt to support induction as justified for pragmatic reasons. Both of these approaches fail. 어떤 연역적 논변의 전제들을 받아들이면서 그 논변의 결론을 거부하는 것은 자기모순이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귀납논변은 연역적으로 타당하지는 않다. 오히려 한 귀납적 논변의 전제들은 그 논변의 결론을 받아들이는데 정당한 이유를 제공한다. 귀납추론은 만약 그것이 한 정당화된 믿음이 참이 되는 개연성을 어느 정도 증가시키는 정당화를 제공한다면 인식적 정당화의 힘(epistemic justificatory power)을 가지게 된다. 올바른 귀납적 추리는 전제들이 결론의 진리성을 지지하는 증거를 제공하고 그래서 결론을 더 가능하게 만들거나 결론이 참될 수 있는 가능성에 더 보탠다는 의미에서 우리가 논변의 결론을 받아들이는데 정당한 이유를 제공하거나 이치에 닫게 한다. 데이비드 흄은 귀납의 정당화에 대한 아주 중요한 의문을 제기했다. 그의 논변은 다음을 요구한다고 이해되어질 수 있다: 만약 귀납추론이 정당화되어야한다면 선험적인(a priori) 추론의 사용 또는 경험적 추론을 통해서 정당화되어야한다. 그에 따르면 선험적 추론을 사용하면 모순을 피할 수 있다. 그러나 귀납의 거절이 모순으로 귀결되지 않기 때문에 흄은 선험적 논변이 귀납을 지지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없다는 결론을 내린다. 한편 경험적 논변은 귀납적 일반화를 활용하여야 한다. 그리고 이 가정은 선결문제의 오류를 범한다. 그러므로 흄은 귀납이 정당화될 수 없다는 결론을 내린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그런 흄의 딜레마를 피하는 전통적이면서도 가장 중요한 두 가정들에 집중할 것이다: 먼저, 귀납추론이 순환되지 않는 귀납논변을 통해서 정당화될 수 있다는 가정과, 두 번째 실용적 이유들에서 정당화된 귀납을 지지하는 시도 등이다. 여기서 필자는 이 두 가지 시도들 모두가 실패한다는 것을 보이고자 한다.

      • KCI등재

        Moral Events and Explanation, and Mental Causation

        이종왕 새한철학회 2001 哲學論叢 Vol.23 No.1

        현대 도덕 철학자들에 의해서 제기된 도덕적 설명의 문제(the problem of moral explanation)는 무얼(G. E. Moore)에 의해서 처음으로 구체화된 사실-가치의 간극의 문제(the problem of fact-value gap)와 직접적으로 관련을 가지고 있으며 더욱 더 구체화된 아주 중요한 현대 윤리학의 핵심 주제이다. 할먼(Gilbert Harman), 스툴젼(Nicholas Sturgeon) 그리고 브린크(David O. Brink)등에 의해서 집중적으로 연구되고 윤리학에서의 그 역할의 중요성이 입증된 도덕적 설명의 문제의 논점은 도덕적 송성들과 사실들의 비도덕덕 속성들과 사실들에 대한 설명적 관계를 입증하고 그에 대한 논변을 제공하는 것이다. 필자는 이 논문에서 이것과 직접적으로 관련을 맺고있는 현대의 논의들에서 보여지는 불명료성을 지적하고 이것을 더욱 더 명료하게 하고 논쟁적 요소를 최대한 제거하기 위해서 현대 심리철학에서 사용하고 있는 형이상학적 그리고 방법론적 선택자들을 적용해보려고 시도한다. 그래서 먼저 도덕적 사실들(moral facts)이라는 용어가 도덕적 상태와 변화를 포함하는 다양한 도덕적 현상들을 표현하는데 부적당하기 대문에 그 대신에 도덕적 사건들(moral events)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데 그 동기는 이러한 도덕성의 기묘한 속성(queer property of morality)을 안정된 이론적 근거를 가진 존재론적 범주에 안착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그래서 이 논문은 도덕적 설명의 문제는 바로 정신인과의 문제(the problem of mental causation)와 밀접하게 연관을 맺고 있다 못해 그것의 한 특별한 경우라는 것을 드러낼 것이다. 이러한 맥락 속에서 다양한 논의를 거치면서 물리주의의 몇 가지 원리들을 만족시키면서 도덕적 설명의 가능성을 구하는 방법으로서 도덕적 속성과 물리적 속성사이의 동일성의 선택지(identity option)를 가장 적절한 모델로서 받아들이는데 이것이 정신인과의 경우에서와는 달리 물리적 영역의 다수실현가능성의 논변(an argument from the multiple realizability of the physical)을 피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필자의 논변이 전체적 참이 되기 위해서는 비인지주의자들(noncognitivists)의 예봉을 완전히 피해야하는데 필자는 이 논문에서 그 논의와 멀리 서있기를 시도했다 그리고 그들에 대한 대응은 이 논문의 영역을 벗어나는 것이라고 이 논문의 범위를 한정했다.

      • KCI등재후보

        왜 환원주의를 받아들일 수 없는가?

        이종왕 범한철학회 2004 汎韓哲學 Vol.33 No.2

        My aim in this paper is to hold that any form of mind-body identity theory, whether the type identity held by Smart or the functional identity held by Kim, is committed to that of eliminativism. It seems difficult for Smart's identity theory to surmount the problem raised by the argument from the multiple realizability of mental properties. The supervenience argument Kim espoused to argue against the argument does not seem to fare well. It appears that the matters of the ontological parsimony and the simplicity do not work here. I don't see a big difference between Smart's and Kim's functional identity theories in that both of them rely on mind-body type identity. More seriously, Kim's functional reductive physicalism cannot avoid the problem of epiphenomenalism. For Kim himself takes his position to be what I, in other papers, called the strict interpretation of events rather than the loose interpretation. If we take his position as strict, events cannot be redescribed and therefore there will be a serious multiplication of events. Therefore, in developing the functional reductive identity theory, his claim that a mental event can be reduced to a physical event in virtue of the identifying the former with the latter can't be plausible: It is counter-intuitive. Throughout this paper, the principle of causal efficacy of mental properties qua mental that any theory of mental causation should not violate will play a crucial role in developing my theory of mental causation. 이 논문에서 필자는 동일론형태의, 그것이 스마트류의 유형동일론이든 김재권의 기능주의적동일론이든, 어떤 논변도 그것이 정신적 속성과 물리적 속성을 동일화시키는 한에 있어서는 정신적 부분을 배제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는 것을 보이고자 한다. 스마트류의 동일론의 주장은 일견 그 자체로 단순성을 가지고 있고 존재론적 경제성의 측면에서 합리적으로 받아들일 만한 것처럼 보이지만 지혜로운 기능주의의 논변인 다수실현가능성의 그것이 쳐놓은 장애물을 넘지는 못했다. 비록 김재권의 수반논변이 비환원주의자들의 주장을 희석시키려고 노력했다 하더라도 만족할만한 성공을 보이지는 못했다고 생각한다. 이 논변의 내부에 납득할 수 없는 부분들이 어느 정도 존재하는 것 같다. 또한 김재권이 다수실현가능성논변에 대응하여 신중하게 고안한 기능적 동일론도 전통적 형태의 속성동일론과 본질적 차이를 나타내는 것 같지는 않다. 김의 속성동일론의 큰 취지는 실재적인 국지적 속성동일론을 주장하고 있다는데 있지만 그의 사건 예화론의 최초의 존재론적 문제가 발목을 잡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가 주장하고 의지하고 있어야할 사건 존재론의 기초 위에서는 한 유형으로서의 정신적 속성이 비록 이것이 이차적-기능적 속성이라고 가정한다 하더라도 한 유형으로서의 물리적 속성과 동일화되기는 곤란해 보인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 먼저 환원주의의 장점을 간략하게 논의한 후 물리적 기능주의와 다수실현가능성논변을 제시하고 그 취지와 적절성 그리고 그것이 어떤 결과를 초래하는지를 고찰해 보겠다. 다음 이 논변을 주장하는 비환원주의자들이 의지하는 수반의 의존성 또는 결정성들이 정신적 속성들이 인과적 힘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할만한 근거가 되지 못한다는 것을 보이고자 하는 수반논변을 비판적으로 검토해보겠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 논변의 결과로 주장하는 새로운 기능적 환원주의를 간략하게 검토하고 이것을 참된 정신인과이론으로 받아들일 수 없는 근거를 제시하겠다. 이것은 새로운 원리를 제시하면서야 가능해지는 것인데 그것을 필자는 정신적인 한에서의 정신적 속성의 인과적 효력의 원리로 명명하겠다.

      • KCI등재

        존재론적 이원론과 존재론적 물리주의

        이종왕 범한철학회 2006 汎韓哲學 Vol.40 No.1

        It is natural to think that there are two different types of dualism, substance dualism and property dualism in terms of their metaphysical foundation and their formality and purpose as plausible explanatory models of the mind/body theory. Property dualism should be called the ontological physicalism while substance dualism is called ontological dualism. According to ontological physicalists, all concrete existences are physical, but there are some nonphysical properties that remain unreducible to their physical base properties. By contrast, ontological dualists hold that there are two entirely distinct substances, mental and physical substances, in the world. Arises an immediate question. Does this dualism provide a plausible solution to the problem of mental causation? Jaegwon Kim forcefully argues that the ontology of immaterial minds does not help us with mental causation problem. In this paper, first, I will examine the two types of dualism by critically discussing their main claims and what lack to be plausible theories of mind. In so doing, I will try to show that Cartesian dualism is untenable because the mental substance of this dualism lacks a spatial location, which in turn makes it committed to what Kim calls “the paring problem.” To this point, I will provide another important concept “dependency” as a theoretical flaw of Cartesianism. Second, I will look into the supervenience argument as the most serious argument against the property dualism. But, I will conclude that the property dualism remains unharmed. Finally, I will briefly examine a seemingly new concept “Sinchesng (maybe, the property of being body as the union of mind and body)” provided by Dae-Hyun Jung as overcoming problems of dualism by providing three unclarified points shown in his claims in understanding the two concepts of dualism. 존재론적 물리주의(ontological physicalism)를 확립하기 위한 출발점은 속성이원론의 형태를 띠고 있어야 한다. 가장 근본적인 인과의 항으로 속성의 예화인 사건의 존재를 가정하고, 사건들 사이의 인과관계를 설명하는 방식에 따라서 이것은 비환원주의적 또는 환원주의적 물리주의로 나누어진다. 여기서 우리는 형이상학적 기초와 설명적 모델의 형식과 목적의 측면에서 존재론적 물리주의와는 상당한 차이를 보이는 데카르트식의 존재론적 이원론(ontological dualism)은 과연 적절한 대안일 수 있는가하는 의문을 가지게 된다. 김재권은 이 이원론이 속성이원론 보다 더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고 주장 한다: 이것은 부수현상론자들 조차도 선택할 수 없는 이론으로 전락하게 된다. 가장 중요한 이 논문의 목적은 두 가지 다른 형태의 이원론들, 존재론적 이원론과 속성이원론, 이 과연 적절한 정신인과이론일 수 있는지를 검토해보는 것이다. 결론은 데카르트식의 설명적 모델은 그것이 가정하는 근본적인 형이상학적 전제들로 인해서 공간개념과 의존개념을 차례로 포함하지 못하기 때문에 적절치 못한 이론으로 전락하는 반면, 속성이원론을 가장 치명적으로 공격하는 수반논변은 비환원주의를 심각하게 괴롭힐 만한 주장을 포함하고 있지 않는다는 것이다. 여기서 필자는 테드 월필드와 토마스 크리스프의 반수반논변을 변호할 것이다. 이 두 이원론들은 그 근본적인 형이상적 전제와 설명적 형식과 목적들이 본질적으로 다른 것들이다. 그래서 심신문제를 다를 때 이 두 가지를 혼동해서는 안 될 것이다. 또한 필자는 이런 와중에서 특히 정대현이 그런 두 형태의 존재론들과는 다른 새로운 토대 개념이라고 주장하는 신체성 개념을 검토해볼 것이다. 그러나 이 개념이 기껏해야 속성이원론자들의 심신개념을 주장하는 것에 다름 아니라고 주장하면서 그가 위에서 논의하는 두 가지 형태의 존재론들을 혼동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고 주장하겠다.

      • KCI등재

        기능적 환원주의는 환원적 물리주의인가?

        이종왕 범한철학회 2011 汎韓哲學 Vol.62 No.3

        Can Kim's functional reductionism be regarded as the reductive physicalism(RP) based on mind-body identity theory that satisfies the ontological parsimony or simplicity? The old Feigl/Smart type of reductive physicalism can be quickly called into question because it is faced with an argument from the multiple realizability of mental properties(MRM). This argument has usually been used by the proponents of non-reductive physicalism as a main argument against RP. In recent years, Kim has been developing his view of MRM and his reasons for espousing a functional version of reductive physicalism, given the truth of MRM. Initially he held that figure in reductive bridge laws could be hugely complex Boolean combinations of the physical properties(e.g. disjunctive properties). However, it now seems clear to him that disjunctive and infinitely disjunctive properties are not projectible nomic properties. For this reason, Kim has recently tried to develop RP by elucidating it in terms of a functionalist conception of reduction. To do this, he turns to what is called "local reduction"; a view that involves elaborating matters concerning disjunctive properties. In this paper, I will mainly examine Kim's view and how he tries to defend his functionalism against some objections by critically discussing the two main elements of his functional reductionism. I will briefly discuss how his view can be thought of as a form of token physicalism. 김재권의 기능적 환원주의는 과연 존재론적 경제성 또는 아름다운 단순성을 만족시키는 심신동일론에 기초한 환원적 물리주의로 간주될 수 있는가? 필자는 이 질문에 답하면서 김이 주장하는 그 새로운 환원주의의 어떤 단계가 그것을 유형동일론으로 보게 하는지, 만약 그것이 전통적인 심신유형동일론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어떤 것이라면 그것은 어떤 형태의 환원주의 이론으로 간주될 수 있는가 등을 논의할 것이다. 물리주의를 논의할 때 환원성과 비환원성에 관심을 집중한다면 필연적으로 논의해야 할 주제들이 바로 비환원주의자들이 의존하는 수반물리주의와 이것을 비판하는 수반논변이다. 김재권에 있어서 이들에 대한 논의의 결과가 바로 그가 환원주의로 가야하는 정당성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이 파이글/스마트의 유형동일론으로 가지 않는 이유는 바로 정신적 속성들의 다수실현가능성 논변이라는 것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김의 기능적 환원주의는 바로 이런 상황에서 그가 선택할 수밖에 없었던 이론이라는 것 또한 잘 알려져 있다. 즉 환원주의로 가야하는 정당성은 수반논변을 통해서 확보했지만 건전한 논변인 다수실현가능성 논변의 예봉을 피해야 하는 상황이 그로 하여금 기능주의를 환원적 물리주의로 발전시키게 하는 동기로 작용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기능주의가 장애물을 넘어서서 어떻게 환원주의로 탈바꿈할 수 있는가 하는 의문은 필자가 가장 심각하게 제기하는 의문이다. 필자는 이 논문에서 기능주의를 환원적 물리주의로 발전시키려는 김의 다양한 시도가 결국 성공적이지 않다는 것을 보이려고 한다. 그의 기능적 환원주의의 핵심 논변들인 국지적 환원과 선접적 전략 모두 그가 환원적 물리주의로 가는 정당성을 성공적으로 제공하지는 못한다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더 나아가서 그의 국지적 환원의 전략은 개별자동일론 또는 사건 동일론에 더 가까운 원치 않는 결과로도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간략하게 논의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