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孟子心學之 硏究 : 정인재

        정인 私立中國文化大學 1977 해외박사

        RANK : 1839

        본 논문은 맹자의 심학을 주로 인의(仁義)의 도덕심에 근거를 두고 맹자의 성선설 , 호연지기설 인정(仁政)등의 제문제를 체계화시켜 다룬것이다. 중국 철학사에서 심학 (心學)의 연원을 맹자에서 찾아 그 특성을 밝히었다. 본 논문은 도론(導論)에서 맹자 가 말하는 심(心)의 기본특성을 5가지로 파악하였다. 첫째, 인의성(仁義性: morality) 둘째 동연성(同然性:Universality) 셋째; 직발성(直發性; Spontaneity) 넷째 존망성 (存亡性;Preservatin and Lose of the original Mind) 다섯째 능사성(能思性;Self-Ref lecting Mind) 제2장에서는 심학의 배경과 연원을 다루었다. 맹자당시의 시대 상황과 그 당시에 이단사설(異端邪設)을 심학의 입장에서 물리친 것을 제3장에서는 심라성선 (心羅性善)을 다루었다. 주로 1) 맹자이전의 성(性)에 관한 논의 2) 맹자와 고자와의 인성에 관한 논변, 3) 生으로써 성(性)을 다룬것이 아니라 맹자는 심(心)으로써 성(性 )의 문제를 다루었음을 밝히고 4) 심(心) 성(性) 정(情) 재(才)의 개념과 그 관계를 논하였다. 제4장에서는 심의 존양(心之存養)이란 제목하에 수양론을 주로 논하였다. 1) 구방심(求放心)을 논하고 2)부동심(不動心)을 논하고 3) 호연지기(浩然之氣)의 의 미를 밝히고 4) 지언 (之言)의 뜻을 다루었다. 제5장에서는 심과 인정(心氣仁政)이란 제목하에 심학의 정치,경제에 어떻게 적용되었는가를 살피었다. 1) 불인인지심(不忍人 之心) 이어진 정치(仁政)에 어떻게 실현되었는지 2) 항산(恒産)과 항심(恒心)의 관계, 즉 경제적인생활과 도덕심의 관계를 밝히고 3) 왕도(王道)와 패도(覇道)즉 도덕정치 와 힘의 정치관계를 다루었으며, 4) 정권 이양문제인 선양(禪讓)과 방벌(紡伐)의 문제 를 다루었다. 제6장은 결론으로서 심의 다섯가지 특징이 어떻게 성선(性善)의 문제와 수양(修養)과 현실정치·경제와 연결되는지를 논하였다.

      • 무전해 도금법을 이용한 W-NiP 복합분말의 활성화 소결에 관한 연구

        정인 광운대학교 대학원 1993 국내석사

        RANK : 1839

        EMI란 전자 기기에서 발생하는 전자파 노이즈가 다른 전자 기기를 오동작하게 하는 새로운 환경 공해이다. 이러한 전자파 장해로 인하여 여러 선진국은 전자파 규제법을 마련하고 있다. 이로 인한 EMI 차폐 대책에는 제품 설계시 전자파 장해에 대한 대책을 수립하는 방법과 제품 설계 후 전자파 장해에 대한 대책을 수립하는 방법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제품 설계시 전자파 장해에 대한 대책 수립으로는 EMI발생을 제한하는데 한계가 있어 EMI 차폐재를 이용하여 전자파 장해를 극복해 나가고 있다. 차폐재를 이용하는 방법에는 금속판을 이용하는 방법과 플라스틱 표면에 전도층을 형성하는 방법, 전도성 충진제를 플라스틱에 혼입하는 방법이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각각의 방법마다 장단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많은 연구들의 목적은 전자 기기 본체의 무게를 증가시키지 않고 최대한 전자파 차폐 효율을 높이는 물질 개발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비중이 낮고 판상형인 운모 분체 표면위에 무전해 니켈도금, 무전해 구리 도금, 무전해 니켈-구리 이중막 도금을 각각 시행하므로써 전도성을 지니는 금속화운모를 제조하여, 이를 EMI 차폐용 분체로서 사용하였다. 또한 이 EMI 차폐용 분체의 특성을 고찰 하였다. 미분체 운모 표면에 무전해 니켈 도금을 하였을 경우 도금 상태가 양호한 조건은 금속염 0.1m, 환원제 0.2m, 착화제 0.16m, 온도 60℃, pH 10였으며, 무전해 구리 도금의 경우 도금 상태가 양호한 조건은 금속염 0.04m, 환원제 0.15M 착화제 0.15M, 온도는 상온, pH 12였다. 미분체 운ㅇ모 표면에 무전해 니켈마그 구리막, 니켈-구리 이중막을 형성한 금속 화운모 미분체를 도료화하여 전자파 차례 효과를 측정한 결과 각각 최고 63dB, 73dB, 79dB를 나타내었다. 이 값은 구리 금속판을 이용한 전자파 차폐의 90dB에는 못 미치지만, 도포 횟수를 6회 이상 시행했을 경우 전자파 차폐 효과가 약 10dB 정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고, 이는 구리 금속판의 차폐 효과와 거의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조된 금속화 운모분체는 복잡한 형상으로 인하여 금속판의 사용이 어렵거나, 넓은 면적으로 인하여 무전해도금이 어려운 곳에 전자파 차폐용 전도성 도료 및 플라스틱의 충진제로서 좋은 기준 자료가 되리라 기대된다. EMI causes errors in the function of other instruments when an electrical instrument emits the electrical noise. Over the years, EMI has been identified as a new environmental pollutant. Therefore, many advanced countries have started implementing new electromagnetic wave measures in accordance with this area. There are two major ways in dealing with EMI. The first method is taking EMI into consideration in the initial design stages, and the other is dealing with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through shielding material after the design of the product has been completed. The latter method has been favored because there are many limitations to reduce EMI from the initial design stage. There are many shielding materials that have been considered ; the use of a metallic plate or the layering of a conductive materialon a plastic surface and the insertion of filler in plastics. All of these methods have shown their merits and weakness. Therefore, many studies have concentrated on developing a materials that effective ly cut down EMI without increase in weights of housing materials. In these respects, this study has focused on investigations of the shielding effect of materials that have electroless nickel, copper, and a double layer of nickel-copper plating on a lamella structures micro particles surface with low specific gravity. The optimum conditions found for the electroless nickel plating of the micro mica surface were as follows ; metallic salts 0.1M, reducing agent 0.2M, complex salt 0.16M, temperature 60℃ at pH of 10. In the case of the electroless copper plating the optimum conditions for that were as follows ; metallix salt 0.04M, reducing agent 0.15M, complex salt 0.15M, room temperature at pH12. When a film of electroless nickel, copper and a double layer film of nikel-copper were plated on a micro partible surfaces and then mixed to paint the electromagnetic shielding effects were measured as 63, 73 and 79dB, respectively. Although these effects were less than that 90dB by the copper plate, trials in a series of 6 times increased the shielding effect by 10dB. Therefore, close shielding effects to that of the copper plate could be achieved. Consequently, results of this sutdy showed filler of conductive paint and plastic inserts can be used as a shielding material for the case when the use of a copper plate is not favorable or the use of electroless plating is not favorable due to ares constructions.

      • 성인여드름 피부의 자외선차단제 사용 실태 및 물리적 자외선차단제의 세안 방법에 따른 세정력 비교 연구

        정인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39

        본 논문에서는 성인여드름 피부 타입의 자외선차단제 사용 실태를 파악하고, 모공 폐색성이 높다고 알려진 물리적 자외선 차단 성분과 SPF 지수에 따른 자외선차단제별 세안 방식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실험을 통해 관찰하였다. 사전 설문으로 전국 25세 이상 성인여드름 피부 타입 남녀 1,036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통해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자외선차단제 사용 실태, 세안 습관, 이중세안 인식 등을 조사하였고, 피부 모형인 검정색 Bioskin plate에서 흰색을 띄는 물리적 자외선 차단 성분인 티타늄디옥사이드와 징크옥사이드의 잔류 정도를 세안제의 변화에 따라 명도 값을 분광색채계로 측정하였다. 자외선차단제 사용 실태를 조사한 결과 연구대상자 1,036명 중 자외선차단제를 사용하고 있다고 응답한 사람은 855명(82.5%)이고, 자외선차단제를 사용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사람은 181명(17.5%)으로 나타났다. 남성과 여성의 비율은 여성의 경우 644명(85.4%)이 사용한다고 응답했고, 남성의 경우 211명(74.8%)이 사용한다고 응답하여 성별에 따른 자외선차단제 사용 여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남녀 구분 없이 모두 자외선차단제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각하는 성인여드름 피부 타입을 가진 성인 남녀는 자외선차단제를 사용하는 것에 있어서 특정한 계절에 영향을 받지 않은 채 1년 내내 사용하고 있으며, 자신이 사용하는 자외선차단제의 성분 구성을 명확하게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검색과 사용감을 기준으로 자외선차단제를 구매하고 있고, 자외선 차단 성분이 피부에 잔류할 것을 우려해 이중세안이 필요한 것으로 인지하고 있으며, 이중세안을 위한 세안제로서 클렌징오일과 클렌징폼 조합을 가장 많이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ioskin plate의 실험에서 물리적 자외선차단제 SPF 15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유성세안제의 단독 사용과 이중세안 방법은 모두 적합했지만 수성세안제의 단독 사용은 적합하지 않았으며, 물리적 자외선차단제 SPF 30 제품과 SPF 50 제품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이중세안만이 유일하게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finds out about usage of sunscreen in adult-onset-acne skin types and through the experiment, I have observed the difference in washing methods depending on the mineral UV protection ingredient which is known to have pore obstructivity and sunscreen with various SPF ratings. An advanc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o 1,063 men and women with adult-onset-acne skin and aged over 25 years. This online survey was to investigate research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sunscreen usage, facial cleansing habit, and recognition on double facial cleansing. Moreover, the amount of residue of titanium dioxide which is mineral UV protection ingredient showing white color in black bioskin plate of skin model and zinc oxide was measured by spectrophotometer through its brightness value depending on the changes of facial cleanser. According to the sunscreen usage research, among 1,036 research subjects, 855 people (82.5%) answered that they are using sunscreen products and 181 people (17.5%) answered that they do not use sunscreen products. Based on the men and women ratio, 644 women (85.4%) and 211 men (74.8%) said they are using sunscreen products. Based on this result, as the use of screen depending on the gender indicates statistically no meaningful difference and thus, it has shown that sunscreen products are used by all the people, no matter the gender. For men and women who are conscious of their adult-onset-acne skin types, in terms of using the sunscreen, they were using it all through the year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certain season. Furthermore, they were using the products without clearing recognizing the component structure of the sunscreen they are using. They purchased sunscreen products based on internet research and texture and perceived that they need double facial cleansing because of their worries that UV protection ingredients may remain on skin. In regards to the facial cleanser for double facial cleansing, they preferred the combination of cleansing oil and cleansing foam the most. In the bioskin plate test, for removing mineral sunscreen SPF 15, use of cleansing oil alone and double facial cleansing methods were both appropriate but the sole use of cleansing foam was inappropriate. For removing mineral sunscreen SPF 30 and SPF 50, double facial cleansing was the only appropriate method.

      • 문법적 연어를 활용한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

        정인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1839

        국문요약 문법적 연어를 활용한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 정인경 한국학과 한국언어문화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 이 연구는 <국립국어원 문어 말뭉치(2019)>를 대상으로 한국어 교육용 문법적 연어를 추출하고 위계화하여, 효율적인 한국어 쓰기 교수-학습 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선정한 문법적 연어를 형태 초점 접근법의 여러 기법과 과제를 적용하여 효율적인 한국어 쓰기 교수 학습 방안을 제시하도록 한다. 쓰기는 대상 언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어휘력과 문법 지식을 구조화하여 글로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내용과 구성이 좋음에도 문장 구성의 뼈대에 해당하는 문법 항목 오류에 의해 어색한 문장을 생성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예를 들어 ‘*늦게 일어났는 바람에 기차를 놓쳤다‘에서 발생한 형태적 오류는 시상에 관여하는 문법적 연어의 특성인 제약 조건에 대한 명확한 인식이 있었다면 피할 수 있는 부분이다. 즉 어미적 연어인 ’-는 바람에‘에 다른 어휘요소나 문법요소가 첨가되었을 때 오류가 발생하는 제약이 있는 것이다. 이처럼 문장 구성에서 정확한 문법과 어휘를 사용했음에도 오류문이 발생하는 원인은 단일한 의미적 기능을 하는 문법적 결합 형태에 대한 인식의 부족에 기인한다. 이런 현상은 어휘소와 문법소가 형태적으로 결합하여 이루어진 문법적 연어를 적절히 사용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국립국어원 문어 말뭉치(2019)>를 대상으로 교육적으로 유의미한 결합 관계를 이루는 문법적 연어를 통계적이고 기계적인 방법으로 추출하고, 이론적 판별 과정을 거쳐 조사적 연어와 어미적 연어 목록을 선정하였다. 이렇게 선정한 조사적, 어미적 연어 목록을 바탕으로 문법적 연어의 사용 빈도와 형태적 복잡성 등의 학습 난이도를 고려한 위계화 목록을 제시하였다. 학습의 난이도는 결합 구성의 형태적 복잡성과 의미적 투명성을 바탕으로 삼았다. 등급에 따라 제시된 문법적 연어를 목표 언어 형태에 집중하는 형태 초점 접근법의 다양한 기법과 과제에 적용하는 쓰기 교수 학습 방안을 제안하였다. 초급에서는 입력 강화 기법(input enhancement)을, 중급에서는 의식 상향 과제(Consciousness-raising tasks)를, 고급에서는 듣고 재구성하기 기법인 딕토글라스 기법(dictogloss)의 쓰기 교수 학습 모형을 설계하여 쓰기 교수 학습에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조사와 어미의 기능을 하는 조사적 연어와 어미적 연어를 한국어 쓰기에 적용하면 학습자의 문장 구성 능력에 대한 이해와 사용이 확장되고, 심도 있는 문장을 형성하여 교육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산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형태 초점 접근법을 기반으로 하여 문법적 연어 구성을 학습하게 됨으로써 쓰기의 내용과 구성이 정밀해지고 표현력이 상승하는 교육적 효과가 발생할 것이다. 주제어 : 문법적 연어, 조사적 연어, 어미적 연어, 한국어 쓰기, 형태 초점 접근법

      • 韓國의 土地利用規制에 關한 硏究 : 用途地域地區制를 中心으로

        정인성 (丁引聲) 檀國大學校 大學院 1989 국내박사

        RANK : 1839

        本 論文은 韓國의 土地利用規制에 있어서 그 주된 手段인 用途地域地區制에 관한 實相을 分析하고 그 問題點을 抽出하여 그 改善方案을 摸索하는데 그 目的이 있다. 이와같은 目的을 달성하기 위하여 本 硏究는 다음과 같은 範圍와 方法을 채택하고 있다. 最廣義의 土地利用規制는 土地의 所有, 利用, 收益등의 規制를 包括하는 槪念으로 土地政策과 同一 槪念이나, 그 중 「利用」規制만을 內容으로 하는 廣義의 槪念 가운데, 그 주된 手段인 用途地域地區制만을 限定하여 狹義의 土地利用規制로 定義하고 이를 本 硏究의 對象으로 하였다. 또한 法測上 範圍로는 非都市地域의 土地利用計劃과 用途地域地區制에 대하여는 國土利用管理法을, 都市地域의 土地利用計劃과 用途地域地區別에 대하여는 都市計劃法 및 建築法만을 限定하여 分析 考察하였다. 그리고 서울市 江南地域 282個 標準地를 事例對象 地域으로 선정하여 用途地域 變更과 地價와의 相關關係를 콤퓨터를 사용 多重回歸分析方法으로 用途地域地區制의 目標인 效率性과 衡平性을 計量的으로 實證分析함으로써 本 硏究의 妥當度를 높이고자 하였다. 이와같은 節次에 따라 分析한 結果 그 問題點에 따른 改善方案을 강구한다면 用途地域地區制의 效率性이 提高되고 衡平性이 確保될 것이라 생각된다. 첫째, 70餘個의 過多한 土地利用規制法令의 構造的 再整備가 이루어져야 하고, 또한 土地利用計劃間의 目的體系가 複雜多岐하므로 各級計劃間의 體系化를 위한 構造 調整이 先行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國土利用計劃上 用途地域의 管理體系가 複雜하여 綜合調整機能이 徵弱하므로 「國土廳」(가칭)과 같은 國土利用管理를 綜合的으로 總括 專擔하는 機構를 設置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고, 또한 傳統的 用途地域地區制의 硬直性을 補完하고 時間的 狀況에 부응하는 時差的地域制등 새로운 用途地域制의 導入이 硏究 檢討되어야 할 것이다. 세째, 現行 우리나라 用途地域地區制는 都市의 一部 또는 集團으로서의 建築物規制의 手段이 없고, 立體的 都市環境 造成에 대한 실질적 調整이 不可龍하므로 이를 補完하기 위하여 地區計劃制度의 導入이 檢討되어야 할 것이고, 또한 都市計劃을 長期的 合理的 方向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街區分割統制手法을 都市計劃의 一部로 導入 實施함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네째, 單位用途地域을 細分化하고 不適格用途를 誘導行政에 의하여 適格用途로 유도하고, 用途地域 變更의 愼重性을 提高하여야 할 것이며,또한 基本建築親制와 用途地域別 建築規制의 內容이 區分될 수 있도록 建築法 體系의 改編이 檢討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現行 用途地域地區制의 基本的 證展方向은 이제까지의 中央集權的 劃一規制로 부터 計劃發想과 執行方式에 일대 轉換이 요청된다 할 것이다. 따라서 그 地方 내지 地域의 現地性과 自律性이 提高되고 住民參與와 公開行政 등이 確保될 때 合理的이고 效率的인 土地資源의 利用 管理가 이루어지고, 全國의 모든 地方住民들에게 土地利用에서 발생하는 所得과 富가 보다 골고루 配分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rimary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hree-fold: (i) to analyze the intricate nature of legal as well as institutional background of land use control system in Korea, (ii) to articulate both structural and operational problems pertinent to the system, and (iii) to propose a set of alternatives streamlining the current land use control machanism enhancing the efficiency and equity aspects of the system. The land use control, in a broadly specified terms, is generally implied to publicly intervene possession, use, as well as transacion of private property for the sake of public intrest. The present study places special emphasis upon the manner in which the use of private property is controlled by zoning system which is a major type of land use control in Korea. Land use ordinances manifested in National Land Use and Management Law, Urban Planning Law, and Construction Law are comparatively reviewed. The nature of problems, legal and administrative, associated with zoning system are discussed in efficiency and equity context. An empirical analysis exploring the impact of zoning change upon land price is also attempted utilizing 282 sample parcels in the study area. Several recommendations are proposed. First, to simplify the complex legal structure associated with land use control and its administration is strongly called for. Government bodies responsible for controlling specific types of land use tend to compete each other. A strong organizational effort and even an establishment of a new government organization seem to be needed to better orchestrate an efficient administration of land use control. A new concept of zoning should be developed and accomodated in the present system to minimize the intrinsic problems of inflexibe nature of current zoning structure. Zoning scheme similar to subdivision control in the United States is recommended. Strategies effectively policing land use violations should also be developed. Finally, the procedure of land use control and administrative decision making power should be further decentralized. And a formal channel to reflect local intrests and to facilitate citizen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should be institutionalized corresponding to the new wave of local antonomy movement currently witnessed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