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품 및 서비스혁신 : 국제기업의 리더십 유형과 조직유효성에 국가문화특성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이정아 ( Jungah Lee ) 한국통상정보학회 2014 통상정보연구 Vol.1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거래적/변혁적 리더십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에 있어서 국가문화의 조절효과를 밝혀내는 것이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국제경영을 수행하고 있는 해외진출기업과 국내진출 외국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거래적/변혁적 리더십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변혁적 리더십이 거래적 리더십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거래적/변혁적 리더십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국가문화의 조절효과는 남성주의문화성향을 제외한 집단주의, 권력간격, 불활실회피 문화의 조절효과는 변혁적 리더십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효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국가문화 단독요인의 경우 유의한 결과를 보여주지 못한 반면 리더십과 문화요인과의 상호작용의 경우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는 점은 해외진출기업이 진출국가의 문화 환경을 고려한 리더십을 선택함으로 보다 나은 조직성과를 달성할 수 있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Un globalization unfolds, concerns and research toward the differnces international cultures has increased. However, there is a dearth of research regarding how to nature culture align orgainzational performance with leadership style.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style and the orgainzational performance with mediating effect of national culture. Understanding the cultures of other countries is not as fast as the speed of internationalization. As globalization advances, interest and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national culture differences have been increasing. One of the important challenges for business leaders is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deal with cross-cultural management. But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cross-cultural management.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this study, adopts Hofstede cultural dimensions, and finds the mediating effect on these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Feminism, collectivism, power distance, and uncertainty avoidance were classified into four factors of national culture has differnct mediating effect on leadership style and performance. This research has concentrated on leadership-style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with mediating effect of national culture.

      • 브루너의 교육적 인식론에 대한 이해와 비판적 고찰

        이정아(Lee, JungAh)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연구 Vol.31 No.1

        본 연구는 인지심리학자인 브루너가 교육을 어떻게 바라보았는가에 대한 교육적 인식 론을 이해하고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여기서 우리는 브루너가 저술한 「교육의 과정(The Process of Education),1960」에 나타난 브루너의 전기 교육적 인식론, 「교육의 적합성 논쟁(The Relevance of Education),1973」에 제시된 브루너의 중기 교육적 인식론 그리고 「교육의 문화(The Culture of Education),1996」에서 보여준 브루너의 후기 교육적 인식론은 무엇인가를 따져 보지 않을 수 없다. 동일한 “교육”이라는 단어를 썼지만, 그 의미는 세 가지 모두 다르다. 그의 이러한 지적행로는 각 시기별 그가 실제 머물렀던 사회적 환경과 공간의 변화, 그리고 연구방법의 변화에서도 볼 수 있다. 브루너의 지적행로를 전기, 중기, 후기로 나누었을 때, 전기 ‘지식의 구조’에서 중기 ‘문 화실조론’, ‘갈등이론’, ‘지식의 사회적 실재론’으로 바뀌는 시기의 변화가 가장 컸으며, 사회적 맥락 안에서 학교교육을 본 점이 초기 교과론에 갇혀 있을 때와는 차이가 있다. 마지막 시기는 문화 안에서 인간이 어떻게 발달하는 가에 초점을 두고 그것을 표출해 가는 양식의 하나로 내러티브 양식을 제시한다. 브루너에게 이 양식은 삶과 유사한 스토리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객관적 진실 하나를 제시한 패러다임적 양식과는 대비를 이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세 시기를 다 지나도 여전히 ‘주지주의’적인 관점을 벗어나기 힘들었으며, 지·덕·체·미의 조화로운 전인적 인간상을 제시하지 못하였다. 이는 그의 생애를 살면서 브루너가 극복하지 못한 교육적 인식론이라 생각한다. This study researched the changes in Jerome S. Bruner s thoughts and concepts about what is education through his works. I criticized Bruner s educational epistemology of each period. From his several books, I chose three major works to which my educational interests have been connected; 1) 「The Process of Education, 1960」(the first period -1971 at Harvard University), 2) 「The Relevance of Education, 1971」(the second period, 1971-1980 at Oxford University), and 3) 「The Culture of Education, 1996」(the third period, 1981-2016 at New York University). The distinction of the three periods is important to this study so that I might perceive a difference and similarity in each period. The meaning of Education the first period was concerned with the structure of knowledge that had been closed to scholarly subjects on intellectualism. The concept of Education during the second period was based on the Theory of cultural deficiency, Conflict theory, and Social realism of knowledge. There was a great change in the concept of educa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eriod thought. However, I sympathize with Bruner s own critics of previous thoughts according to the recent work -「The Culture of Education.」 He already distinguished the definition between a paradigmatic mode of thought and a narrative mode of thought. The former was objectivism and the latter was relativism . Therefore, a narrative mode of thought was about various valuable personal life stories which were compared with a fact. Nevertheless, the concept of education among his thoughts of all periods could not pursue an aim such as “the education for the whole man.”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탄력밴드 운동프로그램이 대학생의 근력과 운동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효정 ( Hyojeong Lee ),박수정 ( Sujeong Park ),신희문 ( Heemun Shin ),이다운 ( Daun Lee ),이정아 ( Jungah Lee ),정의경 ( Uigyeong Jeong ) 대한통합의학회 2016 대한통합의학회지 Vol.4 No.2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and analyse the change on muscular strength and exercise performance 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in leisure sports by elastic-band exercise program. Method : The subjects(N=22) participating in leisure sports are recruited from K university located in Chungbuk. The subjects which are divided to 2 groups as experimental group(N=11) conducted elastic-band exercise program and control group(N=11) conducted stretching program. The muscular strength and exercise performance ability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Result :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p>.05) in sex, age, height, and weight among subjects. In the measurement of muscular strength, a significant difference(p<.05) was observed in each group, and there was also significant difference(p<.05) between two groups except gastrocnemius(p>.05). A significant difference(p<.05) in muscular volume was observed in each group, and there was also significant difference(p<.05) between two groups apart from gastrocnemius(p>.05). In exercise performance abilit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p<.05) in sergent jump and side-step in each group,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p<.05) between two groups in sergent jum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p>0.5) in side-step. Conclusion : Based on this study, through a variety of age and various intervention period to apply more subjects conducting elastic-band exercise program should continue.

      • KCI등재

        안데르센 『그림 없는 그림책』의 한국 수용사 연구 - 1920~ 1970년대를 중심으로 -

        장정희 ( Jang Junghee ),이정아 ( Lee Jungah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7 동화와 번역 Vol.34 No.-

        본고는 안데르센의 『그림 없는 그림책』의 초창기 번역 수용사에 대한 연구이다. 초기 안데르센 동화가 수용되는 시점의 동향을 검토하고, 1920년대부터 70년대까지 그림 없는 그림책 이 번역된 수용사의 측면을 살펴보았다. 안데르센 동화 중에서도 『그림 없는 그림책』은 ‘서사산문시’로도 표현되는 시적인 문학에 속한다. 이러한 작품을 한국에 처음 번역·소개하려고 시도한 인물은 방정환으로 파악되었다. 그는 저명한 외국문학가였던 김억(金億)에게 번역을 의뢰하였으나 성사되지 못했다. 그 뒤 전영택은 『영대』(1924.9~12)라는 잡지에 『그림 없는 그림책』을 우리나라에서는 최초로 번역하여 연재하기 시작했다. 연재가 끝나자 1925년 1월호 『어린이』에 소개되었다. 아동 잡지로서는 처음 실린 것이다. 그림 없는 그림책 의 완역은 해외문학파 서항석에 의해 완성되었다. 그는 『신가정』 3권 7호(1935.7)부터 4권 7호(1936.7)까지 총 10회에 걸쳐 서른세밤 이야기 모두를 번역하였다. 5회 연재부터는 정현웅의 삽화까지 포함되었다. 1970년대에 접어들면 『그림 없는 그림책』에 대한 번역과 연구 양 분야에서 활발한 성과가 나타나게 된다. 김요섭과 ‘아동문학사상’의 역할은 빼놓을 수 없다. 살펴보면 우리나라에는 아직 덴마크 원본에 의한 번역이 이루어지지 못한 듯하다. 여기에 대한 선행 번역 및 연구를 확인할 수 없었다. 원작으로부터 변형된 ‘첨가’ ‘변형’ ‘삭제’의 요소들이 그대로 한국에 수용되었을 가능성도 없지는 않다. 앞으로 안데르센 동화의 한국 수용에 관한 체계적인 정리 조사 및 본격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안데르센 동화에 함축된 섬세한 시정을 예술적 동화의 차원에서 새롭게 살려내는 일은 남은 과제이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Korean translation of Picture Book without Pictures in the early period.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trend representing the early reception process from the 1920’s only to the 1970’s with limit. Picture Book Without Pictures among Andersen’s fairy tales is the short prose forms which serves as a narrative mode. It is understood that this creation was attempted to be translated and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by Bang, JungHwan. He asked Kim Eok who had been famous for the foreign literature to translate Picture Book Without Pictures in Korean, which results to be failed. Then, Jun Yungtaek published Picture Book Without Pictures in Korean version serially at first in 『YungDae』 (1924.9~12). Finally, the parts of its series were described in 『Eorini』 (1925, January). 『Eorini』 was the first children’s magazine as a project of this. The following full version translation of Picture Book Without Pictures in Korean was completed by Seo Hangsuk. He translated thirty-three Evenings of Picture Book Without Pictures, in all, from 『ShinGaJun(vol.3.no.7)』 (1935.7) to 『ShinGaJung(vol.4.no.7.』 (1936.7) tenthly. The fifth series began to be included the illustrations drawn by Jung Hyunwooing. From the 1970’s, the variety of its translations and its researches on Picture Book Without Pictures had been a flourishing condition. The title of 『AdongmunhakSasang(vol.9)』 was “Picture Book Without Pictures” edited by Kim yoseop who has been called “Andersen of Korea”. He had made an attempt on the introduction of Andersen’s works to Korea, searching many fantasy fairy tales and its theory. However, the translation on the basis of the Danish original cannot be found to be accomplished until now. It is considered that the translation of Picture Book without Pictures in Korea, mostly, has been on the basis of English version. The additions, transformations and eliminations of the Danish original, Picture Book Without Pictures, could be formed through this translation in the exact way as various English versions in Korea.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study on the Reception of Hans Christian Andersen’s Picture Book Without Pictures more methodically and more earnestly. The study about the feeling on the new delicate poetical implication of Hans Christian Andersen’s Picture Book Without Pictures still leaves as a following research in the realms of Arts of literature specially such as fairy tales.

      • KCI등재후보

        도시디자인에서 공공성과 시민적 창의성에 관한 연구

        김성호 ( Seongho Kim ),이정아 ( Jungah Lee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2 예술과 미디어 Vol.11 No.2

        도시 디자인은 우리의 일상 환경을 이루고 있는 하나의 요소이고, 우리의 삶의 단면을 이미지로 드러내주는 문화적 텍스트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근래 의 국내 도시 디자인를을 살펴보면, 경쟁 위주의 국 가 정책에서 과도한 물질적 생산과 양적 팽창을 최 우선으로 삼았던 과거의 병폐가 여전히 남아 있고, 그러한 병폐는 계속해서 또 다른 병폐를 양산하는 악순환의 과정을 반복하고 있다. 도시공간과 디자인 에 대한 인식의 부재로 도시민의 미적 정서의 하락 은 어떤 것이 좋고 나쁜지에 대한 기준의 판단마저 상실하게 만들었고, 이로 인해 황폐화된 도시민의 미학적 심상이 또다시 도시공간에 표출되는 악순환 이 반복되고 있다. 이것은 도시공간의 문화적 텍스트가 저급하다는 것이고, 황폐화 되어 있다는 것이며, 또 다른 도시 디자인의 실패를 반복할 우려를 낳을 수 있다. 도시발전을 위한 토대와 가치는 다름 아닌 문화적 개성과 도시의 기능을 영향력 있게 만 들 수 있는 특별한 성질을 지닌 살아있는 유기체와 같은 것으로 인식하는 것이며, 이용 가능 한 문화적 자원과 자산을 보유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 시는 도시민들과 함께 공존할 수있는 공공권이 보장되어야하고, 시민들에게 창조성을 제공할 수 있는 소통의 장(field)으로서 디자인 되어야 할 것이다. City Design is an elements of making a day life and a cultural text which expose a section of human life. However, to look around a city design in the country, there is still remains of a problem such kind of a competitive national policy, over production and increase in quantity that makes another problem like a vicious circle in the reality. Many people`s aesthetic feel would going down with out an absence of philosophy of city space which makes continue a city atmosphere like a mess live in the city. Also it indicate to low grade of cultural text in city space and makes fail another city design with anxiety. For foundation and value of city development must be a characteristic culture and make effect of city ability specially like an organics and keep useful cultural resource and properties. Therefore, Most of city should be designed as a communication field which possibly give creativity and have guarantee a Quasi public for coexistence with people.

      • KCI등재

        방정환의 아동예술교육의 내용과 교육적 의의

        이정아 ( Lee¸ Jung Ah ) 한국교육사학회 2021 한국교육사학 Vol.43 No.3

        본 논문은 방정환의 아동예술교육의 교육내용과 특성이 무엇이고 그 교육적 의의가 어떤 것인지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방정환은 어린이교육운동의 교육내용으로 어린이들의 정서를 함양할 수 있는 아동예술 교육을 중요하게 여겼다. 그는 일본에서 가장 민주주의가 꽃피던 다이쇼 데모크라시(大正デモクラシー, 1912-1926)에 일본으로 개벽사 동경특파원으로 갔고, 그곳에서 일본으로 유학 온 천도교청년들과 함께 소통하고 민족의 자주독립의 주체로 어린이가 중요하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있었다. 한편으로는 1920년대 초 천도교 개벽사 동경특파원으로 일본 유학을 간 일은 그에게 어린이를 위한 예술문화운동을 실천할 수 있는 좋은 경험을 안겨주었다. 실제 정식 학생으로 학과에 입학하진 못했지만 동경 도요대학 문화학과 청강생으로 수업을 들었다. 방정환은 이 시기 일본에서 유행하던 다이쇼시기 신교육 그리고 그 영향으로 인한 예술자유운동을 경험하였다. 일본체류 시기에 조선과 일본을 오가며 어린이문제연구회인 색동회를 창립하였고, 실천적 인적 네트워크를 통해 아동예술교육을 위한 활동을 활발히 하였다. 잡지 『어린이』와 비교가 되는 대표적인 일본의 아동문예잡지인 『아카이토리』나, 『긴노후네』, 야마모토 가나에의 자유화 운동 등이 그가 경험한 일본의 근대적 아동예술장르였다. 그는 1920년을 전후한 시기부터 비교적 생경하였던 ‘어린이’에 주목하여 동화와 동요, 그림을 보급하고, 1923년 3월에는 최초의 본격적인 어린이 잡지인 『어린이』창간을 주도하였다. 이러한 잡지 『어린이』발간과 1920년대 조선의 동요황금시대를 이끌어 냈고, 1928년 세계아동예술전람회가 조선에서 열리게 되었다. 그는 고래동화, 창작동화, 번안동화집 「사랑의 선물」등을 통해 힘없고 약한 조선의 어린이들에게 위로와 용기를 주었다. 창가가 아닌 우리말 동요는 조선에 맞게 각색된 방정환의 아동예술교육의 예로서 예술성은 추구하되 식민지기 감상성을 넘어서는 데에 교육목적을 두었다. 한편 방정환의 아동예술교육의 특성은 형식적으로는 일본의 다이쇼신교육과 자유예술운동에 영향을 받았지만, 내용적으로는 조선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찾는 데 있었다는 점이다. 이러한 방정환의 아동예술교육의 특성은 첫째, 조선인의 원기를 회복하는 의미, 둘째, 조선 어린이로서 주체성을 확립하는 의미라는 교육적 의의를 함의하고 있었다고 본다. This paper is an article on a study on Bang JungHwan’s Children's Art Education and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The Children's Art Education demanded the liberation of children and pursued the free and natural expression of emotion. H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movement for modernization in culture as well as in literature. For example, he played an active role as a correspondent of Gyaebyeok_(개벽) to Tokyo from 1920 to 1923. This was an important literary magazine of Cheondogyo. Historically, new education (in Europe) or progressive education (in the US) became a trend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In Japan, new ideas on education and the “child” were introduced beginning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by reformers. From 1921 to 1922, Bang audited classes at Toyo Univesity(東洋大學) in Tokyo(東京). Toyo University had just opened the department of cultural studies. At that time, Taisho liberal education was popular in Japan. Taisho liberal education emphasized art for art’s sake. So, the artistic tastes of children were important. Thus, Bang felt that he could learn children’s psychology and children’s literature by studying in the department of cultural studies. During the two years, he was at Toyo University(1921-1922) and he met a few Korean students who studied in Tokyo. As these Korean students gathered, he was able to organize SaekDongHoi(색동회)_(1923), which was the first group to study children. New ideas were introduced and practiced by members of ‘Saekdonghoi’ in Colonial Korea(1910-1045). This organization was the basis for the publishing of EORINI(어린이)_(1923). By publishing the children’s magazine EORINI_(어린이), Bang could contribute to children’s literature and songs, arts, and story-telling. This is what essentially completed the comprehensive style of artistic movement magazine of the Taisho Period which is centered on Douwa(童話), Douyo(童謠), writing, children’s poems, and “Free Drawing” Movement of Yamamoto Kanae. Bang studied the art magazines of the Taisho Period and utilized his knowledge of them to good effect. When he edited and managed EORINI_(어린이), he made the cross-cultural relationship between EORINI_(어린이) and Kinnohune. Bang acquired artistic compositions for his free drawing section by actively promoting the Children's Art Education through EORINI_(어린이). Bang’s A Gift of Love (Salanguiseonmul) was a work that introduced foreign fairy tales tailored to Korean tastes through translation and adaptation. Recruitment for “Free Drawing(자 유화)” was conducted through the magazine itself. Bang’s thoughts on children emphasized not only an intellectual education but also a well-rounded character education. The Korean songs’ movement for children was good for the recovery of our original energy(元氣). Furthermore, Bang’s Children's Art Education emphasized on an independent life of children.

      • KCI등재후보

        천도교 개벽사상을 기반으로 한 방정환 어린이교육운동의 현재적 함의

        이정아 ( Lee¸ Jung Ah ) 방정환연구소 2021 방정환연구 Vol.5 No.-

        방정환은 천도교 개벽사상을 기반으로 전통적 아동교육론을 극복하고 새로운 아동교육관을 제시하였다. 방정환의 ‘새로운 어린이’는 동학의 창시자인 수운 최제우의 시천주(侍天主)에서 연유하였다. 수운의 시천주 사상은 해월 최시형과 의암 손병희에게 이어져 개벽사상(開闢思想)의 바탕이 되었다. 개벽은 ‘변화한다’는 뜻과 ‘열리다’라는 뜻이다. 개벽사상은 한국 신종교의 핵심이념이며, 전통사회의 사회적 모순과 폐단을 직시하고 새로운 사회적 이념을 제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런 맥락에서 방정환은 개벽정신을 기반으로 어린이가 작은 어른이 아닌 온전한 인격체라고 보았다. 방정환은 ‘몽(蒙)을 바름으로 길러 성인(聖人)에 이르게 한 조선왕조 시대의 교육을 비판하였다. 그리고 그는 식민지 시기에 어린이교육운동을 통해, ‘스스로 판단하고 선택하며 그 결정을 하는 주체적인 어린이’를 키우는 일에 몰두하였다. 방정환은 식민지 조선의 미래를 상징하는 개벽적 존재로서 어린이의 주체성을 강조하였다. 그러면 지금 방정환의 어린이교육운동은 왜 다시 의미가 있는가? 21세기가 도래한 이후, AI, 제4차 산업혁명, 코로나19 시대가 우리의 삶을 변화시키고 있다. 우리가 직면하게 되는 삶의 변화는 긍정적인 면도 있지만 부정적인 면도 있다. 특별히 물질문명의 발전으로 인한 부정적인 면을 해결하기 위해 방정환이 실천했던 어린이교육운동은 중요하다. 그리고 그 현재적 함의는 인간의 본래성 회복, 자기주도적 삶을 사는 주체적인 어린이 강조, 만물생존의 추구에 있다. Bang JungHwan(1899-1931) was an activist of the children’s educational movement in the colonial period of Korea under Imperial Japan. Bang’s understanding of children is fundamentally based on the Donghak(東學) concept of ‘sicheonju(侍天主)’ that everyone has equal rights as human-beings. At that time, children were in a very weak social position under Confucian society and still had a hard time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Bang claimed that children’s position should be equal to the old as a human-being. This new concept of children was based on the thoughts of Gaebyeok(開闢) in Cheondogyo(天道敎). He believed that “the child is regarded as the subject of education”. He developed his own child-centered educational thoughts, emphasizing a well-rounded character education. Bang’s perspective of child-centered education is still important today in three ways; the recovery of an authentic human-beings, the emphasis on an independent life of children and the pursuit to the survivals of all cre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