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패턴인식을 이용한 반도체 패키지 몰드면결함의 자동 분류 알고리즘

        이정섭 호서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When semiconductor chips are made, both sides of the chips are inspected for surface defects that can occur during their production. On the marking side of the chips, three types of defects are common but are difficult to find and classify. They are Chip out, Foreign material, and Scratch type defects. An effective defect segmentation algorithm and a method for defect classification are proposed in this thesis. The new classification algorithm is based on the well-known normalized correlation coefficients (NCC). Rather than computing the NCC value for the whole reference pattern area, we first partition the reference pattern into several blocks and compute the NCC values for each partitioned blocks. By inspecting and comparing the NCC values computed from each partitioned blocks, we are able to detect the fine difference between normal and defective markings. We also propose an optimal partitioning method along with a method to compute the parameters used in the classification algorithm. Additional features are required to classify the three types of defects using statistical pattern recognition technique. Common connected component features such as roundness, eccentricity, and solidity are computed. However, these features are not meaningful enough to classify the defects. We define and propose two additional new features to use together with the common features. They are Connected Boundary ratio (CB) and Difference Mean ratio (DM), and are proved to have more classifying power. Using these features, we found that the simple likelihood ratio classifier is enough to classify the three defect types. Extensive experiments are performed to estimate the classification accuracy of the proposed algorithm and an excellent performance is confirmed.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분야 중 하나인 반도체산업은 흔히 장비산업이라 일컫는다. 그만큼 반도체 산업에서는 장비가 투자적인 측면이나 기술적인 측면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도체 제조 장비를 세분화 해보면 일반적으로 전공정장비 및 후공정장비로 구분되며 전공정장비는 화학증착장비, 식각장비, 세정장비 등으로 구분된다. 또한 후공정장비는 test handler, chip mounter, burn-in system, sow & sorter, 그리고 packaging, marking장비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여러 단계를 거처 생산되고 있는 반도체 패키지의 소형화 지향은 최근 휴대형 제품에 응용되는 반도체소자에서 두드러지며 끝이 보이지 않을 만큼 관련 업체들의 경쟁이 치열하다. 휴대용 PC, 이동전화 제품의 소형화는 핵심부품인 반도체를 더욱 작게 만들도록 유도하고 있으며, 제품의 다기능화가 동시에 이루어지면서 고집적화를 또한 유도하고 있다. 이러한 필요에 의해 micro packaging 기술 및 wafer level packaging 기술의 발전을 가져오고 있다. 현재 개발, 생산되어지고 있는 반도체패키지의 여러 가지 종류 중에서도 리드가 패키지 외부로 나와 있지 않고 리드가 패키지 면에 부착되어 있는 leadless chip carriers(LCC), bumped chip carriers(BCC) 그리고 quad flat no leads(QFN)와 같은 반도체소자들은 소형화라는 필요에 적절히 대응한 케이스로 많은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패키지들은 완성품의 크기가 3~5mm 로 매우 작으며, 리드가 없어 PCB 상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기존 패키지의 약 50% 가까이 축소되고 생산 비용 또한 기존의 소형 패키지와 유사한 장점들이 있어 주목을 받고 있다. 리드가 없는 패키지들은 이러한 여러 장점들이 있는 반면, 크기가 작아지고 기존의 반도체 소자들과는 형태가 달라 이에 맞는 검사 기술 또한 끊임없이 발전이 요구되고 있다. 제품의 검사가 이루어지는 후공정상의 검사 항목으로는 전기적 특성 및 기능검사 항목과 외관검사로 나눠 볼 수 있다. 외관검사는 반도체패키지의 lead frame결함 또는 외곽형태 결함, 제조 회사 등 제품의 설명이 간단히 새겨진 마크결함, 표면의 스크래치, 이물 등에 의한 결함을 검사하게 된다. 특히 외관결함 항목 중 하나인 마크결함 검사에서는 패키지상의 여러 가지 mark들의 위치, 방향, 틀어짐, 긁힘, 누락, 깨어짐 등을 검사하게 된다. 반도체 패키지가 갈수록 소형화 되어가면서 사람의 육안을 이용한 검사는 이제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영상을 통한 검사기술이 이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검사 속도 또한 생산량과 직결되는 항목인 만큼 생산되는 반도체패키지의 결함검사는 거의 모든 검사공정이 영상정보를 이용한 자동 검사공정으로 변화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결함의 유, 무 판정만 아니라 이러한 검사기술을 통해 반도체 제조에 적용되는 많은 공정들을 관리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공정관리 기술이란 장비에서 결함을 찾음과 동시에 결함의 종류를 분류하는 능력을 장비에 이식하여 어느 공정에서 어떤 결함이 발생하는지를 역으로 추적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말한다. 본 논문에서 소개하고자 하는 검사 알고리즘의 적용대상은 리드가 없는 소형 반도체패키지에서 마크가 새겨진 면의 종합적인 외관검사이외관검사 중 첫 번째는 마크검사를 위한 알고리즘으로써 문자에 관련하여 진행되어 온 연구 중 하나인 Optical Character Verification (OCV) 기반의 문자인식 연구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이 외에도 대표적인 문자인식 방법들이 있는데 대표적으로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OCR)을 들 수 있다. OCR을 위해서는 많은 문자 정보 데이터베이스가 필요하며 검사시간 길기 때문에 마크검사를 위한 방법으로는 적절치 않다. 반도체패키지의 마크검사를 할 때 가장 먼저 고려되어소형할 점은 빠른 검사시간, 높은 검사 신뢰성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마크결함의 특성 상 여러 형태, 위치로 존재하기 때문에 강인한 OCV로 마크결함을 검사하중 하 또한 쉬운 문제는 아니다. 마크결함은 cation문자 위에 발생한 스크래치on인해 발생하거리즘mark printing 과정의 오류on인해 나타나는데 사 형태가 끝부분이 잘려나간 문자특성 우리즘문자특성중간이 끊어진 우 등 많은 종류를 갖고 있다. 이러한 검사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대상의 비교를 위해 널리 사용되검사의 어상관계수를 이용한 OCV 기반 패턴매칭 방법민자 위에 발 방법의 맹점 종합할 수 있는 국소영?? 번하되어이검출을 위한 영??분할 방법을 제안한다. 마크검사와 위에 발생한 는 표면의 결함에는 대표적으로 어이검출-ec뉴 국?曠漫??叩?gn material다. crat어이 결함 등이 있다. 이러한 결함들은 발생 원?y 여제 각각at르기 때문에 결함의 효과적인 분류가 가능한 검사 알고리즘의 개발을 통한 공정관리가 필수적이다. 지금까지 연구되어온 대표적인 영상 데이터의 인식 및 분류법으로 이진화 영상을 이용한 방법과 명암 영상을 이용한 방법이 있으며, 이진화 영상에서의 분류방법은 질감을 이용하는 방법, 블록 높이 및 백화소의 길이를 이용하는 방법, 그리고 체인코드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연구되어왔

      • 귀금속 수출입의 한-EU FTA 영향분석 주얼리, 손목시계 중심으로

        이정섭 인하대학교 물류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2011년 발효된 한-EU FTA 10년을 맞아 귀금속 및 손목시계 분야의 수출입 변화양상을 연구하였다. 이를 통해, 해당 국내산업에 미친 영향과 소비자의 인식 변화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발효 전 10년과 발효 후 10년의 기간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연구대상 HS 코드 3개 모두 수입의존도가 높아졌고, 국내 제품의 국제 경쟁력이 약화되었다. 한-EU FTA를 통해 EU국가의 국내 수입액이 더욱 증가하였고, 시장점유율 역시 높아졌다. 본 연구의 대상은 HS 코드 7113, 7117, 9101로 귀금속 주얼리, 패션주얼리, 손목시계로 한정하였다. 기존 논문에서는 특정 제품군에 대한 연구보다는 FTA 발효 후 경제 파급효과를 전반적으로 연구한 것에 반해, 본 연구는 귀금속 관련 제품에 한정하여 연구를 진행한 부분이 기존 연구들과 차별성을 가진다.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한국무역통계 진흥원 자료로 2001년부터 2010년까지의 10년분 자료와 2011년부터 2020년까지의 10년분 자료를 발효해인 2011년 기준으로 비교하였다. 해당 자료는 그래프의 기울기 비교를 통해, 추이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론은 무역 관련 연구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시장점유율 (Market Share Index: MSI)과 무역특화지수 (Trade Specification Index: TSI)를 사용하였고, 對 전세계 및 對 EU 수출입액 통계와 비교를 통해 연구결과의 객관성을 확보했다.

      • 여가이동 공간네트워크 구조와 특성 : 수도권을 중심으로

        이정섭 경기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여가나 관광은 본질적으로 이동을 전제로 발생하는 현상이며 이는 곧 공간적 현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많은 연구들이 경제학적, 심리학적, 사회학적 측면에서 개인을 중심으로 연구되었지 여가현상을 공간적 맥락 속에서 연계한 연구는 극히 미미하였다. 또한 여가현상에 대한 이해도 원인-결과에 대한 직선적인 관계중심으로 접근하고 총체적이고 상호작용적인 관점에서 접근하지 않는 것도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동을 전제한 여가현상과 공간과의 상호작용에서 나타나는 공간의 분포, 관계 그리고 구조 등이 어떻게 구성되고 있는지 그리고 그 공간구조를 형성하는 여가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에 대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우선, 전국여객기종점통행량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여 우리나라에 여가이동으로 나타나는 공간구조를 네트워크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그 분포와 패턴 등의 변화를 밝혀내었다. 네트워크적 관점이란 기존의 양, 밀도 등의 한정된 지표를 원인으로 결과를 해석하지 않고 현상과 구조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놓고 구조를 파악하는 분석 방법이다. 분석결과, 우리나라 여가이동 네트워크 구조 변화에 있어서는 대도시권으로 여가이동이 심화되어 가고 있으며 그중 수도권이 다른 지역에 비해 중심적 지위를 보유한 것으로 밝혀졌다. 즉 수도권이 여가이동에 있어 우리나라의 유입지와 유출지로서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분석범위를 수도권으로 축소하여 수도권가구통행실태조사(2006) 자료를 기준으로 네트워크적 관점에서 여가이동으로 나타난 공간구조를 분포, 계층성, 집중과 분산 등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는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도권 여가이동의 네트워크 공간구조는 중앙집중형 네트워크 구조, 계층적 구조, 멱함수 분포형태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상위 계층에 포함된 지역들이 허브기능을 수행하며 수도권 여가이동의 전체 연결성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중심기능이 밀집되어 있는 도심이 수도권 여가이동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는 결절점임을 확인하였다. 유입측면에서는 서울 강북도심(중구), 강남도심(강남구)이, 유출측면에서는 강남도시권(강남구, 송파구, 서초구)이 허브기능을 수행하는 지역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들 지역이 여가이동에 필요한 서비스와 공급, 접근체계가 다른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우월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그 우월적 지위가 지속되는 경향을 보이는 것도 사실이다. 마지막으로 여가이동으로 형성된 공간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공간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도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가이동은 독립적이지 않고 주변 지역의 이동량 등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여가이동은 공간의존성과 공간이질성이 존재하며 공간자기상관이 발생한다는 것을 Moran's I 검증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이 경우에는 일반회귀모형보다는 공간회귀모형을 적용하는 게 적절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둘째, 여가이동은 지역간 연계성이 높을수록, 인구수가 많을수록, 상업시설이 밀집되어 있을수록, 다양한 문화공간이 많을수록 여가이동이 많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도시공원면적, 자연공원의 존재유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이러한 시설의 수적 증가가 관광객을 유치하는데 의미성이 낮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여가이동이 독립적이지 못하고 주변 지역의 여가이동에 영향을 받으며 여가이동이 공간적으로 집중되어 발생하는 공간파급효과는 약 60%정도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광역적 차원에서 외지인을 유인하기 위한 공동네트워크의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즉, 관내의 여가(또는 관광) 상품-그것이 상업시설이든 문화시설이던 간에-을 개발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주변의 지방자치단체가 공동으로 개발하고 홍보하는 등의 전략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 URANS와 DES 모형을 이용한 만곡개수로에서의 난류흐름 수치모의

        이정섭 강릉원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만곡개수로에서 발생하는 나선형 흐름구조의 이차류의 특 징으로 분석하기 위해 3차원 수치모의를 수행하였다. 수치모의 대상으로는 Siebert (1982)의 연속만곡수로와 실험 조건을 적용하였으며 난류 모형으로 는 하이브리드 RANS/LES 기법 종류 중 하나인 IDDES와  SST 난 류 모델을 통하여 발생하는 난류를 해석하였다. 격자의 구조에 따른 모델 의 난류 해석을 보기 위해  SST 난류모델은 늘림 격자 구조와 균일 격자 구조에 따른 수치모의를 수행하였고 IDDES 난류모델은 늘림 격자 구조에서 수치모의를 진행하였다. 또한 VOF기법을 적용하여 자유수면 변 동을 해석하였다. 수치모의의 적용성을 확인하기 위해 기존의 연구 Siebert (1982)의 수리 실험값과 Stoesser et al. (2010)의 RANS와 LES 난류모델 을 통한 수치모의 값과의 비교를 통해 보였다. 자유수면을 고려하여 수치 모의를 진행한 IDDES와  SST 모델 모두 최대 유속의 분포는 개수로 특징인 수면 근처에서 형성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나 IDDES 모델의 경우 시간 평균의 부족으로 인한 결과를 보였다.  SST모델의 경우 수면 근 처에서의 이차류 해석에 있어 RANS 모델과 유사하게 해석되는 것을 보였 으며 수리 실험값과 유사한 LES 모델에 비해 부정확한 모습을 보였다. 전 반적인 이차류의 해석에 있어  SST의 균일 구조 격자가 늘림 격자 구조보다 좀 더 나은 해석 값을 보이지만 절대적인 격자의 차이로 인해 발 생하는 원인으로 보이며 추가적인 실험을 통해 정확한 비교가 필요하다. 또한 잠긴수제로 인한 이차류 저감 효과를 수치모의를 통해 수행하였으며 Park et al. (2019)의 90° 만곡수로 형상과 잠긴수제 재원 및 설치구간을 수치모의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잠긴수제의 설치를 통해 하상에서의 흐름 은 잠긴수제 설치 전에 비해 수로의 중앙으로 이동하는 것을 볼 수 있었으 며 잠긴수제 주변에서 복잡한 흐름을 보였다. 잠긴수제 설치 전 수로의 만 곡부 단면에서의 이차류는 만곡부 외측에 강하게 형성되는 것을 보였나 잠 긴수제를 설치 후 만곡부 이차류가 수로 중앙으로 분포되며 바닥이 아닌 중앙수심에서 형성되는 것을 보였다. 만곡부 외측의 흐름방향 유속 또한 저감되는 효과를 보았다. 결과적으로 잠긴수제의 설치로 인한 이차류의 형 성과 흐름방향 유속의 변화는 만곡부 외측의 하상에 안정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 選擇的 還元 觸媒(SCR)에서 還元劑(NH₃) 噴射量 最適化에 關한 實驗的 硏究

        이정섭 국민대학교 자동차공학전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강화된 배기규제 대응을 위하여 NO_(x) 후처리장치는 반드시 적용해야 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논문은 urea-SCR 시스템에 대한 연구로서 먼저 디젤기관의 배출가스 생성원리 및 저감기술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과 urea-SCR 시스템의 구조, 저감원리 및 NO_(x) 변환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대한 이론적인 고찰을 하였다. 또한, 실험적 연구를 통해 NO_(x) 변환효율에 큰 영향을 미치는 NH₃와 NO_(x)의 몰비에 따른 NO_(x) 저감 특성 및 NH₃의 slip량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디젤기관의 중부하 영역에서 SCR의 NO_(x) 저감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제 디젤기관의 배기가스와 유사한 모사가스를 이용하여 공간속도와 온도 및 모사가스에 유입되는 NH₃의 분사량을 제어할 수 있는 테스트 리그를 제작하고, NO_(x) 변환효율과 NH₃slip량과의 관계를 파악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공간속도가 증가할수록 NO_(x)의 반응효율은 저하되고 NH₃와 NO_(x)의 몰비는 증가할수록 NO_(x)의 반응효율은 상승하는 것을 파악하였다. 그러나 높은 NH₃와 NO_(x)의 몰비는 NO_(x)의 반응효율을 상승시키는 대신에 SCR 촉매 후단으로 배출되는 NH₃의 양을 증가시켜 추가적인 오염물질 배출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urea의 slip을 방지하는 AOC(Ammonia Oxidation Catalyst) 촉매를 통하여 NO_(x) 변환효율을 증가시키면서도 배출되는 NH₃를 제어하는 개발이 중점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논문을 통해 NO_(x) 변환효율에 미치는 인자들의 상관관계, 환원제 최적 분사제어의 개발을 통해 향후 urea-SCR 시스템 개발 및 상용화에 필요한 각종 주요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Particulate and NO_(x) emissions from diesel engines in passenger car and commercial vehicles have been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past few years due to advanced diesel combustion technologies as well as sophisticated control algorithms. However, a greater reduction in particulates and NO_(x), to meet ever more stringent legislation, is possible only with aftertreatment devices such as a DOC(Diesel Oxidation Catalyst), DPF(Diesel Particulate Filter) and SCR(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The SCR system is a highly-effective device of NO_(x) reduction for diesel engines. Generally, the ammonia(NH₃) generated from a liquid urea-water solution is used for the reductant. The ideal ratio of NH₃molecules to NO_(x) molecules is 1:1 based on NH₃consumption and having NH₃available for reaction of all of the exhaust NO_(x). However, under the too low and too high temperature condition, the NO_(x) reduction efficiency becomes lower, due to temperature window. And space velocity also affects to NO_(x) conversion efficiency. This paper reviews a laboratory study to evaluate the effects of NO_(x) and NH₃concentrations, gas temperature and space velocity on the NO_(x) conversion efficiency of the SCR system. The maximum conversion efficiency of NO_(x) was indicated when the NH₃to NO_(x) ratio was 1.2 and the space velocity was 30,000h^(-1). The results of this paper contribute to improve overall NO_(x) reduction efficiency and NH₃slip. And it is good to use AOC(Ammonia Oxidation Catalyst) that prevents ammonia slip.

      • L-PBF 방식으로 제조된 Inconel 718 합금의 석출상이 고온 피로 및 인장거동에 미치는 영향

        이정섭 경상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fatigue and tensile behavior of L-PBF Inconel 718 were investigated. In this work, we controlled build direction (horizontal, vertical) of L-PBF and testing temperature as R.T and 649 °C. Process conditions are laser power (285 W), scan speed (960~1160mm/s), 67° rotating bidirectional scan pattern. In tensile test, H specimen showed higher yield and tensile strength due to need more dislocation pile up to open the crack that applied mode I load form, however, lower elongation than V specimen because of the crack propagation along the columnar grain boundary. δ phase along the columnar grain can observed L-PBF Inconel 718 alloys was stress concentration site. Micro crack occurred at interface of δ/γ was linked with near micro crack, and that stages made the macro crack. In elevated temperature tensile specimen, the number of secondary crack can observed under crack path, decreasing pinning effect of δ phase. Columnar grain direction of H specimen accelerated the crack opening, and much higher degradation of tensile elongation observed at 649 °C. In elevated temperature fatigue test, lower fatigue cycle above 384 MPa (σa) and smooth crack propagation along the slip direction were observed in cross section EBSD. To improve high temperature fatigue and fracture performance, shape of δ phase and columnar grain texture have to control with process parameters and heat treat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