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험적 법률가 연구의 발전을 위하여 - 이호선의 「법과 정책연구」 글에 대한 검토와 제언

        이준웅 ( Une-woong Rhee ),이재협 ( Jae-hyup Lee ) 한국법정책학회 2016 법과 정책연구 Vol.16 No.2

        이 글은 이호선 교수가 < 법과 정책연구 > 제15집 제4호에 게재한 "한국 로스쿨 체제, 과연 사법시험의 대안인가?"라는 글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첫째, 이호선의 글은 연구목적이 불분명하며, 연구문제가 부재하며, 결론을 정당화하기 위한 방법과 결과가 충분하지 않은 등 경험적 학술논문으로서의 기본요건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 특히 이호선의 글을 선의로 해석해서 이재협 등의 연구에 대한 재현연구를 시도한 것으로 보더라도 연구의 재현성 여부를 평가할 수 있는 필수적인 방법론을 제시하지 않고 있으며, 재현연구가 갖추어야 할 최소한의 방법론적 기초를 구비하지 않고 있다. 둘째, 이호선의 글은 표집이론, 모집단, 표집틀 등 사회과학적 표본조사 연구에 사용되는 기본적인 개념을 혼동하고 있으며, 모집단과 표본 간의 상위성에 대해 오해를 보인다. 셋째, 이호선의 글에는 이재협 등의 연구에 대한 해석적 오해를 담고 있다. 특히 사법연수원 출신 법률가와 로스쿨 졸업 법률가 간 가구소득의 차이를 비교함에 있어서 비교시점을 상이하게 설정하는 등 오류를 범한다. 결론적으로 이 글은 법학교육제도와 법률직역의 구조가 급격히 변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경험적 자료축적을 통한 실증연구가 필요함을 주장하며, 향후 법학과 인접학문이 공동연구를 활성화해야 함을 제안한다. This article critically reviews the paper written by Professor Lee Ho-Sun, "Korean Law School System, Is it really an alternative to Judicial Exam?", which was published in the Law and Policy Review, Vol. 15, Nov. 4. First, Lee Ho-Sun``s paper lacks basic requirements for an empirical scholarly article: (1) the research purpose is unclear, (2) the research questions are not provided, and (3) the methods and outcomes do not sufficiently support conclusions. Even if Lee Ho-Sun``s paper can be regarded as a replication study of Jae-Hyup Lee et. al.``s research, it does not provide necessary methods to assess its replicability. In addition, the paper is not equipped with minimum methodological foundations. Second, Lee Ho-Sun``s paper confuses basic concepts in social scientific sampling studies (e.g., sampling theory, population, sampling frame), and does not correctly interpret the difference between parameters and statistics. Third, Lee Ho-Sun``s paper contains many interpretive misunderstandings of Jae-Hyup Lee et. al.``s research. For example, in interpreting the household income differences between the graduates of the Judicial Research and Training Institute and the graduates of law schools, Lee Ho-Sun sets a different time frame than that used in Jae-Hyup Lee``s research. This article advocates that more empirical studies are needed to adequately assess the rapid changes in the legal educational system and the structure of the legal profession in Korea, and to that end, that more interdisciplinary research collaboration is necessary.

      • KCI등재
      • KCI등재

        정형외과 연구의 동물모델: 척추유합술모델

        이재협(Jae Hyup Lee),남윤진(Yunjin Nam),이지호(Ji-Ho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1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2 No.4

        퇴행성 척추질환이나 외상 등의 증가로 인해 척추유합술이 증가하고 있으며, 다양한 내고정장치나 골이식재의 개발도 이에 동반해서 증가하고 있다. 척추유합술 동물모델은 새로운 척추 고정기기나 골이식재의 효능을 평가하는 데 매우 유용한 술식이다. 척추유합술 동물모델은 크게 후외방 유합술모델, 후방 유합술모델, 전방 유합술모델이 있으며 주로 이용되는 동물에는 마우스, 랫드, 가토와 같은 소동물부터 개, 돼지, 염소, 양 및 영장류 등 중, 대동물도 있다. 소동물모델은 자가골이나 골이식재를 이식한 후 내고정 없이 유합을 평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중동물이나 대동물은 척추경 나사못을 이용한 내고정술을 추가로 이용할 수 있으며 케이지를 이용한 추체간 유합술을 시행할 수도 있다. 소동물모델은 크기가 작아 다루기 쉽지만 인체와 해부학적이나 생역학적인 반응이 다르다. 중동물이나 대동물모델은 인체와 유사한 특성을 갖고 있지만 다루기 힘들거나 윤리적 문제가 있다. 척추유합술에 대한 유합결과 평가는 도수 촉진이나 인스트론 등의 기계를 이용한 기계적 측정, 컴퓨터 단층촬영이나 마이크로 컴퓨터 단층촬영 등을 이용한 영상평가, 그리고 비탈석회화 조직슬라이드를 이용한 조직학적 평가가 있다. 골유합률이나 골유합에 소요되는 기간은 종이나 해부학적 위치에 따라 다르며 대부분의 척추유합술 동물모델에서 골이식재를 삽입하지 않을 경우 유합을 기대할 수 없다. 이에 본 종설에서는 대표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척추유합술 동물모델의 특징과 차이점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The incidence of spinal fusion surgery has increased due to an increase in the incidence of degenerative spinal disease or trauma. Moreover, the development of various kinds of implants and bone graft substitutes has also increased. The animal models of spinal fusion are useful methods in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newly developed spinal implants or bone graft substitutes. The most widely used animal models of spinal fusion are posterolateral fusion model, posterior fusion model, and anterior interbody fusion model. Mice, rats, rabbits, dogs, pigs, goats, sheep, and primates are frequently used in animal models of spinal fusion. Small animals are implanted with a bone graft substitute without internal fixation; however middle- or large-sized animals are implanted with a bone graft substitute using pedicle screws or cages. Small animals are easy to handle due to their size, but have different anatomical or biomechanical reactions with the human body. Middle- or large-sized animals have characteristics like the human body, but they are difficult to handle or there is an ethical problem. The fusion status is evaluated by manual palpation, mechanical testing using Instron, and radiologic techniques such as computed tomography, micro-computed tomography or undecalcified histology. The fusion rate and duration required for successful fusion differ according to the species and anatomical site. We have identified and reviewed several typical animal models of spinal fusion.

      • KCI등재

        미국 하와이 주정부의 재생에너지 전환 법정책 연구

        이재협 ( Jae Hyup Lee ),이태동 ( Taedong Lee ) 한국환경법학회 2016 環境法 硏究 Vol.38 No.1

        본 연구는 하와이주(州) 재생에너지 법정책 사례 분석을 통하여, 지방정부의 재생에너지 정책이 어떻게 태동되었으며, 어떤 정책 결정 구조를 가지고, 어떤 법령과 정책 수단을 시행하고 있는지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미국 연방 차원의 재생에너지 법정책, 특히 오바마 행정부의 정책을 살펴보고, 주(州) 차원의 기후변화/에너지 법정책의 지형을 설명한다. 연방정부 차원의 법정책은 세금 혜택을 통한 지원 정책이 주요한 정책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규제정책은 주로 연방정부기구와 행위에 국한되는 경우가 많다. 미국의 몇몇 주들은 이러한 정책적 간극을 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 (renewable portfolio standard: RPS), 발전차액지원제도(Feed in-tariff) 등 다양한 재생에너지 활성화 법정책으로 보완하고 있다. 사례 연구의 대상으로 삼은 하와이 주의 경우, 2045년까지 100% 전력 공급원을 재생에너지로 전환하겠다는 하와이 청정에너지 이니셔티브 (Hawaii Clean Energy Initiative)를 시행하고 있다. 하와이 주정부와 관련 정책을 담당하는 공익사업위원회 (Hawaii Public Utilities Commission)는 상향식-하향식 의사 결정 혼합 방식으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재생에너지 공급에 더하여 스마트 그리드 확충과 에너지 효율 향상을 꾀하고 있다. 하와이 주의 재생에너지 법정책은 섬과 같은 에너지 체계를 가진 한국과 2030년까지 탄소없는섬 (Carbon Free Island)을 목표로 하는 제주도와 같은 도서 지역에 법정책적 함의를 제공한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renewable energy law and policy of the State of Hawaii, and discusses its historical development, its policy decision-making structure and its law, regulation, and policy instruments. The article first reviews the federal law and policy on the renewable energy in the United States, with a particular emphasis on developments during the Obama Administration. It then illustrates the climate change and energy law and policy that has been implemented at the state level. The federal law and policy mainly adopts the incentive policy such as tax benefits, and the regulatory policy tends to be limited on the federal institutions and behaviors. Several states complement these policy gaps with various renewable energy promotion instruments such as renewable portfolio standards (RPS) or Feed-In-Tariff (FIT). The State government of Hawaii and the Hawaii Public Utilities Commission combines the top-down and the bottom-up decision-making processes by eliciting opinions of wide range of stakeholders. In addition to the additional supply of renewable energy, the State of Hawaii plans to expand the smart grid and to enhance the energy efficiency. The renewable energy law and policy of the State of Hawaii will provide the legal and policy implications to Korea, especially to Jeju Island, which plans to transform itself as a carbon free island by 2030.

      • KCI등재

        분산전원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의 정비 ― RE100 캠페인과 전력구매계약(PPA)을 중심으로 ―

        이재협 ( Lee Jae-hyup ),박진영 ( Park Jinyoung ) 한국환경법학회 2021 環境法 硏究 Vol.43 No.3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인류의 다양한 노력 가운데 민간 영역에서의 움직임이 주목을 받고 있다. 기업의 소비전력을 재생에너지 전력으로 전환하고자 하는 RE100이 그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러한 움직임은 단순한 캠페인을 넘어 비공식적 규제로도 작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국내적 영향도 적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 기업의 RE100 참여율은 아직까지 저조한 수준에 머무르고 있으며, 그 원인으로 법제도의 부재가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갖고 이 글은 RE100 추진을 위한 법제도적 정비를 목적으로 한다. 우선, RE100의 간략한 소개와 그것이 부상하게 된 배경, 그리고 국내에서의 현황을 살펴본다(II). 이어지는 장에서는 RE100과 분산전원의 확산을 위하여 개정된 법안의 내용과 한계(III), 그리고 앞으로 제기되리라 예상되는 몇 가지 쟁점(Ⅳ)을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제시된 문제들을 해소하기 위한 법제도의 정비방안과 시사점(Ⅴ)을 제공한다. Among various efforts to cope with the current climate crisis, a private sector movement is drawing attention. A case in point is RE100, a business commitment to 100% renewable electricity. This movement makes a significant impact which amounts to an unofficial regulation beyond a mere campaign. The low participation rate of Korean companies in RE100 suggests a lack of adequate legal system to support. This article examines a potential legal infrastructure to promote RE100 participation among the Korean businesses. First, it briefly describes the RE100 movement and traces the emergence of RE100, as well as its national impacts (Ⅱ). It then discusses the contents and limitations of recent amendment of the Electric Utility Act and its Enforcement Decree (Ⅲ). Then, it raises several key issues that are expected in the future (Ⅳ). Finally, this article suggests some provisions in current laws and regulations to promote RE100 in Korea (Ⅴ).

      • KCI등재

        교토의정서상 청정개발체제(CDM) 사업의 법적 문제

        이재협 ( Jae Hyup Lee ) 한국환경법학회 2007 環境法 硏究 Vol.29 No.1

        Clean Development Mechanism is the only mechanism under Kyoto Protocol that Korea is eligible to participate. The legal studies about CDM have been less developed in Korea compared to technical and economic analysis of CDM. CDM creates a new legal right called CERs(Certified Emission Reductions) and the legal regime governing the system is still evolving. To facilitate CDM projects,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stability of legal rules. Also the contractual approaches to delineate the rights and obligations of the parties and to allocate project risks. There are three risks related to CDM projects: host country risks, general project risks, and Kyoto Protocol risks. Several provisions that can be utilized in Emission Reduction Purchase Agreement (ERPA) include guarantee, force majeure, representations & warranties, indemnities, insurance, and right of termination.

      • KCI등재

        한국의 법률직 TV 드라마에 나타난 법의식과 법률가의 이미지 -<애드버킷>에서 <검사 프린세스>까지

        이재협 ( Jae Hyup Lee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서울대학교 法學 Vol.51 No.3

        이 글은 법률가를 주인공으로 한 국내 TV 드라마를 분석하여 한국인의 법의식과 법률가에 대한 이미지를 규명하고자 하는 시론적 고찰이다. 이 연구에서는 1998년부터 2010년 사이에 방영된 법률직 TV 드라마 중 5편의 드라마 내용에 대한 텍스트 분석과 3편의 드라마 홈페이지에 남겨진 시청자 게시판 글을 통한 수용자 분석을 하였다. 대부분의 법률직 TV 드라마에서는 검사가 중심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고, 판사는 매우 부분적으로 미약하게 묘사되고 있다. 반면 변호사의 이미지는 매우 다양하게 분화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드라마에서 빈번하게 드러나는 대립구조는 선과 악, 정의와 자본의 대결, 법률가와 비법률가의 시각차 등이다. 또한 피고인의 상처를 어루만지고 억울함을 풀어주는 것이 가장 정의롭고 순리에 맞는 것으로 여겨지는 등, 형식적인 법집행을 넘어서 소송당사자들의 마음을 헤아리는 치유적인 과정이 법적 절차에서 바람직한 것으로 그려지고 있다. 동료애, 우정, 인적 네트워크 등 情적인 측면도 드라마에서 종종 드러나고 있는 한국문화의 코드였다. 시청자 게시판의 글에서는 법률가들에 대한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생각과 이미지가 공존하였고, 드라마에서 표방하고 있는 바가 항상 일방적으로 수용되기보다는 시청자들이 개인적인 해석을 바탕으로 능동적으로 의견을 구성하는 측면이 있다. 우리나라의 법률직 TV 드라마는 법률가의 수적 확대, 로펌의 주도적 역할, 국민참여재판과 법학전문대학원의 도입과 같은 시대적 변화를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article aims to investigate the legal consciousness and the images of lawyers as perceived by Koreans through analyzing legal TV dramas that feature lawyers as main characters. Text analysis of the drama contents for five legal TV dramas that were broadcasted between 1998 and 2010 was made. In addition, written posts on the internet bulletin board of the three drama web-pages were used for the reception study. In the majority of the legal TV dramas, the public prosecutor played a primary role, whereas the judge was portrayed as playing a very weak and minimal role. On the other hand, lawyers were depicted as diverse and divided in terms of work and personalities. Frequent binary structures were manifested in the dramas, including good versus evil, the battle between justice and money, and the different perspectives of lawyers and non-lawyers. The dramas frequently feature defendants who are falsely charged and a sort of `therapeutic justice` was displayed, where the main lawyer characters were supposed to heal their clients` wounded hearts through the legal process. The emotional aspect of the Korean cultural code, such as reliance on comradeship, friendship, and the personal network was also found. Drama viewers tend to have both positive and negative images about lawyers as manifested in the web bulletin board. They construct their opinions by combining what they saw in the TV with their personal interpretations, rather than simply accepting what the drama meant to deliver. Korea`s legal TV dramas have reflected the social changes of the Korean society in recent decades; e.g.,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lawyers, the important roles of law firms in legal practice, the introduction of criminal jury trials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law school system.

      • KCI등재

        미국 로스쿨의 다양성 및 공공성 증진 프로그램 -학생선발, 장학금 및 교육지원 제도에 대한 미국의 경험적 연구결과와 그 시사점-

        이재협(Jae-Hyup Lee)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法學硏究 Vol.60 No.-

        이 연구는 미국 로스쿨의 다양성 및 공공성 증진 프로그램의 구체적 내용과 효과를 경험적으로 분석한 사례들을 살펴보고, 그것이 법학전문대학원 제도설계에 주는 시사점을 학생선발, 장학금 및 교육지원 제도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있다.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법학교육 진입과정, 법학교육과정, 법조직역 진출과정의 세 단계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미국로스쿨의 입학단계에서는 LSAT와 학부평점평균에 의존할 때 발생하는 유색인종 및 소수자에 대한 부정적, 배제적 효과 때문에 다양성 증진을 위한 정성적 고려가 강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공공성을 고려하는 장학제도로는 대출금상환지원제도, 공익연계 장학금, 도덕적 의무 장학금 등이 학생들의 다양성과 공적부문 진출을 연계하는 제도로 활용되고 있다. 법학교육과정에서는 주된 교수방법인 소크라테스식 문답법을 통해 주류적 시각이 전수되어 수업환경에서 참여학생들의 다양성이 발현될 기회가 많지 않다. 법학교육과정 속에서 소외된 소수자의 적응과 자주성을 개발하기 위한 각종 교육지원 프로그램들이 진행되고 있다. 법조직역 진출과정 시 다양성과 공공성을 증진시키는 기제로는 리걸 클리닉, 엑스턴십, 현장실습과 같은 실무습득 프로그램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This study reviews empirical studies on various programs to enhance the diversity and public-mindness of the student body at U.S. law schools. Specifically, it investigates student selection, scholarship and academic support programs in three stages; (1) entry into law school, (2) during law school education, (3) exit to legal market. At the entry level, law schools utilize strong subjective indices to enhance diversity, due to negative and exclusive effects on colored and minority applicants when they overly rely on LSAT scores and undergraduate grade point average. Several scholarship programs to promote public-mindness are actively utilized, including loan repayment assistance program, public interest scholarship, and moral obligation scholarship. At law school classrooms, Socratic method is a dominant educational method. However, it conveys mainstream perspectives, thus systematically restricts diverse viewpoints and experiences of minority students. In order to help these students to adjust and to develop autonomy, various academic support programs are operating. For enhancing diversity and public-mindness at the exit level, practical skill development programs, e.g., legal clinic, externship, field placement, have been most effective.

      • KCI등재

        미국 배심제에 대한 법인류학적 고찰 -과학주의의 관점에서 본 미국 배심제의 논리-

        이재협 ( Jae Hyup Lee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09 서울대학교 法學 Vol.50 No.3

        이 글은 미국 배심제의 태동과 변천을 역사적,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고찰하고자 하는 법인류학적 시도이다. `문화적 인식` 개념을 분석틀로 하여 배심제 관련 규칙들과 담론들의 의미를 살펴본 결과, 미국의 배심제가 미국 사회와 미국인들의 의식 속에 뿌리 깊게 자리잡을 수 있었던 기반에는 공정성이라는 법적 논리와 과학주의라는 문화적 논리의 상호지지가 존재한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배심제의 구체적 규칙들에서 `지역사회의 정의`를 표방하는 규범적 가치가 퇴색하고 `평결의 정확성`을 추구하는 과학적 가치가 점차 우세하게 된 점, 배심원의 적정 숫자에 대한 판결이나 제도 관련 논의에 사회과학적 시각이 적극적으로 채택된 점, 배심원 선정을 위해 객관화될 수 있는 정교한 절차적 규칙들을 도입한 점, 배심원의 평의 과정에서 주관성이 작용할 여지를 철저히 배제하면서 구조화된 증거와 전문가 증언의 역할을 증대시킨 점 등에서 과학주의라는 문화적 인식이 배심제에 스며들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미국 배심제의 주요 규칙들은 과학주의적 문화가 반영된 결과일 뿐 아니라 동시에 과학주의의 문화를 구성하게 되며, 이러한 과학주의의 문화는 또한 법제도를 통해 지속적으로 정당화되고 강화되는 것이다. 또한 미국에서 배심제가 민주적 보장장치로서 채택되었지만 배심제의 보다 구체적 규칙들에 스며든 문화적 인식은 참여와 정의보다 정확성과 객관성, 전문성 등이었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우리나라의 국민참여재판제도에 대한 향후 연구의 방향에 대해서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미국과는 여러 차원에서 다른 문화적 인식틀을 갖고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우리나라에서 국민참여재판제도가 어떤 문화적 논리에 의해 지지되고 유지될 것인지를 고찰하는 것은 매우 흥미로운 연구 대상이 될 것이다. 또한 선진국에서 먼저 받아들인 제도의 목표를 공유한다 하더라도 그 제도의 규칙들이 표방하는 가치가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좀 더 심도깊은 고찰이 필요하다는 점을 본 연구는 시사한다. This paper approaches the American jury system from a legal anthropological perspective. Viewing `culture as law` and `law as culture`, American jury system as a legal institution is analyzed as closely inter-wined to the American culture, especially the scientism. It reviews major rules that constitute the modern-day American jury. Then it provides historical contexts in which these rules emerged and how they have transformed over time. As a wide authority the American jury once enjoyed has narrowed, a significant reinterpretation of the fairness of the jury trial has been made based on the scientism. American jury system is a remarkably powerful political institution but at the same time a remarkably enduring cultural institution. The fundamental ideal of jury as peers who render common-sense judgment is still retained in the context of jury nullification. However, in many other areas of jury rules, the concept of justice is reinterpreted and reenforced from the perspective of scientism. The number of jury, elaborate rules and mechanisms utilized in the jury selection process, the control of outside influence during the court procedure all demonstrate the scientific cognitive framework that untainted, controlled information can guarantee fair and independent jury decision-making. Although many criticisms on the jury system have been produced and jury reform is under way in many jurisdictions, the fundamental core principles of the American jury system are intact and the legacy of the American jury will still live 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