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강우의 대표확률분포형 결정을 위한 Jackknife기법의 적용

        이재준 금오공과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In this study, basic data consist of annual maximum precipitation at 57 stations that has the precipitation records more than 30years in Korea. The 14 probability distributions which has been widely used in hydrologic frequency analysis are applied to the basic data. The Method of moments, method of maximum likelihood and Probability weighted Moments are used to estimate the parameters. And 4-tests(chi-square test, Kolmogorov-Smirnov test, Cramer von Mises test, Probability plot correlation coefficient(PPCC) test) are used to determine the goodness of fit of probability distributions. This study emphasizes the necessity for considering the variability of the estimate of T-year event in hydrologic frequency analysis and proposes a framework for evaluating probability distribution models. The variability(or estimation error) of T-year event is used as a criterion for model evaluation as well as three goodness of fit criteria (SLSC, MLL, and AIC) in the framework. The Jackknife method play important roles in estimating the variability. For the annual maxima of precipitation in Daegu, the two parameter Gamma distribition is regarded as the best one among probability distribution models with two or three parameters; in Sokcho and Seoul, the Gumbel distribution was decided; in Daejeon, the three parameter Gamma distribution was decided; in Busan, the three parameter Log-Gumbel distribution was decided.

      • 독성가스 누출 리스크 평가를 통한 처리시설 개선에 관한 연구

        이재준 한국교통대학교 산업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공정의 특성 상 독성 및 부식성 가스를 많이 사용하면서, 국내 특수가스업체에서도 많이 취급/저장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독성 가스 취급 업체들은 정상 공정 상태에서의 최소한의 법적 준수 수준만을 고려한 가스 처리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비정상 운전, 비상상황 시의 독성가스 다량 누출에 대한 위험성 평가 및 처리 방안 마련이 미흡한 것이 사실이다. 이 연구에서는 정상운전 상태, 비정상운전, 비상상황 시에 발생할 수 있는 독성가스 누출의 각 시나리오에 대한 위험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즉, 독성가스 취급 시 계획대로 안전하게 운전되어 독성가스가 정상적으로 처리될 때, 공정 이상으로 인한 계획 이상의 독성물질이 처리시설로 전달될 때, 그리고 최악의 상황으로 공정 밸브 이상 및 용기 밸브의 이상 등으로 처리시설에서 처리할 수 없는 수준의 독성가스가 누출되었을 때 스크러버에서 처리되어 나온 독성가스의 공기 중 농도가 인체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위험거리로 평가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최악의 상황을 고려한 독성가스 누출에 대한 위험성 평가를 통해 당해 사업장의 유해위험요인(Hazard)을 최소화하여 독성가스 취급/저장 업체 종사자의 작업환경을 향상시키며, 또한 처리시설의 설계검토 및 설비 보완을 통하여 취급/저장 업체의 안정적인 조업을 이끌고 인근 지역사회에 피해를 최소화하고 상호정보교류 및 활동을 통해 위험한 사업장이 아니라는 인식을 심어주어 해당 업체의 이미지 향상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 선박 배관의 BOM 관리를 위한 설계 단계 별 정보 연계 모델

        이재준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BOM은 제품을 구성하는 상/하위 구성 부품의 관계를 보여주는 정보로서 제조 산업에서 BOM은 모든 활동의 중심으로 BOM은 목적 및 활용 부서에 따라서 다양하게 존재하며, 제조 전략에 따라서 활용하는 BOM의 종류가 다양하다. BOM를 활용하여 제품의 설계, 생산, 구매/조달, 일정/공법 등의 생산계획 등 제품 개발부터 생산에 필요한 모든 활동이 BOM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조선 산업에서도 선박의 계약에서부터 설계, 생산, 인도까지의 모든 활동이 BOM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최근 제조업에서는 PLM, ERP, 차세대 CAD system과 같은 정보 시스템의 도입/변화에 따른 유연한 BOM 체계가 요구되며, 조선 산업에서는 FPSO, 초대형 컨테이너선, 해양 제품의 수요 증가에 따르는 의장 설계의 중요성이 부각되며 선박을 구성하는 부품 중 70~80%을 차지하는 의장품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또한, 조선 산업은 다른 제조업과 다르게 설계와 생산이 동시에 이루어지며 설계 단계 별로 변화함에 따라 다양한 BOM이 존재한다. 이는 BOM을 중심으로 한 부서/조직간의 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처럼 BOM은 일반 제조업뿐 아니라 조선 산업에서도 설계, 구매, 생산 활동의 중심이 된다. 이런 업무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각 설계 단계 별로 생성되고 진화하는 BOM 정보의 정확성과 유일성을 확보해야 하며 BOM 들 간의 통합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선박의 다양한 의장 BOM의 정확성과 유일성을 유지할 수 있는 통합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Enterprise BOM 개념을 적용하고 개념적인 모델을 실현하기 위한 Structure BOM과 Display BOM을 제안하였다. Structure BOM을 통하여 설계 단계 별 BOM 정보의 연계를 통한 통합을 이루고 다양한 부서에서 활용할 수 있는 Display BOM을 제시한다. 선박 의장의 범위가 넓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의장 시스템 중 배관 시스템을 중심으로 Structure BOM과 Display BOM 모델을 적용하였다.

      • 고온 열저장을 위한 용융염 마이크로/나노 캡슐 합성 및 열성능 평가

        이재준 아주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고온 열저장을 목적으로 하는 용융염 마이크로/나노 캡슐을 합성하고, 합성 매개변수가 캡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또한, 열성능 평가를 통해서 용융염의 마이크로/나노 캡슐화에 따른 열저장 및 열전달 특성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용융염 마이크로 캡슐은 졸겔법을 이용하여 합성하였으며, 서로 다른 2가지 종류의 용융염(질산염 및 이원탄산염)을 코어 물질로 사용하여 각각 300 ℃와 500 ℃ 부근의 영역에서 사용할 수 있는 용융염 캡슐을 합성하였다. 합성 매개변수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질산염 마이크로 캡슐은 고농도 촉매조건에서 가장 견고한 쉘을 갖는 캡슐을 합성하였으며, 이원탄산염 마이크로 캡슐은 아세톤을 합성 용매로 사용하여 고온에서도 부서지지 않는 캡슐을 만들 수 있었다. 질산염 마이크로 캡슐과 이원탄산염 마이크로 캡슐은 코어로 사용된 각각의 용융염 보다 20.7, 39.9% 높은 열전도도를 가지며, 열성능 평가를 통해 열저장 용량이 현열매체 보다 110, 91.1%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용융염 나노 캡슐은 에멀젼 및 졸겔 공정을 기반으로 합성하였다. 코어 물질은 단일염부터 이원혼합염까지 서로 다른 상변화 온도를 갖는 물질을 사용하여 각각의 온도 영역에서 사용할 수 있는 용융염 캡슐을 합성하였다. 매개변수 분석을 통해 교반속도 및 계면활성제의 양이 합성되는 캡슐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최적의 합성 조건에서 약 420 nm의 평균 직경과 25 nm의 쉘 두께를 갖는 질산염 나노 캡슐이 합성되었다. 50회의 열주기 반복을 통해 나노 캡슐의 우수한 열신뢰성을 확인하였으며, 이 나노 캡슐은 용융염의 잠열을 바탕으로 현열매체 대비 64.6% 높은 열저장 용량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용융염을 마이크로/나노 캡슐화함으로써 고온에서의 열안정성 및 열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 마이크로/나노 캡슐들은 용융염의 높은 상변화 엔탈피를 이용한 고밀도의 열에너지 저장이 가능하다. 따라서, 용융염 마이크로/나노 캡슐을 고온 축열 물질로 활용한다면 우수한 열저장 및 열전달 성능을 바탕으로 열에너지 저장 기술을 개선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the synthesis techniques for the molten salt micro/nano-capsules for high temperature thermal energy storage (TES) were developed, and furthermore, the effects of synthesis parameter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cro/nano-capsules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the heat storage/transfer characteristics of the micro/nano-capsules were examined by thermal performance evaluation. In the process of microencapsulation, two different molten salts, nitrate and carbonate eutectic, were utilized as the core materials for TES at intermediate (300 ℃) and high (500 ℃) temperatures, respectively. Both cores were microencapsulated via a sol-gel process into SiO2 that has high thermal stability above the melting point of the molten salts. As the results of the parametric study for each microencapsulation, robust nitrate microcapsules were synthesized under with high concentration of the catalytic condition, and sustainable carbonate eutectic microcapsules were constructed using acetone as the sol-gel solvent.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molten salts, nitrate and carbonate eutectic, were also increased by 20.7, and 39.9%,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heat storage capacity of the microcapsules also enhanced by 110, and 91.1% compared to the solar salt that is a widely-used sensible heat storage material. Molten salt nanocapsule were synthesized based on the emulsification and sol-gel process. Single nitrate salts and binary nitrate salt eutectic that can be used in a spacious range of 200 to 300 ℃ were nanoencapsulated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stirring intensity and the dosage of the surfactant significantly affect the size of molten salt capsules. The mean diameter of the nanocapsule synthesized under the optimal condition was estimated to be 420 nm with very thin shell thickness that is about 25 nm. In spite of the thin shell, the nanocapsules maintained their phase change performance in repeated thermal cycles over 50 times. Furthermore, the nanocapsules has 64.6% increased thermal energy storage capacity, comparing to that of a sensible heat storage material (Therminol 66) owing to the large latent heat of the core material. Conclusively, micro/nano-encapsulation can improve the thermal stability and thermal reliability of the molten salt at the high temperature, and additionally, they enable to store thermal energy with high energy density. Finally, the molten salt minco/nano-capsules that have high energy storage density and outstanding thermal performance can improve the thermal energy storage technology.

      • 고망간강의 페라이트 형성 거동 및 미세조직 제어

        이재준 창원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철강 재료는 낮은 생산 단가와 우수한 물성가지는 장점이 있으나, 높은 밀도로 인해 에너지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철강 재료를 경량화하기 위해 Al, Si과 같은 원자량이 작은 치환형 경량원소를 첨가하여 밀도를 낮춘 경량합금이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 MnAl강(Fe-30Mn-9Al-0.9C)과 Si 1wt%가 첨가된 고 MnAl강 두 가지로 분류하여 일방향 응고실험을 통해 응고속도(0.5㎛/s-200㎛/s)에 따른 응고조직 형성 거동을 분석하였다. 느린 응고속도인 0.5㎛/s에서 평면형 응고조직, 1㎛/s에서 셀형 응고조직, 응고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조대수지상 및 미세 수지상 응고조직을 보여주었다. 응고계면에서 초정은 δ상이 형성되며 초정주위에 γ 수지상이 형성되었다. 1차, 2차수지상 간격을 측정한 결과 Si이 첨가된 합금에서 수지상 간격이 미세한 것을 관찰하였다. DSC 분석 및 상평형계산을 통하여 각 합금에서 델타 및 오스테나이트 상변태 온도를 분석하여 응고조직 형성 거동을 분석하였다.

      • Efflux Pump Gene Expression Study Using RNA-Seq in Multidrug-Resistant Mycobacterium tuberculosis

        이재준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Background: Drug resistance in Mycobacterium tuberculosis is a major global health problem. In fact, multidrug resistance (MDR) tuberculosis decreases treatment success rate and increases mortality rate. It is thus important to understand how drug resistance mechanisms work. However, still much of the resistance mechanisms in second-line anti-tuberculosis drugs used for MDR tuberculosis treatment remains unknown. Whereas MDR efflux pumps can explain many drug resistances and therefore be considered as potential therapeutic targets research on the efflux pump of M. tuberculosis is still rare. As such, this study investigated differences in the expression levels of efflux pump genes according to kanamycin and ofloxacin exposed in M. tuberculosis with/without associated mutations using RNA-seq.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four MDR strains were selected; two kanamycin resistance strains (M114; rrs wild-type and M125; A1401G mutant type) and two ofloxacin resistance strains (X39; gyrA wild-type and M137; codon 94 GAC (asp) →GGC (gly) mutant type). H37Rv was prepared as a control. All four MDR strains had no eis and no gyrB mutations. Each strain was inoculated at 7H9 broth with 0%, 25%, and 50% drug concentrations of MIC and RNA was extracted. RNA sequencing was performed using Illumina HiSeq 4000 (Illumina). The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that showed two or more fold expression changes were taken and visualized using the KEGG pathway and hierarchical clustering with heat map. The top 12 genes with high volume value were selected and analyzed using volume plot. For comparison with previous studies, total 66 efflux pump genes were sele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the expression level of these genes in this study were analyzed. Results: In kanamycin resistance strains, the number of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total: 2,692) in M114 was higher than that of M125 (total: 63). The largest fold changed genes which related to efflux pump mechanism in M114 under MIC25 and MIC50 kanamycin exposure was Rv3219 (whiB1). In ofloxacin resistance strains, the X39 (total: 193) expressed more genes than M137 (total: 83). The largest fold changed genes in X39 under MIC25 and MIC50 ofloxacin exposure were Rv2846c (efpA). In M125 and M137, the efflux pump related genes were not ranked in the top 12 genes. Notably, the regulator gene whiB7 also showed a large positive fold change by kanamycin exposure. Of the 66 selected efflux pump genes, 8 genes showed significant expression changes in this study. Among them, in comparison to the expression fold change with H37Rv under the kanamycin exposure condition, the greatest positive fold change was observed in Rv1258c. Conclusions: RNA-seq can be used for efflux pump research with comprehensive data to discover new efflux pump genes and regulatory genes that may contribute to drug resistance. The large changes in the expression of efflux pump genes and regulatory genes by drug exposure seen in this study may be a helpful finding to identify new resistance mechanisms. To better understand efflux pump related drug resistance mechanisms, further research on a larger group of drug-resistant M. tuberculosis would be necessary. 배경: Mycobacterium tuberculosis의 약물 내성은 세계 보건의 주요 문제이다. 다제내성결핵/광범위내성결핵균은 치료 성공률을 낮추고 사망률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약물내성 기전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여전히 다제내성결핵/광범위내성결핵균에 사용되는 2차 항결핵제 내성 기전의 적지 않은 부분은 밝혀져 있지 않다. 유출펌프는 많은 약물 내성을 설명할 수 있는 기전이며 잠재적인 치료 표적이 돌 수 있다. 그러나 결핵균에서 유출펌프에 대한 이해는 현재도 매우 부족하다. 이 연구에서는 다제내성 M. tuberculosis에서 kanamycin과 ofloxacin exposure하에 대표적 내성 관련 돌연변이 유무에 따른 유출펌프 유전자의 발현수준의 차이를 RNA-seq을 이용하여 결핵균의 2차약제 내성을 설명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대상과 방법: 단일 콜로니 단리 후 kanamycin 내성 표현형 보이면서rrs A1401G 돌연변이가 있는 균(M125)과 없는 균(M114), ofloxacin 내성 표현형을 보이면서 gyrA codon 94 GAC (asp)→GGC (gly) 돌연변이가 있는 균(M137)과 없는 균(X39), 대조 군으로 H37Rv를 준비하였다. 네 내성 균주 모두 eis와 gyrB 돌연변이는 없었다. 각 균주를 kanamycin 과 ofloxacin 각각MIC의 0%, 25%, 50%농도의 7H9 broth 에 접종하여 RNA를 추출 하였다. RNA sequencing은 Illumina HiSeq 4000을 이용하였다. 이 실험에서2배 이상 차등발현된 유전자를 KEGG pathway 와 hierarchical clustering를 이용하여 시각화 하였고, volume plot분석에서 상위 12개 유전자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선행 연구들과 비교를 위하여 약제 저항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유출펌프 유전자 71개를 문헌 고찰을 통하여 선별하였고, 이들 유전자가 이 연구에서 발현된 수준을 분석하였다. 결과: Kanamycin카나마이신 내성 균주 중, M114에서 차등발현 된 유전자(총: 2692)의 수는 M125(총: 63) 보다 더 많았다. Ofloxacin 내성 균주 중, X39(총: 193개)는 M137(총: 83) 보다 더 많은 유전자를 발현하였다. Kanamycin과 ofloxacin exposure 조건에서 유출펌프 기전과 관련되어 가장 높은 발현 변화를 보인 유전자는 각각, M114에서 Rv3219(whiB1), X39에서 Rv2846c 이었다. M125 및 M137에서는 상위 12개 유전자 중에 유출펌프와 관련된 유전자는 확인되지 않았다. 문헌고찰을 통해 선정된 약물 내성 연관 유출펌프 71개 유전자 중에서 8개의 유전자가 이 실험에서도 의미있는 결과를 보였으며, H37Rv의 발현 정도와 비교한 결과, kanamycin exposure 조건에서 Rc1258c가 가장 높은 발현 증가를 보였다. 결론: RNA-Seq 은 약제 내성에 기여하는 새로운 유출펌프 유전자를 연구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 이 연구에서 이루어진 약제 exposure 조건에서 높은 발현 변화를 보인 유출펌프 유전자들은 새로운 약제 내성 기전을 밝히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더 많은 다제내성 결핵, 광범위 약제 내성 결핵 그룹을 이용한 추가 연구는 유출펌프 관련 약물 내성 기전을 이해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