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The role of thymosin β-4 in vitro and in vivo based on primary cilia formation
Non-motile primary cilia are antenna-like organelles protruding from the cortical cell surface in most eukaryotic cells. And primary cilia is enriched with diverse signaling receptors and transduce signals from outside to inside. Since their diverse function and distribution, dysfunction of them results in severe developmental defects and organ homeostasis failure. Therefore, studying of primary cilia formation is important to understand pathological mechanisms of ciliopathies such as cancer and obesity. Thymosin beta-4 (Tβ4) is an actin-sequestering protein and involved in several cellular functions, such as cell migration, cell proliferation and tissue repair. Furthermore, it is over-expressed in highly invasive and aggressive cancer cells. When yeast two-hybrid screening was implemented by using Tβ4 as a bait, nephrocystin-3 (NPHP3), one of ciliary protein, was physically interacted. I examined effect of Tβ4 in vitro and in vivo on primary cilia formation and ciliopathies, especially cancer and metabolic disorders. For the first, I investigated whether Tβ4 regulates cilia formation by the association with NPHP3 in HeLa cervical cancer cells. I confirmed the direct binding of Tβ4 with NPHP3 by GST-pulldown assay and they were co-localized at the edge of cell peripheral surface. HeLa cells expressed noticeable number of primary cilia compared to that in many other cancer cells. Remarkably, inhibition of Tβ4 reduced primary cilia formation. Also, the ciliated cell number increased in Tβ4-GFP positive cells. The number of ciliated cells was reduced by the inhibition of NPHP3. In addition, the frequency of primary cilia in NPHP3-overexpressed cells was reduced by knockdown of Tβ4. In the point of molecular correlation, NPHP3 was decreased by the inhibition of Tβ4, but it was increased by Tβ4 overexpression. In contrast, Tβ4 expression was not affected by neither the interference nor overexpression of NPHP3. Taken together,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primary cilium formation could be affected by Tβ4 through the regulation of NPHP3. It suggests that tumorigenesis could be associated with the perversion in Tβ4 and/or NPHP3 expression to maintain primary cilia formation normally.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re continuously generated during metabolic process and involved in cellular signaling and homeostasis. The production of ROS is also stimulated by cellular stress, such as growth factor deprivation. Serum starvation increased total ROS level in HeLa cells. And the frequency of ciliated cells were decreased by ROS scavenger, NAC, under the serum starve condition. We examined whether ROS are associated in Tβ4-mediated primary cilia formation. Inhibition of Tβ4 reduced ROS generation whereas Tβ4 expression was not affected by serum deprivation. Also, Hydrogen peroxide (H2O2), the one of ROS, increased in serum starvation. Treatment of H2O2 increased ciliated cell number that was attenuated by catalase, the H2O2 degrading enzyme. Moreover, the serum starvation-increased H2O2 was declined by knockdown of Tβ4. The H2O2–induced ciliogenesis was also reduced by knockdown of Tβ4. These results suggest that Tβ4 could affect ciliogenesis through the generation of ROS. Based on the findings that primary cilia could be increased by Tβ4 in cancer cells, I investigated whether Tβ4-induced primary cilia leads malignant phenotypes in cancer cells. Vinblastine, an anti-tumor drug,-induced cell death decreased in serum staved HeLa cells. In contrast, Inhibition of primary cilia by ciliobrevin A (cilioA) increased vinblastine-induced cell death. Furthermore, Tβ4-overexpression reduced anti-tumor activity of vinblastine and the drug resistance was lessened by inhibition of primary cilia. These findings suggest Tβ4 could lead resistance to vinblastine via induction of primary cilia. Type2 diabetes mellitus (T2DM) is caused by genetics and/or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eating high-fat foods. Tβ4 has an anti-fibrotic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n several T2DM complications. In addition, it regulated ciliogenesis. And primary cilia is involved in regulation of energy balance and metabolic process. I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β4 on High fat diet (HFD)-induced obesity and T2DM with the association of primary cilia in vivo. Weight increase by HFD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β4-transgenic mouse group compared to C57BL6 control group although food consumption was even higher in Tβ4 group. Adipose tissue amounts and adipocytes size was considerably reduced in Tβ4 group. Lower level of plasma leptin was also showed in Tβ4 group. In addition, fatty liver was noticeably inhibited in Tβ4 group. Furthermore, Tβ4 group improved glucose control and insulin sensitivity with the prevention of hyperinsulinemia. Therefore, data demonstrated Tβ4 prevented HFD-induced lipogenesis and obesity and improved glucose and insulin intolerance. Next, to see the effect of primary cilia on metabolic disorder, I treated cilioA to dampen cilia number in mouse. Weight gain, fatty liver and glucose regulation was not affected by cilioA in HFD-WT group. The lipid accumulation in adipose tissue rather slightly decreased. Nevertheless, the fasting insulin level was worsen by cilioA. Since the number of primary cilia was well maintained in HFD-Tβ4-Tg mouse compared to that in HFD-WT mouse, when the maintained primary cilia was inhibited by cilioA in HFD-Tβ4-Tg mouse, glucose intolerance and insulin sensitivity was aggravated. Taken together, Tβ4 might have anti-diabetic properties correlated with maintaining primary cilia in obese state. It suggests that Tβ4 likely be a novel restrainer of morbid obesity and T2DM caused by bad eating habits. Collectively, Tβ4 may regulate primary cilia formation through the control of NPHP3 or ROS production in HeLa cervical cancer cells. Cancer cells with primary cilia may acquire the malignant properties by showing resistance to vinblastine anticancer drugs. In addition, the expression of Tβ4 in the metabolic disorder showed the improvement effect of obesity and diabetes mellitus, which could be seen as the effect of in vivo energy and metabolism control through maintenance of primary cilia.
한국법을 준거법으로 한 선체용선계약의 법적 쟁점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BARECON 양식을 중심으로- : -BARECON 양식을 중심으로-
이재욱 한국해양대학교 해사산업대학원 2020 국내석사
선체용선자는 선체용선계약을 통하여 선체용선기간 동안 선박소유자로부터 선박에 대한 전면적인 점유 및 지배․관리권을 넘겨받아 운용한다. 선체용선계약의 유형은 크게 운용형과 금융형 선체용선계약[예를 들면, 소유권취득조건부 선체용선계약(BBCHP)]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운용형 선체용선계약은 BARECON 양식에 따라 체결되는 경우가 많다. BARECON은 선체용선계약 당사자가 계약에 적용될 준거법을 합의로 정할 수 있도록 하되, 별도의 합의가 없는 경우 영국법이 준거법이 된다고 규정한다. 한국법을 BARECON의 준거법으로 합의하는 경우, 운용형 선체용선계약은 그 법적성질이 임대차와 유사하므로 그 성질에 반하지 않는 이상 한국 민법의 임대차 규정이 준용된다. 선체용선계약은 당사자자치에 따라 규율되므로 한국 민법의 임의규정보다 BARECON 조항이 우선 적용되어 설령 임의규정과 일부 다른 내용이 있다고 하더라도 대부분의 조항에 있어서 그 해석과 법률효과에 있어서 영미법을 준거법으로 한 경우와 큰 차이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한국 민법의 강행규정에 저촉되는 BARECON 조항은 효력이 없게 된다. 특히 민법 제627조와 제628조의 용선료 증감청구권은 강행규정으로 이에 반하여 선체용선자에게 불리한 조항은 효력이 없다. 따라서 비록 BARECON 2017 제3조 (c)항에서 선박이 용선자에게 인도된 이후에는 선박소유자의 의무는 전부 이행된 것으로 보고 그 이후에는 선체용선자가 법적 구제수단을 행사할 수 없다고 규정하고 있더라도, 선체용선자는 민법 제627조와 제628조를 근거로 용선료감액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다. 선박소유자가 선박의 하자를 알면서 용선자에게 고지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BARECON 2017 제3조 (c)항에도 불구하고, 민법 제584조에 따라 하자담보책임의 면제특약의 효력이 인정되지 않는다. BARECON 2017 제31조 (d)항의 도산해지조항에 따라 용선자가 도산한 경우 선박소유자는 선체용선계약을 해지하고 용선자의 영업자산인 선박에 대한 점유를 회복할 수 있다. 이 조항으로 인하여 용선자는 선박을 운용하여 이익을 얻을 수 없어 용선자의 회생이 곤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영국법을 준거법으로 하는 경우 도산해지조항의 효력이 인정될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한국법을 준거법으로 한 경우 운용형 선체용선계약은 임대차의 성질을 가지므로 이를 쌍방미이행 쌍무계약으로 보아 관리인의 이행청구권을 보장하고 도산해지조항의 효력을 배제함으로써 도산절차에서의 안정성 및 용선자의 회생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이처럼 BARECON 양식에 따른 운용형 선체용선계약을 체결하는 경우 준거법을 한국법으로 합의함으로써 도산절차에서의 안정성을 도모하고 경제사정의 변동에 따라 용선료증감청구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향후 많은 계약 당사자들이 BARECON 양식에 따른 운용형 선체용선계약의 준거법을 한국법으로 합의함으로써 이러한 장점을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During the charter period the vessel shall be in full possession and at the absolute disposal for all purposes of the charterers and under their complete control in every respect. The bareboat charter can be classified into two large groups : Operating bareboat charter and Financing bareboat charter[for example, Bareboat Charter with Hire Purchase(BBCHP)]. It's very common for the parties to use the BARECON form for the operating bareboat charter. When the parties use the BARECON form, they can mutually agree the governing law and the arbitration place but they do not agree, the charter party shall be governed by and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English law. When the parties agree that the charter party shall be governed by and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Korean law, the provisions regarding leases under the Civil Act shall apply mutatis mutandis to the operating bareboat charter which is lease in nature according to Korean Law. Because the parties' intention shall prevail the optional provisions of Korean Civil Act, most of the articles of BARECON shall not be construed differently irrespective of governing laws, even though the articles are in contravention of the optional provisions of Korean Civil Act. But when some articles of BARECON are in contravention of the mandatory provisions of Korean Civil Act, the articles will be void. Especially, because the Article 627 and 628 of the Korean Civil Act are mandatory provisions, any articles of BARECON which are in contravention of the Article 627 and 628 and unfavorable to charterers shall be void. As a result, the charterers can demand a reduction of the hire on the ground of the Article 627 and 628 of the Korean Civil Act, even if BARECON 2017 article 3(c) says the delivery of the vessel by the owners and the taking over of the vessel by the charters shall constitute a full performance by the owners of all the owner's obligations under the clause, and thereafter the charterers shall not be entitled to make or assert any claim against the owners. The owners may not be relieved of liability in respect of any fact of which they were aware and nevertheless failed to disclose according to the Korean Civil Act article 584 in spite of BARECON 2017 Article 3(c). According to the Ipso Facto Clause[BARECON 2017 article 31(d)] when the charterers go bankrupt, the owners may terminate the charter party and repossess the vessel. Because of the clause, it is difficult for the charterers to make a profit by operating the vessel and to rehabilitate. When BARECON 2017 article 31(d) is governed by and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English law, the Ipso Facto Clause shall be in effect. But when the parties agree that article shall be governed by and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Korean law, the operating charter party which is lease in nature, shall be treated as the bilateral contract the parties have yet to complete performance of the contract, the custodian of the charterers has an option to terminate or require the owners to fulfill the owners' obligations. So the Ipso Facto Clause is not effective, it can help the charterer's rehabilitation. When the parties of the operating charter party agree that the charter party(BARECON form) shall be governed by and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Korean Law, it can help the rehabilitation of the charterers and the parties have the advantage of demanding the other party to raise or reduce the hire for the future when the economic situation changes. I wish that many parties agree the charter parties shall be governed by and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Korean Law and they can make good use of these advantages from now on.
연하곤란이 있는 뇌경색 환자에서 경두개자기장자극의 효과 : 자극위치에 따른 비교
연하곤란이 있는 뇌경색 환자에서 경두개자기장자극의 효과 : 자극위치에 따른 비교 Effect of rTMS on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 Comparison on Stimulation Site 의 학 과 이 재 욱 지도교수 김 상 범 이 연구의 목적은 연하 장애가 있는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에서 경두개 자기 자극을 연하 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설골 상부 근육에 특이적으로 시행하였을 때의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총 20명의 연하 장애가 있는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들이 두 그룹으로 나누었다. 그룹A는 설골 상부 근육에 그룹B는 단무지외전근에 경두개 자기 자극을 2주간 시행하였다(1주에 5일 시행). 10초간 10Hz 주파수로 110% 운동신경유발전위로 경구개 자기 자극을 시행하였고 매분마다 반복하여 10분 동안 시행하였다. 경두개 자기자극 치료 전과 치료 직후 그리고 치료 4주 후에 videofluoroscopic swallowing study (VFSS) 시행과 함께 Functional Dysphagia Scale (FDS), the Penetration Aspiration Scale (PAS) and the Dysphagia Outcome and Severity Scale (DOSS)을 시행하였다. 두 그룹 간에 환자의 일반적 특성은 유이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Table 1). 경구개 자기 자극 시행 직후의 DOSS score에서 그룹A가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호전을 보였다. 경구개 자기 자극 시행 직후와 4주 후의 FDS, PAS, 경구개 자기 자극 시행 4주후의 DOSS score의 변화는 두 그룹 간에 유이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연하 장애가 있는 뇌졸중 환자에서 설골 상부 근육에 특이적으로 경구개 자기 자극을 시행하는 것이 연하 장애의 호전에 더 효과적인 것을 증명했다. 주요어 : 뇌졸중, 연하 장애, 경두개 자기 자극, 설골 상부 근육
UAV 영상 기반 지형정보와 KANAKO 2D를 이용한 토석류 거동에 대한 사방시설의 효과 평가
이 연구는 2019년 토석류 피해가 발생한 산지유역을 대상으로 토석류 거동을 재현‧모의하고, 사방시설의 효과를 평가할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무인항공기(unmanned aerial vehicle, UAV)를 이용한 항공사진측량으로부터 수치지형모델 등의 지형정보를 구축하고, 이를 토석류 수치해석 모형인 KANAKO 2D 프로그램의 2차원 영역에 적용하였다. 연구대상지 내 총 18개 지상기준점을 이용하여 제작된 정사영상의 오차 검증을 실시한 결과, 축척 1:1000 및 1:5000의 수치지형도 제작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UAV를 이용한 항공사진측량과 정사영상 제작이 산사태․토석류 조사, 사방사업 계획 수립에 있어 대상 지역의 수치지형정보를 신속히 획득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이 시사되었다. KANAKO 2D에서 토석류 거동을 재현 모의한 결과, 두 계류에서 발생한 토석류의 속도는 16km/h, 27km/h로 계산되었다. 모의된 토석류의 범람범위를 피해 직후 촬영된 항공사진과 비교한 결과, 면적 중첩률은 평균 92.6%로 높게 나타났다. 토석류 피해 후 시공된 3기의 사방댐을 KANAKO 2D에서 반영하여 동일한 토석류 거동 재현조건에서 모의한 결과, 토석류 유하 차단과 범람 저감에 매우 효과적이었으며, 무시설 대비 토석류 유출량의 저감율은 합류점에 불투과형댐이 시공된 경우 평균 88%로 투과형댐이 시공된 경우의 평균 77% 보다 11%p 높게 나타났다. 사방댐 하류에 시공된 유로공도 토사 범람의 억지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합류점 사방댐 직하부에서 관측한 무시설 대비 피크 유량과 피크 토사량 저감율은 불투과형댐은 각각 76%와 88%, 투과형댐은 각각 66%와 74%로, 불투과형댐의 저감율이 다소 높았다. 이 연구의 결과는 UAV 항공영상 기반의 지형정보를 활용한 토석류의 수치모의가 토석류의 거동 및 범람 예측과 사방댐의 재해저감 효과 평가에 유효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simulate and evaluate the effect of erosion control facilities on the behavior of debris flow in a small, forested catchment affected by sediment-related disaster in 2019. First, a digital terrain model (DTM) was constructed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UAV) photogrammetry, and then, the DTM-based geoinformation was utilized for numerical simulation of debris flow using the KANAKO 2D software. The result of the geometric accuracy assessment of the UAV-based orthophoto for 18 ground control points showed that the DTM-based geoinformation was suitable for creating digital topographic maps at a scale of 1:1000 and 1:5000. This suggested that aerial photographic surveying and orthophoto image production using UAV can be applied to obtain numerical topographic information of a target area rapidly for post-disaster stage investig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a preventive erosion control plan. The velocity of debris flows generated in two streams was 16 km/h and 27 km/h as per the numerical simulation in KANAKO 2D. The average overlap ratio between the simulated and actual debris flow inundation areas was 92.6%, showing a good simulation performance. Under the same conditions, the simulations showed that three check dams in the study site were very effective in influencing the behavior and reducing the inundation area of debris flow. Compared to before check dam construction, after construction, the average sediment discharge of debris flow declined by 88% and 77% in the case of the close-type dam and slit dam, respectively, at the junction point. Channel training walls below the check dam were also highly effective in preventing debris flow inundation. In addition, the average peak water discharge and peak sediment discharge declined by 76% and 88% for the close-type dam and 66% and 74% for the slit dam, respectively, compared to those before the construction of the check dam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numerical simulation of debris flows using UAV-based geoinformation can be used effectively to predict the behavior and inundation pattern of debris flow an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check dams in mitigating sediment-related disasters.
본 연구의 목적은 안면 비대칭 환자의 하악골 단독 교정수술후의 기도공간 변화를 관찰하기 위함이다. 안면비대칭의 수술은 좌우의 후퇴양이 달라 후방움직임에 비해 회전 움직임이 더 주된 변화 양상을 보인다. 이에 따라 안면비대칭이 없는 경우와 비교하여 기도공간의 변화가 적을 것으로 사료되며 보다 복잡한 보상기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악골 단독 악교정 수술환자 31명을 선정하였고 이중 비대칭 유무에 따라 2 그룹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술전, 술후 6개월 이후로 나누어 CBCT 촬영하였으며, 기도 부피 변화 및 기도 협소부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두 그룹 모두 기도공간의 감소를 보였고 그룹 간에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기도공간의 감소는 두 그룹 모두에서 설골의 후하방 이동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Pog(pogonion)의 후방 변화량과 비례하는 경향을 보였다. 술후 기도 단면적 역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러한 경향은 인면 비대칭이 없는 그룹에서 좀더 두드러졌다. 술후 기도공간의 변화와 관련한 인자를 찾기 위하여 조사된 인자들과 상관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술후 기도공간 부피를 예측하기 위한 회귀분석 모델을 얻었으며, 술후 기도 부피 예측 회귀식을 도출하였다. 기도 단면적 형태의 변화 등 연조직관련 측정요소들은 체질량지수의 변화와 같은 수술 외적 요인들에 의한 보상되고, 전산화 단층 촬영 당시 두부 위치 변화 등에 의해 왜곡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를 확인하기 위한 다양한 후속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계통연계형 마이크로그리드단지에 설치된 에너지관리장치의 최적화에 관한 연구
이재욱 경상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2019 국내석사
현대 인류의 생활수준과 삶의 질이 비약적으로 향상되었지만 최근 지구온난화와 더불어 미세먼지에 대한 이슈가 세계적인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의 주요 원인중 하나로 화석연료를 에너지원으로 하는 발전설비의 급격한 증가를 제시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원인해소를 위한 대안으로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 증대를 주요 정책으로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대용량 발전설비의 비중은 줄이고 분산전원형태의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의 연계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높은 비율의 신재생에너지 공급이 가능한 마이크로그리드에서 태양광 및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의 전력공급 불확실성에 따른 문제점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위한 에너지관리시스템(EMS)의 최적화를 진행하였다. 신재생에너지의 공급 비율이 높을 경우에는 에너지저장장치(ESS)에 전력을 저장하고, 공급 비율이 낮을 경우에 에너지저장장치와 연계 계통(한전공급 전력)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태양광 및 풍력 발전설비의 전력공급 패턴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마이크로그리드에서 에너지관리시스템의 최적화를 통해 복합시스템(전력생산/소비/저장)에서 신재생에너지의 효율적인 활용과 안정적인 전력공급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역해석 기법을 이용한 복합퇴적 점토지반의 압밀특성 평가
Although the estimation of settlement in preloading method to improve soft ground is important, the irregularities in ground and test samples, the accumulation of tolerances in soil parameters and lack of accuracy in consolidation theories lead to inaccurate estimation of settlement. In estimating the amount of settlement, it is crucial to analyse the geographical profile of the subject area and using the appropriate soil parameters. In this study, Kriging method has been applied to classify the subject area into several sections of similar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after whose classification is verified by using FEM and back-analysis method. In such way, the suitability of the applied soil parameters should be verified. The result lead to a conclusion that the analysis using geostastical Krigging method yields reliable result in classifying the subject area according to its geographic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o this, in using simpler and the economic way of estimating the settlement using Hyperbolic, Hoshino and Asaoka methods, Hyperbolic method has showed its accuracy over the other two methods. And combination of the data acquired from construction and information from design stage is also important for efficient construction. For this, settlement characteristics have been clarified using back analysis of whose result has proved that back analysis through FEM yields similar result to that of indoor experiment. It showed that back analysis through FEM is one good way to evaluate the soil parameters. 연약지반을 개량하기 위해 사용되는 선행재하공법에서 침하량의 예측은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지만, 지층의 불균일성, 시료의 교란, 설계정수의 오차, 압밀이론의 단점 등으로 예측된 압밀침하량 및 시간은 대부분 실측치와 잘 일치하지 않고 있다. 이러한 불확실한 요소 중 대상지역의 지층분포를 명확히 규명하고 설계정수를 정확히 산정하는 것이 침하량 예측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크리깅(Kriging)기법을 적용하여 연구대상지역을 동일한 지반공학적 특성을 가지는 몇 개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이들 영역의 공학적 특성치 범위가 적합한지의 여부를 유한요소해석(FEM)과 역해석(back-analysis)을 수행하여 설계정수 산정의 적용성 여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 대상지역의 공학적 특성치에 대한 지구통계학적 크리깅기법 분석은 연약지반의 설계영역을 구분하는데 있어 활용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최종침하량을 간단하고 경제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기법인 쌍곡선법, Hoshino법, Asaoka법을 이용하여 대상지역의 장래침하량을 추정한 결과, 쌍곡선법이 Hoshino법과 Asaoka법에 비해 침하량 예측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시공과정에서 획득되는 계측자료와 설계단계에서의 사전정보를 적절히 조합하는 피드백 과정은 정보화시공을 위해서는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대상지역 계측자료에 대한 역해석을 수행하여 압밀특성치를 규명하였다. 해석결과, 압밀특성치는 실내시험 결과와 유사하여 유한요소해석을 통한 역해석은 신뢰성 높은 연약지반 설계정수를 평가하는데 있어 유효한 수단 중 하나임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