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PA 분석을 활용한 와인전문점 선택속성 평가에 관한 연구

        이자윤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23 산업혁신연구 Vol.39 No.3

        본 연구에서는 대응표본 t-test와 전통적인 IPA 분석을 활용하여 와인전문점 선택속성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에 대한 소비자 인식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와인전문점 선택속성에 대한 연구를 통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와인전문점이 질적 성장을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와인전문점 선택속성, 와인소비행동 등에 대한 항목을 추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해 최근 6개월 이내에 와인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총 229명이 응답하였다. 응답자의 와인구매행동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 주로 와인전문점에서 와인을 구매하여, 가족과 함께 집에서 음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와인전문점 선택속성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한 결과, 중요도와 만족도 모두 직원의 전문성, 직원의 친절 및 태도, 와인 진열상태 항목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소비자들이 와인전문점을 선택할 때 직원의 전문성과 직원의 태도가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전통적인 IPA 분석 결과, 직원의 전문성, 직원의 친절 및 태도, 와인의 종류, 와인 진열상태, 접근 용이성이 중요도와 만족도 모두 평균 이상인 영역에 위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내부 분위기와 내부 인테리어는 중요도에 비해 기대에 넘치는 만족도를 보여주는 항목으로 더 이상 투자 불필요한 영역에 나타났다. 따라서 외형적인 시설에 투자하기 보다는 와인전문점이라는 특성에 맞게 판매하는 와인 종류에 대한 전문성을 키우고, 와인에 대한 전문성을 갖추고 있는 직원을 육성하기 위한 투자가 장기적인 마케팅 전략에 가장 필요한 부분임을 시사하였다. This study used paired-sample t-test and traditional IPA analysis to study differences in consumer perceptions of importance and satisfaction with wine restaurant selection attributes. Through previous research, we extracted items on wine specialty store selection attributes, wine consumption behavior, etc. For the analysis of this stud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consumers who had purchased wine within the past six months, and a total of 229 people responded. A paired-samples t-tes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perception of importance and satisfaction with wine restaurant selection attributes. As a resul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the items 'expertise of staff', 'friendliness and attitude of staff', and 'state of wine display'. This was interpreted as having a very important influence on the professionalism and attitude of employees when consumers choose a wine restaurant. As a result of traditional IPA analysis, it was found that “staff expertise”, “staff friendliness and attitude”, “type of wine”, “wine display status”, and “ease of access” were all located in areas wher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were above average. Therefore, rather than investing in external facilities, the most necessary long-term marketing strategy is to develop expertise in the types of wine sold in lin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a wine specialty store and to foster employees with expertise in wine.

      • KCI등재

        식품의 일상섭취량 추정을 위한 식품섭취빈도의 활용가능성 및 타당도 연구

        이자윤(Ja Yoon Lee),김동우(Dong Woo Kim) 한국조리학회 2017 한국조리학회지 Vol.23 No.2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식품섭취빈도 조사로부터 식품섭취빈도를 산출한 후 이를 24시간 회상법에서 조사된 식품별 섭취량과의 상관관계를 탐색하여 식품 수준의 일상 섭취량을 추정할 때 식품섭취빈도를 공변수의 형태로 활용할 수 있을지 타진해 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식품섭취빈도 조사가 수행되기 시작한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총 3개년도의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24시간 회상법과 식품섭취빈도 조사 모두를 수행한 10,94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을 위해 식품섭취빈도 조사지에 수록된 112개 항목별로 24시간 회상법에서 산출된 식품별 섭취량을 재산출하였으며, 이 결과와 각 개인이 식품섭취빈도 조사법에서 응답한 섭취빈도 및 섭취분량 간의 스피어만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상관계수를 분석한 결과, 24시간 회상법의 섭취량과 식품섭취빈도법의 섭취빈도간에 는 총 112개 식품 중 59개 식품(52.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24시간 회상법의 섭취량과 섭취분량 간에는 102개 식품(90.3%)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곡류, 과일류, 난류, 두류, 생선류, 서류, 우유류, 육류, 음료류, 주류, 채소류, 해조류, 기타류의 13개 식품군으로 묶어 분석한 결과에서도 섭취빈도의 13개 군(10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생선류, 해조류, 기타류는 음의 상관을 보였고, 나머지 10개 항목은 양의 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식품섭취 빈도조사로부터 산출한 식품섭취빈도와 24시간 회상법 섭취량간의 일관된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식품(군) 수준의 일상 섭취량을 추정할 때 식품섭취빈도를 중요한 공변수로 활용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고 하겠다. Although 24-hour recalls (24HR) capture detailed information on a person’s food intake, this method suffers from difficulties in adequately measuring the usual intake of foods that are not consumed daily by mos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frequency of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FQ) can be utilized in form of covariate when calculating usual intake of episodically-consumed foods and their distributions. Data used in this study was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y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12∼2014 (3 years) and 10,945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urvey who performed both of 24HR and FFQ. In order to analyze the data, amount of intake in each food, which was reported in 24HR was recalculated according to 112 items in FFQ. We first asse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FFQ frequency and the amount reported on 24HR. Second, we asse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usual portion size of FFQ and the amount reported on 24HR. Our hypothesis was that people who reported high FFQ-reported frequency or FFQ-reported usual portion size would consume larger amounts of that food on 24HR than those with lower frequency or portion size of consumption of a food on the FFQ. For 59 of 112 individual foods (52.2%),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ing relationships between FFQ frequency and consumption-day intake. Also, 102 of 112 individual foods (90.3%),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ing relationships between FFQ usual portion size and consumption-day intake. For 10 of 13 food groups (grains, fruits, eggs, pulses, root and tuber crops, milk products, meat, beverage, alcoholic drink, vegetable, seaweeds and other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ing relationships between FFQ frequency and consumption-day intake.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ing relationships between FFQ usual portion size and consumption-day intake for all food groups. This study confirmed consistent correlation between reported FFQ frequency or usual portion size of food (group) consumption and consumption-day intake on 24HR. Therefore the frequency data may be utilized as important covariate when estimating usual intake of food or food groups.

      • KCI등재
      • KCI등재

        주관적 계층의식과 관여도 수준에 따른 와인수요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이자윤(Ja Youn Lee),김성윤(Sung Yun Kim),문혜선(Hye Sun Moon)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013 호텔경영학연구 Vol.22 No.2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the wine demand determinants based on the wine choice attribute and demographic statistical characteristics with the addition of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showing the social position that an individual wants to belong to. It has presumed the wine demand model subject to the involvement level in order to understand the impact factors influencing the annual wine consumption frequency, also it has carried out the log-likelihood ratio in order to compa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models of high-involvement group and low-involvement group.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 it has been deduced that the wine selecting factors are wine label information, recommendation of the salesclerk, experience, and environmental inquiry. Initially Poisson model had been applied, by inserting the choice attribute, demographic statistic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class variable and by considering that the final dependent variable is frequency, but the negative binomial model (NB) has been adopted as the final model in the end because over-dispersion had been appeared through the examination by regression analysis. From the analysis result, it has been appeared that the variables such as income, education level, wine drinking experience, and membership of wine society are giving positive (+) impact to the wine consumption, while the recommendation of salesclerk is giving negative (-) impact to the wine selection. From the consecutive analysis result of two respective groups divided by the involvement level of the wine, the factor of wine drinking experience has been appeared a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from the high-involvement group rather than the label information or recommendation of salesclerk, but it has been appeared that companion`s taste, harmony with the food, and purchasing purpose (such as gift purpose) are important variables from the low-involvement group.

      • KCI등재

        연령별 와인소비행동 및 와인선택속성 차이에 관한 연구

        이자윤(Lee Ja Youn) 한국외식경영학회 2017 외식경영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첫째, 연령별 와인소비행동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둘째, 연령별 와인선택속성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와인시장에서 와인을 구매하는 형태 및 빈도, 와인구매가격 등의 와인소비행동 변수와 와인선택속성 변수 20개를 추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해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며, 와인을 구매 혹은 소비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303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으며,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요인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령별 와인소비행동에 대한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와인음용시 와인지출금액과 월평균 와인음용횟수에서 연령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와인선택속성의 요인분석 결과, 와인의 일반적 정보, 와인의 관능적 특성, 와인관련 프로모션, 와인가치 등 4개의 요인으로 요인화 되었다. 요인분석을 바탕으로 연령별 와인선택속성의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선택속성에서는 연령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유의수준 5.5%에서 와인관련 프로모션 요인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연령별로 와인소비행동의 차이와 와인선택속성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연령에 따른 적절한 마케팅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wine consumption behavior by age. Second, we tried to analyz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wine selection attributes according to age. In the previous study, we extracted wine consumption behavior variables such as form and frequency of buying wine in wine market, wine purchase price and wine selection attribute. As a result of analysis of wine consumption behavio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mount of wine consumption and average monthly drinking frequency of drinking wine by age group The wine selection attributes were classified as ‘Information of Wine’, ‘Sensible’, ‘Promotion’ and ‘Value’ attribute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age groups in the wine selection attributes. Based on the factor analysis, we conducted a one-way ANOVA analysis of age-specific wine selection attributes.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wine promotional factors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5.5%. This study provides a marketing strategy for the wine market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by age wine consumption behavior and wine selection.

      • KCI등재

        SST에 기반한 키오스크의 서비스 기술품질이 감정적 가치, 만족, 고객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서진우,이자윤 한국호텔관광학회 2020 호텔관광연구 Vol.22 No.1

        외식산업에서의 IT접목을 통해 개발된 키오스크 활용을 통해 인건비절감 및 업무 효율성을 도모하고자하는 추세가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키오스크에 대한 서비스 기술품질, 감정적 가치, 만족, 고객행동의도와의 영향관계를 파악하여 외식산업에서의 키오스크 활용여부 결정 및 시스템 보완사항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요인분석, 경로분석 등을 사용하였다. 첫째, 키오스크의 서비스 기술품질이 감정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결과 용이성, 유용성, 신뢰성, 디자인, 자아통제, 반응성은 감정적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안정성은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의하지 않게 도출된 안정성에 대해서는 키오스크의 시스템 운영상에 대해 이용고객들은 다소의 불안감이존재하는 것으로 보이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오류사례들을 통해 최상의 안정적인 시스템 구축 및 신속한 AS 처리를 통해 이용고객들의 불신을 해소하기 위하여 노력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감정적 가치가 만족에 대한영향 분석에서 감정적 가치는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만족은 고객행동의도에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식업체에서 이용고객의 만족은 지속적 브랜드 이용, 주변에 대한 긍정적인 구전효과, 키오스크 사용에 대한 추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는 키오스크 시스템의 서비스 기술품질 특성과 정착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 KCI등재

        Busulfan plus melphalan versus high-dose melphalan as conditioning regimens in autologous stem cell transplantation for newly diagnosed multiple myeloma

        변자민,이자윤,신상진,강민주,윤성수,고영일 대한혈액학회 2018 Blood Research Vol.53 No.2

        Background High-dose melphalan (HDMEL) represents the standard conditioning regimen before autologous stem cell transplant (ASCT) in multiple myeloma (MM), but recent updates have suggested combination of melphalan with bulsulfan (BUMEL) is also associated with favorable outcomes. We performed the current study to address the lack of comparative studies between the two conditioning regimens in Asian populations. Methods Using the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and Korean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databases, 1,304 patients newly diagnosed with MM undergoing ASCT between January 2010 and December 2014 were identified. Patients were divided according to conditioning regimen (HDMEL vs. BUMEL), and after case matching, 428 patients undergoing HDMEL conditioning were compared to 107 patients undergoing BUMEL conditioning with respect to clinical course and treatment outcomes. Results The 3-year progression-free survival (PFS) was 52.5% for the HDMEL conditioning group versus 70.3% for the BUMEL conditioning group (P=0.043). The 3-year overall survival (OS) was 82.0% versus 83.5% (P=0.525), respectively. Although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MEL conditioning was associated with more platelet transfusion, while HDMEL was associated with more granulocyte colony stimulating factor support. In multivariate analysis, BUMEL conditioning was not inferior to HDMEL conditioning in regard to both PFS and OS. Conclusion Our study confirmed that BUMEL is an effective and well-tolerated alternative to HDMEL conditioning, with better PF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